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033B1 -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033B1
KR102405033B1 KR1020220036687A KR20220036687A KR102405033B1 KR 102405033 B1 KR102405033 B1 KR 102405033B1 KR 1020220036687 A KR1020220036687 A KR 1020220036687A KR 20220036687 A KR20220036687 A KR 20220036687A KR 102405033 B1 KR102405033 B1 KR 10240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id
data
uni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택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Priority to KR102022003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33B1/ko
Priority to KR1020220059934A priority patent/KR10241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4Spatial browsing, e.g. 2D maps, 3D or virtual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은 맵데이터에 표현되는 객체인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디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표상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는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된 데이터인 특성데이터가 저장되는 특성데이터DB부; 주제정보, 상기 주제정보에 대한 통계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 산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영역정보가 상호 연계된 데이터인 로데이터(raw-data)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대상이 되는 맵데이터를 복수 개 격자유닛으로 격자화하는 격자화처리부; 위치관련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특징을 표상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해당하는 격자유닛 각각에 설정하는 맵핑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WITH OBJECT ORIENTATION BASED ON GRID}
본 발명은 격자 기반의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맵데이터에 표출되는 다양한 객체(오브젝트)들의 고유한 특성은 물론, 다양한 형식과 종류의 통계 데이터를 격자 체계에 부합되는 데이터 집합체로 가공하고, 이를 격자유닛마다의 고유데이터로 생성함은 물론, 사용자 리퀘스트를 포함한 설정 환경에 따라 유기적으로 그리고 적응적으로 가변화되는 데이터 구조체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격자 기반의 공간정보에 대한 활용성 및 효율성 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위치정보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디지털 정보와의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 수요의 증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종래 통계정보 등은 거의 대부분 행정구역 단위로 작성되기 때문에 특정 목적에는 부합될 수 있을지 모르나 동적으로 변화하는 지역이나 공간적 실태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집계구를 이용하는 일부 통계정보 및 이를 생성하는 방법론의 경우, 행정구역과의 연계가 용이한 측면이 있기는 하나, 특정 시점의 고정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것이므로 맵데이터에 표출되는 다양한 객체(건물, 도로, 시설, 하천, 산, 공원, 녹지, 교차로, CCTV, 정거장, 병원, 지하철, 사회간접시설 등)의 동적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움은 물론, 이를 통계정보에 유기적으로 그리고 가변적으로 접목시킬 수 없다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행정구역이나 집계구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및 이를 위한 종래의 데이터 생성방법 등은 기준이 되는 단위의 비정형성(면적 편차, 모양의 불규칙성, 제작주체마다 기준 상이 등)은 물론, 시간에 따라 경계가 변화하고 축척이 유동적이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호환성과 활용성에 상당한 제약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국가지점번호체계와 같이 전국을 소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데이터로 활용하는 방식도 개시되고 있기는 하나, 이 방법은 소정 격자마다 고유한 식별번호체계를 부여함으로써 기존 주소체계가 담보하지 못하는 영역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기 위한 공간정보 서비스이므로 특정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다는 단편적인 이용에만 머무르고 있다.
또한, 국토 전체 또는 특정 지역이나 지구 등을 격자화하고 격자화된 단위를 기준으로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몇 가지 개시되고 있는 하나, 이러한 방식은 의도된 특정 주제에 부합되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수시로 신규 제작되며, 나아가 동일 서비스라고 하더라도 제작의 기준이 달라질 때마다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일회성 서비스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함은 물론, 상호 호환 내지 연계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자료 활용, 접근성 등이 극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객체(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정보는 물론, 통계정보와 관련된 로데이터(raw data)를 이루는 다양한 요소들의 데이터들을 복합구조의 데이터 구조체로 생성하고, 이를 설정 환경이나 사용자 요청 등에 따라 동적(動的)으로 가변되는, 격자유닛마다의 프로파일데이터로 맵핑하여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활용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사용자 니즈에 최적화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은 맵데이터에 표현되는 객체인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디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표상하는 포인트 객체(0차원 객체), 1차원 객체, 2차원 객체 또는 3차원 객체 중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는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된 데이터인 특성데이터가 저장되는 특성데이터DB부; 주제정보, 상기 주제정보에 대한 통계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 산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영역정보가 상호 연계된 데이터인 로데이터(raw-data)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대상이 되는 맵데이터를, 소정의 크기와 위치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 격자유닛으로 격자화하는 격자화처리부;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특징을 표상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해당하는 격자유닛 각각에 설정하는 맵핑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속성정보에 n(n은 1이상의 자연수)차원 객체에 대한 정보만 포함된 경우, 해당 n차원 객체를 대상으로 정투영 연산, 아웃라인 추출 연산 또는 중심점 연산 중 하나 이상의 연산을 적용하여 0차원 객체에서 n-1차원 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특성데이터DB부는 상기 객체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0차원 객체에서 n-1차원 객체를 상기 속성정보에 다중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수록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위치포함 관계, 최단거리 관계, 포함되는 길이 비율 또는 포함되는 너비 비율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이용하는 복수 개 설정알고리즘이 저장된 알고리즘저장부;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선택정보 및 상기 복수 개 설정알고리즘에 대한 제2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선택정보에 해당하는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제2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제1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특정 주제정보에 해당하는 로데이터인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가 상기 격자유닛의 너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에 상기 제1로데이터의 통계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안분한 통계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인 대상격자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제1로데이터의 주제정보를 기준으로 차등적인 가중치가 적용될 오브젝트인 타겟오브젝트가 상기 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판단부; 및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존재 여부,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개수 정보,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면적 비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격자를 이루는 복수 개 격자유닛마다 차등적인 통계정보가 안분되도록 하는 차등화프로세싱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 개 특성데이터가 선정되면, 상기 선정된 복수 개 특성데이터 각각에 따른 타겟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차등화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아래 수식을 충족하도록 상기 대상격자를 이루는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가중치와 통계정보를 결정한다.
Figure 112022031900810-pat00001
상기 수식에서 T는 상기 제1로데이터의 통계정보, Ai는 상기 대상격자 중 i번째 격자유닛의 가중치, Bi는 상기 대상격자 중 i번째 격자유닛의 통계정보, n(2이상의 자연수)은 대상격자를 이루는 격자유닛의 전체 개수, Dm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번째 타겟오브젝트를 기준으로 한 가중치, f(D1, D2, ... , Dm)는 전체 종류의 가중치를 변수로 하여 연산되는 i번째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함수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명주소정보와 해당 도로명주소정보의 위치정보가 상호 연계된 주소DB가 저장되는 주소DB부; 상기 주소DB 중 상기 격자화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로명주소정보를 추출하는 주소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주소추출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도로명주소정보가 더 포함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해당하는 도로명주소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격자유닛을 대상으로 도로명주소정보의 비존재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도로명주소정보가 상기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싱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격자유닛이 차등적인 방식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출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대상격자에 포함된 격자유닛인 섹터유닛의 크기와 상기 기준영역정보 크기 사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섹터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된 통계정보의 신뢰성지수를 생성하는 지표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처리부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신뢰성지수를 더 포함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표생성부는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존재 여부 및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섹터유닛별 신뢰성지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오브젝트 또는 통계정보의 변화, 격자 크기, 사용자 리퀘스트 등과 같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환경 파라미터에 더욱 유기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정보 및 통계정보와 관련된 로데이터 등을 다차원구조를 가지는 기초데이터로 가공하여 활용함으로써 공간정보 생성 및 활용 등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격자유닛마다의 특성을 표상하는 프로파일데이터(profile-data)를 해당 격자유닛에 연계(맵핑)시키되, 통계정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마다 그 영향의 정도와 크기 등을 기준으로 차등화되는 가중치가 프로파일데이터에 입체적으로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간정보의 실질적 객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복수 개 격자유닛에 안분되는 각각의 통계정보가, 가중치 파라미터의 연산 및 자체적 검산이 구현되는 수학적 함수를 통하여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신뢰성을 더욱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도로명 주소체계DB와의 연계를 통하여 기존 도로명 주소체계에 해당하는 격자유닛(또는 이들이 그룹핑된 영역)과 그러하지 않는 격자유닛(또는 이들이 그룹핑된 영역)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 시각 표출을 구현하는 프로세싱이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기반하도록 설계되므로 프로파일데이터의 변화 내지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GUI환경 등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공간정보를 더욱 시인성 높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한 공간정보의 2차적 활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공간정보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다차원의 객체가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사용자 선택 등을 이용하여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복수 개 격자유닛에 통계정보가 안분되어 개별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프로파일데이터의 신뢰성지수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격자유닛의 시각적 표출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격자화된 맵데이터가 표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특성데이터 등을 격자유닛에 배정 내지 설정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이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격자기반 공간정보는 국토 전체 또는 특정 지역, 지구 등에 대한 다양한 맵데이터를 종과 횡을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등을 가지는 격자유닛(단위격자)으로 구분하고 특정 단일 격자유닛은 물론, 격자유닛 복수 개가 그룹핑(grouping)된 집합체 또는 격자유닛으로 구분된 전체 맵데이터 등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연계되어 제공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 발명의 격자기반 공간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정보로 가공되어 생성되는 정보로서, 렌더링(rendering) 프로세싱, 시각화 표출 프로세싱, 머징(merging) 프로세싱, 계층적 레이어(layer) 처리 등을 통하여 GUI 환경 등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이러한 격자기반 공간정보를 생성, 유지, 관리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접속 가능한 서버 내지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유저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신호나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 후술되는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생성되는 격자기반 공간정보(이하 '공간정보'로 약칭하여 지칭될 수 있다)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유저 클라이언트(200)는 계획입안자, 정책집행자, 지자체 담당자, 타당성 조사 수행자, 거주자, 시장조사 수행자, 기타 관리자 등(이하 '유저(user)' 또는 '사용자'로 지칭한다)이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200-1, 200-n)는 피씨, 노트북, 태블릿,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데이터 내지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된 데이터 내지 정보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사용자 측의 단말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외부 기관서버(300) 또는 통계청 등과 같은 공유 서버(400)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특정 지역, 지구, 영역, 국토 전체 등에 대한 GIS 정보, 맵데이터, 통계정보, 현황데이터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이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과 유저 클라이언트(200), 외부 기관서버(300) 또는 공유 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TCP/IP,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이들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간정보 제공방법을 비롯한 본 발명의 다양한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처리부(14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공간정보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특성데이터DB부(110), 인벤토리DB부(120), 격자화처리부(130), 메인처리부(140), 맵핑처리부(150), 객체생성부(160), 주소DB부(170), 주소추출부(175), 표출처리부(180) 및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메인처리부(140)는 알고리즘저장부(141), 입력부(142), 연산처리부(143), 선별부(144), 오브젝트판단부(145) 및 지표생성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 및 그 일 구성인 메인처리부(140)는 플랫폼 또는 서버의 형태 또는 그 하위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성데이터DB부(110)는 오브젝트에 대한 특성데이터가 저장된다(S400). 특성데이터는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디정보, 오브젝트를 표상하는 포인트객체(0차원 객체), 1차원 내지 3차원 객체 중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는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오브젝트(object)는 건물, 도로, 시설, 하천, 산, 공원, 녹지, 교차로, CCTV, 정거장, 병원, 지하철, SOC 등과 같이 맵데이터에 표현되거나 표출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를 의미한다.
0차원 내지 3차원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는 상기 오브젝트를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오브젝트의 좌표정보를 의미하는 속정정보는 0차원 객체에 해당하며, 선 또는 이에 준하는 형상 등으로 표상되는 오브젝트의 속성정보는 1차원 객체(실시형태에 따라서 시작 포인트와 종결 포인트 또는 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객체), 면적(너비)을 가지거나 사각형, 육각형 등 도형 형상으로 표상되는 오브젝트의 속성정보는 2차원 객체가 되며, 3차원 GIS 정보로 이루어지는 건물 등과 같은 오브젝트의 속성정보는 3차원 객체가 될 수 있다.
특성데이터DB부(110)에 저장되는 특성데이터는 0 내지 3차원 객체들 중 하나(single)의 속성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 개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상호 연계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정보 또는 특성데이터는 외부 기관서버(300)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 자체에서 확장적으로 가공 또는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인벤토리DB부(120)는 주제정보, 상기 주제정보에 대한 통계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가 산출된 기준이 되는 지역, 영역, 행정구역 등에 대한 정보인 기준영역정보가 상호 연계된 데이터(이라 '로데이터(raw data)'라 지칭한다)가 저장된다(S410).
“60세 이상 인구, 124,060명, **시”, “1인세대수, 2,000, **구”, “20**년 연간 경범죄 발생 건수, 38건, **군”, “대학병원 수 , 12개, **시”, “근린공원 수, 25개, **광역시” 등이 로데이터를 구성하는 주제정보, 통계정보 및 기준영역정보의 예가 될 수 있다.
유치원, 도서관, 생활체육시설, 교통시설, 공영주차장, 유흥업소, 치안시설, 보안등, 단속카메라, 과속방지턱 등 통계관련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면 상기 로데이터를 이루는 정보의 종류와 범주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격자화처리부(130)는 대상이 되는 맵데이터를 소정의 크기와 위치정보 등을 가지는 복수 개 격자유닛으로 격자화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430).
복수 개 격자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통일적 데이터 처리는 물론, 직관적 인식, 데이터 융합 및 활용의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 크기의 유닛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리적 위치의 표준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국가지점번호체계를 기준으로 격자화 프로세싱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 격자유닛의 단일 크기는 다양하게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격자유닛의 크기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S420)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 격자유닛으로 대상 맵데이터의 격자화처리 프로세싱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30). 대상 맵데이터 또한,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성데이터DB부(110)에 저장되는 특성데이터는 물론, 인벤토리DB부(120)에 저장되는 로데이터는 각각 위치정보가 포함되거나 위치정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위치정보가 추출될 수 있는 정보 내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특성데이터 또는/및 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특징을 표상하는 데이터(이하 '프로파일데이터'라 지칭한다)를 생성한다(S440). 이에 대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격자유닛마다 프로파일데이터(profile data)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맵핑처리부(150)는 프로파일데이터를, 해당하는 격자유닛 각각에 맵핑(mapping) 내지 설정(assign)한다(S450).
본 발명의 표출처리부(18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과 알고리즘이 적용된 시각 표출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격자유닛 각각에 설정된 프로파일데이터의 차이에 따른 차등적인 방법(색상 차이, 명암 차이, 팝업 환경 차이 등)으로 해당 격자유닛의 표출환경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격자유닛이 소정의 그래픽 환경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460).
렌더링된 격자유닛 및 이들이 대상 맵데이터에 레이어 중첩 등으로 머징된 맵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하여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되어 표출될 수 있다.
프로파일데이터가 격자유닛에 맵핑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렌더링 등의 시각적 표출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셋(data set)으로 프로파일데이터와 해당 격자유닛에 대한 데이터가 구조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다차원 객체에 의한 속성정보 내지 특성데이터가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특성데이터DB부(110)에는 오브젝트에 대한 여러 가지 차원의 객체가 다중적으로 연계된 속성정보가 저장되는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하여 확보된 속성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속성정보에는 이러한 0 내지 3차원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특성데이터를 특정 격자유닛에 부여하는 경우, 오브젝트의 고유한 특성, 사용자 선택 또는 외부 파라미터 등과 같은 '가변 환경'에 따라 0 내지 3차원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 중 특정 차원의 속성정보가 최적의 속성정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변 환경'에 더욱 기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차원들의 객체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미리 준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60)는 우선 현재 저장된 특성데이터 내 오브젝트 각각의 속성정보를 파싱(parsing)하여(S500) 해당하는 속성정보에 모든 차원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모든 차원의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60)는 상위 차원(n차원, n은 1이상 자연수)의 객체데이터를 추출하고(S520) 이 추출된 객체데이터를 대상으로 정투영 연산, 아웃라인 추출 연산 또는 중심점 연산 중 하나 이상의 연산을 적용하여(S530) 0차원 내지 n-1 차원 객체를 생성한다(S540).
2차원 객체만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준으로 3차원 객체는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아웃 라인을 추출하는 연산을 통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1차원 객체(또는 이들의 집합체)를, 중심점 연산(무게중심, 기하학적 중심 등)을 통하여 좌표정보로 표상되는 포인트객체(0차원 객체)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0차원 이상 n-1차원 이하의 하나 이상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가 객체생성부(160)에서 생성되면, 본 발명의 특성데이터DB부(110)는 객체생성부(160)에서 생성된 0차원 객체에서 n-1차원 객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속성정보를 해당 오브젝트의 속성정보에 다중적으로 연계한 신규의 또는 업데이트된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550).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6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 선택 등을 이용하여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특징을 표상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도 4의 S440, 도 6의 S640 등 참조).
구체적으로 메인처리부(140)의 일 구성인 알고리즘저장부(141)는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수록되거나 포함된 위치정보 또는 위치관련정보와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영역정보 사이의 위치포함관계, 최단거리 관계, 포함되는 길이 비율 또는 포함되는 너비 비율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이용하는 복수 개 알고리즘(이하 '설정알고리즘'이라 지칭한다)을 저장한다(S600, 도 6참조).
이들 설정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툴(tool) 내지 방법론이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복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 포함관계를 반영한 툴
특성데이터가 포함되는 격자유닛에 해당하는 각 특성데이터의 개수를 배정하는 방법(도 11의 (a) 참조)
○ 최단거리관계를 반영한 툴
격자유닛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특성데이터와 가장 근접한 거리 값을 배정하는 방법(도 11의 (b) 참조)
○ 길이관계를 반영한 툴
격자유닛 내 모든 선형 데이터(1차원 객체 또는 1차원 객체의 집합체)의 길이를 합하여 해당 격자유닛에 배정하는 방법(도 11의 (c) 참조)
○ 면적비율관계를 반영한 툴
2차원 객체의 면적 비율을 기준으로 면형 데이터의 면적/너비를 분할하여 해당 격자유닛에 배정하는 방법(도 12의 (a) 참조)
○ 면적최대비율관계를 반영한 툴
면형 데이터(2차원 객체)의 최대 면적 비율이 포함된 격자유닛에 면형 데이터의 면적을 일괄 배정하는 방법(도 12의 (b) 참조)
○ 중심점관계를 반영한 툴
2차원 객체에 의한 특성데이터의 중심좌표가 포함된 격자유닛에 면형데이터의 면적을 배정하는 방법(도 12의 (c) 참조)
○ 반경관계를 반영한 툴
격자유닛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개수를 격자유닛에 배정하는 방법(도 12의 (d) 참조)
이들 상술된 툴과 이들 툴을 반영하여 설계 및 생성되는 설정알고리즘은 저마다의 유니크한 오브젝트의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이므로 각 툴 등에 따라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0내지 3차원 객체에 의한 속성정보 중 특정 차원에 의한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가 최적의 속성정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60)에 의하여 가능한 많은 차원의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미리 생성되도록 하는 실시예의 경우 위와 같은 다양한 설정알고리즘을 적응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격자화된 맵데이터에 표출될 수 있는 기초요소들이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됨은 물론,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알고리즘이 생성되어 활용되도록 설계되므로 원하는 대상이나 주제 등에 따른 공간정보를 언제든지 기만하게 제공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입력부(142)는 특성데이터, 로데이터, 설정알고리즘 등에 대한 선택 환경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고(S610)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이들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S620). 실시형태에 따라서 격자유닛의 크기 또한,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선택정보와 복수 개 설정알고리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선택정보가 입력되면(S620), 본 발명의 연산처리부(143)는 상기 제1선택정보에 해당하는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제2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제1프로세싱을 수행하여(S630), 복수 개 격자유닛마다의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S640).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된 이후의 프로세싱은 앞서 설명된 내용과 상응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특정 주제정보에 해당하는 통계정보를 복수 개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 각각으로 안분시키되, 통계정보의 실질성과 실효성 등을 더욱 객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특정 주제정보에 해당하는 로데이터인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가 소정의 방식으로 격자화된 해당 격자유닛의 너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에 상기 제1로데이터의 통계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안분한 통계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해당하는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주제정보(연산의 대상이 되는 주제정보)가 범죄건수이고 이에 대한 통계정보가 200건/년이며, 이 주제정보가 산출된 기준영역정보가 특정 구(행정구역)임에 반해, 생성된 격자유닛의 크기가 50m×50m이고, 기준영역정보인 특정 구에 해당하는 격자유닛의 개수가 100개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200건이라는 통계정보(메인통계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안분시키고 안분된 통계정보(서브통계정보)를 이용하여 200개 격자유닛 각각의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메인처리부(140)의 일 구성인 선별부(144)는 제1주제정보에 해당하는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 및 생성된 격자유닛의 너비 정보를 추출한(S700) 후 기준영역정보가 격자유닛의 너비보다 큰 경우(S710) 상기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을 선별한다(S720).
이하 설명에서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의 집합체를 '대상격자'라 지칭하며, 이 대상격자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을 '타겟격자유닛'이라 지칭한다.
그 후 본 발명의 오브젝트판단부(145)는 제1로데이터의 주제정보를 기준으로 차등적인 가중치가 적용될 오브젝트인 타겟오브젝트를 선별하고(S730), 이 타겟오브젝트가 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앞선 예와 같이 특정 주제정보가 범죄건수인 경우, 범죄건수 내지 범죄 발생률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이 타겟오브젝트가 된다. 예를 들어, CCTV, 경찰서, 보안등, 파출소, 유흥업소, 숙박업소, 1인 가구 등이 바로 타겟오브젝트의 예들이 된다.
이러한 타겟오브젝트 중 CCTV, 경찰서, 보안등, 파출소 등의 타겟오브젝트는 제1주제정보인 범죄건수를 감소시키는 상관관계를 가진 파라미터가 되며, 유흥업소, 숙박업소, 1인 가구 등의 타겟오브젝트는 제1주제정보를 증가시키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파라미터가 된다.
200건이라는 메인통계정보를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대상격자에 속하는 100개의 개별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 각각에 단순 안분하는 방식으로 “2건”이라 서브통계정보가 프로파일데이터에 수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특정 타겟격자유닛에 경찰서, 파출소, CCTV 등이 존재하거나 또는 그 수가 많다면 그만큼 범죄발생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으므로 이 타겟격자유닛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서브통계정보가 프로파일데이터로 생성되도록 하고, 유흥업소, 숙박업소, 1인 가구, 유동 인구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타겟격자유닛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서브통계정보가 프로파일데이터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통계정보의 실질성과 객관성을 더욱 높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특성데이터)와 통계정보에 대한 데이터(로데이터)가 상호 융합되는 정보 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 정보 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 또한,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판단부(145)에 의하여 차등적인 가중치(상관관계)가 적용될 하나 이상의 타겟오브젝트가 선별되고 이 타겟오브젝트가 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면, 본 발명의 연산처리부(143)는 타겟오브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격자를 이루는 복수 개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마다 차등적인 통계정보가 안분되도록 하는 프로세싱(이하 '차등화프로세싱'이라 지칭한다)을 적용하고(S740)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S750).
타겟오브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는 예를 들어, 타겟오브젝트의 존재 여부, 타겟오브젝트의 특성(증가의 상관관계/가중치, 감소의 상관관계/가중치 등) 여부,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개수 정보,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면적 비율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만약 제1로데이터가 범죄건수(주제정보)에 대한 데이터라면, 상기 타겟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정보는 포인트객체인 0차원 객체(좌표정보)가 활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로데이터와 관련하여 주제정보가 범죄건수, 통계정보가 90건이며, 기준영역정보가 #1~#3타겟격자유닛에 상응하고, #1타겟격자유닛에 CCTV 2개, 유흥업소 3개, #2타겟격자유닛에 CCTV 10개, 파출소 3개, 보안등 30개가, #3타겟격자유닛에 유흥업소 10개, 숙박업소 5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타겟격자유닛별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타겟격자유닛에는 '증가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유흥업소, 숙박업소)만 다수 포함되어 있고, #1타겟격자유닛에는 '감소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CCTV, 파출소, 보안등)만 포함되어 있으며, #2타겟격자유닛의 경우, '증가의 가중치'는 물론, '감소의 가중치'에 해당하는 타겟오브젝트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90건의 메인통계정보가 #1 내지 #3타겟격자유닛에 안분되되, #3, #1 및 #2의 순으로 줄어드는 서브통계정보가 해당 타겟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 타겟격자유닛에 포함되는 프로파일데이터(세브통계정보)의 합은 90(메인통계정보)이 되도록 알고리즘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정보가 인구인 경우, 아파트, 연립주택, 각종 전용주거지역, 각종 일반주거지역, 다주택 등이 '증가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에 해당하며 이에 반해, 공원, 녹지, 자원보호구역, 폐수처리시설, 추모공원 등은 감소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가 된다.
이 예의 경우, 타겟오브젝트의 면적 비율, 높이 정보(건물, 아파트 등) 등 또한, 함께 다각적으로 고려되어 각 타겟격자유닛의 서브통계정보(프로파일데이터)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하나의 종류에 해당하는 특성데이터가 선정된다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선택된 단일(single) 종류의 특성데이터만을 기준으로 상술된 차등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복수 개 종류의 특성데이터가 선정되면, 상기 선정된 복수 개 특성데이터 각각에 따른 타겟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차등화프로세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로데이터가 사고건수, 중상자수, 어린이 보호지역 사고, 5대 중과실 사고 등과 같은 교통사고에 대한 통계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교차로, 주차장, 횡단보도(노상) 등은 '증가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가 되며, 단속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 과속방지턱, 지하보도, 육교 등은 '감소의 상관관계/가중치'를 가지는 타겟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와 관련된 또 다른 통계정보 즉, 교통량, 거주자 수, 고령자 수, 유동인구 수 등과 같은 정보도 함께 고려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140)의 주요 구성인 연산처리부(143)는 제1로데이터의 통계정보(메인통계정보), 타겟오브젝트 가중치(증가 또는 감소의 상관관계 지수), 각 타겟격자유닛에 부여(assign)되는 통계정보(서브통계정보) 사이의 관련성이 함수화되는 아래 수식과 같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파일데이터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겟오브젝트로 설정될 복수 개 종류의 오브젝트(또는 이와 관련된 특성데이터)를 선정하는 경우, 복수 개 타겟오브젝트 각각의 가중치들을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를 적용하여 해당 타겟격자유닛의 가중치(증가 또는 감소의 가중치 지수)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22031900810-pat00002
상기 수식에서 T는 상기 제1로데이터의 통계정보, Ai는 상기 대상격자 중 i번째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의 가중치, Bi는 상기 대상격자 중 i번째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의 통계정보, n(2이상의 자연수)은 대상격자를 이루는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의 전체 개수, Dm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번째 타겟오브젝트를 기준으로 한 가중치, f(D1, D2, ... , Dm)는 전체 종류의 가중치를 변수로 연산되는 i번째 격자유닛(타겟격자유닛)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함수이다.
상기 함수 f는 복수 개 종류의 타겟오브젝트가 연산되는 경우, 개별 타겟오브젝트에 의한 가중치의 평균이 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타겟오브젝트가 지정되거나 통계적 의미에서 통계정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소가 고려되는 경우 해당 가중치에 높은 스코어(score)가 부여되도록 하는 연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로서, 격자유닛에 부여되는 프로파일데이터, 특히 프로파일데이터에 수록된 통계정보(서브통계정보)의 객관성 내지 정확성 등을 추정할 수 있는 신뢰성지수가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처리부(140)의 일 구성인 지표생성부(146)는 상기 대상격자에 포함된 격자유닛인 섹터유닛의 크기의 크기 정보와 제1주제정보에 해당하는 제1로데이터에 포함된 기준영역정보의 크기 정보를 추출한다(S800, S810).
이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섹터유닛'은 앞서 설명된 타겟격자유닛과 동일한 격자유닛에 해당하나, 이하 설명에서는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섹터유닛이라 지칭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크기정보가 추출되면 지표생성부(146)는 이들 크기정보의 비율을 이용하여 섹터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된 통계정보(서브통계정보)의 신뢰성지수를 생성한다(S820).
이와 같이 기초적인 신뢰성지수(1차 신뢰성지수)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지표생성부(146)는 개별 섹터유닛을 기준으로 타겟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 그에 대한 개수정보, 면적 비율 정보(타겟오브젝트의 너비 vs. 해당 섹터유닛의 너비 비율 등), 길이 비율 정보, 반영된 가중치의 개수, 종류 등을 추출하고(S830) 이들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섹터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된 통계정보의 신뢰성지수를 업데이트한다(S840).
이와 같이 신뢰성지수가 생성 및 업데이트되면 본 발명의 연산처리부(143)는 이 신뢰성지수를 더 포함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S850).
이 실시예와 같이, 프로파일데이터에 신뢰성지수가 더 포함되도록 데이터가 구조화되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각화 표출 프로세싱 등이 구동될 때, 데이터 프로토콜의 정해진 위치에 수록된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페이스 환경 등을 통하여 이 신뢰성지수를 표상하는 그래픽요소 또한, 언제든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해당 격자유닛의 마우스 클릭 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9 등을 참조하여, 도로명주소와 연계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DB부(170)와 주소추출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주소DB부(170)에는 도로명주소체계에 의한 정보와 해당 도로명주소의 위치정보가 상호 연계된 주소DB가 저장된다.
주소추출부(175)는 상기 주소DB 및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위치정보를 독출(access and read)하고(S900, S910), 위치정보 내지 위치관련정보를 커먼파마리터(common parameter)로, 상기 격자화처리부(130)에서 생성되는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로명주소정보(이하 '연관도로명주소정보'라 지칭한다)를 추출한다(S920).
이와 같이 연관도로명주소정보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이 연계도로명주소정보가 다중적으로 더 연계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S930).
이와는 달리, 격자유닛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도로명주소정보가 존재하지 않아(S920) 그 결과정보가 메인처리부(140)에 입력되면, 메인처리부(140)는 도로명주소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격자유닛을 대상으로 도로명주소의 비존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한다(S9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연관도로명주소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는 물론,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정보가 해당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데이터가 생성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출처리부(180)에 의하여 격자유닛이 포함된 대상 맵데이터가 GUI 환경 등으로 표출된다(S95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표출처리부(180)는 각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를 파싱(parsing)한(S951) 후, 연관도로명주소정보의 존부에 따라 해당 격자유닛을 차등화된 방식으로 렌더링하여 소정 인터페이스 환경(GUI 등)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953, S955).
렌더링 방식은 격자유닛 아웃라인의 굵기, 종류 등을 다르게 하는 방법, 격자유닛 자체의 색상 차등화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 또한, 프로파일데이터에 도로명주소의 존부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데이터가 구조화되므로 사용자 선택이나 설정환경 등에 따라 시각화 표출 프로세싱 등의 활용을 더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
100 :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200 : 유저 클라이언트
300 : 외부 기관서버 400 : 공유 서버
110 : 특성데이터DB부 120 : 인벤토리DB부
130 : 격자화처리부 140 : 메인처리부
141 : 알고리즘저장부 142 : 입력부
143 : 연산처리부 144 : 선별부
145 : 오브젝트판단부 146 : 지표생성부
150 : 맵핑처리부 160 : 객체생성부
170 : 주소DB부 175 : 주소추출부
180 : 표출처리부 190 : 인터페이스부

Claims (8)

  1. 맵데이터에 표현되는 객체인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디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표상하는 포인트 객체(0차원 객체), 1차원 객체, 2차원 객체 또는 3차원 객체 중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는 속성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된 데이터인 특성데이터가 저장되는 특성데이터DB부;
    주제정보, 상기 주제정보에 대한 통계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 산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영역정보가 상호 연계된 데이터인 로데이터(raw-data)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대상이 되는 맵데이터를, 소정의 크기와 위치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 격자유닛으로 격자화하는 격자화처리부;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의 특징을 표상하는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해당하는 격자유닛 각각에 설정하는 맵핑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부는,
    특정 주제정보에 해당하는 로데이터인 제1로데이터의 기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격자유닛인 대상격자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제1로데이터의 주제정보를 기준으로 차등적인 가중치가 적용될 오브젝트인 타겟오브젝트가 상기 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판단부; 및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존재 여부,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개수 정보, 상기 타겟오브젝트의 면적 비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격자를 이루는 복수 개 격자유닛마다 차등적인 통계정보가 안분되도록 하는 차등화프로세싱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수록된 위치관련정보와 상기 격자유닛의 위치정보 사이의 위치포함 관계, 최단거리 관계, 포함되는 길이 비율 또는 포함되는 너비 비율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이용하는 복수 개 설정알고리즘이 저장된 알고리즘저장부;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선택정보 및 상기 복수 개 설정알고리즘에 대한 제2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선택정보에 해당하는 특성데이터 또는 로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제2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제1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도로명주소정보와 해당 도로명주소정보의 위치정보가 상호 연계된 주소DB가 저장되는 주소DB부;
    상기 주소DB 중 상기 격자화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복수 개 격자유닛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로명주소정보를 추출하는 주소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주소추출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도로명주소정보가 더 포함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처리부는,
    해당하는 도로명주소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격자유닛을 대상으로 도로명주소정보의 비존재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된 프로파일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명주소정보가 상기 격자유닛의 프로파일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싱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격자유닛이 차등적인 방식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20036687A 2022-03-24 2022-03-24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40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87A KR102405033B1 (ko) 2022-03-24 2022-03-24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20059934A KR102417027B1 (ko) 2022-03-24 2022-05-17 격자기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87A KR102405033B1 (ko) 2022-03-24 2022-03-24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934A Division KR102417027B1 (ko) 2022-03-24 2022-05-17 격자기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033B1 true KR102405033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87A KR102405033B1 (ko) 2022-03-24 2022-03-24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20059934A KR102417027B1 (ko) 2022-03-24 2022-05-17 격자기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934A KR102417027B1 (ko) 2022-03-24 2022-05-17 격자기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5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8075A (zh) * 2022-11-30 2023-03-07 国科天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临近空间多载荷数据采集及存储装置
KR102563236B1 (ko) * 2022-12-23 2023-08-03 (주)올포랜드 지리 격자 식별 정보를 활용한 3차원 객체의 통합 id 관리 방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4855B1 (ko) 2023-12-14 2024-08-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is 기반 건물 에너지 사용량 격자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538B1 (ko) * 2019-12-13 2020-06-22 주식회사 토르 드라이브 자율 주행을 위한 효율적인 맵 매칭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517B1 (ko) * 2017-12-29 2020-02-07 (주)헤르메시스 지아이에스(gis) 기반 강우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538B1 (ko) * 2019-12-13 2020-06-22 주식회사 토르 드라이브 자율 주행을 위한 효율적인 맵 매칭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8075A (zh) * 2022-11-30 2023-03-07 国科天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临近空间多载荷数据采集及存储装置
CN115768075B (zh) * 2022-11-30 2023-11-24 国科天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临近空间多载荷数据采集及存储装置
KR102563236B1 (ko) * 2022-12-23 2023-08-03 (주)올포랜드 지리 격자 식별 정보를 활용한 3차원 객체의 통합 id 관리 방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027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033B1 (ko) 격자기반의 객체 지향적 공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1937096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3차원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US10467558B2 (en) Real time map rendering with data clustering and expansion and overlay
CN112287138B (zh) 一种城市信息模型的组织调度方法、装置和设备
Wu et al. An extended minimum spanning tree method for characterizing local urban patterns
US8458188B2 (en) Voxel approach to terrain repositories for modeling and simulation
CN115774861B (zh) 一种自然资源多源异构数据汇聚融合服务系统
US11703352B2 (en) Vector tile pyramiding
KR101876114B1 (ko) 3d 모델링 구현을 위한 단말기, 서버,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3d 모델링 방법
KR20070048709A (ko) 3차원 지도 분배 서버 장치, 클라이언트 단말기 장치 및3차원 지도 분배 시스템
CN104063466A (zh) 虚拟-现实一体化的三维显示方法及系统
US88489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geographic features using viewshed analysis
CN112136130A (zh) 针对虚拟对象的自动许可
Atazadeh et al. Linking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and BIM environment for 3D digital cadastre in multi-storey buildings
KR101809685B1 (ko)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CN115758522A (zh) 一种数字孪生城市管理系统及方法
CN113282692A (zh) 一种智慧城市的大数据共享方法及装置
CN114925043B (zh) 基于时空网格块数据的应用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435823B (zh) 基于网格编码的时空数据服务方法及工业互联网平台
CN114169771A (zh) 区域划分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2103600B (zh) 地图建立方法及地图系统
KR20230138723A (ko) 격자기반의 공간정보 생성 및 제공방법
Nasir et al. Managing Indoor Movable Assets in 3D using CityGML for Smart City Applications
Göbel et al. How to define 3D geoprocessing operations for the OGC web processing service (WPS)? Towards a classification of 3D operations
Uyar et al. A proposal for generalization of 3D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