KR102425150B1 -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150B1
KR102425150B1 KR1020200129740A KR20200129740A KR102425150B1 KR 102425150 B1 KR102425150 B1 KR 102425150B1 KR 1020200129740 A KR1020200129740 A KR 1020200129740A KR 20200129740 A KR20200129740 A KR 20200129740A KR 102425150 B1 KR102425150 B1 KR 10242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crete
gang form
reinforcing material
em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393A (ko
Inventor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보메탈
Priority to KR102020012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갱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시공 안정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은 갱폼을 따라 기준층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기준층 단열재가 배치되는 기준층 시공 단계; 상기 기준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1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1단열재가 배치되는 제1층 시공 단계; 상기 제1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2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2단열재가 배치되는 제2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제2콘크리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층 시공 단계에서 갱폼은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GANG FORM IS SUPPORTED BY A REINFORCING MATERIAL TO IMPROVE CONSTRUCTION SAFETY}
본 발명은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단열 방식이 에너지 효율이 낮은 기존의 내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내측에 배치)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외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외측에 배치)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갱폼은 주로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골조(외부 벽체, 내력제)의 거푸집 기능을 하는 복수의 면판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의미한다.
외단열 건물 시공 시, 도 1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갱폼의 내측(면판의 내측)에 단열재를 부착한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단열재와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시공하며, 도 1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층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갱폼을 위층으로 인양하여 위층을 시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시공 시 갱폼은 아래층의 앵커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한편, 엠베드 브라켓은 앵커와 별도로 설치되어 외장재(마감재)를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외단열 시공 방법은 내단열 시공 방법과 달리 콘크리트와 갱폼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되므로 마찰력 감소 등에 의해 앵커만으로는 갱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벽식구조 건축물에서 아래층의 콘크리트가 약 24~48시간 정도 밖에 양생되지 못하므로 이에 의해 고정되는 앵커는 갱폼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며, 나아가 갱폼 발판 또한 불안정하여 작업자의 위험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갱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시공 안정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외단열 시공 방법은 갱폼을 따라 기준층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기준층 단열재가 배치되는 기준층 시공 단계; 상기 기준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1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1단열재가 배치되는 제1층 시공 단계; 상기 제1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2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2단열재가 배치되는 제2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제2콘크리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층 시공 단계에서 갱폼은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하부는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하부는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에 인입된 제1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에 인입된 제2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엠베드 브라켓은 제1-1엠베드 브라켓과 제1-2엠베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엠베드 브라켓은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측면과 대향하여 볼트 결합되는 제1브라켓 파트와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하면과 대향하여 지지하는 제2브라켓 파트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엠베드 브라켓은 상기 제1-1엠베드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의 천정슬라브와 오버랩되는 위상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1브라켓 파트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홈 형태의 절단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 파트 사이에는 상기 보강재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며, 상기 보강재에는 갱폼의 발판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에서는 갱폼이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에서는 종래에 외장재를 고정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엠베드 브라켓을 이용하여 보강재를 고정하며, 특히, 보강재의 하측 부분은 양생이 충분히 진행된 기준층 콘크리트(약 144시간 양생)에 인입된 엠베드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므로 벽식 구조 건축물 등에서도 갱폼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에서는 갱폼의 발판이 보강재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발판이 앵커에 의해 고정되는 것보다 흔들림과 변형이 적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는 외단열 시공 시 갱폼의 내측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의 (b)는 외단열 시공 시 아래층 타설 후 갱폼이 위층으로 인양되어 작업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보강재에 대한 사시도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을 설명한다. 도 1의 (a)는 외단열 시공 시 갱폼의 내측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의 (b)는 외단열 시공 시 아래층 타설 후 갱폼이 위층으로 인양되어 작업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보강재에 대한 사시도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은 기준층 시공 단계(100)와 제1층 시공 단계(200)와 제2층 시공 단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기준층(1)은 지상 1층이고 제1층(2)은 지상 2층이고 제3층(3)은 지상 3층이며, 기준층(1)과 제1층(2)과 제3층(3)이 모두 외단열 방식(단열재가 콘크리트의 외측에 배치)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기준층(1)은 지상 1층보다 고층이고 제1층(2)은 지상 2층보다 고층이며 내단열 방식으로 시공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기준층 시공 단계(100)에서는 갱폼(g)을 따라 기준층 콘크리트(11)가 타설 및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층 단열재(12)는 갱폼(g)의 면판의 내측면에 부착 배치되어 기준층 콘크리트(11)의 경화 시 기준층 콘크리트(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준층 단열재(12)는 기준층 콘크리트(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외단열 방식).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층 시공 단계(200)에서는 갱폼(g)을 따라 제1콘크리트(21)가 타설 및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갱폼(g)으로 기준층 시공 단계(100)에서 사용된 갱폼(g)이 제1층(2)으로 인양되어 활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새로운 갱폼이 이용될 수도 있음). 제1층 단열재(23)는 제1갱폼(21)의 면판의 내측면에 부착 배치되어 제1콘크리트(22)의 경화 시 제1콘크리트(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단열재(23)는 제1콘크리트(2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외단열 방식).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2층 시공 단계(300)에서는 갱폼(g)을 따라 제2콘크리트(31)가 타설 및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갱폼(g)으로 제1층 시공 단계(200)에서 사용된 갱폼(g)이 인양되어 활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새로운 갱폼이 이용될 수도 있음). 제2층 단열재(32)는 갱폼(g)의 면판의 내측면에 부착 배치되어 제2콘크리트(31)의 경화 시 제2콘크리트(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단열재(32)는 제2콘크리트(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외단열).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의 제2층 시공 단계(300)에서 갱폼(g)이 보강재(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의 제2층 시공 단계(300)에서 갱폼(g)은 종래와 같이 앵커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외단열 시공 방식 상 앵커 인장력만으로는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보강재(40)로 지지력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갱폼(g)을 지지하는 보강재(40)는 컬럼과 유사한 수직부재로서, 하부는 기준층 콘크리트(11)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는 제1콘크리트(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갱폼(g)을 지지하는 보강재(40)의 하부는 기준층 콘크리트(11)에 인입된 제1엠베드 브라켓(b1)에 볼트 결합되고, 상부는 제1콘크리트(21)에 인입된 제2엠베드 브라켓(b2)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의 제2층 시공 단계(300)에서는 갱폼(g)을 지지하는 보강재(40)의 하측단은 약 144시간 양생된 기준층 콘크리트(11)에 인입된 제1엠베드 브라켓(b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벽식구조 건축물에서 아래층의 콘크리트(이 경우, 제1콘크리트)가 약 24~48시간 정도 밖에 양생되지 못한 곳에 인입된 앵커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높은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에서는 종래에 외장 마감재를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엠베드 브라켓을 이용하여 갱폼(g)을 지지하는 보강재(40)를 고정하기 때문에, 갱폼(g)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연결 부품이 필요치 않아 경제적인 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재(40)는 수평 단면이 대략적으로 "c"자나 "ㄷ"자 형태인 c형강(41)일 수 있으며, 좌굴이나 밴딩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부재로서 상부캡(42)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c형강의 상부와 하부에는 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기 위한 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재(4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1엠베드 브라켓(b1)은 제1-1엠베드 브라켓(b1-1)과 제1-2엠베드 브라켓(b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엠베드 브라켓(b1-1)은 보강재(40)의 하부의 측면과 대향하여 볼트 결합되는 제1브라켓 파트와 보강재(40)의 하부의 하면과 대향하여 지지하는 제2브라켓 파트가 형성되어 있는 대략적으로 "L"자 형태의 브라켓 파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밀 조립을 위해, 보강재(40)의 하부의 측면에서 제1-1엠베드 브라켓(b1-1)의 제1브라켓 파트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홈 형태의 절단 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보강재(40)의 하부의 하면과 제1-1엠베드 브라켓(b1-1)의 제2브라켓 파트 사이에는 보강재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52)가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에서는 보강재(40)가 수평 방향으로 볼트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보강재(40)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향상된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엠베드 브라켓(b1-2)은 상대적으로 제1-1엠베드 브라켓(b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준층 콘크리트(11)의 천정 슬라브와 오버랩되는 위상에 깊게 인입됨으로써, 높은 인발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 방법(1000)에서 보강재(40)에 갱폼(g)의 발판(필요한 경우, 갱폼발판고정능브라켓이 이용)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갱폼(g)의 발판의 지지력이 상승하고 떨림이 감소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고, 갱폼(g)의 발판은 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거나 엠베드 브라켓과 보강재(40)에 함께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강재(40)의 변형례에서는 제2엠베드 브라켓(b2)도 제1엠베드 브라켓(b1)과 마찬가지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엠베드 브라켓(b2)은 제2-1엠베드 브라켓(b2-1)과 제2-1엠베드 브라켓(b2-1)의 상측에 위치한 제2-2엠베드 브라켓(b2-2)을 포함함으로써, 보강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갱폼을 따라 기준층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기준층 단열재가 배치되는 기준층 시공 단계;
    상기 기준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1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1단열재가 배치되는 제1층 시공 단계;
    상기 제1층 상에, 갱폼을 따라 제2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제2단열재가 배치되는 제2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제2콘크리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층 시공 단계에서 갱폼은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강재의 하부는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강재의 하부는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에 인입된 제1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에 인입된 제2엠베드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며,
    상기 제1엠베드 브라켓은 제1-1엠베드 브라켓과 제1-2엠베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엠베드 브라켓은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측면과 대향하여 볼트 결합되는 제1브라켓 파트와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하면과 대향하여 지지하는 제2브라켓 파트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엠베드 브라켓은 상기 제1-1엠베드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층 콘크리트의 천정슬라브와 오버랩되는 위상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1브라켓 파트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홈 형태의 절단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의 하부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 파트 사이에는 상기 보강재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며,
    상기 보강재에는 갱폼의 발판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 방법.
KR1020200129740A 2020-10-07 2020-10-07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242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40A KR102425150B1 (ko) 2020-10-07 2020-10-07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40A KR102425150B1 (ko) 2020-10-07 2020-10-07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393A KR20220046393A (ko) 2022-04-14
KR102425150B1 true KR102425150B1 (ko) 2022-08-01

Family

ID=8121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740A KR102425150B1 (ko) 2020-10-07 2020-10-07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714B1 (ko) 2023-05-15 2024-07-09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갱폼용 소음방지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7Y1 (ko) *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신영 인양형 갱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24B1 (ko) * 2017-12-26 2019-10-17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외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건물용 갱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7Y1 (ko) *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신영 인양형 갱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714B1 (ko) 2023-05-15 2024-07-09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갱폼용 소음방지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393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320B1 (ko)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JP5314356B2 (ja) 合成梁、合成梁施工方法、及び耐火建築物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6815183B2 (ja) 複合建物
JP4658006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仮設制震パネル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20150138785A (ko) 별도의 하중경로를 갖는 건축물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방법
KR102425150B1 (ko) 보강재에 의해 갱폼을 지지하여 시공 안전성을 향상한 외단열 시공 방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JP2001311314A (ja) 既存建物の免震構造化方法
JP2017106273A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既存筒状壁の補強方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20190101513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36248A (ko) 현장타설 내벽결합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JP4957955B2 (ja) 戸建免震建物施工法
KR200450899Y1 (ko) 지진대피시설
JP2012241311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梁、ハーフプレキャスト梁の製造方法、及び建築構造物の躯体の施工方法
KR101341826B1 (ko) 파일 및 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CN112359965A (zh) 一种带肋模构造的预制混凝土装配式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6002428A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4024449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1531786B1 (ko) 절개부를 갖는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JP2016153559A (ja) 木造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基礎部材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