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34B1 -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34B1
KR102395334B1 KR1020210061870A KR20210061870A KR102395334B1 KR 102395334 B1 KR102395334 B1 KR 102395334B1 KR 1020210061870 A KR1020210061870 A KR 1020210061870A KR 20210061870 A KR20210061870 A KR 20210061870A KR 102395334 B1 KR102395334 B1 KR 10239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assage
passing
opening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도
Original Assignee
박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도 filed Critical 박경도
Priority to KR102021006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34B1/ko
Priority to PCT/KR2022/006820 priority patent/WO2022240214A1/ko
Priority to EP22807861.4A priority patent/EP4371902A1/en
Priority to US18/574,064 priority patent/US202402868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9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the lid, the hinge and the element connecting them to the container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통과 장치는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는 통과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운동부 일단의 자유 회동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된 내용물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A QUANTITATIVE DISCHARGE DEVICE FOR CONTENTS AND CONTAIN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에 수용된 알약, 부품과 같은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는 토출장치와 이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약(pill, tablet), 캡슐 형태의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비타민, 작은 사탕, 화장품, 나사와 같은 소형 부품 등은 작은 고체 덩어리 형태의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함)로 제조되어 용기에 수용된다.
의약품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의 내용물들은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용이나 중독을 막기 위해 정량 복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나사 같은 공구류나 부품도 정량 토출 및 토출 자동 감지를 통해 작업 현장에서 재고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내용물은 소정의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내용물 보관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용물의 섭취나 사용을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마개를 개방한 후 용기 본체를 기울이거나 용기본체 내로 손을 넣어 내용물을 꺼내는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거나 손에 잡히는 대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수요량(需要量)만 간단히 꺼내기가 어렵다.
내용물의 토출을 오류 없이 정확히 조정함으로써 수요량 외의 내용물의 토출을 막아 의약이나 비타민 섭취 시 편의를 도모하고, 정량 복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보관되는 내용물의 관리를 위해 센서를 포함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정량 토출 장치와 수용 용기에 적용되면 정량 토출 감지 및 내용물의 복용 또는 사용의 실시간 자동 데이터화를 통해 데이터 관리 및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적용을 위해서도 내용물 토출장치가 오류 없이 정확히 원하는 양만큼 정량 토출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토출장치들은 사용편의성이 부족하거나 정량 토출에 오류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7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container)로부터 오류 없이 정량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는 내용물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 편의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토출량 제어 정확도가 우수한 내용물의 내용물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는,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고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하는 통과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과운동부는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방부재,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장치가 똑바로 선 상태로부터 임계 경사각도로 기울어는 동안, 토출장치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지도록 상기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상기 회동축에 대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계 경사각도는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재에 접촉할 때의 상기 토출장치의 똑바로 선 상태에 대한 상대 각도이다. 즉, 임계 경사각도는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재에 접촉하여 충격을 가하기 시작하는 각도이다.
상기 고정부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형태의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후 상기 통로부 상단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통과운동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상기 회동축을 원점으로 하는 수평축에 대해 -90도 내지 0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축을 z축이라 할 때, 회동축의 양 단 사이 중간점을 원점이라하고, 이 원점을 포함하는 xy평면을 상정할 수 있다. 이 xy 평면에서 상기 원점에서 수평축을 x축, 수직축을 y 축이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토출장치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회동하는 통과운동부;를 포함한다.
통로부의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통로부의 상단에는 상기 개방부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과운동부는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방부재,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운동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측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로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형태의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는 하부에 내용물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후 상기 통로부 상단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감지부는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를 통과하여 수광부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되는 광량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토출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광부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토출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광부와 발광부는 상기 일측벽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양 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토출 장치는 오류 없이 1회 토출에 내용물이 1개씩만 토출되는 정확도가 우수한 토출 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센싱 및 데이터 관리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별도 에너지 소모 없이 물리적 구조만으로 토출 에러를 줄일 수 있어 성능이 우수한 정량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내용물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와 그에 따른 내용물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에서 2개의 내용물이 연속 토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에 따른 중력 작용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에 따른 중력 작용에 관한 상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가 장착된 내용물 보관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내용물과 토출장치의 자세 변화 및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내용물 토출장치가 장착된 내용물 보관용기의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 보관 용기, 복약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내용물 보관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토출장치가 구비된 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용기본체(110)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통 형상의 수용부(117)와 그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네크부(116)를 가진다. 개구부는 알약이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가 되는데, 용기본체(110)의 상부의 개구부를 막도록 정량 토출장치(100)가 장착되어 일정량의 내용물이 순차로 정량 토출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량 토출장치(100)는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수용부(117)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개방된 개구부(171)를 내부에 가지는 상기 네크부(116)는 상기 용기 본체(117)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용기 뚜껑이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장치(100)는 고정부(120)와 통과운동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0)는 네크부(116)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121)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상기 개구부(171)를 차단하되, 상기 고정부재(121)의 일 영역에는 개방부(122)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122)를 통과해 용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1)의 외주면에는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네크부(116)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과 장치는 용기본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통과장치(100)는 접착, 융착, 끼움 결합, 후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반드시 탈착 가능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의 하부에는 내용물(5)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형태의 통로부(172)와 상기 통로부(172)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18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22), 통로부(172), 안내통로(182) 순서로 대략 일직선 상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내용물은 용기본체를 기울임에 따라 상기 수용부(117)로부터 안내통로(182)를 거쳐 통로부(172)로 이동하고 개방부(12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안내통로(182)의 일측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일 수도 있으나, 별도의 가이드부(18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172)는 상기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에 인접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측벽(170)과,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회동축보유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통과운동부(12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통로부에 배치되어 통로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과운동부(123)는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가 고정된 용기본체의 기울임에 따라 회동하여 내용물의 외부로의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
통과 운동부(123)는 내용물의 중력 작용에 의한 운동에 대응하여 운동하며,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고정부(120)를 개방한다, 통과 운동부(123)는, 고정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23)의 자중, 통과 운동부(123)의 관성,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23)를 누르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통과 운동부(123)의 회전 운동은, 통과 운동부(123)의 회동축(125)의 위치가 중력 방향 측인 하향 방향으로 위치하며, 고정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에 의한, 내용물의 중력 운동 또는 통과 운동부(123)의 개방부재에 대한 내용물의 충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통과 운동부(123)의 회전 운동은 내용물의 자중으로 누름에 따른 운동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 운동부(123)의 무게중심은 통과 운동부(123)의 회동축(125) 위치의 후방인, 통과 장치(100)의 외부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내용물의 이동 경로에서 상류측)에 위치한다.
통과운동부(123)는 상기 개방부(122)에 배치되는 개방부재(124), 개방부재와 연결되고 회동운동의 중심인 회동축(125)을 가지는 회동축부 및 상기 회동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회동축 보유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과운동부(123)는 중력 및 외력에 의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개방부재(124)는 수용 기구가 세워진 정상 상태에서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아 상기 통로부(172)를 하우징(110) 외부에 대해 폐쇄한다. 수용 기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경사진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방부재를 밀면, 상기 개방부재(124)는 회동축(125)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개방부(122)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과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통과운동부(123)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과운동부(123)는 상기 측벽(170)과 함께 정상 상태에서 통로부(172)를 형성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통로부(172)의 세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통과운동부는 일측 벽을 형성하게 된다.
가이드부(190)는 상기 안내통로(182)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은 용기 본체를 기울이면 안내통로(182)를 거쳐 상기 통로부(172)로 유입된 후 상기 통로부 상단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안내통로(182)는 상기 용기 본체(117)의 내벽의 일부분과, 이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180, 190)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는 회동축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서로 연결된다.
정확히 원하는 양만큼의 내용물을 이동과 토출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의 크기 및 각도, 그리고 내용물의 이동 경로의 크기가 설계된다. 예컨대 한 개의 내용물이 정량인 경우, 한 개의 낱개 내용물(전방 통과 내용물, 5)이 통로부(172) 내에서 이동할 때, 다른 낱개 내용물(5, 후방 통과 내용물)이 전방 통과 내용물(5)의 뒤에 위치하여 순차로 이동한다.
막음부재(127)는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막음부재(127)의 절곡부(127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절곡되는 막음부재 절곡부(127b) 각도는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고정부(12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직각에 가까운 가파른 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똑바로 서 있는 보관용기(경사도 0도 상태, 도 4의 (a) 참조)를 90도 이상 기울여 도 4(b)의 상태가 되면, 용기 본체 바닥의 내용물이 안내통로를 따라 통로부로 이동한다. 이 때, 내용물의 이동 통로가 확보되도록 통과운동부의 막음부재(127)가 통로부를 폐쇄하지 않고, 개방부재(124)는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유지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a)에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우측에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있을 경우 통과운동부가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나 고정부재(121)의 일단에 위치한 스토퍼(129)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다. 스토퍼는 고정부재의 개방부(122)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개방부재의 말단과 맞닿아 개방부재가 통로부 측으로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막는다. 스토퍼(129)는 위치와 형상은 상기 기능을 가지도록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b)에서 통과운동부(123)의 무게중심(붉은색 점으로 표시)은 회동축(125)의 연직선(중력방향, 1점쇄선으로 표시) 보다 우측에 위치한다. 회동축을 중심으로 우측에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있을 경우, 통과운동부가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어 막음부재(127)가 통로부를 폐쇄하지 않고, 개방부재(124)는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수용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수용 용기에 강성 고정된 고정부(120)가 함께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 무게중심 위치와 회전중심(125) 위치의 차이에 의해 통과 운동부(123)의 회전 운동이 억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즉, 통과 운동부(123)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회동축(125) 위치에 대해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에 미치는 중력에 의한 토크의 작용에 의해, 고정부가 기울여진 상태에서도 통과 운동부의 막음 부재가 안내부로부터 통로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및 이에 고정된 고정부)가 4(b)보다 더 큰 각도로 기울여지고 보관용기(및 이에 고정된 고정부)가 초기 상태(경사도 0도)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임계 경사각)으로 기울여질 경우, 가장 먼저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한 내용물(선행 내용물, 5)이 이동하여 개방부재에 접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재에 접한 선행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의 후단에서 개방부재(124)를 밀게 된다. 이때, 개방부재(124)의 후단에서 가해지는 내용물의 무게와 운동량에 의한 충격(impact)은 통과운동부(123)의 무게중심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한 시계방향 토크를 이기고 통과운동부(123)를 회동축(1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개방부재(124)의 상기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개방부는 오픈되고 선행 내용물은 보관용기 외부로 토출된다(도 4(d) 참조). 이 때, 통과운동부(123)의 회동에 따라 그 일부인 막음부재(127)도 개방부재와 함께 회동하여 후행 내용물(5)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통로(182)에서 통로부(172)로 진입하려는 후행 내용물(5)의 진입을 차단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운동부(123)의 회동에 따라 선행 내용물이 토출되면서 막음부재(127)가 통로부(172)를 막음에 따라, 후행 내용물(5b)이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통로부(17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후행 내용물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통로를 지나 막음부재(127)에 스트로크를 가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통과운동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용물의 토출 후, 개방부재에 가해지는 선행 내용물의 충격이 소멸되면 통과운동부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돌아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토크를 받지만, 후행 내용물이 막음부재에 무게를 가함으로써 통과운동부는 복귀하지 못한다.
이처럼 경사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후행 내용물이 전방의 막음부재(127)에 스트로크를 가하면서 스토퍼로서 작용하여 통과운동부의 복귀를 막고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도록 함으로써 통로부를 통해 추가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달아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1회 1개씩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보관용기를 원래대로 정상 상태로 서 있도록 기울임을 원상태로 바꾸면 후행 내용물을 포함한 토출되지 않은 내용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모두 하부의 용기 본체(117)로 낙하하여 보관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 메커니즘은 내용물의 정량 토출과 나머지 내용물의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발명자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작동 메커니즘이 적절히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발견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 및 고정부가 똑바로 선 상태(경사각 0도)를 도시한다.
도 5의 (b)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 및 고정부가 90도를 약간 넘는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때, 선행 내용물(5)인 알약이 안내통로에서 통로부로 진입하려는 상태이다. 이때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붉은색 점으로 표시)은 회동축(일점 쇄선 상에 위치)의 우측에 위치하여 통과운동부가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고, 따라서 막음부재(127)가 통로부를 폐쇄하지 않고, 개방부재(124)는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태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및 이에 고정된 고정부)가 더 큰 각도로 기울여지고 보관용기(및 이에 고정된 고정부)가 초기 상태(경사도 0도)로부터 소정의 임계 경사각을 가지게 될 경우, 가장 먼저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한 선행 내용물(5)이 개방부재에 접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에 접하면 개방부재(124)를 밀게 된다. 개방부재(124)의 후단 측에서 가해지는 내용물(5)의 무게에 의한 충격(impact)은 통과운동부(123)를 회동축(1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개방부재(124)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개방부는 오픈되고 선행 내용물(5)은 보관용기 외부로 토출된다(도 5(d) 참조).
그런데, 도 4(c)와 달리 도 5(c)의 후행 내용물은 선행 내용물에 인접하지 않고 상당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내용물의 양이 적거나 임계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 선행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에서 후행 내용물은 안내통로의 입구에 위치하거나 또는 수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d)에 의하면, 통과운동부(123)의 회동에 따라 선행 내용물이 토출되면서 통과운동부(123)의 일부분인 막음부재(127)도 회동하여 통로부(172)를 막는다. 이때, 후행 내용물은 막음부재(127)에 접근하기 전이므로 선행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충격(impact)이 없는 상태에서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운동부(123)의 무게 중심과 회동축의 관계에 의해 통과운동부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5(e)에서 회동축의 우측에 위치한 통과운동부(123)의 무게 중심은 연직방향으로 중력을 받게 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의 경우에는 후행 내용물(5)이 통로부를 막은 막음부재에 바로 충돌하여 스토퍼로 작용함으로써 막음부재의 복귀를 막을 수 있어 추가 토출이 방지된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후행 내용물이 선행 내용물과 상당한 간격을 두고 진입하는 경우에는 도 5(e)와 같이 후행 내용물(5)이 통과부로 진입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고, 그 사이 통과운동부의 회동 복귀에 의해 막음부재(127)는 통로부를 막지 않고 개방된다. 따라서 후행 내용물은 통로부로 바로 진입하고 이후 선행 내용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1회의 정량 토출 직후 추가로 내용물이 토출되므로, 연달아 2개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는 정량 토출 장치에서의 오작동 상태로, 자주 발생하지는 않지만 제품 신뢰도에 문제로 작용한다. 특히 임계 경사각도가 90도 초과 130도 이하로 설계된 경우에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과 회동축의 관계를 이용하여 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6 내지 8은 보관용기 및 고정부의 각도와 그에 따른 통과운동부(123)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에 따른 중력 작용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6에서 상기 회동축(125)을 z축이라 할 때, 회동축부의 양 단 사이 중간점을 원점이라하고, 이 원점을 포함하는 xy평면을 상정할 수 있다. 이 xy 평면에서 상기 원점에서 수평축을 x축, 수직축이 y축이다. 도 6의 통과운동부의 단면은 xy평면에 위치한다. 통로부는 대략 y 축을 따라 위치한다.
도 6에서, (a)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인 0도에서, 통과운동부의 회동축(125)에 대해, 개방부재, 막음부재 및 회동축부를 포함하는 통과운동부(123)의 무게중심은 xy평면에 위치하되 붉은 점으로 표시된다. 회동축(125)의 연직선은 1점쇄선으로 표시되고 여기서는 y축과 동일하다. 이때 통과운동부는 연직 하방의 중력을 받는데, 회동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만큼 떨어진 무게 중심에 가해지는 중력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토크를 생성한다. 이때,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중심이 회동축의 연직선 우측에 존재하므로 시계 방향으로 통과운동부가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개방부재(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지만 이 회전은 스토퍼에 의해 저지되어 6(a)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보관용기를 90도 이상 더 기울이면 내용물은 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여 개방부재에 닿게 된다. 이 각도가 임계 경사각으로 여기서는 예를 들어 대략 130도이다. 즉, 초기 (a) 경사각 0도에서 임계 경사각 130도 상태에 이르기까지, 통과운동부는 하방의 중력을 받는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는다. 별도의 스토퍼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정지되지만, 지속적으로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통과운동부의 막음부재(127)가 통로부를 막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내용물인 알약이 통로부로 진입하여 개방부재(124)의 후면에 도달하게 된다.
즉, 임계 경사각 130도의 상태에서, 통과운동부는 하방 중력을 받는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고 막음부재는 통로부를 막지 않아 내용물은 통로부를 지나 개방부재에 충격(impact)를 가하게 되고 개방부재는 내용물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부를 오픈하고, 내용물은 토출된다.
도 6(c)는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impact를 가하게 되고 개방부가 오픈되어 토출되는 상태에서 토출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붉은 점)은 회동축의 연직선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이 받는 중력에 의해 통과운동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를 받는다. 이경우 선행 내용물이 토출되어 개방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없는 상태에서도 도 6(c)와 같이 통과운동부의 토크에 의해 통과운동부는 원래의 상태, 즉 6(b) 상태로 바로 복귀하지 않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후행 내용물이 선행 내용물과 멀리 위치하여 스토퍼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후행 내용물의 진입을 막음부재가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후행 내용물이 선행 내용물과 인접하게 통로부를 따라 진입하지 않아도 2개의 내용물이 연달아 토출되는 작동 오류를 막을 수 있다.
도 6의 작동 메커니즘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를 비교하여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여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과 회동축의 상관 관계를 중심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토출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보관용기의 기울임 상태에 따른 중력 작용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통과운동부의 종단면을 모식화한 것으로, 동심원의 중심(원점)은 회동축이고, 녹색 점은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도 7의 표를 참조하여, 무게중심이 원점인 회동축에 대해 각기 1 내지 4 사분면에 위치한 경우의 토크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의 표에서 각 동심원은 원점을 중심으로 우측 상단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사분면, 2사분면, 3사분면, 4사분면으로 나눠어진다.
도 7의 (a)는 경사도 0도 즉, 토출 장치가 장착된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 즉 도 6의 (a)와 같은 상태로서, 이때의 회동축과 무게 중심의 상대적 위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경사도 90도, 도 7(c)는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접촉하여 충격을 가하는 임계 경사각도로 경사진 상태, 도 7(d)는 토출장치와 보관용기가 경사도 180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의 표에서 1번은 경사도 0도에서 무게중심이 원점인 회동축에 대해 1 사분면에 위치한 경우이다. 1번의 (a)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인 0도에서, 통과운동부(123)의 무게중심(녹색 점)이 회동축(125)을 원점으로 했을 때 우측 상단인 1사분면에 위치한다. 7-1(a)에서 중력이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것을 붉은 색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7-1(a)에서 회동축(원점) 우측 상부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가 작용하고 이에 의해 막음부재는 통로부를 막지 않은 채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7-1(b)에서 토출장치가 9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회동축(원점) 좌측에 무게중심이 위치하여 중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가 작용하고 이에 의해 막음부재는 통로부를 막게 되며, 이는 임계각도인 7-1(c)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90도 경사부터 임계 경사각에 이르기까지 통로부가 막음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내용물이 통로부로 진입할 수 없다. 그러므로 7-1과 같이 경사도 0도에서 무게중심이 1사분면에 있을 경우 통과운동부는 내용물 통과를 위해 작동할 수 없는 구조이다.
7-2의 경우 경사도 0 내지 90도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력이 작용하여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게 되고, 이후 임계 경사각에서는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임의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한다. 내용물이 통로부로 진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7-2와 같이 2사분면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경우도 내용물 통과를 위해 적절하지 않은 구조이다.
7-3의 경우 무게중심이 3사분면에 있고, 경사도 0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력이 작용하여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게 되지만, 이후 90도 내지 임계 경사각에서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지 않는다. 그러므로 90도 경사 이전에 내용물의 통로부 진입이 가능하고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하여 통과운동부가 회동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다. 그런데 임계 경사각도에서 내용물이 통과운동부에 충격을 가하여 통과운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d) 180도 경사 또는 그에 가까운 경사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무게중심은 원점의 우측 상부에 위치하므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통과운동부에 작용한다. 따라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즉시 통과운동부에 미치는 외력은 중력 뿐이므로 시계 방향으로 바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도 5(e)와 같은 결과로서 선행 내용물 토출 즉시 통로부를 즉시 개방하게 되어 후행 내용물이 상당한 간격으로 진입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내용물이 연속 토출된다. 따라서 7-3은 1회 정량 토출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7-4는 경사도 0에서 무게중심이 4사분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0도 내지 임계각에 이르기까지는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원점의 우측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지 않아 내용물이 통로부에 진입하여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임계 경사각도에서 내용물이 통과운동부에 충격을 가하여 통과운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d) 180도 경사 또는 그에 가까운 경사도에 이르게 된다(7-4(d) 참조). 이때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2사분면에 위치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선행 내용물 토출에 의해 통과운동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도록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후행 내용물이 막음부재 쪽으로 접근하는 동안 유지된다. 후행 내용물이 막음부재를 치게 되면 스토퍼로 작용하므로 연속적인 내용물 토출 없이 정량 토출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원점인 회동축에 대해 4사분면에 위치한 경우 토출장치를 기울이는 것 만으로도 오류 없는 정량 토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7-4의 경우(동심원의 우측 수평축을 기준으로 -90도 초과 0도 미만인 경우)를 보다 세밀하게 검토한다.
도 8은 통과운동부의 회동을 회동축(원점), 무게 중심(초록색 점)에 초점을 두고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 7-4와 동일한 메커니즘을 가진다.
도 8 (a)는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인 0도에서, 통과운동부(123)의 무게중심이 회동축(125)을 원점으로 했을 때 수평면(x)을 기준으로 각도 a (°)에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한다. -90도<a<0도 이다. 즉,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4사분면에 위치하여야 한다.
도 8(b), 8(c)는 각기 90도, 임계 경사각(C, 예를 들어 130도)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b), 8(c)에서 무게 중심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각기(90+a)°, (C+a )°이다. C는 내용물이 토출되기 시작하는 임계각도로서, 도 8(a)의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에 대해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impact를 가하기 시작하는 때의 보관용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 C는 90° 초과 145° 미만일 수 있다.
도 8(b)에서 막음부재는 통로부를 막지 않아 내용물의 통로부 진입이 가능하려면 통과 운동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토크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0°<a+90 <90°이어야 하므로, -90°< a <0°이다.
도 8(c)의 임계 경사각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토크를 받을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내용물의 통로부 진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가 임계 경사각 만큼 회전했을 때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1 또는 4사분면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90° < C <180°이므로, 0°<a+C <180°이다. 90° < C <180°이고, -90°< a <0°이므로 a+C는 4사분에는 있을 수 없고 1사분면에 있게 된다.
따라서 0°<a+C <90°이므로, -C < a <90-C 이고 -90°< a <0°를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C=130도일 경우, -130°< a <-40°와 -90°< a <0°를 동시에 만족해야 하므로, -90°< a <-40°이어야 한다.
이를 일반화하면, -90°< a <90-C °이고, 여기에서 90° < C <180°이다.
임계 경사각도에서, 내용물이 개방부재를 쳐서 충격을 가하면 통과운동부는 추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통과운동부의 최대 회전각도 M은 기준인 경사도 0에 대해 10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M은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했을 때 통과운동부가 그 충격에 의해 회전하는 최대 각도이다. 이 최대 각도의 기준은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상태에서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한 각도이다.
도 8(d)에서 바람직하기로는 110° <M ≤180° 일 수 있고, 무게 중심의 회전 각도는 20° <a+M <180°일 수 있다. 선행 내용물과 후행 내용물이 큰 거리를 두고 위치한 경우에도 내용물의 연속 토출을 막기 위해서는 통과운동부가 선행 내용물 토출 즉시 복귀되지 않고 그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 따라서 무게중심이 원점의 좌측에 위치하여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는 90° <a+M <180° 이어야 한다.
정리하면, -90°< a <90-C °이고, 여기에서 90° < C <180°이다.
또한 90° <a+M <180° 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90-M < a < 180-M 이어야 하는데 C < M 이고, 100°<M ≤ 180°이어야 하므로, 90-M < a <90-C 이다. 예를 들어, C=120도 이고, M=170도 일때, -80 < a <-30 이다.
M의 값이 예를 들어 M=130이고, C= 100인 경우, -40<a<-10 된다. 이를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90-M <a < 0이고, C <M =< 180°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도 계산의 기준이 되는 축은 x축이다. 도 7에서 C=130도, M=175도이다. 따라서, 90-175 < a <90-130으로, -85 < a < -40 인데, 도 9(a)에서 a=-75도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범위에 속한다. 이로 인한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9(a)에서 무게중심은 붉은 점으로 표시도고, 회동축(125)의 연직선(일점 쇄선)에 대해 15도 위치에 배치된다. 정확히는 기준축(x)에 대해 -75도에 위치하므로. a=-75이다. 여기서 기준축에 대해 토출장치 및 통과운동부는 0도의 각도를 가지며, 개방부재(124)는 기준축에 대해 5도의 각도를 가진다. 개방부재가 x 축에 대해 5도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때의 경사도를 0도로 한다.
9(b)는 임계 경사각도로 경사진 토출장치 및 통과운동부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임계 경사각도 C=130도이다.
9(b)에서 임계 경사각은 130도이고, 무게 중심은 a+130=-75+130=55도에 위치하여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통과운동부에 작용하여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9(c)에서 내용물이 개방부재를 밀고 통과운동부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내용물이 토출된다.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가하는 충격에 의해 통과운동부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기준축에 대해 175의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한 상태이다. 이 때,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은 a+175=-75+175=100도로 2사분면에 위치하여 통과운동부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를 받게 된다. 따라서, 통과운동부는 내용물 토출 후에도 바로 원상 복귀하지 않고 그 위치에 유지된다.
즉, 선행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용물에 의한 충격이 개방부재에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도 통과운동부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원하지 않게 내용물이 연달아 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9(d)는 내용물 토출 후에도 토크에 의해 통과운동부가 원상 복귀하지 않는 동안 후행 내용물이 막음부재를 향해 이동하여 막음부재 후면으로부터 충격을 가함으로써 스토퍼로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처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내용물의 연속적 토출을 방지하여 정량 배출을 보장한다.
이러한 무게 중심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하기 위해 통과 운동부(123)는 평형부(123b), 개방부재(124), 막음부재(127)의 형상 및 각도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토출장치
110: 용기본체
117: 수용부
123; 통과 운동부

Claims (8)

  1. 내용물을 수용하는 보관용기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토출장치로서,
    상기 토출장치를 보관용기에 고정하고,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하는 통과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형태의 통로부를 가지고, 통로부의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과운동부는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개방부재, 상기 개방부재와 연결되고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축을 가지는 회동축부 및 상기 회동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용기와 토출장치가 똑바로 선 경사도 0도 상태로부터 임계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질 때 상기 내용물은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후 상기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해 회동시켜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여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임계 경사각도는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재에 접촉할 때의 상기 토출장치의 똑바로 선 경사도 0도 상태에 대한 상대 각도이고,
    90-M < a < 90-C 이고,
    여기에서 a는 회동축의 중간을 원점으로 했을 때 상기 토출장치가 똑바로 선 경사도 0도 상태에서 원점에 직교하는 평면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각도이고, C는 통과운동부의 임계 경사각도이고, M은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했을 때 통과운동부가 그 충격에 의해 회전하는 최대 각도이고,
    C < 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로부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후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통과운동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가 똑바로 선 경사도 0도 상태에서 통과운동부의 무게중심이 회동축을 원점으로 하는 4사분면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장치의 경사도 0도에서 임계 경사각도에 이르기까지는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원점의 4 사분면과 1 사분면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지 않아 내용물이 통로부에 진입하여 개방부재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임계 경사각도에서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스트로크를 가하여 통과운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토출장치의 추가 경사 없이 통과운동부의 최대 회전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최대 회전 상태에서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2사분면에 위치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내용물 토출에 의해 통과운동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도록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보관용기의 네크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고정부재는 네크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되, 상기 고정부재의 일 영역에는 상기 개방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6.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네크부를 포함하는 보관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 또는 네크부에 결합되는 제1항의 토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상기 보관용기의 경사도에 따라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임계 경사각도에서 상기 내용물이 개방부재를 스트로크하여 통과운동부가 상기 회동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가 똑바로 선 경사도 0도에서, 상기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이 상기 회동축을 원점으로 하는 수평축에 대해 -90도 내지 0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임계 경사각도에서 내용물이 개방부재에 스트로크를 가하여 통과운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토출장치의 추가 경사 없이 통과운동부의 최대 회전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최대 회전 상태에서 통과운동부의 무게 중심은 2사분면에 위치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내용물 토출에 의해 통과운동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막음부재가 통로부를 막도록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KR1020210061870A 2021-05-13 2021-05-13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KR10239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70A KR102395334B1 (ko) 2021-05-13 2021-05-13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PCT/KR2022/006820 WO2022240214A1 (ko) 2021-05-13 2022-05-12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및 내용물 관리 시스템
EP22807861.4A EP4371902A1 (en) 2021-05-13 2022-05-12 Device for discharging fixed quantity of content, storage container having same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8/574,064 US20240286820A1 (en) 2021-05-13 2022-05-12 Device for discharging fixed quantity of content, storage container having same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70A KR102395334B1 (ko) 2021-05-13 2021-05-13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334B1 true KR102395334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70A KR102395334B1 (ko) 2021-05-13 2021-05-13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286820A1 (ko)
EP (1) EP4371902A1 (ko)
KR (1) KR102395334B1 (ko)
WO (1) WO20222402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214A1 (ko) * 2021-05-13 2022-11-17 박경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및 내용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205A (ja) * 2006-05-30 2007-12-13 Yoshino Kogyosho Co Ltd 錠剤容器
JP2008239204A (ja) * 2007-03-28 2008-10-09 Shinko Chemical Co Ltd 錠剤容器の中栓
KR100993722B1 (ko) * 2002-11-14 2010-11-1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정제 디스펜서
KR20170091500A (ko) * 2016-02-01 2017-08-09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091521A (ko) * 2016-02-01 2017-08-09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357A (ko) * 2016-10-29 2018-05-10 박서준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102157445B1 (ko) * 2019-12-17 2020-09-17 박경도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34B1 (ko) * 2021-05-13 2022-05-09 박경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722B1 (ko) * 2002-11-14 2010-11-1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정제 디스펜서
JP2007319205A (ja) * 2006-05-30 2007-12-13 Yoshino Kogyosho Co Ltd 錠剤容器
JP2008239204A (ja) * 2007-03-28 2008-10-09 Shinko Chemical Co Ltd 錠剤容器の中栓
KR20170091500A (ko) * 2016-02-01 2017-08-09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091521A (ko) * 2016-02-01 2017-08-09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357A (ko) * 2016-10-29 2018-05-10 박서준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102157445B1 (ko) * 2019-12-17 2020-09-17 박경도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214A1 (ko) * 2021-05-13 2022-11-17 박경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및 내용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86820A1 (en) 2024-08-29
EP4371902A1 (en) 2024-05-22
WO2022240214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445B1 (ko)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KR100582610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JP6502321B2 (ja) 薬剤分配容器
KR102395334B1 (ko) 내용물의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관용기
US8386073B2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NO335046B1 (no) Pulverinhalator
KR101874328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0414576B2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US20180105300A1 (en) Medicine dispensing cassette
EP3594147B1 (en) Device for unitary dosage of tablets or pills
US20080217355A1 (en) Small item dispenser
JP4653392B2 (ja) 錠剤計量容器
KR201700915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20180089924A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JP6725681B2 (ja) 錠剤用ディスペンサ
JPH11208746A (ja) 錠剤容器
US20240180783A1 (en) Tablet dispenser
KR200194204Y1 (ko) 조제용 의약품 투약장치
KR20210006048A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CN118579386A (en) Pass-through device, content container provided with pass-through device,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judging whether content is discharged
KR20240030112A (ko) 제형 토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JP3981372B2 (ja) 回転盤式硬貨送出装置
KR200205710Y1 (ko) 조제용 의약품 투약장치
KR20090008882U (ko) 약제 포장장치용 호퍼
KR20240030111A (ko) 제형 토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