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85B1 - 설계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계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85B1
KR102421485B1 KR1020207021792A KR20207021792A KR102421485B1 KR 102421485 B1 KR102421485 B1 KR 102421485B1 KR 1020207021792 A KR1020207021792 A KR 1020207021792A KR 20207021792 A KR20207021792 A KR 20207021792A KR 102421485 B1 KR102421485 B1 KR 10242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error
item
unit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604A (ko
Inventor
히로유키 우자와
토모히로 니레
Original Assignee
미스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스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미스미 코포레이숀
Priority to KR102022702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6Modifications to the monitored process, e.g. stopping operation or adapting control
    • G05B23/0289Reconfiguration to prevent failure, e.g. usually as a reaction to incipient failur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008Making 3-D object with model in computer mem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23/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G05B23/00
    • G05B2223/02Indirect monitoring, e.g. monitoring production to detect faults of a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6Customisation or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18Manufacturability analysis or optimisation for manufactur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rosthes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설계지원 시스템 S의 표시부(1b)는, 3D 모델의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해소용 조건 인식부(2f)에 인식된 지정 조건, 및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설계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아이템(item)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그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판금 부품, 절삭 부품, 프레스 부품, 사출 성형 부품 등의 부품 또는 복수의 부품의 조합(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아이템」이라고 한다.)에 관한 형상 데이터(예를 들면, CAD 데이터)를 3D 모델로서 표시하고, 그 아이템의 설계를 지원하는 설계지원 시스템이 있다. 또한,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아이템 및 아이템을 구성하는 각 부품은 각각 제조 조건이 지정 가능한 복수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설계지원 시스템으로서는, 아이템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서 지정된 제조 조건(공차, 재질, 표면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없는 경우에, 그 부분을 오류(error)로 하여 사용자에 대해 알림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표 2016-51936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와 같은 종래의 설계지원 시스템은, 오류를 알리는 것만에 머물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설계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은 경우, 오류를 해소하기 위해서 과도한 설계 변경 등이 행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설계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발명과 관련되는 설계지원 시스템은,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당해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지원 시스템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에서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가능하게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오류 조건」이란, 인식된 지정 조건 중,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지정 조건을 가리킨다. 그리고, 지정 조건이 오류 조건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오류 판정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순하게 그 지정 조건이, 그 아이템의 제조시에 선택할 수 있는 제조 조건인 선택가능 조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그 지정 조건 단체(單體)에서는 문제가 없이 제조가 가능하지만,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지정 조건을 감안하면 제조가 곤란하게 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그 지정 조건을 채용한 경우에, 납기 및 금액의 적어도 일방이 과잉으로 증대해 버리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여기서, 「해소용 조건」이란, 인식된 지정 조건 중,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지정 조건을 가리킨다. 그리고, 지정 조건이 해소용 조건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또한, 해소용 조건으로서는, 오류 조건 그 자체 이외에, 오류 조건에 영향을 주는 지정 조건이 포함된다.
오류 해소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순하게 그 지정 조건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에 더하여, 사용자(user)가 희망하는 납기 및 금액의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우선 지정 조건 중에서,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그 후, 지정 조건 중에서, 인식된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해소용 조건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절곡한 판금에 구멍을 형성한 아이템을 제조하는데 즈음하여, 그 구멍의 위치가 절곡 부분에 너무 가까우므로, 가공시에 판금이 비뚤어져 버린다고 하는 오류가 생긴다고 한 경우에는, 구멍의 위치가 오류 조건으로 된다. 이 경우, 구멍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당연히 오류는 해소하지만, 판금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도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서는, 구멍의 위치 이외에, 판금의 두께도 해소용 조건으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또한 그 후,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있어서,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그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해소용 조건 및 거기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표시한다. 즉, 이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아도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인식할 수가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은,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며,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우선 지정 조건 중에서,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그 후, 지정 조건 중에서, 인식된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인 해소용 부분을 인식한다.
그리고, 또한 그 후,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있어서,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해소용 부분을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강조 표시한다. 즉, 이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시각을 통해서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아도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대처해야 할 부분을 적절히 인식할 수가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강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시킨 후의 형상을 시각을 통해서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대처를 행한 후의 형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설계 변경의 전후 상태를 비교하기 쉬워지게 되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상기 제2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하기 전의 상태와, 해당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한 이후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중첩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을 작성하는 수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수정 모델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을 생성하는 해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석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은,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시스템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태로 표시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발명의 설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하기 전의 상태와, 해당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한 이후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중첩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발명의 설계 지원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발명의 설계 지원 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발명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읽어내어 실행 가능하고,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발명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어내어 실행 가능하고,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설계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계지원 시스템이 오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3은 도 2의 STEP05의 때에 도 1의 설계지원 시스템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의 STEP08의 때에 도 1의 설계지원 시스템의 표시부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설계지원 시스템이 오류의 해소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6은 도 5의 STEP12의 때에 도 1의 설계지원 시스템의 표시부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설계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표시부가 3D(3 Dimension) 모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수정부에 의한 변경 개소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도이다.
도 10은 표시부가 표시하는 팝업(pop-up)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표시부가 수정 모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표시부가 3D(3 Dimension) 모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표시부가 해석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표시부가 해석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설계지원 시스템 S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계지원 시스템 S는, 판금 부품, 절삭 부품, 프레스 부품, 사출 성형 부품 등 (이하, 총칭하여 「아이템」이라고 한다.)에 관한 형상 데이터(예를 들면, CA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아이템의 3D 모델을 참조하면서, 그 아이템의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설계지원 시스템 S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설계지원 시스템 S는, 테블릿(tablet), 노트 PC(Personal Computer) 등의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측 단말(1)과, 사용자측 단말(1)에 인터넷 등의 회선을 통해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된 서버(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측 단말 및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 이외의 것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각 처리부 및 격납부를 단일의 정보 단말에 설치하고, 그 정보 단말만으로 설계지원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고, 격납부를 설치하는 서버와 처리부를 설치하는 서버를 다른 독립된 서버로 해도 좋다.
사용자측 단말(1)은, 입력기기에 의해 구성된 입력부(1a)와, 표시부(1b)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a)에 이용하는 입력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및 각종 버튼,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등 이외에, 그것들을 병용해도 좋다. 표시부(1b)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기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a)를 통해 사용자측 단말(1)에 입력한 정보는, 인터넷 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2)에 송신된다.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가 행한 처리의 결과는, 사용자측 단말(1)에 송신된 후, 표시부(1b)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서버(2)는, 실장된 하드웨어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와, 아이템 인식부(2b)와,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와, 지정 조건 인식부(2d)와, 오류 조건 인식부(2e)와, 해소용 조건 인식부(2f)(해소용 부분 인식부)와, 표시 내용 결정부(2g)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는, 여러 가지 아이템에 대해, 그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마다 선택가능 조건을 격납하고 있다.
여기서, 「선택가능 조건」이란, 아이템을 제조할 때에 선택할 수 있는 제조 조건이며, 그 아이템을 제조하는 공급자(supplier)의 제조 기술 등에 기초하여 규정된 것이다. 또, 「제조 조건」이란, 아이템을 설계할 때에 고려되어야 할 각종 조건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치수(나아가서는, 거기에 기초를 두는 형상), 공차, 재질, 경도, 표면 처리 등이다.
아이템 인식부(2b)는,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의 종류를 인식함과 아울러, 그 아이템의 형상을 구성하는 부분마다 분리하여 인식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입력된 형상 데이터(예를 들면, CAD 데이터)와, 미리 규정되어 있는 형상 패턴에 관한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사한 형상의 아이템의 검색, 및 그 아이템을 구성하는 부분의 인식이라고 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아이템의 형상 데이터로서 3D CAD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형상 데이터는 3D CAD 데이터 이외에, 복수의 2D CAD 데이터 등, 아이템에 포함되는 그 아이템의 구성 요소의 형상(이하, 「솔리드(solid)」라고 한다.)을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다른 형식이라도 좋다.
또, 아이템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는,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는 방법 이외에, 치수치에 기초하여 산출한다고 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다른 처리에 있어서 아이템의 종류, 형상을 처리에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이템의 종류, 형상을 인식하지 않아도 좋다.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는, 아이템 인식부(2b)에 의해 인식된 아이템의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가능 조건을 그 아이템의 종류 및 형상을 참조하여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로부터 취득한다.
지정 조건 인식부(2d)는, 인식된 아이템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제조 조건을 지정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지정 조건의 지정은, 취득된 선택가능 조건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형식이라도 좋고,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시키는 형식(구체적으로는, 직접 수치를 지정하는 형식)이라도 좋다.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데이터 테이블(오류 판정 기준)을 참조하여 인식된 아이템의 형상 및 지정 조건에 기초하여 지정 조건 중에서 오류 조건 및 그 오류 조건의 원인으로 되는 지정 조건(즉, 오류의 원인)을 인식한다.
여기서, 「오류 조건」이란, 인식된 지정 조건 중,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지정 조건을 가리킨다. 그리고, 지정 조건이 오류 조건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오류 판정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순하게 그 지정 조건이, 그 아이템의 제조시에 선택할 수 있는 제조 조건인 선택가능 조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그 지정 조건 단체에서는 문제가 없이 제조가 가능하지만,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지정 조건을 감안하면, 제조가 곤란하게 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그 지정 조건을 채용한 경우에, 납기 및 금액의 적어도 일방이 과잉으로 증대해 버리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의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식된 아이템의 형상 및 지정 조건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은, 그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식된 지정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이면 좋다.
예를 들면, 지정함으로써 납기가 소망의 납기를 넘어 버리는지 아닌지를 오류 판정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그 아이템을 제조하는 공급자(supplier)의 제조 능력에 미리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해 두고, 그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각 지정 조건이 오류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오류 조건 인식부(2e)가 오류 조건뿐만이 아니라, 오류 조건의 원인으로 되는 지정 조건도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처리에 있어서, 그 지정 조건을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와는 달리 오류 조건의 원인으로 되는 지정 조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지 않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오류 조건 인식부(2e)에 있어서, 오류 조건만을 인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데이터 테이블(오류 해소 기준)을 참조하여 인식된 아이템의 형상 및 오류 조건에 기초하여 지정 조건 중에서 해소용 조건을 인식함과 아울러,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을 인식한다.
여기서, 「해소용 조건」이란, 인식된 지정 조건 중,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지정 조건을 가리킨다. 그리고, 지정 조건이 해소용 조건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또한, 해소용 조건으로서는, 오류 조건 그 자체 이외에, 오류 조건에 영향을 주는 지정 조건이 포함된다.
오류 해소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순하게 그 지정 조건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에 더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납기 및 금액의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의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식된 아이템의 형상 및 오류 조건에 기초하여 지정 조건 중에서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고, 또한 해소용 부분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은, 그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식된 지정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이면 좋다.
예를 들면, 오류 해소 기준은 데이터 테이블로서 이용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오류 해소 기준이 소정의 계산식에 의해 규정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오류 해소 기준을 참조하여 아이템의 형상 데이터와 지정 조건에 기초하여 해소용 부분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후술하듯이 사용자에 대해서 구체적인 해소 수단을 메세지로서 제시하기 위해서, 해소용 조건 인식부(2f)에 의해 해소용 조건 및 해소용 부분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와는 달리 해소용 부분만을 사용자에 대해 제시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해소용 부분 인식부를 겸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에 대신하여, 그 해소용 부분만을 인식하는 처리부를 채용해도 좋다.
아이템 인식부(2b)는, 인식한 아이템의 3D 모델을 작성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그 아이템의 각 부분을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하게 표시한다(도 3 등에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좌측의 아이템의 모델 참조). 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가 취득한 선택가능 조건을 지정 가능하게 표시한다(도 3 등에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우측의 트리(tree) 부분 참조).
또한, 아이템의 모델로서는, 3D 모델 이외에, 2D 모델을 채용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와는 달리 다른 처리에 있어서 아이템의 모델의 소정의 부분을 선택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아이템의 모델의 각 부분을 개별적으로 선택가능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서버(2)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를 설치하고,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 내용 결정부를 사용자측 단말의 내부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계지원 시스템 S가 행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설계지원 시스템 S가 오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며, 도 5는 설계지원 시스템이 오류의 해소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또, 도 3, 도 4, 및 도 6은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우선,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계지원 시스템 S가 오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아이템 인식부(2b)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에 입력된 아이템의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구성 요소의 형상인 솔리드를 인식한다(도 2/STEP01).
다음에, 아이템 인식부(2b)는, 미리 규정되어 있는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식된 솔리드(solid)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 및 그 아이템을 구성하는 부분을 인식한다(도 2/STEP02).
다음에, 아이템 인식부(2b)는, 솔리드, 아이템의 종류, 및 그 아이템을 구성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의 3D 모델을 작성한다(도 2/STEP03).
이 때에 작성되는 아이템의 3D 모델은, 아이템을 구성하는 부분마다 구분되어 있고, 각각에 대해 독립하여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그 3D 모델은 부분마다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이템군의 모델은 3D 모델 이외에, 2D 모델이라도 좋다. 또, 분류의 색에는 무색이 포함된다.
다음에,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는, 아이템 인식부(2b)에 의해 인식된 아이템의 종류 및 형상을 참조하여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로부터 그 아이템의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가능 조건을 취득한다(도 2/STEP04).
다음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의 3D 모델, 및 그 부분마다의 선택가능 조건을 표시한다(도 2/STEP05).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3D 모델(3), 및 아이템을 구성하는 각 부분을 트리 형식에서 열거한 제조 조건 트리(4)가 표시된다. 3D 모델(3)은, 상기와 같이 각 부분을 선택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조 조건 트리(4)는, 각 부분에 대응하는 항목마다 선택가능하고, 또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풀다운(pull-down) 메뉴 중의 선택가능 조건 중에서, 지정 조건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지정 조건 인식부(2d)는, 표시된 선택가능 조건 중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선택한 지정 조건을 인식한다(도 2/STEP06).
다음에,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인식된 지정 조건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오류 부분), 및 오류 조건의 원인으로 되는 부분(원인 부분)을 인식한다(도 2/STEP07).
본 실시 형태로 설계 변경의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가공 중에 절곡부(3b)에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하는 것이 오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절곡 각도(3a)(도 4 참조)에 대해, 절곡부(3b)로부터 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3c)까지의 높이가 너무 낮은 것이 원인으로 되어 있다. 즉, 절곡 각도(3a)가 오류 조건, 절곡부(3b)가 오류 부분, 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3c)이 원인 부분으로 된다.
다음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 상에서, 오류 조건 인식부(2e)가 인식한 오류 조건, 오류 부분, 및 원인 부분을 강조 표시한다(도 2/STEP08).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3D 모델(3)의 각 부분 중, 오류 조건(절곡 각도(3a)) 및 오류 부분(절곡부(3b))이 소정의 색이 붙여져 강조 표시되고, 원인 부분(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3c))이 오류 조건 및 오류 부분과는 다른 색이 붙여져 강조 표시된다. 또한, 제조 조건 트리(4) 중에서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θ 90°의 문자열)의 배경에 오류 조건 및 오류 부분과 같은 색이 붙여진다.
또한, 강조 표시의 방법은, 색을 붙이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부분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화살표등의 아이콘을 부수 표시함으로써, 그 부분을 지정해도 좋고, 음성 등으로 그 부분을 지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STEP01~STEP08까지의 처리가,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가 오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오류 조건 및 오류 부분 이외에, 원인 부분도 강조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반드시 원인 부분을 강조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원인 부분을 강조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STEP07에 있어서,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원인 부분을 인식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계지원 시스템 S가 오류의 해소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는, 사용자가 제조 조건 트리(4)에 포함되는 오류 조건(θ 90°라고 하는 항목), 또는 3D 모델(3)의 절곡부(3b)를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선택했을 때에 개시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 및 거기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즉, 해소 수단)을 인식한다(도 5/STEP11).
본 실시 형태의 설계 변경의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처럼, 가공 중에 절곡부(3b)에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하는 것이 오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절곡 각도(3a)(도 4 참조)에 대해, 절곡부(3b)로부터 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3c)까지의 높이가 너무 낮은 것이 원인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곡부(3b)로부터 절결부의 하연(3c)까지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그 오류는 해소된다. 즉, 절곡부(3b)로부터 절결부의 하연(3c)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치수치(도 6에 있어서의 치수치(3d) 참조)가,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해소용 조건에 해당하고, 또 절결부의 하연(3c)의 위치가, 거기에 대응하는 해소용 부분에 해당한다.
다음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오류의 상세를 표시함과 아울러, 해소용 조건 인식부(2f)가 인식한 해소 수단을 표시한다(도 5/STEP12).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3D 모델(3)의 좌상에, 추천(recommend) 윈도우(window)(5)가 표시된다. 추천 윈도우(5)에는, 인식된 오류 조건, 및 그 해소 수단에 대응한 문장이 표시된다.
또, 3D 모델(3)에,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해소용 조건인 치수치(3d)가 부가된다. 이 때에 치수치(3d)로 해소용 부분인 절결부의 하연(3c)의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결부의 하연(3c)의 표면 부분)가, 오류 조건(절곡 각도(3a)) 및 오류 부분(절곡부(3b))과는 다른 색으로 강조 표시된다.
또한, 3D 모델에, 치수치(3d)를 크게 하여 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3c)의 위치를 높게 한 경우의 형상(즉, 해소용 부분으로 변경을 행한 상태의 형상)인 가상 형상(3e), 및 거기에 대응하는 가상 치수(3f)가 투과 가능한 상태(즉, 변경전의 3D 모델(3)과는 다른 형식)로 중첩하도록 부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추천 윈도우(5)는, 표시부(1b)의 좌상에 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해소 수단의 표시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추천 윈도우(5)의 형상을 오류 부분인 절곡부(3b)로부터 퍼지는 취출(吹出)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추천 윈도우(5)를 중앙에 표시함과 아울러, 추천 윈도우(5) 이외의 부분을 그레이 아웃(gray out)하도록 해도 좋다.
이 STEP11, STEP12의 처리가, 본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가 오류의 해소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때에 행하는 처리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2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우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정 조건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그 후, 지정 조건, 및 부분의 형상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 조건이 선택가능 조건에 포함되게 되는 부분을 인식한다.
그리고, 또한 그 후,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있어서,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그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추천 윈도우(5)에, 해소 수단을 표시하고 있다. 즉, 이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시키는 수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때에 표시부(1b)에 있어서,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해소용 부분을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강조 표시하고 있다. 즉, 이 설계지원 시스템 S에서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시키는 수단을 시각을 통해서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설계지원 시스템 S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아도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를 인식할 수가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상, 도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STEP12에서,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표시되어 있는 3D 모델에, 가상 형상(3e), 및 거기에 대응하는 가상 치수(3f)가 투과 가능한 상태로 중첩하도록 부가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그 오류를 해소시킨 후의 형상을 시각을 통해서 직감적으로 인식시켜 설계 변경의 전후 상태를 비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계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변경전의 형상과 변경후의 형상을 중첩 표시시키지 않고, 변경후의 형상만을 나타내도 좋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지시될 때까지는 변경후의 형상을 표시하지 않게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2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는, 오류 부분이 수정되도록 아이템의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33)(도 11)을 작성하는 수정부(2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계지원 시스템 S는,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53)(도 13) 및 해석 화상(54)(도 14)을 생성하는 해석부(2i)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나타내고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도 7은,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당해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지원 시스템 S에,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서버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설계지원 시스템 S는, 일례로서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설계지원 시스템 S는, 서버(2)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클라이언트로서의 사용자측 단말(1)을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서, 서버(2)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과, 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록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제어 프로그램 및 설계지원 프로그램을 기록한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기록 유닛을 가지고 있다. 이 제어 유닛은, 미도시의 버스를 통해 각 유닛과 접속되어 있어, 기록 유닛에 기록된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서버(2) 전체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서버(2)는, 사용자측 단말(1)과 통신하는 미도시의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가지고 있다.
기록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설계지원 프로그램은, 서버(2)를 각 논리적 기능부로서 기능시킨다. 구체적으로 설계지원 프로그램은,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 아이템 인식부(2b),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 지정 조건 인식부(2d), 오류 조건 인식부(2e), 해소용 조건 인식부(2f)(해소용 부분 인식부), 표시 내용 결정부(2g), 수정부(2h), 및 해석부(2i)로서 서버(2)를 기능시킨다.
사용자측 단말(1)은, 예를 들면 데스크탑형의 PC(Personal Computer)이다. 대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1)은, 테블릿형의 PC, 랩탑형(laptop type)의 PC, 스마트폰(smart phone), 피처폰(feature phone), 또는 휴대전화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측 단말(1)이 거치형의 PC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사용자측 단말(1)은, CPU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RAM 및 ROM를 포함하는 기록부와, 입력부(1a)로서 기능하는 마우스 및 키보드와, 표시부(1b)로서 기능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1)은, 입력부(1a) 및 표시부(1b)로서 기능하는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사용자측 단말(1)은, 서버(2)와 통신하는 미도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a)를 통해 형상 데이터(예를 들면, CAD 데이터)를 입력하면, 아이템 인식부(2b)는, 당해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을 인식한다. 그리고,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는, 인식된 아이템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응하는 선택가능 조건으로서 각 부분의 제조 조건을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2a)로부터 취득한다. 또, 지정 조건 인식부(2d)는, 인식된 아이템의 각 부분에 대해,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제조 조건을 지정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지정 조건은, 아이템의 각 부분과 관련지어져 서버(2)의 기억 유닛에 기억된다.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인식된 지정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서버(2)의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을 참조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오류 부분에 대응하는 지정 조건을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일례로서,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취득된 선택가능 조건과 아이템의 각 부분의 지정 조건을 비교한다. 지정 조건이 선택가능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이 오류 판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을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또한,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오류 조건이 인식된 부분을, 오류 부분으로서 인식해도 좋다.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인식된 오류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해소용 조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서버(2)의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을 참조한다. 그리고,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취득된 선택가능 조건과 오류 조건을 비교한다. 오류 조건이 선택가능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경 가능한 경우,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당해 오류 조건이 오류 해소 기준을 채운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당해 오류 조건을 해소용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또,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오류 해소 기준을 참조하여 지정 조건 중에서, 오류 조건이 선택가능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경 가능한 지정 조건을 인식해도 좋다. 이 경우,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오류 조건과는 다른 지정 조건을, 해소용 조건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해소용 조건이 인식된 부분을, 해소용 부분으로서 인식해도 좋다.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아이템 인식부(2b)가 인식한 아이템의 모델을 작성하여,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보낸다. 그리고, 모델을 취득한 표시부(1b)는, 아이템의 각 부분마다 선택가능하게 표시한다(도 3). 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가 취득한 선택가능 조건을 표시부(1b)에 보내도 좋다. 또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가 인식한 해소용 조건 및 해소용 부분을 표시부(1b)에 보내도 좋다.
[수정부]
오류 조건이 인식된 경우에, 아이템의 모델을 변경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서버(2)는, 오류 부분이 수정되도록 아이템의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33)(도 11)을 작성하는 수정부(2h)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정부(2h)는, 사용자가 모델의 수정을 선택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모델을 수정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수정부(2h)에 의한 수정 모델(33)의 작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지정 조건 인식부(2d)가 인식한 지정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아이템의 모델에 대해 지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 당해 지정 조건이 오류 판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을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도 8의 예에서는, 아이템 인식부(2b)가 작성한 아이템의 3D 모델(23)이, 화면 좌측에 표시되어 있다. 이 3D 모델(23)은, 단면 대략 L자 모양의 아이템이다. 또,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가 취득한 아이템의 각 부분의 선택가능 조건이, 화면 우측의 제조 조건 트리(24)에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트리 뷰 태그(tree view tag)를 선택한 상태로, 제조 조건 트리(24)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3D 모델(23) 및 선택가능 조건은, 표시 내용 결정부(2g)가 표시부(1b)에 보내어 표시시키고 있다.
제조 조건 트리(24)에 있어서는, 아이템의 지정 조건으로서 판두께 3㎜가 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정 조건 인식부(2d)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정 조건으로서 판두께 3㎜를 인식한다. 한편, 3D 모델(23)은, 원으로 둘러싼 영역에 뾰족한 모서리부(23b)(이른바 핀(pin)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이 모서리부(23b)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듯이, 판두께가 4.24㎜이며, 3㎜를 넘고 있다. 즉, 모서리부(23b)의 외면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부(23b)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판두께가 오류 조건으로 되어, 모서리부(23b)가 오류 부분으로 된다.
그 때문에,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모서리부(23b)에 대응하는 지정 조건이, 오류 판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즉,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3D 모델(23)에 있어서 지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인 판두께를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또,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모서리부(23b)를 오류 부분으로서 인식한다.
다음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오류 조건 인식부(2e)로부터 오류 조건과 오류 부분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표시부(1b)에, 오류 조건과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b)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오류 조건의 강조 표시로서 메세지(24a)(「판두께가 규격외입니다」의 문자열)를 다른 것과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b)는, 3D 모델(23)의 각 부분 중, 오류 부분(모서리부(23b))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제조 조건 트리(24) 중에서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판두께」의 문자열)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해도 좋다.
또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로부터 해소용 조건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표시부(1b)에, 해소용 조건을 강조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b)는, 도 8에 나타내듯이, 해소용 조건의 강조 표시로서 메세지(24b)(「모델을 수정한다」의 문자열)를 다른 것과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즉, 지정 조건 중, 모델의 형상 조건이 오류 조건이며, 또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기 때문에, 당해 형상 조건을 수정할 수 있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다른 메세지(예를 들면 「모델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의 문자열)를 표시해도 좋다.
도 8의 예에서는, 메세지(24b)가 제조 조건 트리(24)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메세지(24b)를 클릭(click)하여 선택할 수 있다. 메세지(24b)가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도 10에 나타내는 팝업(pop-up) 화면(25)을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b)는, 3D 모델(23)이 표시된 화면에 중첩하도록 팝업(pop-up) 화면(25)을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팝업(pop-up) 화면(25)이 취출 형상을 가지도록 표시해도 좋다. 또, 표시부(1b)는, 팝업(pop-up) 화면(25) 이외의 부분을 그레이 아웃(gray out)하도록 표시해도 좋다.
팝업(pop-up) 화면(25) 내에는, 소정의 메세지(「수정한 모델로 신규 프로젝트를 작성합니다」)와, 수정 버튼(25a)과, 무수정 버튼(25b)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수정 버튼(25a) 또는 무수정 버튼(25b)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수정 버튼(25a)이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정부(2h)는, 오류 부분이 수정되도록 아이템의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33)을 작성한다. 그리고, 수정부(2h)는 수정 모델(33)을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보내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수정 모델(33)을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도 11은 표시부(1b)가 수정 모델(33)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수정 모델(33)은, 원으로 둘러싼 영역에 굴곡한 모서리부(33b)를 가지고 있다. 이 모서리부(33b)는, 도 9B에 나타내듯이, 판두께가 3㎜이다. 즉, 모서리부(33b)의 외면이 아르(R)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서리부(33b)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는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과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류가 해소되기 때문에, 모서리부(33b)는 강조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무수정 버튼(25b)이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정부(2h)는 수정 모델(33)을 작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팝업(pop-up) 화면(25)을 닫고서 표시부(1b)에 전의 화면을 표시시킨다.
일례로서, 수정부(2h)는, 수정 모델(33)을 이하와 같이 작성한다. 수정부(2h)는, 미도시의 데이터 변환 모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정부(2h)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로부터,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지정 조건인 형상 조건을 해소용 조건으로서 취득한다. 또한, 수정부(2h)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로부터, 해소용 부분에 오류가 해소되도록 변경을 행한 상태의 형상인 가상 형상을 취득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수정부(2h)는, 모서리부(33b)의 만곡한 외면 형상을 가상 형상으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수정부(2h)는, 데이터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도 9B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모서리부(23b)를 삭제함과 아울러, 새롭게 만곡한 모서리부(33b)를 추가하여, 수정 모델(33)을 작성한다. 그 후, 수정부(2h)는, 소정의 파일명을 붙인 수정 모델(33)을 업로드(up-load) 하여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보낸다.
대체적으로, 수정부(2h)는, 3D 모델(23)을 수정 모델(33)에 의해 덧쓰기 해도 좋다. 다만, 3D 모델(23)을 남겨 둠으로써, 사용자가 수정전의 3D 모델(23)을 확인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복수의 해소용 조건을 인식해도 좋다. 이 경우,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는, 복수의 해소용 조건을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보낸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복수의 해소용 조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수정 모델(33)이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아이템을 주문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듯이, 사용자가 기본 정보 태그를 선택하면, 표시부(1b)는 화면 우측에 주문 화면(26)을 표시한다. 이 주문 화면(26)에서는, 주문하는 아이템의 수량, 재질, 및 표면 처리의 유무 등의 주문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문 화면(26)에는, 사용자가 그 외의 주문 지시를 입력하는 명령란(command column)이 설치되어 있다. 또, 주문 화면(26)의 하부에는, 주문 버튼(26a)(「주문으로 진행한다」의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이 주문 버튼(26a)이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주문용 화면을 팝업(pop-up)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당해 주문용 화면으로부터 공급자(supplier)에 아이템을 주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수정부(2h)를 구비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S에 의하면, 수정부(2h)가 작성한 수정 모델(33)이 표시부(1b)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오류가 해소된 수정 모델(33)을 시인할 수가 있다고 하는 기술적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오류의 수정 조작을 생략하여, 수정 모델(33)을 자동적으로 표시부(1b)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아도 오류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수정부(2h)는, 도 6에 나타난 3D 모델(3)의 수정 모델을 작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정부(2h)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2f)로부터, 해소용 조건으로서 치수치(3d)를 취득하고, 가상 형상(3e)을 취득한다. 그리고, 수정부(2h)는, 데이터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도 6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가상 형상(3e)을 3D 모델(3)에 추가하여, 수정 모델을 작성한다. 이어서, 수정부(2h)는, 소정의 파일명을 붙인 수정 모델을 업로드(up-load) 하여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보낸다. 그 후,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수정 모델을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해석부]
휨가공 등의 가공을 행하는 제조시에, 가공 장치의 금형 등과 아이템이 간섭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는, 아이템의 간섭 부분에 대응하는 지정 조건이 오류 조건으로 된다. 그 때문에, 서버(2)는, 사용자가 오류의 해소 방법을 검토할 수 있도록 오류를 해석하여,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53)(도 13), 및 해석 화상(54)(도 14)을 생성하는 해석부(2i)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해석부(2i)에 의한 해석 화상(53), 및 해석 화상(54)의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지정 조건 인식부(2d)가 인식한 지정 조건과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오류 조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지정 조건으로서 인식된 제조 조건에 의해 아이템을 제조할 수 없는 경우에, 당해 지정 조건이 오류 판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을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미도시의 가공 조건 데이타베이스(database)로부터 취득한 가공 조건과 지정 조건을 비교하여, 지정 조건이 가공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공 조건으로서는, 가공 가능 형상, 가공 방법, 가공 금액, 가공 납기, 가공 장치의 사이즈, 및 금형 사이즈등의 조건이 아이템마다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정 조건으로서 금형 사이즈를 넘는 크기의 치수가 지정된 경우,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치수를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아이템 인식부(2b)가 작성한 아이템의 3D 모델(43)이, 화면 좌측에 표시되어 있다. 이 3D 모델(43)은, 단면 대략 U자 모양의 아이템이다. 또,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2c)가 취득한 아이템의 각 부분의 선택가능 조건이, 화면 우측의 제조 조건 트리(24)에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트리 뷰 태그(tree view tag)를 선택한 상태로, 제조 조건 트리(24)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3D 모델(43) 및 선택가능 조건은, 표시 내용 결정부(2g)가 표시부(1b)에 보내어 표시시키고 있다.
제조 조건 트리(tree)(24)에 있어서는, 아이템의 지정 조건으로서 판두께 1㎜와, X방향 치수 470㎜와, Y방향 치수 135㎜와, Z방향 치수 72㎜가 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정 조건 인식부(2d)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정 조건으로서 각 치수를 인식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판금을 휨가공하여 단면 대략 U자 모양의 아이템을 제조하는 경우, 가공 장치와 아이템의 일부가 간섭해 버려 아이템을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아이템의 경우, 판금에 2회의 휨가공을 하여 아이템이 제조된다. 그리고, 도 13의 해석 화면(27)에 나타내듯이, 2회째의 휨가공시에, 가공 장치(53c) 상에 재치된 아이템의 채널부(53a)(절곡 부분의 일방)가, 금형(53b)과 간섭하여 절곡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채널부(53a)에 대응하여 인식된 지정 조건인 Y방향 치수가, 오류 판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지정 조건인 Y방향 치수를 오류 조건으로서 인식한다. 또, 오류 조건 인식부(2e)는, 당해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채널부(53a)를 오류 부분으로서 인식한다.
다음에, 해석부(2i)는, 오류 조건 인식부(2e)로부터 오류 조건과 오류 부분을 취득한다. 그리고, 미도시의 해석 모듈을 이용하여 아이템이 간섭하는 경위를 해석하고, 간섭하고 있는 상태(오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53), 및 해석 화상(54)(도 14)을 생성한다. 해석 화상(53)은, 오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 해석 화상(54)은, 오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그리고, 해석부(2i)는,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메세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지령을 송신한다. 다만, 해석 화상은, 오류 발생 상태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도면이면, 상면도, 저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분해도 등이라도 좋다.
지령을 받은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표시부(1b)에 메세지(24c)(「휨가공시에 간섭합니다」의 문자열)를 화면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메세지(24d)(「간섭을 확인한다」의 문자열)를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도 12의 예에서는, 메세지(24d)가 제조 조건 트리(24)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메세지(24d)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해석부(2i)는, 메세지(24d)가 선택된 후에 해석 화상(53, 54)을 생성해도 좋다.
메세지(24d)가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도 13에 나타내는 해석 화상(53)을 표시하는 해석 화면(27)을 표시부(1b)에 표시시킨다. 해석 화면(27)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오류 조건 인식부(2e)로부터 오류 조건과 오류 부분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부(1b)는, 표시 내용 결정부(2g)로부터 해석 화상(53)을 취득한다. 또한, 표시부(1b)는, 3D 모델(43)이 표시된 화면에 중첩하도록 해석 화면(27)을 팝업(pop-up)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해석 화면(27)이 취출(吹出) 형상을 가지도록 표시해도 좋다. 또, 표시부(1b)는, 해석 화면(27) 이외의 부분을 그레이 아웃(gray out)하도록 표시해도 좋다.
해석 화면(27)에 있어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표시부(1b)에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b)는, 해석 화상(53)의 각 부분 중, 오류 부분(채널부(53a))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 트리(24) 중에서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Y 135㎜」의 문자열)을 강조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오류의 원인으로 되는 금형(53b)을 표시부(1b)에 강조 표시시킨다. 또, 해석 화면(27) 내에는, 소정의 메세지(「채널부가 금형에 간섭합니다」)와, 도 14에 나타내는 검토 화면(28)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버튼(27a, 27b)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표시 버튼(27a, 27b)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표시 버튼(27a)이 클릭되면, 표시부(1b)는, 도 14에 나타내는 해석 화상(54)을 표시하는 검토 화면(28)을 표시한다. 검토 화면(28)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오류 조건 인식부(2e)로부터 오류 조건과 오류 부분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부(1b)는, 표시 내용 결정부(2g)로부터 해석 화상(54)을 취득한다. 한편, 표시 버튼(27b)이 클릭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1b)는, 미도시의 휨가공전의 해석 화상을 표시하는 검토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b)는, 3D 모델(43)이 표시된 화면 및 해석 화면(27)에 중첩하도록 검토 화면(28)을 팝업(pop-up)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표시부(1b)는, 검토 화면(28)이 취출 형상을 가지도록 표시해도 좋다. 또, 표시부(1b)는, 검토 화면(28) 이외의 부분을 그레이 아웃(gray out)하도록 표시해도 좋다.
도 14의 검토 화면(28)에 나타내듯이, 가공 장치(54c) 상에 재치된 아이템의 채널부(54a)는, 금형(54b)과 간섭하고 있다. 그래서, 검토 화면(28)에 있어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표시부(1b)에 오류 부분 및 오류 조건을 강조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b)는, 해석 화상(54)의 각 부분 중, 오류 부분(채널부(54a))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b)는, Y방향 치수가 오류 조건인 것을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해서, 채널부(54a)에 대해 간섭하고 있는 길이를 나타내는 화살표(54e)를 표시한다. 즉, 해석 화상(54)이 나타내는 아이템에 있어서는, 휨가공 중에 금형(54b)과 간섭하는 것이 오류로 된다. 이것은, 채널부(54a)의 Y방향 치수가 너무 긴 것이 원인이다. 그 때문에, 채널부(54a)의 Y방향 치수를 짧게 함으로써, 이 오류는 해소된다. 그래서, 오류 조건인 것을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해서, 표시부(1b)가 간섭하고 있는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시부(1b)는, 변경을 행함으로써 오류가 해소되는 해소용 조건으로서 채널부(54a)의 Y방향 치수를 나타내는 치수치를 더 표시해도 좋다.
또, 표시부(1b)는, Y방향 치수를 짧게 한 경우의 형상(즉, 오류 부분으로 변경을 행한 상태의 형상)인 가상 형상(54f)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b)는, 사용자에게 오류의 해소 수단을 표시하기 위해서 가상 형상(54f)을 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가상 형상(54f)보다 Y방향 치수를 짧게 함으로써,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오류를 해석 화면(27)에 있어서 확인한 후에 이어서, 검토 화면(28)에 있어서 아이템의 설계 변경을 검토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b)는, 가상 형상(54f)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치를 더 표시해도 좋다. 또한, 검토 화면(28)의 하부에는, 다른 검토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버튼(28a, 28b)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측 단말(1)의 입력부(1a)를 통해 표시 버튼(28a, 28b)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검토 화면(28)은, 사용자가 수정 모델을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일례로서,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화살표(54e) 또는 가상 형상(54f)의 사이즈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부(1b)에 가변으로 표시시켜도 좋다. 사용자는, 입력부(1a)를 통해 화살표(54e) 또는 가상 형상(54f)을 선택하여,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채널부(54a)의 길이는, 마우스에 의한 조작, 또는 치수치의 입력 등에 의해 변경된다. 변경후, 사용자측 단말(1)의 제어부는, 길이의 변경을 반영시킨 수정 모델을 작성한다. 수정 모델이 작성되면, 아이템 인식부(2b)는, 당해 수정 모델의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을 인식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결정부(2g)는, 아이템 인식부(2b)가 인식한 아이템의 모델을 작성하여, 사용자측 단말(1)의 표시부(1b)에 보낸다.
대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1)의 제어부는, 소정의 파일명이 붙여진 수정 모델을 업로드(up-load) 하여도 좋다. 또, 수정 모델이 표시된 화면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사용자가 아이템을 주문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해석부(2i)를 구비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S에 의하면, 해석부(2i)가 작성한 해석 화상(53, 54)이 표시부(1b)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오류 발생 상태를 시인할 수가 있다고 하는 기술적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검토 화면(28)을 표시함으로써, 오류 발생 상태의 확인에 이어서, 오류의 수정을 검토할 수 있다. 또, 검토 화면(28)에 오류의 해소 수단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아도 오류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해석부(2i)는, 도 6에 나타난 3D 모델(3)의 해석 화상을 작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석부(2i)는, 절곡부(3b)가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을 작성한다. 이어서, 해석부(2i)는, 표시 내용 결정부(2g)에 메세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지령을 송신한다. 그 후, 표시부(1b)에 메세지(24c)(예를 들면 「휨가공시에 변형합니다」의 문자열)를 화면에 표시시킨다.
이상,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된 발명, 및 본 발명과 균등인 발명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 형태는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할 수가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도 기재될 수 있지만 이하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 지정된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에서,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을 작성하는 수정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정 모델을 표시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부기 2>
설계 대상으로 되는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 지정된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에서,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을 생성하는 해석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강조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석 화상을 표시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이 출원은 2018년 2월 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8-018337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한다.
1 : 사용자측 단말
1a : 입력부 1b : 표시부
2 : 서버(server)
2a : 선택가능 조건 격납부 2b : 아이템(item) 인식부
2c : 선택가능 조건 취득부 2d : 지정 조건 인식부
2e : 오류(error) 조건 인식부
2f : 해소용 조건 인식부(해소용 부분 인식부)
2g : 표시 내용 결정부 2h : 수정부
2i : 해석부
3 : 3D 모델
3a : 절곡 각도 3b : 절곡부
3c : 절결부(notch part)의 하연(下緣)
3d : 치수치
3e : 가상 형상 3f : 가상 치수
4 : 제조 조건 트리(tree)
5 : 추천(recommend) 윈도우(window)
S : 설계지원 시스템

Claims (13)

  1.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당해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지원 시스템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에서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며,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하기 전의 상태와, 당해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한 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중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변경한 수정 모델을 작성하는 수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수정 모델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해석 화상을 생성하는 해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석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지원 시스템.
  7.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시스템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부와,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부와,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부와,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지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지원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내용 결정부는, 상기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하기 전의 상태와, 해당 해소용 부분의 상기 변경을 행한 이후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중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지원 시스템.
  10. 컴퓨터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지원 방법.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설계 지원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지원 방법.
  12. 컴퓨터로 읽어내어 실행 가능하고,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의 상기 모델을, 각 부분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델 중의 상기 오류 부분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3. 컴퓨터로 읽어내어 실행 가능하고, 아이템의 모델을 참조하면서 해당 아이템의 설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로, 설계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제조 조건인 지정 조건을 인식하는 지정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지정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조건 중 상기 아이템의 제조시에 오류가 생겨 버리는 부분, 및 상기 오류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조건인 오류 조건을 인식하는 오류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오류 조건 및 미리 규정되어 있는 오류 해소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을 행함으로써 상기 오류가 해소되는 상기 지정 조건인 해소용 조건을 인식하는 해소용 조건 인식 공정과,
    상기 아이템의 모델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 결정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인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해소용 조건, 및 상기 해소용 조건에 대응하는 부분인 해소용 부분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해소용 부분은,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고,
    상기 표시 내용 결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오류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해소용 부분을 상기 오류 부분과는 다른 형식으로 상기 표시부에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207021792A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KR10242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3167A KR102425638B1 (ko)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8337 2018-02-05
JP2018018337 2018-02-05
PCT/JP2019/003874 WO2019151519A1 (ja) 2018-02-05 2019-02-04 設計支援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167A Division KR102425638B1 (ko)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04A KR20200099604A (ko) 2020-08-24
KR102421485B1 true KR102421485B1 (ko) 2022-07-14

Family

ID=674788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167A KR102425638B1 (ko)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KR1020207021792A KR102421485B1 (ko)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167A KR102425638B1 (ko) 2018-02-05 2019-02-04 설계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35938B2 (ko)
EP (2) EP3751436B1 (ko)
JP (2) JP6959998B2 (ko)
KR (2) KR102425638B1 (ko)
CN (2) CN118350140A (ko)
WO (1) WO2019151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192B2 (en) * 2019-12-19 2021-09-21 X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anufacturability of three-dimensional designs
US11526152B2 (en) 2019-12-19 2022-12-13 X Development Llc Techniques for determining fabricability of designs by searching for forbidden patterns
JP7400702B2 (ja) * 2020-11-20 2023-1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3次元形状設計システム及び3次元形状設計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508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Ltd 設計支援装置
JP2012003426A (ja) * 2010-06-15 2012-01-05 Toshiba Corp 設計支援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
JP2013196406A (ja) * 2012-03-21 2013-09-30 Toyota Motor East Japan Inc 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614B2 (ja) 1993-11-26 2000-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設計方法および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0122894A (ja) * 1998-10-20 2000-04-2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エラー対処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483093B2 (ja) * 2001-01-26 2010-06-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商品デザイン設計装置
US7624002B2 (en) * 2004-09-07 2009-11-24 Siemens Ener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scaled, three-dimensional model of hydraulic system to perform calculations
JP2007087212A (ja) * 2005-09-22 2007-04-05 Amada Co Ltd 加工チェ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231093B2 (ja) 2008-04-04 2009-02-25 株式会社インクス 製品設計支援装置、製品設計支援システム、及び、製品設計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927155B2 (ja) * 2009-11-12 2012-05-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49855A (ja) * 2010-08-27 2012-03-0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003124B2 (ja) * 2012-03-15 2016-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認証装置、認証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29621B2 (en) * 2012-05-22 2016-01-05 Paletteapp, Inc. Electronic palette system
JP6581565B2 (ja) 2013-03-15 2019-09-25 ブッシェル ストップ、インク. 物の設計方法及びシステム
JP6184361B2 (ja) * 2014-03-26 2017-08-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US10437938B2 (en) 2015-02-25 2019-10-08 Onshape Inc. Multi-user cloud parametric feature-based 3D CAD system
KR20170127541A (ko) * 2015-03-27 2017-11-21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제품 치환 지원 시스템
JP6256544B1 (ja) 2016-07-28 2018-01-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サーバ、更新管理プログラム、更新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508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Ltd 設計支援装置
JP2012003426A (ja) * 2010-06-15 2012-01-05 Toshiba Corp 設計支援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
JP2013196406A (ja) * 2012-03-21 2013-09-30 Toyota Motor East Japan Inc 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638B1 (ko) 2022-07-27
JPWO2019151519A1 (ja) 2021-01-07
EP3751436A1 (en) 2020-12-16
WO2019151519A1 (ja) 2019-08-08
EP3751436B1 (en) 2023-11-01
CN111684452A (zh) 2020-09-18
KR20200099604A (ko) 2020-08-24
CN118350140A (zh) 2024-07-16
JP7242801B2 (ja) 2023-03-20
US20240027994A1 (en) 2024-01-25
EP4261731A2 (en) 2023-10-18
US20200371493A1 (en) 2020-11-26
CN111684452B (zh) 2024-04-16
KR20220100109A (ko) 2022-07-14
EP4261731A3 (en) 2024-01-03
JP6959998B2 (ja) 2021-11-05
EP3751436A4 (en) 2021-10-20
US11835938B2 (en) 2023-12-05
JP2022003583A (ja)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410B2 (en) Viewing file modifications
JP7242801B2 (ja) 設計支援システム、設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20461B2 (en) Document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20130231973A1 (en) Business analysis design support device, business analysis design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business analysis design support program
WO202207035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U2020200228B2 (en) Document changes
US103463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computer-aided design data
JP6235744B1 (ja) 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システム
JP7075689B1 (ja) 変更履歴統合プログラム、及び変更履歴統合システム
US111202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AU2023201508A1 (en) Document changes
KR20230085733A (ko) 서식에 따라 자동 완성 문서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4950555B2 (ja) マルチ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構成するマルチ情報表示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