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06B1 -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406B1
KR102389406B1 KR1020150174285A KR20150174285A KR102389406B1 KR 102389406 B1 KR102389406 B1 KR 102389406B1 KR 1020150174285 A KR1020150174285 A KR 1020150174285A KR 20150174285 A KR20150174285 A KR 20150174285A KR 102389406 B1 KR102389406 B1 KR 10238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aint
stress value
weld
state stres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533A (ko
Inventor
김성민
전유철
성우제
천광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4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용접부 구속도의 평가를 위한 복수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호출하는 부재 정보 호출 단계; 호출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는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 및 상기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용접부의 구속도를 도출하는 구속도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구속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하여 맞대기 용접부는 물론 필렛 용접부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구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Welding Restraint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용접부의 구속도를 도출하여 적정 용접 조건 선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온 균열(Cold Crack) 혹은 지연 균열(Delayed Crack)은 강의 용접부가 200℃ 이하의 비교적 저온으로 냉각되고 난 후에 발생하여 진전되는 균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실온까지 냉각된 후에 수 시간에서 수십일 후에 균열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저온 균열은 300℃ 이하에서 바로 발생되거나 용접부의 응고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되는 것을 지칭하며, 48시간 이후에 발생되는 균열을 지연 균열이라고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고장력강에서는 강도가 크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합금원소의 함유량이 증가된다. 합금원소의 함유량은 그 양이 증가될수록 용접부의 경도가 높게 형성되도록 전반적인 용접성 열화가 이루어지는바, 결국 저온 균열이나 지연 균열이 발생될 여지가 높아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저온 균열은 경화 조직, 확산성 수소량, 수축이나 응력 집중 등의 잔류 응력의 영향에 의하여 발생하며, 균열이 입계 내부를 관통한다. 이러한 저온 균열은 용접부의 구속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용접부의 구속도가 높을수록 저온 균열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바, 정량적인 구속도의 평가 방법을 바탕으로 구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구속도를 바탕으로 저온 균열 감수성과의 상관 관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종래에도 맞대기 용접부나 필렛 용접부에서의 구속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된바 있다.
종래에 알려진 구속도의 평가방법은 주로 맞대기 용접부를 이용한 실험 방법 및 수치해석적 정량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된 비특허 문헌으로는 'Analysis of Welded Structures, Koich Matsubuchi , 1980, Pergamon Press' 등이 있으며, 종래의 수치해석적 정량화는 Membrane Restraint(막 구속도)에 관한 것으로 'MPa/mm' 혹은 'N/mm'의 단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필렛 용접부에서의 구속도는 용접에 의한 판의 회전각과 모멘트를 이용한 Bending Restraint(굽힘 구속도)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실험 방법으로는 Bending Restraint Welding Cracking Test(BRC-test) 등이 있으며, 비특허 문헌으로는 'Effect of Intensity of Bending Restaint on Welding Cracking in Multipass Weld, K. Satoh et al. Transaction of the Japan Welding Society, 1977' 등이 있고, 정량화의 단위로는 'M/θ', 'kg·mm/mm·rad'를 사용하였다.
즉, 구속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이 맞대기 용접부와 필렛 용접부에 달리 적용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Membrane Restraint(막 구속도)와 Bending Restraint(굽힘 구속도)의 단위가 서로 달라 실제로 용접부에 적용하는 두 구속도를 상호 변환하거나 비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필렛 용접부에 대한 구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특별한 정량화 없이 자체적인 시험편을 고안하여 실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4628호 (2006. 10. 09.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6195 (2014. 12. 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접부의 구속도를 단위가 없는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하여 맞대기 용접부는 물론 필렛 용접부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평가변수를 고려하여 구속도 평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현장에서의 적정 용접 조건 선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은 용접부 구속도의 평가를 위한 복수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호출하는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호출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는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및 상기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용접부의 구속도를 도출하는 구속도 도출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부재별 파라미터로 상기 시편 부재는 노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부재는 각장 또는 각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를 바탕으로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복수의 시편 부재간의 루트 갭(Root Gap)을 고려하여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의 비율에 기초하여 구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Figure 112015120194041-pat00001
에 의하여 구속도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속도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은 용접부 구속도의 평가를 위한 복수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호출하는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호출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는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상기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용접부의 구속도를 도출하는 구속도 도출 단계(S300); 및 도출된 구속도를 바탕으로 저온 균열을 예측하는 저온 균열 예측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은 용접 입열에 의한 수축을 기계적인 압축 하중에 의한 수축으로 치환하여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용접부의 구속도를 단위가 없는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하여 맞대기 용접부는 물론 필렛 용접부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여 구속도 평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로 루트 갭(Root Gap)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구속도의 평가가 가능하다.
한편, 용접부 구속도와 저온 균열의 상관 관계를 데이타화하여, 도출된 구속도를 바탕으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가 가능한 바, 현장에서의 적정 용접 조건 선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드 부재의 스트레스값과 저온 균열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유상태의 부재별 파라미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속상태의 부재별 파라미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우선,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및 구속도 도출 단계(S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는, 용접부 구속도의 평가를 위한 복수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호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부재는 용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시편 부재와 상기 시편 부재를 용접 결합함에 따라 그 결과물로 형성되는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각각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에 대한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바탕으로 이후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및 구속도 도출 단계(S300)가 진행된다.
이후에 진행되는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호출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용접방식은 맞대기 용접과 필렛 용접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맞대기 용접은 두 단면을 상호 용접하는 방식으로 두 단면이 형성하는 형상에 따라 I형, V형, X형 등이 있다. 또한, 필렛 용접은 흔히 T 용접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면에 일측 단면을 상호 용접하는 방식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은, 시편 부재와 용접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비드 부재 자체가 지니는 수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기계적인 응력값으로 치환하여 산출한다.
상기 자유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기 위하여 비드 부재는 파라미터로서 각장 또는 각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후술할 시편 부재의 노드를 고려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부재의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은, 시편 부재와 용접 결합이 이루어진 후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의 결합에 의하여 산출되는 기계적인 응력값을 의미한다.
상기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기 위하여 시편 부재는 노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의 상호 결속을 전제로 도출되는 파라미터로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의 이상적인 결절점으로 정의한다.
한편, 상기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복수의 시편 부재간의 루트 갭(Root Gap)을 고려하여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할 수 있다.
루트 갭은 복수의 시편 부재간에 형성되는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용접 결합력의 충분한 확보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동일한 시편 부재를 용접 결합을 통하여 동일한 비드 부재를 형성하더라도, 루트 갭에 의하여 구속도가 달라질 수 있기에 이를 변수로 고려하여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의 비율에 기초하여 구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부에 작용하는 수축력을 기계적인 하중으로 치환하여 자유상태 및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는바, 이를 바탕으로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추가적으로 시편 부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구속력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속도는 자유상태 스트레스와 구속상태 스트레스의 비율에 기초하여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구속도를 단위와 무관하게 0과 1 사이의 상수로 표출하여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도는 하기된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120194041-pat00002
본 발명의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은 상기 수학식 1을 바탕으로 용접부의 구속도를 단위가 없는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하여 맞대기 용접부는 물론 필렛 용접부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속도를 이용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 방법은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구속도 도출 단계(S300) 및 저온 균열 예측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및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용접부의 구속도 평가 방법과 실질적으로 그 내용이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구속도 평가 방법(S100 내지 S300)과 저온 균열 예측 단계(S400)는 그 시계열적인 순서가 바뀔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온 균열 예측 단계(S400)는 도출된 구속도를 바탕으로 저온 균열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구속도와 저온 균열의 상관 관계를 데이타화할 수 있다. 이때,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구속도를 바탕으로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가 가능한 바, 현장에서의 적정 용접 조건 선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속도에 따른 저온 균열의 상관 관계를 데이타화하기 위하여 용접 후 48시간 이후에 저온 균열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절단면 단면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용접부를 확대하여 비드 부재의 종균열 여부를 확인하고, 균열 발생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PT 테스트를 통하여 침투액과 현상액을 사용하여 육안식별이나 현미경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 추가적인 확인을 통하여 저온 균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0:부재 정보 호출 단계 S200:스트레스값 산출 단계
S300:구속도 도출 단계 S400:저온 균열 예측 단계

Claims (6)

  1. 용접부 구속도의 평가를 위한 복수의 시편 부재와 비드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별 파라미터 및 각각의 요소값을 호출하는 부재 정보 호출 단계(S100);
    호출된 부재별 파라미터 및 요소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각각 산출하는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 및
    상기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에 기초하여 용접방식에 따른 용접부의 구속도를 도출하는 구속도 도출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부재별 파라미터로 상기 시편 부재는 노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부재는 각장 또는 각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를 바탕으로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값 산출 단계(S200)는,
    복수의 시편 부재간의 루트 갭(Root Gap)을 고려하여 비드 부재의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자유상태 스트레스값과 구속상태 스트레스값의 비율에 기초하여 구속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도 도출 단계(S300)는,
    Figure 112015120194041-pat00003

    에 의하여 구속도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6. 삭제
KR1020150174285A 2015-12-08 2015-12-08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KR10238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85A KR102389406B1 (ko) 2015-12-08 2015-12-08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85A KR102389406B1 (ko) 2015-12-08 2015-12-08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33A KR20170067533A (ko) 2017-06-16
KR102389406B1 true KR102389406B1 (ko) 2022-04-21

Family

ID=5927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285A KR102389406B1 (ko) 2015-12-08 2015-12-08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646A (ja) * 2003-08-25 2005-03-17 Toshiba Corp 溶接構造物の変形、残留応力推定方法およびその推定装置
JP4419802B2 (ja) * 2004-10-29 2010-02-24 株式会社Ihi 溶接継手部の残留応力の解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628B1 (ko) 2004-11-09 2006-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편면 맞대기 자동 용접 시작부의 종균열 방지를 위한 부분 구속 비이드 형성방법
KR101320207B1 (ko) * 2012-02-28 2013-10-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맞대기 용접부 저온 균열 감수성 평가방법
KR20140006195U (ko) 2013-05-31 2014-12-10 하은정 맞대기 용접용 모재 구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646A (ja) * 2003-08-25 2005-03-17 Toshiba Corp 溶接構造物の変形、残留応力推定方法およびその推定装置
JP4419802B2 (ja) * 2004-10-29 2010-02-24 株式会社Ihi 溶接継手部の残留応力の解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33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i et al. A structural strain parameter for a unified treatment of fatigue behaviors of welded components
García et al. Estim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lic materials by means of the small punch test
Muransky et al. The effect of plasticity theory on predicted residual stress fields in numerical weld analyses
JP6179356B2 (ja) 溶接部の破断ひずみの予測方法、予測システム、及び、溶接部を備えた部材の製造方法
JP2010110820A (ja) 再熱割れ感受性の判定方法
JP6119451B2 (ja) 薄板レーザ溶接部の疲労寿命予測方法
US10908055B2 (en) Evaluation of applications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techniques
Nykänen et al. Fatigue strength prediction of ultra high strength steel butt‐welded joints
Chen et al. Effects of residual stress on creep damage and crack initiation in notched CT specimens of a Cr–Mo–V steel
Al-Karawi et al. Fatigue life extension of existing welded structures via high frequency mechanical impact (HFMI) treatment
Karakaş et al. On the use of a fictitious notch radius equal to 0.3 mm to design against fatigue welded joints made of wrought magnesium alloy AZ31
Bartsch et al. Fatigue analysis of welds and bolts in end plate connections of I-girders
Muránsky et al. Evaluation of a self-equilibrium cutting strategy for the contour method of residual stress measurement
JP5742755B2 (ja) 溶接部の破断ひずみの予測方法、予測システム、及び溶接部を備えた部材の製造方法
Anes et al. Minimum Circumscribed Ellipse (MCE) and Stress Scale Factor (SSF) criteria for multiaxial fatigue life assessment
Frendo et al. Fatigue life assessment of welded joints under sequences of bending and torsion loading blocks of different lengths
Wei et al. Traction stress-based fatigue failure mode identification of load-carrying welded cruciform joints
JP5038113B2 (ja) 構造物の破壊評価方法
Lautrou et al. Fatigue crack initiation life estimation in a steel welded joint by the use of a two‐scale damage model
Björk et al. 4R method for consideration of the fatigue performance of welded joints-background and applications
Caprili et al. Evaluation of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eel bars by non-destructive Vickers micro-hardness tests
KR102389406B1 (ko) 용접부 구속도 평가 방법
Naib et al. Crack driving force prediction in heterogeneous welds using Vickers hardness maps and hardness transfer functions
Manai A framework to assess and repair pre-fatigued welded steel structures by TIG dressing
Steppan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s on cold cracking avoidance in fillet welds of high-strength st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