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376B1 -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 Google Patents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3376B1 KR102373376B1 KR1020200019186A KR20200019186A KR102373376B1 KR 102373376 B1 KR102373376 B1 KR 102373376B1 KR 1020200019186 A KR1020200019186 A KR 1020200019186A KR 20200019186 A KR20200019186 A KR 20200019186A KR 102373376 B1 KR102373376 B1 KR 102373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piece
- building
- support
- finis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28 artificial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 타일 또는 대리석이나 마감재(이하 "마감패널"이라 함)를 설치할 때에 그 설치되는 마감패널의 표면이 상하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평활하게 설치되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 편과, 고정부재가 관통고정되는 고정구와, 마감패널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받침 편과, 마감패널의 후면을 지지해주는 후면지지 편과, 마감패널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nished panel to be installed is installed smoothly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horizontal, horizontal state when installing tiles, marble, or finishing materi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ishing panels") on the walls of the inner or outer walls of a building. It relates to an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close contact piece fixed to the wall of a building, a fixture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is fixed, a support piec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nish panel,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 panel It consists of a rear support piece and an adjustment tool that adjust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nishing pa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 타일 또는 대리석이나 각종 마감재(이하 "마감패널"이라 함)를 시공 설치할 때에 그 설치되는 마감패널의 표면이 상하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평활하게 설치되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nished panel to be installed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is installed smoothly when tiles, marble, or various finishing materi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ishing panels") are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walls of the inner or outer walls of a building It relates to an internal/external panel fixing devic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타일, 테라코타, 대리석 등의 내/외장재로 이루어진 패널이 설치되고 이와 같은 내/외장 패널은 대개 사각형상으로 제작되고 건축물의 내/외벽에 설치되어 벽 보호 및 장식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general, panels made of interior/exterior materials such as tiles, terracotta, marble, etc. are installed on the walls of the interior or exterior walls of buildings made of concrete structures. It is installed on the inner/outer wall to provide wall protection and decorative effects.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마감패널을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은 건식방법과 습식방법이 적용되고 있다.A dry method and a wet method are applied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finishing panel having the above effect on an inner wall 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상기의 습식방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벽체 또는 바닥에 직접 부착하는 시공법으로 얇게 가공한 천연석판재 또는 인조 대리석, 소성 및 성형 타일 등 마감재의 두께가 얇은 판재를 사용하는 실내 마감인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The above wet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is directly attached to a wall or floor using mortar or epoxy. It is mainly used for interior finishing using thinly processed natural stone slabs or artificial marble, calcined and molded tiles, etc. method to use.
또 상기 습식시공은 시멘트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체에 시공하기 때문에 설치 후 수년이 지나게 되면 접착력이 약해지면서 떨어지는 문제점과 지진 등의 발생시 안전성이 약하고, 에폭시 등의 접착제는 포름알데히드 등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을 발생하여 거주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et construction uses cement mortar or adhesive to be installed on the wall, when several years pass after installation, the adhesive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safety is weak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etc., and the adhesive such as epoxy is a substance that causes sick house syndrome This causes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종래의 건식방법은 앵글, 패스너(fastner) 등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벽체에 간접 고정하는 방법으로 세라믹 타일 등과 같이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경우나 외벽 마감과 같이 마감거리의 제한을 덜 받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The conventional dry method is a method of indirectly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 to the wall using angles and fasteners, and is mainly used when there is a certain thickness such as ceramic tiles or when the finishing distance is less limited such as exterior wall finishing. do.
이러한 종래의 건식방법은 한국 등록실용신안(제20-037828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일의 테두리 면이나 타일의 후면에 타공을 해야 한다. 따라서 타공 위치가 잘못되면 타일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타일은 충격이나 진동에 민감하므로 타공시 타일의 타공 부위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In this conventional dry method,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8283), a perforation must be made on the edge of the tile or on the back of the tile. Therefore, if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is incorrect, the tile cannot be used, and since the tile is sensitive to shock or vibra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strength of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tile may be reduced or damaged during perforation.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일 부착용 고정구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ixture for attaching a tile as shown in FIGS. 1A and 1B is provided, and it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 아 래 -- under -
건축물의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타일 부착용 고정구로서,A fixture for tile attachment for attaching tiles to a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110)을 구비하는 판상의 타일 접합부(100); 및A plate-
일단에 상기 장홀(110)에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타일 접합부(100)에 삽입 체결 후 돌출되는 돌출 영역(220)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영역(220)에 판상의 타일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210)를 상기 장홀(110)에 삽입시, 상기 타일 접합부의 일면과 접하는 상기 지지부(200)의 옆면은 상기 지지부(200)의 하 방향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일 접합부(100) 일면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어진다.It has a protrusion 210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long hole 110 at one end, and a plate-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타일을 벽면에 고정하는 데는 용이하게 사령할 수 있으나 설치되는 마감패널의 표면을 상하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데는 미흡하고 또 설치 후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는 한계가 있다.The tile attachment fixtur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easily used to fix the tile to the wall, but it is insufficient to keep the surface of the finished panel to be installed horizontally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a strong support force after install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which is,
첫째,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할 때에 정교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First, when installing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installing it precisely, simply and easily.
둘째,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표면이 상하좌우 평활 면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미려함과 장식 미를 높일 수 있으며,Second, after finishing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surface forms a smooth surfac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to enhance the aesthetics and decorativeness of the building.
셋째,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장기간이 지나도 마감패널이 설치 개소로부터 떨어지지 않아 보수가 필요치 않음으로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ird,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fixing interior/exterior panels of a building that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because the finishing panel does not fall from the installation sit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and does not require rep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The problem solving mean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서 하방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장 홀(11)이 형성된 밀착 편(10); 상기 장 홀에 끼워 결합되며, 전면에서 후면까지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홀(21)을 형성시켜 된 고정구(20); 상기 밀착 편의 하부로부터 90° 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P)의 하단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 편(30); 상기 받침 편의 하부 밀착 편의 하단에 전방을 향하는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후면을 지지해주는 후면지지 편(40); 및 상기 받침 편이 긴밀히 끼워져 전진하는 이동 홀(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부를 밀어 마감패널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50);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
그리고 상기 장 홀의 전방 주위는 상기 밀착 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 홀의 후방 밀착 편의 후면 양측에는 레일(12)이 형성되며, 상기 장 홀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스토퍼(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더(22)가 형성된다.And the front periphery of the long hol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ct piece,
또 상기 받침 편에는 일 측단에서 타 측단까지 이르는 절취선(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후면지지 편의 상단 양측과 하단 중앙부에는 만곡 형태의 각 연장 편(41,4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구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받침 편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으며 마감패널의 1/2 두께만큼 돌출되는 절취유도 편(5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홀을 형성하는 조절구의 표면에는 조절구가 받침 편을 따라 전진 후 후진하지 못하도록 상기 받침 편과 긴밀히 면 접촉되는 후진방지구(5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할 때에 정교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표면이 상하좌우 평활 면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미려함과 장식 미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장기간이 지나도 마감패널이 설치 개소로부터 떨어지지 않아 보수가 필요치 않음으로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evice for fixing the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sophisticated, simple and easy to install when installing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In addition, after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surface forms flat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o enhance the aesthetics and decorative beauty of the building, and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finishing panel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repaired as it does not come off the installation sit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결합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에서 조절구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마감하기 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마감한 단면도.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the interior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ation of the building interior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ment tool in the device for fixing an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installing and finishing the finishing panel using the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anel installed and finished using the device for fixing the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 타일 또는 대리석이나 각종 마감재(이하 "마감패널"이라 함)를 시공 설치할 때에 그 설치되는 마감패널의 표면이 상하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평활하게 설치되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nished panel to be installed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is installed smoothly when tiles, marble, or various finishing materi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ishing panels") are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walls of the inner or outer walls of a building It relates to an internal/external panel fixing device, and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 아 래 -- under -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는, 마감패널(P)을 설치하고자 하는 개소의 건축물 벽면(W)에 밀착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서 하방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장 홀(11)이 형성된 밀착 편(10)과, 상기 장 홀(11)에 끼워 결합되며 전면에서 후면까지 고정부재(S)가 관통하는 관통 홀(21)을 형성시켜 된 고정구(20)와, 상기 밀착 편(10)의 하부로부터 90° 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P)의 하단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 편(30)과, 그 받침 편(30)의 하부 밀착 편(10)의 하단에 전방을 향하는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P)의 후면을 지지해주는 후면지지 편(40)과, 상기 받침 편(30)이 긴밀히 끼워져 전진하는 이동 홀(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P)의 하단부를 밀어 마감패널(P)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50)로 구성된다.The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W) of the building where the finishing panel (P) is to be installed, and the close-fitting piece ( 10) and the
상기의 구성에서 밀착 편(10)에 형성된 장 홀(11)의 전방 주위는 상기 밀착 편(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 홀(11)의 후방 밀착 편(10)의 후면 양측에는 레일(12)이 형성되며, 상기 장 홀(11)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스토퍼(13)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레일(12)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더(22)가 형성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ront periphery of the
상기 장 홀(11)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고정구(20)를 끼워 고정한 후 고정구(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장 홀(11)의 전방 주위를 상기 밀착 편(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시킨 이유는, 고정구(20)가 끼워 고정되는 부분의 견고성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또 상기 밀착 편(10)의 후면 양측에 레일(12)을 형성시키고, 고정구(20)의 후방 양측에 가이더(22)를 형성시킨 이유는, 고정구(20)가 밀착 편(10)의 장 홀(11)에 끼워 결합된 후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동 됨이 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또한, 상기 장 홀(11)의 상단 양측에 돌기 형태의 스토퍼(13)를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한 이유는, 고정구(20)가 장 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고정구(20)가 장 홀(11)에 끼워 결합 될 때는 스토퍼(13)를 포함하는 밀착 편(10)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끼워진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protrusion-
그리고 상기 고정구(20)가 장 홀(11)에 끼워진 후 고정구(20)의 후면과 밀착 편(10)의 후면은 평면을 형성한다. 그 이유는 밀착 편(10)이 건축물의 벽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after the
또 상기 고정구(20)에 형성된 관통 홀(21)은 고정부재(S)가 관통하며 건축물의 벽면(W)에 고정부재(S)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정부재(S)는 콘크리트 못이나 기타 앙카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본 발명의 받침 편(3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패널(P)의 하단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 편(30)에는 일 측단에서 타 측단까지 이르는 절취선(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데, 그 절취선(31)을 형성시킨 이유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패널(P)을 설치완료한 후 절취선(31)을 절단하고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의 사이 줄 눈 마감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또 본 발명의 후면지지 편(40)은 마감패널(P)의 후면을 지지해주는 주는 것으로, 상단 양측과 하단 중앙부에는 만곡 형태의 각 연장 편(41,42)을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부에 형성된 연장 편(41)은 건축물의 벽면(W)에 지지되고 하단에 형성된 연장 편(41,42)은 마감패널(P)의 후면과 접촉되어 마감패널(P)을 지지해 준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조절구(50)는 상기 받침 편(30)이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마감패널(P)의 하부를 밀어 마감패널(P)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구(50)는 상기 받침 편(30)이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전진할 수 있도록 이동 홀(5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조절구(50)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받침 편(30)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으며 마감패널(P)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L)를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취유도 편(52)이 형성되는데, 그 절취유도 편(52)을 형성시킨 이유는, 마감패널(P)을 건축물의 벽면(W)에 설치 완료하고 받침 편(30)을 절단하였을 때 그 절단된 단면이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의 내부에 위치하여 마감재로 상기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의 사이 줄 눈 작업을 할 때에 마감재의 일부가 밀려 들어가 안정적이고 견고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상기 절취유도 편(52)의 돌출되는 길이(L)는 마감패널(P)의 1/2 두께만큼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 사이에 존재하는 받침 편(30)의 길이가 너무 짧게 존재하면 마감패널(P)을 받쳐주고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고, 상기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 사이에 존재하는 받침 편(30)의 길이가 너무 길게 존재하면 마감재로 줄 눈 작업할 때에 마감재가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의 사이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마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protruding length L of the cut-out
또 상기 이동 홀(51)을 형성하는 조절구(50)의 표면에는 조절구(50)가 받침 편을 따라 전진 후 후진하지 못하도록 상기 받침 편(30)과 긴밀히 면 접촉되는 후진방지구(53)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구(50)로 마감패널(P)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상기 마감패널(P)이 조절된 위치 그대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on the surface of the adjusting
상기와 같이하여 밀착 편(10)과, 고정구(20)와, 받침 편(30)과, 후면지지 편(40) 및 조절구(5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W)에 마감패널(P)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에폭시(A) 등을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와 건축물의 벽면(W) 사이에 공급하고 경화된 후 절취선(31)을 절취하고 마감재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줄 눈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상기 마감패널(P)의 설치완료 후 마감패널(P)과 마감패널(P)의 사이에 위치한 받침 편(30)의 절취선(31)을 절취하는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유도 편(52)의 선단이 절취선(31)의 시작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절구(50)의 측면을 공구를 이용하여 일측 방향으로 타격하게 되면 절취유도 편(52)의 선단이 절취선(31)의 시작지점을 절취하면서 상기 절취선(31)을 따라 절취하게 된다.The method of cutting the
단 상기 절취선(31)을 절취하는 방법은 공구가 아닌 작업자가 조절구(5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 편(30)의 절취선(31)을 따라 절취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method of cutt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밀착 편(10)을 건축물의 벽면(W)에 밀착시키고 고정부재(S)를 이용하여 고정구(20)를 건축물의 벽면(W)에 고정하게 되면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가 고정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감패널(P)의 하단을 받침 편(30)에 올려놓고 조절구(50)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마감패널(P)이 위치조절 되면서 마감패널(P)의 후면은 후면지지 편(40)이 지지하여 마감패널(P)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단 상기 본 발명의 후진방지구(53)에는 논 슬립 면을 형성시켜 조절구(50)가 전진 후 후방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조절구(50)의 선단 하부에 마감패널의지구(54)를 형성시켜 마감패널(P)의 하부를 용이하게 밀거나 그 미는 작업이 끝난 후 안정적으로 의지시킬 수 있다.However, a non-slip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할 때에 정교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표면이 상하좌우 평활 면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미려함과 장식 미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완료 후 장기간이 지나도 마감패널이 설치 개소로부터 떨어지지 않아 보수가 필요치 않음으로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fixing the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installing the finished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precisely, simply and easily, as described in the above effect. , In addition, after finishing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surface forms smooth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o enhance the aesthetics and decorative beauty of the building.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as it does not fall from the location and does not require maintenance.
10 : 밀착 편 11 : 장 홀
12 : 레일 13 : 스토퍼
20 : 고정구 21 : 관통 홀
22 : 가이더 30 : 받침 편
31 : 절취선 40 : 후면지지 편
41,42 : 연장 편 50 : 조절구
51 : 이동 홀 52 : 절취유도 편
53 : 후진방지구 54 : 마감패널의지구
A : 실리콘이나 에폭시 L : 길이
P : 마감패널 S : 고정부재
W : 벽면10: close-fitting piece 11: long hole
12: rail 13: stopper
20: fixture 21: through hole
22: guider 30: support side
31: perforated line 40: rear support piece
41, 42: extension piece 50: control part
51: moving hole 52: cutting guide side
53: backward prevention zone 54: finish panel zone
A: Silicone or Epoxy L: Length
P : Finishing panel S : Fixing member
W: wall
Claims (8)
상기 장 홀에 끼워 결합되며, 전면에서 후면까지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홀(21)을 형성시켜 된 고정구(20);
상기 밀착 편의 하부로부터 90° 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P)의 하단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 편(30);
상기 받침 편의 하부 밀착 편의 하단에 전방을 향하는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후면을 지지해주는 후면지지 편(40); 및
상기 받침 편이 긴밀히 끼워져 전진하는 이동 홀(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부를 밀어 마감패널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 close contact piece (10)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formed with a long hole (11) with an open upper part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part;
a fixture 20 fitted into the long hole and formed by forming a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 support piece (30) formed to maintain a 90° ang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piece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nishing panel (P);
a rear support piece 40 form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ct piece of the support piece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and
an adjustment member 50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nishing panel by pushing the lower end of the finishing panel by forming a moving hole 51 through which the support piece is closely fitted to advance; Building interior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장 홀의 전방 주위는 상기 밀착 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 홀의 후방 밀착 편의 후면 양측에는 레일(12)이 형성되며, 상기 장 홀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스토퍼(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더(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periphery of the long hol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piece, rails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ntact piece of the long hole, and mutually opposing stoppers 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long hole,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fixture, guiders 22 that are coupled to the rail and move up and down are formed.
상기 받침 편에는 일 측단에서 타 측단까지 이르는 절취선(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erforated lines (31) extending from one side end to the other side en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pport piece.
상기 후면지지 편의 상단 양측과 하단 중앙부에는 만곡 형태의 각 연장 편(41,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evice for fixing an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urved extension pieces (41, 42) are formed on both upper sides and the lower center of the rear support piece.
상기 조절구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받침 편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으며 마감패널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L)를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취유도 편(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adjuster, having a thickness equivalent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iece and having a length (L) shor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nish panel, a cut-out guide piece 52 is formed. Device.
상기 절취유도 편의 전방 돌출되는 길이(L)는 마감패널 두께의 1/2 만큼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L) protruding forward of the cut-out guide piece is a building interior/exterior panel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1/2 of the thickness of the finished panel.
상기 이동 홀을 형성하는 조절구의 표면에는 조절구가 받침 편을 따라 전진 후 후진하지 못하도록 상기 받침 편과 긴밀히 면 접촉되는 후진방지구(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evice for fixing an interior/exterior panel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forming the moving hole, a backward preventing device (5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iece is formed to prevent the adjusting member from moving backward after moving forward along the supporting piece.
상기 고정구가 장 홀에 끼워진 후 고정구의 후면과 밀착 편의 후면은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the rear surface of the fixtur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piece are configured to form a flat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186A KR102373376B1 (en) | 2020-02-17 | 2020-02-17 |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186A KR102373376B1 (en) | 2020-02-17 | 2020-02-17 |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438A KR20210104438A (en) | 2021-08-25 |
KR102373376B1 true KR102373376B1 (en) | 2022-03-11 |
Family
ID=7749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9186A KR102373376B1 (en) | 2020-02-17 | 2020-02-17 |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33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7802B1 (en) | 2024-07-05 | 2024-10-15 | 서준호 | Antimicrobial Furnitur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8054B2 (en) | 2003-02-21 | 2008-11-12 | 神島化学工業株式会社 | Cosmetic material mounting tool and cosmetic material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0002Y1 (en) | 2006-03-27 | 2006-06-27 | (주)대동석재공업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KR200460529Y1 (en) | 2010-01-31 | 2012-05-25 | 이상구 | wall tile fixation controller device |
KR101472860B1 (en) | 2014-06-13 | 2014-12-16 | 주식회사 비엔케이 | Fixing apparatus for tile |
-
2020
- 2020-02-17 KR KR1020200019186A patent/KR1023733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8054B2 (en) | 2003-02-21 | 2008-11-12 | 神島化学工業株式会社 | Cosmetic material mounting tool and cosmetic material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438A (en) | 2021-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64442B1 (en) | Wall cladding assembly method and system | |
US6338229B1 (en) | Wall strip with raised bead for plaster screeding comprising two nailing strips connected by a riser strip configuration | |
US9016020B1 (en) | Thin brick panel assembly system | |
EP3247843A1 (en) | Locking and regulation device for panels and slabs | |
CA27161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 |
US9068350B2 (en) | Building module, a method for making same, and a method for using same to construct a building | |
KR102373376B1 (en) | Fixing equipment of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panel | |
KR20160026508A (en) | Marble panel fixing device for wall exterior | |
JP2016102361A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exterior finishing material | |
KR200420002Y1 (en)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JPH0229152Y2 (en) | ||
KR20090003818U (en)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US5761876A (en) | Stone wall guide and forming system | |
KR20200025634A (en) |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KR200431317Y1 (en)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EP2857609A1 (en) |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 |
KR100901261B1 (en) | Temporary support for lintel brick masonry and lintel brick masonry method | |
RU2632617C2 (en) | Method of facing facade of floors in monolithic construction of buildings | |
KR20130127194A (en) | Constructing structure of ceiling molding | |
KR101472860B1 (en) | Fixing apparatus for tile | |
RU2517095C2 (en) | Fixator of angular plank | |
CA2722363C (en) | Wall facing system and devices for supporting and anchoring stone facing elements | |
KR200358628Y1 (en) | a spacer | |
KR200385716Y1 (en) | A coner fixing device for a out side panel of building | |
KR101548979B1 (en) | Stone plate fixing apparatus and Stone pla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