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07B1 -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 Google Patents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6307B1 KR102386307B1 KR1020200032377A KR20200032377A KR102386307B1 KR 102386307 B1 KR102386307 B1 KR 102386307B1 KR 1020200032377 A KR1020200032377 A KR 1020200032377A KR 20200032377 A KR20200032377 A KR 20200032377A KR 102386307 B1 KR102386307 B1 KR 102386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foundation
- abdominal
- lower body
- butt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남성용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된다.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includes an abdominal foundation part having a body correction function by wrapping the user's abdomen to keep the user's abdomen warm, and a lower body foundation part located under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wrapping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the upper end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The banding part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re manufactured by a seamless method.
Description
실시예들은 남성용 보정 속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남성용 보정 속옷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men's correction underwear, and more particularly, to men's correction underwear including an abdominal foundation unit having a body correcting function and warming the user's abdomen, and a lower body foundation unit covering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최근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체형 보정을 위해 보정 속옷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복대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감싼다. 다만, 이러한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상승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Recently, correction underwear is being sold to correct the body shape of men as well as women. The correction underwear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of a belly band so as to surround the user's abdomen, and wraps the user's abdomen. However, the correction underwear may increase the pressure on the user's abdomen and threaten the user's health.
복대의 형상을 갖는 상술한 보정 속옷은 체형 보정의 효과를 복부에만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underwear having the shape of a belly band can provide the effect of body shape correction only to the abdomen, and cannot efficiently provide the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for a part required by the user.
따라서,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 전신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보정 속옷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으며, 특히 남성용 보정 속옷 중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보정 속옷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new correction underwear that can improve the pressure on the user's abdomen and provide a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for the user's whole bod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orrectional undergarments that can be optionally provided.
실시예들은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남성용 보정 속옷을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 male corrective underwear that can provide a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for a predetermined part of the body.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기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된다.Men's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bdominal foundation unit that wraps the user's abdomen to keep the user's abdomen warm and has a body correction function; and a lower body foundation part located under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but, at an upper end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 bending par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The foundat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re manufactured by a seamless method.
상기 밴딩부의 탄성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탄성보다 높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상부 말단이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ity of the bending part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bending part may prevent the upper end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from flowing down from the user.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전방에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를 감싸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피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생리 현상 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상기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The lower body foundation unit includes: an outer skin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user's body parts can be exposed in the front, and an endothelium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and surrounding the user's body pa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othelium is attached to the outer skin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may be deformed so that the local body portion of the user can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during the user's physiological phenomenon.
상기 외피를 구성하는 제 1 소재와 상기 내피를 구성하는 제 2 소재는 서로 상이한 소재이되, 상기 제 2 소재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메쉬(mesh) 소재일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and the second material constituting the endothelium may b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a mesh material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ser's body parts.
상기 밴딩부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사용 시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에 함침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밴딩부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와 상기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밴딩부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lastic control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bending unit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bdominal foundation unit, the elastic control unit is exposed from the abdominal foundation unit during use, and is impregnated into the abdominal foundation unit after use, and the elastic control unit is the bending It may include a first elastic adjusting part surrounding the first outer periphery of the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adjusting part surrounding the second outer periphery of the bend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peripher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수용부는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둔부 패드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할 수 있다.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includes a buttocks cover that surrounds the user's buttocks at the rear, and a pad receiving part capable of inserting a buttock pa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ser's buttocks is formed inside the buttocks cover, and the pad receiving part is the lower body The buttock pads may be individually insertable by being formed in pair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oundation part.
상기 둔부 커버가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 개폐 장치가 상기 둔부 커버와 상기 패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둔부 커버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buttock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allow the buttocks cover to open and close the pad receiving part is formed between the buttocks cover and the pad receiving part, and the buttock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nap button, a hook, a zipper, and a Velcro tape. can do.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한다.The correction underwear for m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abdominal foundation unit having a body correcting function and warming the user's abdomen, and a lower body foundation unit located below the abdominal foundation unit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복부 파운데이션부는 사용자의 신체 중 복부를 감싸 복부를 보온하는 동시에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 사용자의 둔부 및 다리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covers the abdomen of the user's body to keep the abdomen warm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body correction effect for the abdomen,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wraps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to provide a body correction effect for the buttocks and legs of the user. can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의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남성용 보정 속옷을 착용하더라도 이물감이 없으며, 보정 속옷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효율적으로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of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manufactured by a seamless method.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wears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there is no foreign body feeling, and since it is not exposed on the outer garment outside the correction underwear, the wear can be effectively concealed.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은 또한 둔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의 삽입을 선택하고, 둔부 패드의 삽입에 따라 둔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men's corrective undergar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also include a buttock cover. A pad receiving part into which a buttock pa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ser's buttocks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side the buttocks cover. The user may select insertion of the buttock pad and receive a body correction effect for the buttock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buttock pad.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improve the pressure on the user's abdomen, and may selectively provide a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for a predetermined part of the body.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보정 속옷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의 활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의 또 다른 활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of men's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ner surface of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shown in FIG. 1 .
FIG. 3 is a rear view of the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4 is a rear view of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shown in FIG.
6 is a front view of men's correction under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men's correction underwear shown in FIG.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s,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embodiment' is an arbitrary division for easy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ach of the embodiments is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mponent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component extends along one axis of the component, wherein one axis of the component extends longer than the other axis transverse to the one axis. It can mean the direc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en's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은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를 포함한다.The men's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은 신축성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성용 보정 속옷(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신체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en's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보온 기능을 갖거나 발열 기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115)가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밴딩부(115)의 탄성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탄성보다 높을 수 있다. 밴딩부(115)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e upper end of the
즉, 밴딩부(115)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에게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밴딩부(115)의 탄성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에게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싼다. 즉,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남성의 생식기 및 다리 일부를 감싸는 팬티의 형상일 수 있다.The lower
하체 파운데이션부(120) 중 사용자의 다리 일부를 감싸는 부분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무릎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둔부로부터 무릎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되는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연장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보온 및 보정 효과가 제공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다.The length of a portion of the lower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또한 심리스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가 심리스 공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남성용 보정 속옷(100)을 이물감 없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공법에 의하여 보정 속옷(100)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보정 속옷(100)의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As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inner surface of the men'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을 뒤집었을 때의 정면도이다. 즉, 도 2에서 외측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부분은 사용자가 남성용 보정 속옷(100)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내측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부분은 사용자가 남성용 보정 속옷(100)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inner surface of the men's
일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전방에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1211)가 형성된 외피(121) 및 외피(121)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 국부를 감싸는 내피(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외피(121)에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1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생리 현상 시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관통부(1211)를 통과할 수 있다. The
내피(122)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와 접촉할 수 있다. 내피(122)의 적어도 일부는 외피(121)에 부착되며 내피(122)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관통부(121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내피(122)는 변형된 후 다시 복원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내피(122)의 모서리 중 일부만이 외피(1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 시 내피(122)를 파지하여 가압함으로써 변형시킬 수 있다. 내피(122)가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의 국부는 내피(122)를 지나쳐 외피(121)로 접근할 수 있으며, 외피(121)의 관통부(1211)를 통과하여 보정 속옷(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For example, only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외피(121)를 구성하는 제 1 소재와 내피(122)를 구성하는 제 2 소재는 서로 상이한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제 2 소재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메쉬(mesh) 소재일 수 있다. 외기는 외피(121)의 관통부(1211)를 통하여 내피(122)의 메쉬 소재를 통과할 수 있다. 외기가 내피(122)의 메쉬 소재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국부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국부 부분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constituting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보정 속옷(100)의 배면도이다.FIG. 3 is a rear view of the
일 실시에에 관한 보정 속옷(100)에서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116)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시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될 수 있다.In the
탄성 조절부(116)는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하여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복부에 대한 압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해 밴딩부(115)의 탄성을 상승시킴으로써 복부 파운데이션부(110)가 보다 긴밀하게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해 밴딩부(115)의 탄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복부 파운데이션부(110)가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시키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하게 보정 속옷(100)을 착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can reduce the pressure that the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시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조절하기 위해 탄성 조절부(116)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이후 탄성 조절부(116)를 통하여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The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후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사용한 후 탄성 조절부(116)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 조절부(116)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탄성 조절부(116)는 탄성 조절부(116)를 고정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탄성 조절부(116)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된 후, 밴딩부(1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 조절부(116)를 고정할 수 있다.The
탄성 조절부(116)는 밴딩부(115)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116a)와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밴딩부(115)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밴딩부(115)의 제 1 외주와 제 2 외주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이격 거리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이격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밴딩부(115)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를 덮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The first outer periphery and the second outer periphery of the bending
제 1 탄성 조절부(116a)는 밴딩부(115)의 제 1 외주를 감싸 제 1 외주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고, 제 2 탄성 조절부(116b)는 밴딩부(115)의 제 2 외주를 감싸 제 2 외주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탄성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보정 효과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복수 개로서, 탄성 조절부의 개수는 상술한 2 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활용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rear view of the men's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에서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125)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200)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men's
둔부 커버(125)는 패드 수용부(126)를 개폐하며, 사용자는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에는 형성된 둔부 커버(125)를 통하여 패드 수용부(126)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를 개방함으로써 패드 수용부(126)에 접근할 수 있으며, 패드 수용부(126)에 둔부 패드(200)를 삽입할 수 있다. The buttocks cover 125 opens and closes the
둔부 패드(200)는 패드 수용부(126)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를 패드 수용부(126)에 삽입한 후, 이후 둔부 커버(125)를 폐쇄할 수 있다. 둔부 패드(200)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둔부 패드(200)의 높이, 형상, 및,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남성용 보정 속옷(100)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다. The
한편, 둔부 패드(200) 내부에는 둔부 패드(200)의 형상을 지탱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둔부의 라인 형상을 따라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소재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20도 - 40도 사이,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사람의 체온 범위 내에서의 형상을 기억하는 소재로 구성된다. 다만 착용하였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력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통해 둔부의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패드 수용부(126)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둔부 패드(200)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를 패드 수용부(126) 중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둔부 패드(2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에 따라 둔부의 높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둔부 커버(125)가 패드 수용부(126)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125) 개폐 장치가 둔부 커버(125)와 패드 수용부(12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둔부 커버(125)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uttocks cover 125 in which the buttocks cover 125 can open and close the
예를 들어, 커버 개폐 장치(1251)는 벨크로 테잎일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벨크로 테잎 사이를 이격시켜 패드 수용부(126)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 수용부(126)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패드 수용부(126)에 둔부 패드(200)를 삽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ver opening and
사용자가 둔부 패드(200)를 삽입한 후,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와 패드 수용부(126) 사이에 형성된 벨크로 테잎을 결합함으로써 패드 수용부(126)를 폐쇄시킬 수 있다.After the user inserts the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the men's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어깨로 연장되는 어깨 파운데이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깨 파운데이션부(130)는 어깨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깨 커버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어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깨 패드가 삽입 가능한 어깨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어깨 커버는 어깨 패드 수용부를 개폐하며, 사용자는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는 형성된 어깨 커버를 통하여 어깨 패드 수용부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깨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어깨 패드 수용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어깨 패드 수용부에 어깨 패드를 삽입할 수 있다. The shoulder cover opens and closes the shoulder pad receiving unit, and the user may access the shoulder pad receiving unit through the shoulder cover formed in the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은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를 포함한다.The men's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복부를 감싸 복부를 보온하는 동시에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 사용자의 둔부 및 다리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남성용 보정 속옷(100)을 착용하더라도 이물감이 없으며, 보정 속옷(100)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효율적으로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The
실시예들에 관한 남성용 보정 속옷(100)은 또한 둔부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125)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200)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의 삽입을 선택하고, 둔부 패드(200)의 삽입에 따라 둔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men's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improve the pressure on the user's abdomen, and may selectively provide a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for a predetermined part of the body.
도 7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일부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둔부 커버(125)가 커버 개폐 장치(1251)에 의해 패드 수용부(126)를 폐쇄시킨 경우,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커버 개폐 장치(1251)의 결합이 풀리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some functions are added in relation to FIGS. 4 and 5 . Specifically, when the buttocks cover 125 closes the
각각의 둔부 커버(125)는 둔부 커버(125)의 상단 부분에 연장고정부재(127)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고정부재(12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커버 개폐 장치(1251)를 통해 수용부(126)가 폐쇄되면,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Each of the buttock covers 125 further includes an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 사이의 결합을 통해 커버 개폐 장치(1251)가 개방되더라도 둔부 커버(125)가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when the cover opening and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묶음 방식, 벨크로 방식, 단추 방식, 후크결합 방식, 자석 방식 등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좌측의 연장고정부재(127)는 끝단에 고정관통홀(128)을 포함한다. 고정관통홀(128) 내부로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고정관통홀(128) 내부로 삽입된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은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표면에 점선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고정관통홀(12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점선을 따라 접힐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우측 연장고정부재(127) 끝단이 우측연장고정부재(127)의 다른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The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과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 사이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결합부(129)를 통해 두 구성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end of the right extended fixing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에 제1자석부(129a)가 형성되고,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에 제2자석부(129b)가 형성된다. 우측 연장고정부재(127)가 고정관통홀(128)을 통과한 후 제1자석부(129a)와 제2자석부(129b)가 자성결합됨으로써 좌우측 연장고정부재(127)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7 , a
커버 개폐 장치(1251)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고정결합부(129)에 의해 둔부 패드(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if the coupling of the cover opening and
한편, 고정결합부(129)는 벨크로 방식, 단추 방식, 후크결합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결합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coupling portion 129 may be applied to a Velcro method, a button method, a hook coupling method, and the like. Various other coupling methods may be applied.
다만 자성 결합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자석의 크기를 작고 평평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However, if the magnetic coupling method is used, the size of the magnet can be processed small and flat,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inducing the user to feel discomfort when lying down occurs to a minimum.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기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수용부는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둔부 패드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둔부 커버가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 개폐 장치가 상기 둔부 커버와 상기 패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둔부 커버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둔부 커버는 각각 제1연장고정부재 및 제2연장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는 끝단에 고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통홀 내부로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 및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남성용 보정 속옷.Abdominal foundation unit that wraps the user's abdomen to keep the user's abdomen warm and has a body correction function; and
A lower body foundation part located under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including,
At the upper end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 bending par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nd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re manufactured by a seamless method,
The lower body foundation includes a buttocks cover surrounding the user's buttocks at the rear,
A pad receiving part into which a buttocks pa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ser's buttocks can be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buttocks cover,
The p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symmetrical pai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lower body foundation, the buttock pad can be individually inserted,
A buttock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allow the buttocks cover to open and close the p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buttocks cover and the pad receiving portion,
The buttock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nap button, a hook, a zipper, and a Velcro tape,
The pair of buttock covers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fixing member and a second extension fixing member,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extension fixing member includes a fixing through hole at an end thereof, and the second extension into the fixing through hole A fixing member is inserted so that the first extended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extended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men's correction underwear.
상기 밴딩부의 탄성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탄성보다 높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상부 말단이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남성용 보정 속옷.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ity of the bending part is high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The bending portion prevents the upper end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ortion from flowing down from the user, men's correction underwear.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전방에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를 감싸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피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생리 현상 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상기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남성용 보정 속옷.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body foundation part:
a skin in which a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user's body parts can be exposed in the front; and
It includes; an endothelium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and surrounding the user's body pa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othelium is attached to the outer sk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othelium is deformed so that the local body portion of the user can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when the user's physiological phenomenon occurs.
상기 외피를 구성하는 제 1 소재와 상기 내피를 구성하는 제 2 소재는 서로 상이한 소재이되,
상기 제 2 소재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국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메쉬(mesh) 소재인, 남성용 보정 속옷.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and the second material constituting the endothelium ar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The second material is a mesh material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ser's body part, men's correction underwear.
상기 밴딩부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사용 시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에 함침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밴딩부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와 상기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밴딩부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남성용 보정 속옷.The method of claim 1,
An elastic adjustment part capable of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bending part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The elastic control part is exposed from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when in use, and is impregnated into the abdominal foundation part after use,
The elastic adjustment part comprises a first elastic adjustment part surrounding the first outer periphery of the bending part and a second elastic adjustment part surrounding the second outer periphery of the bend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peripher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en) | 2020-03-17 | 2020-03-17 |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en) | 2020-03-17 | 2022-04-08 | Abdominal band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en) | 2020-03-17 | 2020-03-17 |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113A Division KR102426961B1 (en) | 2020-03-17 | 2022-04-08 | Abdominal band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5930A KR20210115930A (en) | 2021-09-27 |
KR102386307B1 true KR102386307B1 (en) | 2022-04-14 |
Family
ID=77925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en) | 2020-03-17 | 2020-03-17 |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en) | 2020-03-17 | 2022-04-08 | Abdominal band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en) | 2020-03-17 | 2022-04-08 | Abdominal band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86307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305A (en) * | 2001-06-21 | 2003-01-08 | Rose Madam Honpo Kk | Pants with simply adjustable function |
KR200430682Y1 (en) * | 2006-04-17 | 2006-11-10 | 정미진 | functional panties |
KR200476391Y1 (en) | 2014-09-22 | 2015-02-25 | 엠코르셋 주식회사 | Hipup panties |
WO2015133853A1 (en) | 2014-03-06 | 2015-09-11 | 조은효 | Underwear for bodyline shaping |
KR200479786Y1 (en) * | 2015-11-25 | 2016-03-08 | 김태진 | Waist warmer integrated panties |
KR200485573Y1 (en) * | 2016-08-23 | 2018-01-29 | 남훈균 | The functional underwear for ma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0403A (en) * | 1994-08-09 | 1996-03-05 | Hamore:Kk | Clothes having pads |
KR200322640Y1 (en) * | 2003-04-28 | 2003-08-14 | 어준호 | girdle equipped with separating and attaching type pads for hips |
TWM474494U (en) * | 2013-12-02 | 2014-03-21 | Textraordinary Co Ltd | Corset with different and curvatures and elastic stretching forces due to different weaving tensions |
-
2020
- 2020-03-17 KR KR1020200032377A patent/KR10238630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4-08 KR KR1020220044113A patent/KR10242696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305A (en) * | 2001-06-21 | 2003-01-08 | Rose Madam Honpo Kk | Pants with simply adjustable function |
KR200430682Y1 (en) * | 2006-04-17 | 2006-11-10 | 정미진 | functional panties |
WO2015133853A1 (en) | 2014-03-06 | 2015-09-11 | 조은효 | Underwear for bodyline shaping |
KR200476391Y1 (en) | 2014-09-22 | 2015-02-25 | 엠코르셋 주식회사 | Hipup panties |
KR200479786Y1 (en) * | 2015-11-25 | 2016-03-08 | 김태진 | Waist warmer integrated panties |
KR200485573Y1 (en) * | 2016-08-23 | 2018-01-29 | 남훈균 | The functional underwear for m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6961B1 (en) | 2022-07-29 |
KR20210115930A (en) | 2021-09-27 |
KR20220050113A (en) | 2022-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29368C (en) | Men's garment with pouch and supporting flap | |
JP4175890B2 (en) | Men's underwear or men's trousers | |
US20080109945A1 (en) | Treatment underwear | |
EP3893682B1 (en) | Fabric garment for men | |
US20050268380A1 (en) | Garment with integral male member adjustable support | |
US20220061405A1 (en) | Men's underpants | |
US20140026295A1 (en) | Men's underwear garment | |
US20170065003A1 (en) | Support underwear | |
KR200430682Y1 (en) | functional panties | |
US3963022A (en) | Comfort athletic supporter | |
KR101268114B1 (en) | Functional underwear for male | |
KR200471308Y1 (en) | A Men's Panties | |
KR200473136Y1 (en) | A Men's Panties | |
KR102386307B1 (en) | Men's waist support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pants | |
KR20190084534A (en) | Panties for man | |
KR20210115932A (en) | Men's corrective top underwear | |
KR20210115931A (en) | Men's corrective underwear | |
KR200447180Y1 (en) | Underwear for body correction | |
US20120151662A1 (en) | Hygienic underpants | |
US20170099881A1 (en) | Mens underwear brief | |
US20050278831A1 (en) | Garment for enhancing male sexual performance | |
KR200475693Y1 (en) | A Men's Panties | |
KR102664028B1 (en) | Functionality underwear in which the sexual function auxiliary connector connecting the sexual function auxiliary unit is attached | |
KR102459435B1 (en) | Patient clothes for shoulder stabilization | |
KR102486325B1 (en) | Functional underwear p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