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07B1 -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 Google Patents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4307B1 KR102384307B1 KR1020210157775A KR20210157775A KR102384307B1 KR 102384307 B1 KR102384307 B1 KR 102384307B1 KR 1020210157775 A KR1020210157775 A KR 1020210157775A KR 20210157775 A KR20210157775 A KR 20210157775A KR 102384307 B1 KR102384307 B1 KR 102384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steel frame
- abutment
- right leg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tressing method of a Ramen bridge.
라멘교(Rahmen 橋)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일체로 조립된 교량으로 단경간에 주로 사용된다.The Rahmen Bridge is a bridg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are assembled as one body, and is mainly used for short spans.
이는 상부구조를 하부구조로 지지하는 대신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결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상부구조의 휨모멘트를 하부구조가 함께 부담한다. Instead of supporting the superstructure as a substructure, the substructure bears the bending moment of the superstructure by connecting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bstructure with a rigid structure.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교각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고 다리밑 공간 확보가 필요한 도로의 횡단교량이나 하천통과 구간 등에 15~30m 지간장으로 주로 적용된다.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height of the piers is not very high and it is mainly applied as a span of 15 to 30 m for cross-bridges and river passages on roads that require space under the bridge.
라멘교의 경우에도, 부재 자중을 경감시키고 낮은 형고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Ramen Bridge, research on the prestressing method has been widely conducted in order to reduce the member's own weight and secure a low prison height.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은 긴장재의 긴장, 정착을 위해 필요한 장치, 공정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prestressing method of the Ramen bridge had problems in that the tension and fixation of the tension member were too complicated, and the workability was p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공정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prestressing method of a Ramen bridge having a simple process and excellent workability.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수직부(110)와 일측 수평부(120)를 구비한 "ㄱ"자형 단면구조의 일측 우각부 철골(100)이 일측 교대(10)의 상단에 노출되고, 상기 일측 수평부(120)가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 및 일측 교대(10)를 설치하는 일측 교대 설치단계; 타측 수직부(210)와 타측 수평부(220)를 구비한 "ㄱ"자형 단면구조의 타측 우각부 철골(200)이 타측 교대(20)의 상단에 노출되고, 상기 타측 수평부(220)가 일측을 향하도록,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 및 타측 교대(20)를 설치하는 타측 교대 설치단계;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에 일측 긴장부재(130)를 설치하고, 상기 일측 교대(1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하는 일측 철골 긴장단계;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에 타측 긴장부재(230)를 설치하고, 상기 타측 교대(2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하는 타측 철골 긴장단계;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단과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의 일단 사이에 중앙부 철골(300)을 설치하여 일체형 구조의 철골 조립체(a)를 형성하는 철골 조립체(a) 형성단계; 상기 일측 수직부(110), 일측 수평부(120)의 일측 일부, 타측 수직부(210), 타측 수평부(220)의 타측 일부가 철근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상기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일부, 중앙부 철골(300), 타측 수평부(220)의 일측 일부가 강거더-철근콘크리트 합성구조를 이루도록,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합성거더(30)를 형성하는 합성거더 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C)의 양생 후, 상기 일측 긴장부재(130) 및 타측 긴장부재(230)의 긴장력을 해제하여, 상기 철골 조립체(a)에 솟음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합성거더(30)의 중앙하부에 초기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합성거더(30)의 중앙상부에 초기인장응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양측 우각부에는 사용하중에 의해 발생할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유효한 초기응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긴장력 인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ht-
상기 일측 긴장부재(130)는 어스앵커이고, 상기 어스앵커는,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 정착부(131); 상기 지중 정착부(131)의 상부에 형성된 긴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e
상기 일측 교대 설치단계는, 상기 어스앵커의 지중 정착부(131)를 상기 일측 교대(10)의 하부지반 또는 인접지반에 형성하거나, 상기 일측 교대(10)와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어스앵커의 긴장부(132)를 지반 상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installing the one side abutment includes: forming the underground anchoring
상기 일측 철골 긴장단계는, 상기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상기 긴장부(132)의 상단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력 인가단계는, 상기 긴장부(132)의 긴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e-side steel frame tensioning step is, by tensioning the
상기 긴장부(132)는 상호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철골 긴장단계는, 상기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상기 상측 긴장부(132a)의 상단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력 인가단계는, 상기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은 H 형강의 절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정착부(140)는,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하고, 상기 긴장부(132)의 긴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긴장부(132)의 상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정착판(141); 상기 정착판(14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보강하도록,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리브(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e-sided right-
본 발명은 상기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에 사용되는 우각부 철골을 함께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sents the right leg steel frame used in the prestressing method of the Ramen bridge.
본 발명은 공정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restressing method of a ramen bridge with a simple process and excellent workability.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교대 설치단계의 공정도.
도 2는 철골 긴장단계의 공정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Ⅲ)인 정착부의 단면도.
도 4는 거더 설치단계의 공정도.
도 5는 긴장력 인가단계의 공정도.
도 6은 긴장부의 분해도.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rocess diagram of an alternate installation step.
Figure 2 is a process diagram of the steel frame tension step.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ing part, which is a main part (III) of Fig. 2;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of the girder installation step.
5 is a process diagram of a tension application step.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tension par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1, the prestressing method of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the following process.
1) 교대 설치단계(도 1)1) Alternating installation stage (Fig. 1)
일측 수직부(110)와 일측 수평부(120)를 구비한 "ㄱ"자형 단면구조의 일측 우각부 철골(100)이 일측 교대(10)의 상단에 노출되고, 일측 수평부(120)가 타측을 향하도록, 일측 우각부 철골(100) 및 일측 교대(10)를 설치한다.One right-angled
타측(반대측)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한다.Construct the other side (opposite side) in the same way.
즉, 타측 수직부(210)와 타측 수평부(220)를 구비한 "ㄱ"자형 단면구조의 타측 우각부 철골(200)이 타측 교대(20)의 상단에 노출되고, 타측 수평부(220)가 일측을 향하도록, 타측 우각부 철골(200) 및 타측 교대(20)를 설치한다.That is, the other right-angle
우각부 철골(100,200)에는 H 형강, 조립형강, 사각형 강관, 원형 강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H-beams, prefabricated steels, rectangular steel pipes, round steel pipes, etc. can be used for the right-
우각부 철골(100,200)은 하단이 교대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긴장력의 인가에 저항하기 위하여, 충분한 부착강도를 갖도록 전단연결재 등을 적용하여 정착되어야 한다.The lower ends of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측 긴장부재(130)로서 어스앵커를 적용하는 경우, 어스앵커의 지중 정착부(131)를 일측 교대(10)의 하부지반 또는 인접지반에 형성하거나, 일측 교대(10)와 일체로 형성하고, 어스앵커의 긴장부(132)를 지반 상측으로 노출시킨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an earth anchor is applied as a
2) 철골 긴장단계(도 2)2) Steel frame tension step (Fig. 2)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단부에 일측 긴장부재(130)를 설치하고, 일측 교대(1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한다.One
일측 긴장부재(130)로는 어스앵커를 적용할 수 있고, 이 어스앵커는,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 정착부(131); 지중 정착부(131)의 상부에 형성된 강선, 강연선 등의 긴장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earth anchor may be applied as the
위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긴장부(132)의 상단을 정착한다.(도 3)By tension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우각부 철골(100)은 H 형강의 절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ne-side right leg
이 경우, 정착부(140)는,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하고, 긴장부(132)의 긴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치되며, 긴장부(132)의 상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정착판(141); 정착판(14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보강하도록,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리브(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In this case, the
타측(반대측)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한다.Construct the other side (opposite side) in the same way.
즉,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에 타측 긴장부재(230)를 설치하고, 타측 교대(2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한다.That is, the other
타측 긴장부재(230)도 어스앵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 정착부(231); 지중 정착부(231)의 상부에 형성된 강선, 강연선 등의 긴장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3) 철골 조립체 형성단계(도 4)3) Steel frame assembly forming step (FIG. 4)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단과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의 일단 사이에 중앙부 철골(300)을 설치하여 일체형 구조의 철골 조립체(a)를 형성한다.The
4) 합성거더 설치단계(도 4)4) Composite girder installation step (Fig. 4)
일측 수직부(110), 일측 수평부(120)의 일측 일부, 타측 수직부(210), 타측 수평부(220)의 타측 일부가 철근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일부, 중앙부 철골(300), 타측 수평부(220)의 일측 일부가 강거더-철근콘크리트 합성구조를 이루도록, 전단연결재와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합성거더(30)를 형성한다.One side
5) 긴장력 인가단계(도 5)5) Tension application step (FIG. 5)
콘크리트(C)의 양생 후, 일측 긴장부재(130) 및 타측 긴장부재(230)의 긴장력을 해제하여, 철골 조립체(a)에 솟음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합성거더(30)의 중앙하부에는 초기압축응력이 발생하고, 합성거더(30)의 중앙상부에는 초기인장응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양측 우각부(합성거더(30)의 양단)에는 사용하중(공용하중)에 의해 발생할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유효한 초기응력이 발생하도록 한다.After curing the concrete (C), the tension of one
긴장부재(130,230)의 긴장력 해제는, 합성거더(30)의 하부로 노출된 긴장부(132)를 절단하는 방법, 긴장부(132) 단부의 정착구조를 해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nsion releas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 장치에 의해 라멘교에 대하여 사용하중(공용하중)에 의해 발생할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유효한 초기응력이 발생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tressing method of th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n effective initial stress that can cancel the stress generated by the working load (common load) with respect to the Ramen bridge by a relatively simple process and device.
긴장부재(130)의 긴장부(132)는 별도의 결합부재(132c)에 의해 상호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로 구성될 수 있다.(도 6)The
이는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는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 긴장력 도입작업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This has advantages such as that the upper tension part (132a) and the lower tension part (132b) can be separated and reused, and that it is easy to secure a space for the tension force introduction operation.
긴장력의 도입을 위하여, 결합상태의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상측 긴장부(132a)의 상단을 정착한다.In order to introduce a tension force, the
콘크리트(C)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합성거더(3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긴장부(132)의 긴장을 해제하는데, 이는 상측 긴장부(132a) 상단의 정착구조(볼트결합 등)를 해제하는 방법,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 사이의 결합부재(132c)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긴장부(132)(강선 등)의 긴장력으로 인하여 위 긴장부(132)의 긴장 해제작업이 어려운 경우, 긴장부(132)를 가열하여 긴장력을 저하시킨 후, 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tension release operation of the
결합부재(132c)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측 긴장부(132a) 및 하측 긴장부(132b)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member (132c), the upper tension portion (132a) and the lower tension portion (132b) can be recovered and reuse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철골 조립체 10 : 일측 교대
20 : 타측 교대 30 : 합성거더
100 : 일측 우각부 철골 110 : 일측 수직부
120 : 일측 수평부 130 : 일측 긴장부재
131 : 지중 정착부 132 : 긴장부
132a : 상측 긴장부 132b : 하측 긴장부
140 : 정착부 141 : 정착판
142 : 보강리브 200 : 타측 우각부 철골
210 : 타측 수직부 220 : 타측 수평부
230 : 타측 긴장부재 300 : 중앙부 철골a: steel assembly 10: one side abutment
20: alternate side 30: composite girder
100: one side right leg part steel frame 110: one side vertical part
120: one side horizontal part 130: one side tension member
131: underground settlement unit 132: tension unit
132a:
140: fixing unit 141: fixing plate
142: reinforcing rib 200: steel frame of the other right leg
210: the other side vertical part 220: the other side horizontal part
230: the other tension member 300: the central part of the steel frame
Claims (7)
타측 수직부(210)와 타측 수평부(220)를 구비한 "ㄱ"자형 단면구조의 타측 우각부 철골(200)이 타측 교대(20)의 상단에 노출되고, 상기 타측 수평부(220)가 일측을 향하도록,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 및 타측 교대(20)를 설치하는 타측 교대 설치단계;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에 일측 긴장부재(130)를 설치하고, 상기 일측 교대(1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하는 일측 철골 긴장단계;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에 타측 긴장부재(230)를 설치하고, 상기 타측 교대(20)의 하측을 향하여 긴장력을 인가하는 타측 철골 긴장단계;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단과 상기 타측 우각부 철골(200)의 타측 수평부(220)의 일단 사이에 중앙부 철골(300)을 설치하여 일체형 구조의 철골 조립체(a)를 형성하는 철골 조립체(a) 형성단계;
상기 일측 수직부(110), 일측 수평부(120)의 일측 일부, 타측 수직부(210), 타측 수평부(220)의 타측 일부가 철근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상기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일부, 중앙부 철골(300), 타측 수평부(220)의 일측 일부가 강거더-철근콘크리트 합성구조를 이루도록,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합성거더(30)를 형성하는 합성거더 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C)의 양생 후, 상기 일측 긴장부재(130) 및 타측 긴장부재(230)의 긴장력을 해제하여, 상기 철골 조립체(a)에 솟음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합성거더(30)의 중앙하부에 초기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합성거더(30)의 중앙상부에 초기인장응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양측 우각부에는 사용하중에 의해 발생할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유효한 초기응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긴장력 인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긴장부재(130)는 어스앵커이고,
상기 어스앵커는,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 정착부(131);
상기 지중 정착부(131)의 상부에 형성된 긴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One right-angled part steel frame 100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one side vertical part 110 and one side horizontal part 120 is ex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one side abutment 10, and the one side horizontal part 120 is To face the other side, one side abutmen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right side steel frame 100 and one side abutment (10);
The other right-angle part steel frame 200 of the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the other vertical part 210 and the other horizontal part 220 is ex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abutment 20 , and the other horizontal part 220 is To face one side, the right leg part steel frame 200 on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abutmen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other side abutment (20);
One side steel frame tension step of installing a tension member 130 on one side horizontal portion 120 of the one side right leg portion steel frame 100,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abutment 10;
The other side steel frame tension step of installing the other tension member 230 on the other side horizontal part 220 of the other right leg part steel frame 200,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abutment 20;
The central part steel frame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one side horizontal part 120 of the one right leg part steel fram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other side horizontal part 220 of the other right leg part steel frame 200, and the steel frame assembly of the one-piece structure (a) forming a steel assembly (a) forming step;
The one side vertical part 110, one side part of the one side horizontal part 120, the other side vertical part 210, the other side part of the other side horizontal part 220 are buried in reinforced concrete, and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horizontal part 120 A composite girder installation to form a composite girder 30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pouring concrete (C) so that a part, a central part of the steel frame 300, and a part of one side of the other horizontal part 220 form a steel girder-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step;
After curing the concrete (C),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130 and the tension member 230 on the other side is released, and as a soar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steel frame assembly (a), the composite girder 30 An initial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composite girder 30, and an initial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mposite girder 30, and an effective initial stress that can offset the stress generated by the used load is generated in both right leg portions. Including;
The one side tension member 130 is an earth anchor,
The earth anchor is
An underground anchoring unit 131 that is buried underground;
The tension part 132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fixing part 131;
Ramen Bridge prestressing method comprising the.
상기 일측 교대 설치단계는,
상기 어스앵커의 지중 정착부(131)를 상기 일측 교대(10)의 하부지반 또는 인접지반에 형성하거나, 상기 일측 교대(10)와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어스앵커의 긴장부(132)를 지반 상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 side alternate installation step is,
Forming the ground anchoring part 131 of the earth anchor in the lower ground or adjacent ground of the one side abutment 10, or forming integrally with the one side abutment 10;
exposing the tension part 132 of the earth anchor to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Ramen Bridge prestressing method comprising the.
상기 일측 철골 긴장단계는,
상기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상기 긴장부(132)의 상단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력 인가단계는,
상기 긴장부(132)의 긴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The one side steel frame tension step,
By tensioning the tension part 132, fixing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part 132 to the fixing part 1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20 on one side of the right-angle part steel frame 100; including,
The tension application step is,
releas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 unit 132;
Ramen Bridge prestressing method comprising the.
상기 긴장부(132)는 상호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철골 긴장단계는,
상기 긴장부(132)를 긴장하여,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일측 수평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정착부(140)에 상기 상측 긴장부(132a)의 상단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력 인가단계는,
상기 상측 긴장부(132a)와 하측 긴장부(132b)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The tension part 132 is composed of an upper tension part 132a and a lower tension part 132b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one side steel frame tension step,
By tensioning the tension part 132, fix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tension part 132a to the fixing part 1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20 on one side of the right leg part steel frame 100; including,
The tension application step is,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upper tension part (132a) and the lower tension part (132b);
Ramen Bridge prestressing method comprising the.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은 H 형강의 절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정착부(140)는,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하고, 상기 긴장부(132)의 긴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긴장부(132)의 상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정착판(141);
상기 정착판(14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보강하도록, 상기 일측 우각부 철골(100)의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2) 및 복부판(103)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리브(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프리스트레싱 방법.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one-side right leg part steel frame 100 is manufactured by cutting and bending H-beam steel,
The fixing unit 140 is
It is commonly coupled to the lower flange 102 and the abdominal plate 103 of the right-angled steel frame 100 of the one side, and is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tension part 132, and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part 132 is A fixing plate 141 having a penetrating hole formed therethrough;
Reinforcing ribs 142 commonly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01, the lower flange 102, and the abdomen plate 103 of the right-angled steel frame 100 on the one side so as to be reinforced by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plate 141; cast
Ramen Bridge prestressing method comprising th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775A KR102384307B1 (en) | 2021-11-16 | 2021-11-16 |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775A KR102384307B1 (en) | 2021-11-16 | 2021-11-16 |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4307B1 true KR102384307B1 (en) | 2022-04-08 |
Family
ID=8118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7775A KR102384307B1 (en) | 2021-11-16 | 2021-11-16 |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430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650B1 (en) * | 2008-12-08 | 2009-04-24 | (주)아이브릿지코리아 |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KR101714160B1 (en) * | 2015-06-16 | 2017-03-0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
-
2021
- 2021-11-16 KR KR1020210157775A patent/KR10238430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650B1 (en) * | 2008-12-08 | 2009-04-24 | (주)아이브릿지코리아 |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KR101714160B1 (en) * | 2015-06-16 | 2017-03-0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19937A (en) | Device of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for Improving Workability | |
KR20130083410A (en) | Slab-type box girder of a varying longitudinal section made by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 |
KR100969586B1 (en) | Rh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
JP333120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truss structure bridge | |
KR100398021B1 (en) | Prestressed concrete slab reinforced by various section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mple and continuous supported slab bridge using the same | |
KR20080103678A (en) | Method for composite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composite girder | |
KR102384307B1 (en) | Prestressing method for rahmen bridge | |
KR101256130B1 (en) |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 |
JP2009041271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 |
JP2004285738A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JP2005090115A (en) |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for existing floor slab by beam | |
JP2004183433A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210005806A (en) | Joining method of steel members using double anchor plate with wedge-shaped concave-convex section in the construction of steel structure or steel-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 |
KR20130005928A (en) | A composite steel box girder using prestressed concrete for a positive moment area of a bridge | |
KR101688517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 |
KR100628537B1 (en) | Pc structure wall system with high earthquake resistance capacity | |
KR100696646B1 (en) |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of ps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by tendon anchored/supported to prefabricated cross beam | |
KR102244029B1 (en) | Rahmen bridge without abut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H1121816A (en) | Bridge structure | |
KR101886744B1 (en) | Precast Half Deck for Roadway | |
JP2005060964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bridge | |
KR20210026900A (en) |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in concrete structure | |
KR102249063B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improving load carrying coherence of end beam and durability using anchor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546964B1 (en) | Bridge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 |
JP2004011300A (en) | Pc composite structure, pc bridge and prestr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