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462B1 - Multipurpose Fire Pot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Fire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462B1
KR102415462B1 KR1020210032732A KR20210032732A KR102415462B1 KR 102415462 B1 KR102415462 B1 KR 102415462B1 KR 1020210032732 A KR1020210032732 A KR 1020210032732A KR 20210032732 A KR20210032732 A KR 20210032732A KR 102415462 B1 KR102415462 B1 KR 10241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skewer
segment
combustion
fire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상길
Original Assignee
장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길 filed Critical 장상길
Priority to KR102021003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4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4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Abstract

본 발명은 땔감의 연소를 위한 다목적 화덕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210) 및 저판(211)에 의하여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100); 및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을 제1 연소실(251)과 제2 연소실(252)로 구획하는 메시형 격벽(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소실(252)은 상기 연소실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소실(251)은 상기 제2 연소실(25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소실(251)에 채워진 땔감(F)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기가 상기 메시형 격벽(400)을 거쳐 상기 제2 연소실(252)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urnace for burning firewood, comprising: a body 200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by a side plate 210 and a bottom plate 211; a cover part 100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a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into a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where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Locatio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so that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irewood F fill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via 400).

Description

다목적 화덕 {Multipurpose Fire Pot} Multipurpose Fire Pot

본 발명은 다목적 화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도 꼬치에 끼워진 식재료를 모든 방향에서 고르게 익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조리용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화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ire p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fire pit that can cook ingredients placed on a skewer evenly in all directions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as well as use cooking containers of various specifications.

캠핑/글램핑 등의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이동식 화덕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화덕은 화덕 몸체 내에 숯, 석탄, 목재 등과 같은 땔감을 넣고 연소시키고, 구이용 그릴 또는 꼬치를 그 위에 얹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그릴에 얹어지거나 꼬치에 꽂힌 식재료의 일면만 화염에 닿기 때문에, 식재료를 고르게 익히기 위해서는 식재료를 주기적으로 뒤집어주거나, 꼬치를 회전시켜주어야 한다. As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glamping increase, the demand for portable fire pits is also increasing. A conventional furnace is used in a way that firewood such as charcoal, coal, wood, etc. is put in a furnace body and burned, and a grill or a skewer is placed on it. In this case, only one side of the ingredients placed on the grill or skewered is in contact with the flame, so to cook the ingredients evenly, you need to turn the ingredients over or rotate the skewers periodically.

특히 꼬치에 꽂힌 식재료를 고르게 익히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꼬치를 자동으로 회전시켜주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장치는 꼬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 장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 필요하므로, 캠핑장 등과 같은 야외에서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evenly cook the ingredients put on the skewer, a device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skewer as shown in FIG. 13 has been proposed. However, since these devices require a mechanical device for rotating the skewer and power for driving the same, it is difficult to use them outdoors, such as at a camping site.

특허등록공고 제10-0732337호 (공고일: 2007.06.25.)Patent Registration Announcement No. 10-0732337 (Announcement Date: 2007.06.2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645호 (공고일: 2007.12.18.)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37645 (Announcement date: 2007.12.18.) 등록특허공보 제10-1244100호 (공고일: 2013.03.1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44100 (Announcement date: 2013.03.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꼬치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꼬치에 꿰여진 고기를 고르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조리용 용기를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화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fire pit that can cook meat on a skewer evenly even without rotating the skewer, and can use cooking containers of various specifications do it with

본 발명은 땔감의 연소를 위한 다목적 화덕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210) 및 저판(211)에 의하여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100); 및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을 제1 연소실(251)과 제2 연소실(252)로 구획하는 메시형 격벽(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소실(252)은 상기 연소실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소실(251)은 상기 제2 연소실(25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소실(251)에 채워진 땔감(F)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기가 상기 메시형 격벽(400)을 거쳐 상기 제2 연소실(252)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urnace for burning firewood, comprising: a body 200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by a side plate 210 and a bottom plate 211; a cover part 100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a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into a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where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Locatio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so that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irewood F fill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via 400).

상기 제2 연소실(252)에는 구이용 재료(M)가 꽂힌 꼬치(50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거치되고, 상기 제1 연소실(251)에 채워진 땔감(F)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기는, 상기 제1 연소실(251)이 상기 제2 연소실(25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꼬치(500)를 향하여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a skewer 500 with a roasting material M inserted therein is mounted to be longitudinally disposed, and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irewood F fill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 because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livered from severa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oward the skewer 500.

그리고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세그먼트(110)는 상기 꼬치(500)를 걸어서 거치할 수 있는 꼬치 걸이부(112); 및 상기 꼬치 걸이부(112)에 일단이 고정되되,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지지로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ver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concentrically divi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200, and the first segment 11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is the A skewer hook 112 that can be mounted on a skewer 500 by walking;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13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kewer hook 112 and the other end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200 .

더 나아가, 상기 커버부(100)는, 중앙에 상기 제1 세그먼트(11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환형의 제2 세그먼트(120); 및 중앙에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3 세그먼트(130)를 포함하되, 꼬치구이를 할 때에는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들어올린 상태로 상기 꼬치(500)를 상기 꼬치 걸이부(112)에 거치하고, 다시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cover part 100 may include an annular second segment 120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first segment 110 can be mounted; and a third segment 13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egment 120 can be mounted in the center, but when skewering is performed, the second segment 120 is lifted while the skewer 500 is is mounted on the skewer hook 112 and again covers the second segment 120 .

상기 꼬치 걸이부(112)의 주변에서는 소정 간격으로 꼬치 걸이용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꼬치(500)는 구이용 재료(M)를 꽂을 수 있는 스틱(530); 상기 스틱(530)의 일단에 형성된 꼬치 손잡이(510); 및 상기 스틱(530)과 상기 꼬치 손잡이(510) 사이에 형성된 꼬치 걸림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꼬치(500)는, 상기 스틱(530)이 상기 꼬치 걸이용 홈(11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꼬치 걸림부(520)가 상기 꼬치 걸이부(112)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꼬치(50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거치될 수 있다. In the periphery of the skewer part 112, a skewer groove 111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kewer 500 includes a stick 530 capable of inserting a roasting material (M); a skewer handle 510 formed on one end of the stick 530; and a skewer hooking part 520 formed between the stick 530 and the skewer handle 510, wherein the skewer 5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tick 530 is inserted into the skewer hook 111. As the skewer hooking part 52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kewer hooking part 112, the skewer 500 may be mounted so as to be longitudinally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커버부(100)의 제2 세그먼트(120) 또는 제3 세그먼트(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에 조리용 용기(P)거치하고, 상기 제2 연소실(252)에 땔감(F)을 채우고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oking container (P) is mounted in a through-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egment (120) or the third segment (130) of the cover part (100), and the firewood (F) is filled 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t is characterized by burning.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덕은 상기 몸체부(200)와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분리형 연소 모듈(270)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연소 모듈은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 모듈 몸체(272); 및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의 상단에 부착된 연소 모듈 손잡이(271)을 포함하며, 상기 메시형 격벽(400)은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 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연소실(251) 및 상기 제2 연소실(252)은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nally, the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e combustion module 270 formed to be separable from the body 200, wherein the separate combustion module includes a combustion module body 272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and a combustion module handle 271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wherein the mesh-like bulkhead 400 is formed in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whereb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화덕에서는 꼬치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거치되되, 숯, 석탁 또는 가스 등의 땔감이 연소되는 영역이 꼬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꼬치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꼬치에 꽂힌 식자재가 고르게 익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다양한 규격의 조리용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부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기구 없이도 다양한 방식의 조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분리형 연소 모듈을 채용함으로써, 땔감의 공급 및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e multi-purpos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wers are moun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since the area where firewood such as charcoal, stone table, or gas is burned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skewers, the ingredients on the skewers can be cooked evenly even without rotating the skewers. be able to Furthermore, since the cover part is formed to accommodate cooking containers of various standards, cooking in various ways is possible without a separate appliance. And by adopting a separate combus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firewood and clean the in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화덕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몸체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세그먼트가 몸체부에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화덕을 이용하여 꼬치 구이를 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사용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사용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따른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the exterior of a multi-purpose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gment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4 and 5 show a state when skewering using a multi-purpos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the second and third modes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show the fourth and fifth usage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kew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화덕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화덕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측판(210) 및 저판(211)을 포함하는 몸체부(200)는, 상기 측판(210) 및 상기 저판(2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인 연소실을 형성하다. 측판(210)에는 연소실 도어(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도어(220)를 통하여 연소실 내로 땔감을 넣거나 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판(210)의 일부에 측면 통풍구(230)를 형성하여, 연소실 내로 외부 공기가 쉽게 유입되거나, 연소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실내 사용을 위해서는 연소실과 연결되는 연통을 형성할 수도 있다. 1 shows the exterior of a multi-purpose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200 including the side plate 210 and the bottom plate 211 forms a combustion chamber that is a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210 and the bottom plate 211 . A combustion chamber door 220 is formed on the side plate 210 , and firewood can be put into or remov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door 220 . Preferably, the side vent 230 is formed in a part of the side plate 210 so that external air can easily flow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he air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can flow out to the outsi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formed for indoor use.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커버부(10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몸체부(200)의 하부에는 받침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는데, 중심부로부터 시작해서 제1 세그먼트(110), 제2 세그먼트(120), 그리고 제3 세그먼트(130)로 지칭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나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cover part 1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200 , and the support part 3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0 . The cover part 1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referred to as a first segment 110 , a second segment 120 , and a third segment 130 starting from the center.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divided into three segments in the embodiment of FIG. 1, it will be possible to divide the number into more segments if necessary.

도 2는 몸체부(200)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을 도시한 것이다. 연소실은 메시형 격벽(400)에 의해서 제1 연소실(251)과 제2 연소실(252)로 구획될 수 있다. 메시형 격벽(400)은 숯, 석탄, 목재와 같은 땔감은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되, 화염과 고온가스와 같은 화기는 통과할 수 있도록 금속 메시 등으로 제조된 격벽이다. 숯, 석탄, 목재와 같은 형태의 땔감을 연소실에 공급하는 수도 있지만, 연소실에 전열선을 설치하거나, 연소용 가스를 땔감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2 illustrates a combustion chamber formed inside the body 200 .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by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 The mesh-type bulkhead 400 is a bulkhead made of metal mesh, etc. to prevent firewood such as charcoal, coal, and wood from moving physically, but to allow fires such as flames and high-temperature gas to pass therethrough. It is possible to supply firewood in the form of charcoal, coal, or wood to the combustion chamber,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heating wire in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supply combustion gas as firewood.

바람직하게는 제1 연소실(251)은 연소실의 주변부, 즉 몸체부(200)의 측판(210)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제2 연소실은 연소실의 중앙부, 즉 몸체부(200)의 측판(210)과는 제1 연소실(251)에 의하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제2 연소실(252)의 대부분의 공간은 측판(210)과 이격되어 있지만, 제2 연소실(252) 공간 중 일부는 연소실 도어(220)가 형성된 측판(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메시형 격벽(400)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소실(251) 및 제2 연소실(252)의 바닥면에서는 외부로부터 연소실 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바닥 통풍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combustion chamber, that is, in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plate 210 of the body part 200 ,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that is, the side plate 210 of the body part 200 . )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Basically, most of the space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210, but some of the space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a mesh-type bulkhea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210 in which the combustion chamber door 220 is formed. A shape of 400 can be made. Preferably,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 floor vent 240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도 3은 상단이 개방된 몸체부(200)에 제1 세그먼트(110)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세그먼트(110)는 중앙부의 꼬치 걸이부(112)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지지로드(113)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로드(113)의 타단은 몸체부(200)의 측판(210)에 형성된 삽입홈(260)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세그먼트(110)의 꼬치 걸이부(112)가 몸체부(200)의 중심축 부근에 위치할 수 있게끔, 동일한 길이의 지지로드(113)가 방사상으로 꼬치 걸이부(112)에 고정되고, 삽입홈(260)은 위 지지로드(1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꼬치 걸이부(112)에는 꼬치 걸이용 홈(11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서, 꼬치(500)를 수직으로 걸수 있게 된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gment 110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200 with an open upper end. The first segment 110 has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113 fixed around the skewer part 112 of the central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113 is a side plate ( It may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60 formed in the 210 . Preferably, the support rod 113 of the same length is radially connected to the skewer part 112 so that the skewer part 112 of the first segment 110 can be positioned near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200 . is fixed to, and the insertion groove 26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rod 113 above. And since a plurality of skewer hooking grooves 111 are formed in the skewer hook part 112 , the skewer 500 can be vertically hung.

도 4는 꼬치 걸이부(112)에 꼬치(500)가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꼬치(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꼬치 손잡이(510), 상기 꼬치 걸이부(112)에 걸수 있도록 구비된 꼬치 걸림부(520), 그리고 구이용 재료(M)를 꽂을 수 있는 스틱(530)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꼬치 걸림부(520)가 판상형으로 만들어지되, 꼬치 손잡이(510)와 스틱(530)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꼬치(500)가 수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 자체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꼬치 걸이부(112)에는 꼬치 걸이용 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는데, 꼬치 걸림부(520)가 상기 꼴치 걸이부(112)의 상면에 걸리도록 꼬치 걸이용 홈(111)에 꼬치(500)가 끼워지면, 복수 개의 꼬치들(500)이 수직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꼬치(500)의 스틱(530)에 끼워진 구이용 재료(M)는 제2 연소실(252)을 형성하는 공간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숯 등과 같은 땔감은 제1 연소실(251)에만 채워지고 제2 연소실(252)은 비어 있는 공간으로 남게 된다. 제1 연소실(251)에 채워진 땔감이 연소하게 되면, 화염과 열기는 메시형 격벽(400)을 통과하여 제2 연소실(252)을 형성하는 공간까지 전달되는데, 제2 연소실(252)을 형성하는 공간은 제1 연소실(251)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므로, 제2 연소실(251)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틱(530)에 꽂혀 있는 구이용 재료(M)에는 모든 방향에서 고르게 열기가 전달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꼬치(500)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스틱(530)에 끼워진 구이용 재료(M)는 고르게 익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소량의 땔감을 제2 연소실(252) 하단까지만 깔리도록 적재할 수도 있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kewer 500 is hung on the skewer hook 112 . The skewer 500 includes a skewer handle 510 that a user can hold by hand, a skewer hook 520 provided to be hung on the skewer hook 112, and a stick 530 for inserting a roasting material (M). ) is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skewer engaging part 520 is made in a plate shape, and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between the skewer handle 510 and the stick 530, but the skewer 500 is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If possible, the shape itself is not limited. A plurality of skewer hooking grooves 111 are formed in the skewer hook part 112, and a skewer 500 is provided in the skewer hook groove 111 so that the skewer hooking part 520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 skewer hook part 112. ) is inserted, the plurality of skewers 500 may be mounted in a vertical state. The roasting material M sandwiched in the stick 530 of the skewer 500 is positioned in the space form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nd firewood, such as charcoal, is filled only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left as an empty space. When the firewood fill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burned, the flame and heat pass through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and are transferred to the space form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which forms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Since the space is surrounded b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heat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roasting material M inserted in the stick 530 vertically arranged 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1 in all directions.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rotate the skewer 500, the roasting material M inserted into the stick 530 can be cooked evenly. Even in this case, if necessary, a small amount of firewood may be loaded so as to be spread only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도 5는 꼬치(500)를 이용하여 구이를 할 경우 커버부(1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부(100)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꼬치 구이를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커버부(100)를 덮은 상태에 꼬치 구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세그먼트(110)가 지지로드(113)에 의하여 몸체부(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세그먼트(110)의 주위를 둘러싼 환형의 제2 세그먼트(120), 그리고 제2 세그먼트(120)를 둘러싸되, 몸체부(200)까지 이어지는 상면을 덮는 제3 세그먼트(13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2 세그먼트(120) 및 제3 세그먼트(130)의 하단은 상기 지지로드(11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실제 조리 과정에서는, 제1 세그먼트(110), 제2 세그먼트(120), 그리고 제3 세그먼트(130)가 모두 사용되되, 제2 세그먼트(120)만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꼬치(500)를 꼬치 걸이부(112)에 건 다음 제2 세그먼트(120)를 다시 덮게되면, 조리 과정에서는 꼬치(500)의 꼬치 손잡이(510)만 커버부(100) 상면으로 노출될 뿐, 구이용 재료(M)는 연소실 내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부(200)에 별도의 연통을 연결하게 되면, 구이용 재료(M)의 가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기/냄새가 화덕 외측 공간으로는 배출되지 않고, 연통으로만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연기/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다. 5 shows the state of the cover part 100 when grilling using a skewer 500 . It is also possible to skewer the cover 100 while completely removing it, but in order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o skewer the meat while the cover 100 is cove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gment 110 is installed on the body 200 by the support rod 113 , the annular second segment 12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segment 110 , and the second segment 120 . A third segment 130 covering the upper surface extending to the body 200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can be supported In the actual cooking process, the first segment 110 , the second segment 120 , and the third segment 130 are all used, but in a state where only the second segment 120 is lifted, the skewer 500 is hung on a skewer When the second segment 120 is covered again after being hung on the part 112, only the skewer handle 510 of the skewer 500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00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the roasting material M is stored in the combustion chamber. will be located within When a separat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200, smoke/odor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process of the roasting material M is not discharged to the space outside the furnace, but can only escape through the communi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doors. It can reduce smoke/odor to the extent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메시형 격벽(400) 상단에 지지될 수 있는 용기 받침대(6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용기 받침대(600)는 작은 냄비 또는 불판/석쇠와 같은 소형 사이즈의 조리용 용기(P)를 사용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용기 받침대(600)의 하단에는 메시형 격벽(4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측면 지지구(620)가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받침대(600)에는 화기 및 열기가 전달 될 수 있도록 화기 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지지구(620)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메시형 격벽(400)과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용기 받침대(6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 연소실(252)에만 땔감(F)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2 연소실(252)과 제1 연소실(251) 모두에 땔감(F)을 공급하게 된다. 제2 연소실(252)에만 땔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연소 부위가 측판(210)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몸체부(200)가 과하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6 shows a second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container pedestal 600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mesh-type bulkhead 400, and the container pedestal 600 is to be used when using a small-sized cooking container (P) such as a small pot or fire plate/grill. can A side support 62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pedestal 600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mesh-shaped bulkhead 400 , and a fire hole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pedestal 600 so that fire and heat can be transmitted. It can be formed through. Preferably, the side supporter 620 is form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ntacting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 In the case of using the container pedestal 600 , the firewood F is supplied only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or the firewood F is supplied to bo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nd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 In the case of supplying firewood only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since the combustion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210 , the body part 20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heated, thereby minimizing the risk of burns.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솥 또는 대형 냄비와 같은 대형의 조리용 용기(P)를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부(130)를 이용하여 조리용 용기(P)를 거치할 수 있는데, 조리용 용기(P)의 사이즈에 따라, 제3 세그먼트(130)만 사용할 수도 있고, 제2 세그먼트(120)와 제3 세그먼트(130)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사용 방식에서도, 제2 연소실(252)에만 땔감(F)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2 연소실(252)과 제1 연소실(251) 모두에 땔감(F)을 공급하게 된다. 7 shows a third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large cooking container (P) such as a pot or a large pot, the cooking container (P) can be mounted using the cover part 130,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oking container (P),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nly the third segment 130 may be used, or the second segment 120 and the third segment 130 may be used simultaneously. Also in the third use method, the firewood F is supplied only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or the firewood F is supplied to bo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nd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이용 재료(M)가 꿰어진 후크(H)가 제1 세그먼트(110)의 지지로드(113) 또는 꼬치 걸이부(112)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10 shows a fourth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H through which the roasting material M is threaded may be hung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13 or the skewer part 112 of the first segment 110 .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 받침대(600)를 바로 받침부(30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땔감(F)을 용김 받침대(600) 위에 올려놓으면 모닥불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1 shows a fifth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ewood (F) is placed on the container support 600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support 600 is placed directly on the support part 300, it can be used for a bonfire.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부(200)와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 연소 모듈(270)를 채용할 수 있다. 분리형 연소 모듈(270)은 몸체부(200)와는 별개로 형성된 연소 모듈 몸체(272),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 내에 구비된 메시형 격벽(400), 그리고 연소 모듈 몸체(272)의 상단에 형성된 연소 모듈 손잡이(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형 격벽(400)에 의해서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은 제1 연소실(251)과 제2 연소실(252)로 나뉘는데 이와 관련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소 모듈 몸체(272)의 외관은 상기 몸체부(200)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사이즈는 약간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연소실에 땔감(F)을 채우거나, 혹은 사용 후 연소실을 청소할 때 상기 연소 모듈 손잡이(271)를 잡고 분리형 연소 모듈(270)을 상기 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땔감 공급 및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mbustion module 270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200 may be employed. The separate combustion module 270 includes a combustion module body 272 formed separately from the body 200 , a mesh-type bulkhead 400 provided in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 and an upper end of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 A formed combustion module handle 271 may be included.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by the mesh-like partition wall 400 is divided into a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nd the related descrip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omitted. . Preferably, the exterior of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is forme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body 200 so that it can fit snugly into the body 200 , but the size may be made slightly smaller. When the user fills the combustion chamber with firewood (F) or cleans the combustion chamber after use, by holding the combustion module handle 271 and separating the detachable combustion module 270 from the body portion 200, the fuel supply and cleaning are performed can do it efficiently.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연소실(251)의 바닥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꼬치(50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스틱(530)에 끼워진 구이용 재료(M)와 땔감의 거리가 멀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연소실의 승강 플로어(280)를 상승시킴으로써, 땔감(F)의 위치를 스틱(530)에 끼워진 구이용 재료(M)에 가깝게 조절하여, 땔감(F)의 양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열기를 구이용 재료(M)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높이 조절 방식으로 나사봉 체결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높이 조절 방식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가능할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adjusted. When the length of the skewer 500 is shor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wood and the roasting material M inserted into the stick 530 may be long. In this case, by raising the elevating floor 280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he By adjusting the position close to the roasting material (M) fitted to the stick (53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nsmit heat to the roasting material (M)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firewood (F). In FIG. 9 , a screw rod fastening method was used as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can be modified as need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부(200)의 측판(210) 하부에 측면 부가통풍구(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바닥 통풍구(240)는 제2 연소실(252)에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 개를 형성함으로써, 제2 연소실(252)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2 is a view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de additional vent 213 may be further provided under the side plate 210 of the body 200 . Furtherm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floor vents 240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whe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mainly used, air can be supplied smoothly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

100: 커버부 110: 제1 세그먼트
111: 꼬치 걸이용 홈 112: 꼬치 걸이부
113: 지지로드
120: 제2 세그먼트 130: 제3 세그먼트
200: 몸체부 210: 측판
211: 저판
220: 연소실 도어 230: 측면 통풍구
240: 바닥 통풍구 251: 제1 연소실
252: 제2 연소실 231: 측면 부가통풍구
260: 삽입홈
270: 분리형 연소 모듈 271: 연소 모듈 손잡이
272: 연소 모듈 몸체 280: 승강 플로어
300: 받침부
400: 메시형 격벽
500: 꼬치 510: 꼬치 손잡이
520: 꼬치 걸림부 530: 스틱
600: 용기 받침대 610: 화기구멍
620: 측면 지지구
M: 구이용 재료 P: 조리용 용기
F: 땔감
100: cover part 110: first segment
111: skewer hook groove 112: skewer hook part
113: support rod
120: second segment 130: third segment
200: body 210: side plate
211: bottom plate
220: combustion chamber door 230: side vents
240: floor vent 251: first combustion chamber
252: second combustion chamber 231: side additional vents
260: insertion groove
270: separate combustion module 271: combustion module handle
272: combustion module body 280: lifting floor
300: support
400: mesh bulkhead
500: skewer 510: skewer handle
520: skewer hook 530: stick
600: container base 610: fire hole
620: side support
M: Roasting material P: Cooking container
F: firewood

Claims (8)

땔감의 연소를 위한 다목적 화덕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210) 및 저판(211)에 의하여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100); 및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을 제1 연소실(251)과 제2 연소실(252)로 구획하는 메시형 격벽(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소실(252)은 상기 연소실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소실(251)은 상기 제2 연소실(25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소실(251)에서 발생하는 화기가 상기 메시형 격벽(400)을 거쳐 상기 제2 연소실(252)로 전달되되,
상기 제2 연소실(252)에는 구이용 재료(M)가 꽂힌 꼬치(50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거치되고, 상기 제1 연소실(251)에 채워진 땔감(F)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기는, 상기 제1 연소실(251)이 상기 제2 연소실(25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꼬치(500)를 향하여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furnace for burning firewood,
The body portion 200 for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by the side plate 210 and the bottom plate 211;
a cover part 100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a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divide the combustion chamber into a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The fire generat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delivered to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through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400,
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 a skewer 500 with a roasting material M inserted therein is mounted to be longitudinally disposed, and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irewood F fill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 because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the multipurpose ov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livered from severa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oward the skewer (50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세그먼트(110)는 상기 꼬치(500)를 걸어서 거치할 수 있는 꼬치 걸이부(112); 및
상기 꼬치 걸이부(112)에 일단이 고정되되,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지지로드(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concentrically divi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200,
The first seg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110 includes a skewer hook 112 capable of hanging the skewer 500 by hanging; and
Multi-purpose ov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13)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skewer hook (112), the other end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2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는, 중앙에 상기 제1 세그먼트(11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환형의 제2 세그먼트(120); 및
중앙에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3 세그먼트(130)를 포함하되,
꼬치구이를 할 때에는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들어올린 상태로 상기 꼬치(500)를 상기 꼬치 걸이부(112)에 거치하고, 다시 상기 제2 세그먼트(120)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ver part 100, An annular second segment 120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egment 110 can be mounted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third segment 13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egment 120 can be mounted in the center is included,
When grilling on skewers, the skewer 500 is mounted on the skewer holder 112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egment 120 is lifted, and the second segment 120 is covered again.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꼬치 걸이부(112)의 주변에서는 소정 간격으로 꼬치 걸이용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꼬치(500)는 구이용 재료(M)를 꽂을 수 있는 스틱(530); 상기 스틱(530)의 일단에 형성된 꼬치 손잡이(510); 및 상기 스틱(530)과 상기 꼬치 손잡이(510) 사이에 형성된 꼬치 걸림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꼬치(500)는, 상기 스틱(530)이 상기 꼬치 걸이용 홈(11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꼬치 걸림부(520)가 상기 꼬치 걸이부(112)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꼬치(50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In the vicinity of the skewer part 112, the skewer grooves 11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kewer 500 includes a stick 530 capable of inserting a roasting material (M); a skewer handle 510 formed on one end of the stick 530; and a skewer engaging portion 520 formed between the stick 530 and the skewer handle 510,
In the skewer 500, the skewer hooking part 52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kewer hooking part 112 in a state where the stick 530 is inserted into the skewer hooking groove 111, so that the skewer ( 500) is a multi-purpose ov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so as to be arrang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의 제2 세그먼트(120) 또는 제3 세그먼트(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에 조리용 용기(P)거치하고, 상기 제2 연소실(252)에 땔감(F)을 채우고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oking container (P) is mounted in the through-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egment (120) or the third segment (130) of the cover part (100), and firewood i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F) A multi-purpose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lled and bur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와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분리형 연소 모듈(270)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연소 모듈은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 모듈 몸체(272); 및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의 상단에 부착된 연소 모듈 손잡이(271)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형 격벽(400)은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 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연소실(251) 및 상기 제2 연소실(252)은 상기 연소 모듈 몸체(272)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separate combustion module (270) formed detachably from the body portion (200),
The separate combustion module includes a combustion module body 272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and
a combustion module handle (271) attached to the top of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The mesh-like partition wall 400 is formed in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so that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are formed in the combustion module body 272 internal space. multi-purpose fire p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의 측판(210) 및 바닥에는 제1 연소실(251) 또는 제2 연소실(252)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덕. The multi-purpo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plate (210) and the bottom of the body (200) are provided with ventilation holes that enable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251) or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252). fire pit.
KR1020210032732A 2021-03-12 2021-03-12 Multipurpose Fire Pot KR102415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32A KR102415462B1 (en) 2021-03-12 2021-03-12 Multipurpose Fire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32A KR102415462B1 (en) 2021-03-12 2021-03-12 Multipurpose Fire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462B1 true KR102415462B1 (en) 2022-07-04

Family

ID=8239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32A KR102415462B1 (en) 2021-03-12 2021-03-12 Multipurpose Fire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46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37B1 (en) 2006-05-04 2007-06-25 염재수 Meat roaster
KR200437645Y1 (en) 2007-03-15 2007-12-18 최진달 Barbecue Roaster
KR100903720B1 (en) * 2007-12-07 2009-06-19 최윤화 Roasting device for a barbecue
KR20100115097A (en) * 2009-04-17 2010-10-27 최진달 Roaster using charcoal
KR20100124066A (en) * 2009-05-18 2010-11-26 (주)한국주조 A apparatus for barbecue with inner combustionstructure
KR101244100B1 (en) 2012-08-30 2013-03-18 최택기 Charcoal cooker
KR20140116423A (en) * 2012-12-19 2014-10-02 로터스그릴 게엠베하 Barbecu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37B1 (en) 2006-05-04 2007-06-25 염재수 Meat roaster
KR200437645Y1 (en) 2007-03-15 2007-12-18 최진달 Barbecue Roaster
KR100903720B1 (en) * 2007-12-07 2009-06-19 최윤화 Roasting device for a barbecue
KR20100115097A (en) * 2009-04-17 2010-10-27 최진달 Roaster using charcoal
KR20100124066A (en) * 2009-05-18 2010-11-26 (주)한국주조 A apparatus for barbecue with inner combustionstructure
KR101244100B1 (en) 2012-08-30 2013-03-18 최택기 Charcoal cooker
KR20140116423A (en) * 2012-12-19 2014-10-02 로터스그릴 게엠베하 Barbec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26B1 (en) Meat grill receptacle
US20160220066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20060123035A (en) Barbecue oven boil
US10806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applying heat
CN106377172A (en) Smokeless roast stove
KR20150000117A (en) Portable gas charcoal barbucue roaster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200444305Y1 (en) Removable charcoal roaster using gas burner fitted in table
KR102415462B1 (en) Multipurpose Fire Pot
KR20110002207A (en) Meat and fish roaster using both heat source
US20180110366A1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09813A (en) Roaster equipped with air curtains
KR20110010262U (en) - direct-fired Roaster for a gas stove and a charcoal fire
CN100554790C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KR101671629B1 (en) Fire box for roasting with chacoal
KR101731702B1 (en) frying apparatus
KR101722562B1 (en) Brazier device
US20220071447A1 (en) Grill device that prevents burning of grilled food
KR100796321B1 (en) Roast device
JP2005273927A (en) Desk top type smokeless clay cooking stove
KR200380144Y1 (en) A charcoal fire roaster
EP3040618B1 (en) Stove with removable burning chamber
KR200179466Y1 (en) A barbecue grill machine for a table
KR101494082B1 (en) Roaster by far infrared rays with lo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