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414B1 -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 Google Patents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414B1
KR102373414B1 KR1020190107051A KR20190107051A KR102373414B1 KR 102373414 B1 KR102373414 B1 KR 102373414B1 KR 1020190107051 A KR1020190107051 A KR 1020190107051A KR 20190107051 A KR20190107051 A KR 20190107051A KR 102373414 B1 KR102373414 B1 KR 10237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ing
main body
body duct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7649A (en
Inventor
고재완
선준수
김상용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19010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1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 배선 작업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선되는 케이블간 중첩을 방지하여 배선 작업의 작업성을 높이고, 기 제작된 부품으로 현장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시간 및 맨아워 절감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방향으로의 배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덕트; 및 상기 본체덕트의 배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외측으로 교차하여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크로스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덕트는, 상기 본체덕트와 교차하는 방향 양측으로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제1박스; 상기 제1박스의 개구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를 지나는 본체덕트를 덮어씌운 후 상기 제1박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제2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박스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덕트가 수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된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덕트의 저면과 상기 안착홈 바닥면 사이에 유격 형성을 통해 배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 양측에는 본체덕트 상면과 단차진 가이드 단턱이 본체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덕트의 상면에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에는 본체덕트의 상면에 배선된 케이블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가 상기 가이드 단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overlap between cables wired in different directions during cross wiring work to increase workability of wiring work, and to be supplied to the site as pre-fabricated parts, so It relates to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that can increase work productivity by reducing wiring work time and man hour.
To this end, a body duct providing a wiring space in one direction; and a cross duct that provides a wiring conduit crossing the wir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and guides the wiring so that the wiring can be made by crossing the main body duct, wherein the cross duct intersects with the main body duct a first box providing wiring lines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and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main body duct can be seated; A second box provid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rst box and to be coupled to the first box after covering the main duc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wherein the first box includes the opening of the opening. A se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main body duct is formed downward, and a step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to form a clear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to provide a wiring spac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the main body duct upper surface and the stepped guide step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so that the cable can be rou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It provides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can be fixed to the guide step so as to shield the cable wired on the upper surface.

Description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본 발명은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 배선 작업에 대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assembly for cross-wiring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assembly for cross-wiring work that can increase work productivity for cross-wiring work.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In general, if the wires that supply electricity, cables or wires that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signals such as computers or printers, or telephones or speakers, and various wiring devic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wires may become twisted or tangled, etc. In addition, interference with other objects may cause a safety problem with respect to the wiring state.

특히, 건축물 또는 토목 구조물에 배선된 배선용 케이블은 하중에 의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as the cable for wiring wired to a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stretch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lo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working space and the moving space of the worker.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선용 덕트가 마련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duct for wiring is provided so that numerous wires or cable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wiring condition is easily arranged, and the wires or cables are prevented from being sagged downward.

상기의 배선용 덕트는 대부분 받침판과 덮개로 이루어져 있어 받침판에 여러가닥의 케이블을 넣은후 덮개를 받침판 상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배선용 덕트 내부에 케이블 배치가 완료된다.Most of the wiring ducts are composed of a support plate and a cover, and after putting several cables on the support plate, the cable arrangement is completed inside the wiring duct by combining the cover on the support plate.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Such a wiring duct is usually installed in a state embedded in a wall or exposed to a floor surface, a wall, or a ceiling. The duct for wiring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pplied in the form of a unit length or module for wiring work, and is cut and used as needed.

한편, 배선용 덕트는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로 마련된 후 상호간에 조합을 통해 설치되거나, 교차되는 케이블 배선을 위해 직선의 덕트로부터 분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wiring ducts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or use environment and then installed through a combination with each other, or may be designed to branch from a straight duct for intersecting cable wiring.

상기와 같은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교차 배선을 위해 직선으로 이루어진 덕트에서 분기된 설계를 갖는 구조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4487호 "배선용 덕트의 접속구조"』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In the duct for wiring a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having a design branching from a duct made of a straight line for cross wiring has been disclosed through the applicant'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94487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for wiring".

상기 배선용 덕트의 접속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벽에는 분기체(20)의 높이 및 폭과 같은 절개부(11)가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절개부(11)에 분기체(20)의 일단이 연결되며, 본체(10)의 하단벽 내측과 분기체(20)의 하단벽 내측에 연결부재(30)를 복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본체(10)와 분기체(20)를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is, as shown in FIG. 1 , a cutout 11 having the same height and width as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ranch body 20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body 10 through cutting, and the cutout 11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ranch body 20, and the main body 10 and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is that the branch body 20 is integrated.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본체(10)와 분기체(20) 내에 연결부재(30)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본체(10)와 분기체(20)와의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후에 접속 부위를 선택적으로 도장 처리함으로써 외관상으로도 접속 부위가 주물 처리된 것과 같은 미려함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In the prior ar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branch body 20 can be firmly maintained by fixing the body 10 and the branch body 20 using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fixing means. Rather, by selectively painting the connection part after fixing,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connection part as if the casting process was carried out.

하지만, 교차 배선을 위한 종래의 배선용 덕트 접속구조는 분기된 배선라인을 마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본체(10)의 절개부(11)를 가공한후, 분기체(20)를 절개부(11)에 결합함으로써 분기된 배선라인 시공이 완료되는데, 이는 현장에서의 절개부(11) 가공 작업 등 추가적인 작업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배선 작업 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맨아워 증가로 인해 작업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ing duct connection structure for cross wiring, in order to provide a branched wiring line, an operator directly processes the cutout 11 of the main body 10 on site, and then cuts the branched body 20 into the cutout. By combining in (11), the branched wiring line construction is completed, which ha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wiring work time may be delayed as additional work such as processing work of the cutout 11 is required in the fiel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productivity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man-hours.

또한, 종래의 배선용 덕트구조는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배선공간 상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교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선 작업시 타방향의 케이블이 서로 중복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좌,우 방향으로만 배선된 케이블과 상,하 방향으로만 배선된 케이블이 한 공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최초 배선 작업시에는 배선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선 방향에 따른 케이블이 구분될 수 있지만, 추후 추가 배선 작업시에는 교차 부위의 케이블이 중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시 케이블을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외관상 깔끔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uct structure for wiring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cables are crossed on one undivided wiring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ables in other directions overlap each other during wiring work. In other words, since the cables wir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ables wired on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located in one space, when the first wiring work is done, the cables according to the wiring direction can be divided as the wiring is done collectively. However, since the cables at the intersections may overlap during additional wiring work in the future, it is not easy for the operator to distinguish the cables during maintenance wor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not nea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44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9448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차 배선 공간을 구분하여 제공하고, 교차 배선을 위한 덕트는 미리 제작된 후 작업 현장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교차 배선 작업을 위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for cross wiring by dividing it, and to provide a duct for cross wiring to a job site after being manufactured in advance to perform cross wiring work.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that can increase work productivity for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의 배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덕트; 및 상기 본체덕트의 배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외측으로 교차하여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크로스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덕트는, 상기 본체덕트와 교차하는 방향 양측으로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제1박스; 상기 제1박스의 개구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를 지나는 본체덕트를 덮어씌운 후 상기 제1박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제2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박스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덕트가 수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된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덕트의 저면과 상기 안착홈 바닥면 사이에 유격 형성을 통해 배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 양측에는 본체덕트 상면과 단차진 가이드 단턱이 본체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덕트의 상면에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에는 본체덕트의 상면에 배선된 케이블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가 상기 가이드 단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ody duct that provides a wiring space in one direction; and a cross duct that provides a wiring conduit crossing the wir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and guides the wiring so that the wiring can be made by crossing the main body duct, wherein the cross duct intersects with the main body duct a first box providing wiring lines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and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main body duct can be seated; A second box provid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rst box and to be coupled to the first box after covering the main duc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wherein the first box includes the opening of the opening. A se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main body duct is formed downward, and a step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to form a clear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to provide a wiring spac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the main body duct upper surface and the stepped guide step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so that the cable can be rou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It provides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can be fixed to the guide step so as to shield the cable wired on the upper surface.

삭제delete

이때, 상기 개구부의 상부는 상기 본체덕트의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s inclined so as to wide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uct.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일방향으로 배선되는 케이블과 타방향으로 배선되면서 교차되는 케이블의 배선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일방향으로 배선되는 케이블과 타방향으로 배선되는 케이블 작업이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차되는 케이블은 서로 중첩되는 일 없이 깔끔하게 배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추가 배선 작업이나 보수 작업시에도 각 케이블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관련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divides a wiring space of a cable that is wired in one direction and a cable that is wir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a cable that is wired in one direction and a cable that is wired in the other direction can be divided so that the cable that is crossed can be made. has the effect that wiring work can be done neatly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can clearly distinguish each cable even during additional wiring work or maintenance work,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and accuracy of related work.

둘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미리 제작된 후, 작업 현장에 제공됨으로써 교차 배선을 위한 절개 등의 추가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맨아워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is prepared in advance and provided to the job site, additional work such as cutting for cross wiring is not required, so it is possible to shorten work time and reduce man hour, which can increase work productivity. It works.

셋째, 교차 배선용 덕트를 구성하는 크로스 덕트는 전기 자재, 통신 자재 등을 부착시킬 수 있는 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재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cross duct constituting the duct for cross wiring can provide a surface on which electrical materials, communication materials, etc. can be attach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aterial construction and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에 케이블이 교차되어 배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의 본체덕트에 케이블이 추가로 배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le is crossed and wired in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le is additionally wired to the main duct of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5 .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교차 배선 작업시, 배선 방향이 다른 케이블 간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획하며, 기타 자재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덕트(100)와, 크로스덕트(200)와, 커버(300)를 포함한다.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divides cables with different wiring direction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during cross wiring work, and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other materials.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includes a body duct 100 , a cross duct 200 , and a cover 300 as shown in FIG. 2 .

본체덕트(100)는 케이블의 일방향 배선을 위한 구성으로서, 직선의 배선관로(110)를 형성한다. 본체덕트(100)는 중공(中空)의 사각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본체덕트(100)는 내측의 배선관로(110) 뿐만아니라 본체덕트(100)의 일면에도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체덕트(100)의 일면 양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단턱(120)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duct 100 is a configuration for unidirectional wiring of cables, and forms a straight wiring conduit 110 . The main body duct 10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hollow square. The main body duct 100 is provided so that a cable can be rout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as well as the inner wiring line 110 . To this end, a guide step 1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body duct 100 as shown in FIG. 2 .

크로스덕트(200)는 케이블의 타방향 배선을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덕트(100)에 배선된 케이블에 대하여 교차되는 배선을 위해 제공된다. 크로스덕트(200)는 본체덕트(100)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며, 본체덕트(100)의 케이블과는 구획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크로스덕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박스(210)와 제2박스(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cross duct 200 is a configuration for wir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able, and is provided for wiring that crosses with respect to the cable wired in the main body duct 100 . The cross duct 2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respect to the main duct 100 , and is provided so as to be partitioned from the cable of the main duct 100 . The cross duct 2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box 210 and a second box 220 as shown in FIG. 2 .

제1박스(210)는 본체덕트(100)에 배선된 케이블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선을 유도하며,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양측이 관통된 배선관로(211)를 형성한다. 제1박스(210)의 배선관로(211)는 케이블이 본체덕트(100)의 일면을 지나 배선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덕트(100)의 일면이라 함은 본체덕트(100)의 외측면을 말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상 본체덕트(100)의 상면을 말한다. The first box 210 guides the wir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able wired to the main duct 100, and forms a wiring conduit 211 through both sides so that the cable can be wired. The wiring conduit 211 of the first box 210 is formed so that the cable can be rout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main duct 100 .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refer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refer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in the drawings.

제1박스(210)의 중간에는 본체덕트(100)가 제1박스(210)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안착홈(212)이 형성된다. 안착홈(212)은 본체덕트(100)의 너비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제1박스(210)의 배선관로(211)는 안착홈(212)에 수용된 본체덕트(100)를 향해 개구부(211a)를 형성한다. 개구부(211a)는 본체덕트(100)의 양측면을 향해 형성되되, 본체덕트(100)의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211a)의 상부는 본체덕트(100)의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개구부(211a)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개구부(211a)를 통해 본체덕트(100)의 외측을 지나는 케이블의 배선 공간은 확보될 수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개구부(211a)가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는다면 개구부(211a)의 공간이 여유있게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에, 케이블이 본체덕트(100)의 일면을 지나는 배선 작업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A seating groove 21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box 210 so that the body duct 100 can be accommod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box 210 . The seating groove 212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body duct 100 . The wiring conduit 211 of the first box 210 forms an opening 211a toward the body duct 100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212 . The opening (211a) is formed towar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duct (100),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100).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11a is formed to be inclined to widen outward of the main body duct 100 . Since the opening 211a is formed to be inclined, a wiring space of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a outside the main duct 100 can be secured, so that wiring can be easily and smoothly performed. If the opening 211a is not formed to be incline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the opening 211a, so it may not be easy to wire the cable through one surface of the main duct 100.

한편, 안착홈(212)은 단턱을 형성하여 덕트본체(100)와 유격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덕트본체(100)와 안착홈(212) 사이에는 배선공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박스(210)를 통과하는 케이블은 본체덕트(100)의 상부 및 하부로도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groove 212 forms a step to form a gap with the duct body 100 . Accordingly, a wiring space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duct body 100 and the seating groove 212 .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ox 210 may be wir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duct 100 .

한편, 안착홈(2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11a)의 하방에 형성되고, 단턱(212a)을 형성하여 본체덕트(100)와 유격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박스(210)는 안착홈(2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단턱(212a)을 형성하여, 안착홈(212)에 본체덕트(100)가 수용되었을 때, 본체덕트(100)와 안착홈(212) 사이에 유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덕트(100)의 저면과 안착홈(212)의 바닥면 사이에는 배선공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박스(210)를 통과하는 케이블은 본체덕트(100)의 상부 및 하부로도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groove 212 is formed below the opening 211a as shown in FIG. 2 , and a step 212a is formed to form a clearance with the body duct 100 . That is, the first box 210 forms a stepped 212a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212, and when the body duct 10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212, the body duct 100 ) and the seating groove 212 to form a gap. Accordingly, a wiring space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duct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212 .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ox 210 may be wir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duct 100 .

제2박스(220)의 상부는 본체덕트(1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박스(210)의 배선관로(211)를 통해 본체덕트(100)의 일면을 지나는 케이블의 통과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박스(220)의 상부 공간 확보로 인해, 개방될 수 있는 제2박스(220)의 선,후단부는 제2박스(220)의 상부로부터 절곡된 절곡편(223)을 통해 폐쇄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x 220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a space. This is to sufficiently provide a passage space for the cabl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through the wiring conduit 211 of the first box 210 . Due to securing the upper space of the second box 220 , the line and rear ends of the second box 220 that can be opened are preferably closed through the bent piece 223 bent from the top of the second box 220 . Do.

커버(300)는 본체덕트(10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선된 케이블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덕트(100)는 내측의 배선관로(110)에 케이블이 배선되며, 본체덕트(100)의 일면에도 본체덕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다. 이때, 본체덕트(100)의 배선관로(110)에 배선된 케이블은 본체덕트(100)에 의해 노출되지 않지만, 본체덕트(100)의 일면에 배선된 케이블은 외부로 노출되는바, 커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덕트(100)의 일면에 노출된 케이블을 덮어 차폐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커버(300)는 형태가 특정되지는 않지만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본체덕트(100)의 가이드 단턱(120)에 커버(300)의 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e cover 300 serves to shield the cable wi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 As described above, in the main body duct 100 , a cable is routed in the inner wiring conduit 110 , and the cable may be rou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100 also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 At this time, the cable wired to the wiring conduit 110 of the body duct 100 is not exposed by the body duct 100, but the cable wired on one side of the body duct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ver 300 ) is a configuration that covers and shields the cable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as shown in FIG. 5 . Although the shape of the cover 300 is not specified, it is preferably made in the form of a plate, and the edge of the cover 300 can be fixed to the guide step 120 of the main duct 100 .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이용한 배선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iring operation using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공장에서 기 제작된 배선용 덕트 조립체가 배선 작업 현장으로 제공된다. 작업자는 교차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지점에 상기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를 위치시킨다. 작업자는 기 제작된 크로스덕트(200)의 제1박스(210)를 위치시키고, 역시 기 제작된 본체덕트(100)를 제1박스(210)의 안착홈(212)에 위치시킨다. 본체덕트(100)와 제1박스(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된 상태를 제공한다. 작업자는 본체덕트(100)의 배선관로(110)를 통해 배선 작업을 실시한다. 복수의 케이블은 본체덕트(100)의 배선관로(110)를 따라 일방향으로 배선된다.A duct assembly for wiring pre-fabricated at the factory is provided to the wiring work site. An operator positions the cross-wiring duct assembly at a point where cross-wiring operations are required. The operator positions the first box 210 of the pre-fabricated cross duct 200 , and also places the pre-fabricated body duct 100 in the seating groove 212 of the first box 210 . The body duct 100 and the first box 210 provide a crossed state as shown in FIG. The operator performs wiring work through the wiring conduit 110 of the main body duct 100 . The plurality of cables are rou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wiring line 110 of the main body duct 100 .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박스(210)의 배선관로(211)를 통해 타방향으로 케이블 배선 작업을 실시한다. 케이블은 제1박스(210)의 배선관로(211) 일측을 통해 타측으로 배선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덕트(100)의 외측을 넘어간다. 케이블은 제1박스(210)의 경사진 개구부(211a)를 통해 본체덕트(100)의 외측을 지나감으로써, 케이블 배선작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operator performs the cable wiring work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e wiring conduit 211 of the first box 210 . The cable is routed to the other side through one side of the wiring conduit 211 of the first box 210 , and goes over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uct 100 as shown in FIG. 3 . The cable passes through the outside of the main duct 100 through the inclined opening 211a of the first box 210, so that the cable wi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와 같이 케이블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차 배선 작업되는 과정에서, 본체덕트(100) 및 제1박스(210)에 의해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로 교차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교차 배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추가 작업시에도 케이블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추가 작업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cross-wiring the cabl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cross-wiring may be made in a state where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by the main duct 100 and the first box 210 . Thi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ross-wiring ope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ble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even during additional operation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dditional operations.

다음으로, 작업자는 본체덕트(100) 일면위로 노출된 케이블을 제2박스(220)로 덮어씌운다. 제2박스(220)는 케이블을 덮어 차폐시키며, 제2박스(220)의 결합편(222)은 제1박스(210)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이후, 작업자는 피스 등을 이용해 제2박스(220)를 제1박스(210)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박스(2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operator covers the cable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with the second box 220 . The second box 220 covers and shields the cable, and the coupling pieces 222 of the second box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irst box 210 . Thereafter, the operator may fix the second box 220 by using a piece or the like to fix the second box 220 to the first box 21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덕트(100)의 일면으로도 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체덕트(100)의 배선관로(110)에 전기케이블 배선 작업이 이루어지고, 본체덕트(100)의 일면에는 통신케이블 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박스(220)를 제1박스(210)에 체결하기 전, 작업자는 본체덕트(100)의 일면에 본체덕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선작업을 실시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iring work may be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 For example, an electric cable wiring operation is made in the wiring conduit 110 of the main body duct 100 , and a communication cable wiring operation can be made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 To this end, before fastening the second box 220 to the first box 210 , the operator performs wiring work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100 .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2박스(220)를 제1박스(210)에 고정시키고, 크로스덕트(200) 양측의 본체덕트(100) 단턱에 커버(300)를 각각 고정시킨다. 커버(300)는 본체덕트(100)의 일면을 덮어 케이블을 차폐시킴으로써 배선 작업이 완료된 외관을 깔끔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박스(210) 및 제2박스(220)의 측면에는 스피커 및 전등과 같은 자재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자재 설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Next, the operator fixes the second box 220 to the first box 210 , and fixes the cover 300 to the steps of the body duct 100 on both sides of the cross duct 200 , respectively. The cover 300 covers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100 to shield the cable,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of the wiring work completed, and protecting the cable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since materials such as speakers and lights can be fixed to the sides of the first box 210 and the second box 220, the utilization of space for installing materials can be increas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교차 배선 작업시 교차되는 케이블을 구획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교차 배선 작업을 위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는 이미 제작이 완료된 자재를 작업현장에 공급하여 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ross cables during the cross wiring operation so that cables wired in different directions do not overlap.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for the cross wir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duct assembly for cross-wiring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structed by supplying already-manufactured materials to the work site, thereby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덕트 110,211 : 배선관로
120 : 가이드 단턱 200 : 크로스덕트
210 : 제1박스 212 : 안착홈
220 : 제2박스 221 : 측면홈
222 : 결합편 223 : 절곡편
300 : 커버 212a : 단턱
100: main body duct 110,211: wiring path
120: guide step 200: cross duct
210: first box 212: seating groove
220: second box 221: side groove
222: combined piece 223: bent piece
300: cover 212a: step

Claims (5)

일방향으로의 배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덕트; 및
상기 본체덕트의 배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외측으로 교차하여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크로스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덕트는,
상기 본체덕트와 교차하는 방향 양측으로 배선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덕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제1박스;
상기 제1박스의 개구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를 지나는 본체덕트를 덮어씌운 후 상기 제1박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제2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박스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덕트가 수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된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덕트의 저면과 상기 안착홈 바닥면 사이에 유격 형성을 통해 배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 양측에는 본체덕트 상면과 단차진 가이드 단턱이 본체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덕트의 상면에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덕트의 상면에는 본체덕트의 상면에 배선된 케이블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가 상기 가이드 단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
a body duct providing a wiring space in one direction; and
A cross duct that provides a wiring line that crosses with respect to the wir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ct and guides the wiring so that the wiring can be made by crossing the outside of the main duct, comprising:
The cross duct is
a first box providing wiring lines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ain body duct and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main body duct can be seated;
A second box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rst box, and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box after covering the main duc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The first box forms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body duct is accommodated below the opening, and forms a step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duc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 wiring space is formed by forming a gap in th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uct,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duct and a stepped guide step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uct so that a cable can be rou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uct,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uct has a cover fixed to the guide step so as to shield the cables wi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u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는 상기 본체덕트의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배선용 덕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s inclined to widen outward of the main body duc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7051A 2019-08-30 2019-08-30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Active KR102373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51A KR102373414B1 (en) 2019-08-30 2019-08-30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51A KR102373414B1 (en) 2019-08-30 2019-08-30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49A KR20210027649A (en) 2021-03-11
KR102373414B1 true KR102373414B1 (en) 2022-03-15

Family

ID=7514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51A Active KR102373414B1 (en) 2019-08-30 2019-08-30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4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917B1 (en) * 2020-03-05 2022-03-03 주식회사 대림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233B2 (en) * 1996-11-21 2006-03-01 株式会社大林組 Wiring method for cables adjacent to or crossing air conditioning ducts
KR100674414B1 (en) * 2005-03-07 2007-01-26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Wire wire duct installation structure of clean room ceiling facility room
KR100694487B1 (en) 2005-03-21 2007-03-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duct
KR100859545B1 (en) 2007-12-24 2008-09-22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Bus duct for building electrical wiring distribution
JP2014158338A (en)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Wire housing bod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stages and laying method of wire and cabl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20B1 (en) * 2005-04-06 2007-05-04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Wiring duct for each modu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233B2 (en) * 1996-11-21 2006-03-01 株式会社大林組 Wiring method for cables adjacent to or crossing air conditioning ducts
KR100674414B1 (en) * 2005-03-07 2007-01-26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Wire wire duct installation structure of clean room ceiling facility room
KR100694487B1 (en) 2005-03-21 2007-03-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duct
KR100859545B1 (en) 2007-12-24 2008-09-22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Bus duct for building electrical wiring distribution
JP2014158338A (en)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Wire housing bod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stages and laying method of wire and cable using the same
JP6124616B2 (en) * 2013-02-14 2017-05-10 株式会社関電工 Electric wire storage bod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two stages and electric wire / cabl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49A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229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8093510B2 (en) Downward facing receptacle assembly for cable raceway
JP3293556B2 (en) Protector
KR102373414B1 (en)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KR102342451B1 (en) Protective cover device for construction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JP2019188497A (en) robot
KR20210030682A (en) Cover device for electrical wire protection
KR101136915B1 (en) Bus duct cover
US20130068502A1 (en) Dry door grommet
KR20070104117A (en) Protective member coupling structure of wiring duct
JP2015101111A (en) Protective structure of wire harness for horn of vehicle, and front grille module of vehicle
JP2013172611A (en) Grommet for door
JP6406910B2 (en) Wiring storage structure
KR101996457B1 (en) Protector for Wiring Harness
KR100694487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duct
JP2011250502A (en) Junction box for metal duct and method of fitting the same
KR101035376B1 (en) Fuse box
JP7023915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EP1706925B1 (en) Cable installation accessory
KR102064450B1 (en) Protector for wiring
KR200424047Y1 (en) Connector of communication distribution board with cable guide piece
JP7628366B2 (en) Distribution boards and covering materials
JP5711611B2 (en) Feeding pole
KR102088894B1 (en) Protector for wiring
KR20190073068A (en) Cable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