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605B1 - 벨트용 텐셔너 - Google Patents

벨트용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605B1
KR102371605B1 KR1020170070583A KR20170070583A KR102371605B1 KR 102371605 B1 KR102371605 B1 KR 102371605B1 KR 1020170070583 A KR1020170070583 A KR 1020170070583A KR 20170070583 A KR20170070583 A KR 20170070583A KR 102371605 B1 KR102371605 B1 KR 10237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axis
belt
belt tensio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596A (ko
Inventor
김상윤
박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605B1/ko
Priority to US15/803,086 priority patent/US10557530B2/en
Priority to DE102017126596.1A priority patent/DE102017126596B4/de
Publication of KR2018013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벨트 텐셔너는, 2 이상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용 텐셔너{BELT TENSIONER}
본 발명은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그 장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장착위치의 제약이 적으며, 벨트의 장력을 저감하여 연비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에는 벨트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벨트 구동장치는 차량의 엔진의 프론트 측에 설치되어 엔진의 시동, 구동, 엔진의 토크 부스팅(torque boosting), 제너레이터의 발전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구동장치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마련된 크랭크풀리와, 제너레이터(또는 알터네이터)의 샤프트에 마련된 알터네이터 풀리와, 하나 이상의 보기류(워터펌프, 압축기 등)의 샤프트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보기류 풀리와, 크랭크풀리, 알터네이터 풀리, 보기류 풀리들 사이에 감겨진 벨트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엔진의 경우에는 스타터 이외에도 제너레이터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고, 주행 도중에 제너레이터에 의해 토크 부스팅(torque boosting)이 가능하며, 제동 시에 발전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랭크샤프트 및 제너레이터가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으로서 선택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벨트의 긴장측 및 이완측이 상시적으로 바뀔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어도 2개의 텐셔너가 벨트 측에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텐셔너가 설치됨에 따라 엔진의 프론트측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엔진의 사양에 따라서는 2개의 텐셔너를 조립 내지 장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텐셔너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벨트의 장력이 과도하게 높아져 연비가 저하될 수 있다.
그외에도, 적어도 2개의 텐셔너가 요구됨에 따라 그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그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고, 장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장착위치의 제약이 적고, 벨트의 장력을 저감하여 연비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벨트 텐셔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는,
2 이상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2 이상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2 이상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그 내부에 형성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바디의 슬롯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의해 제1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슬롯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가 제1축선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의해 제2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축선과 상기 제2축선은 일정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제1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는 마찰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제2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는 마찰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적어도 한 단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2 이상의 아이들러 롤러는 상기 2 이상의 아암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아암은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한 단부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아암은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한 단부에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의 적어도 일단부에 2개의 아이들러 롤러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단일의 벨트 텐셔너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단일의 벨트 텐셔너가 벨트 구동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장력이 저감될 수 있고, 이에 연비 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착 위치의 제약이 적으므로 다양한 엔진의 사양에 맞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고, 중량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탄성부재에 의해 바디가 탄성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벨트의 장력을 저감할 수 있고, 탄성부재의 강성 조정을 통해 벨트의 장력을 최적화할 수 있으로 소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가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할 때, 제1 및 제2 댐퍼에 의해 적절한 완충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소음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 텐셔너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벨트 텐셔너가 차량의 벨트 구동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스타터에 의해 엔진이 시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제너레이터에 의해 엔진이 시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서 크랭크샤프트 및 제너레이터가 모두 구동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서 크랭크샤프트 및 제너레이터가 모두 구동하지 않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는 2 이상의 축선(X1, X2)을 따라 이동가능한 바디(11)와, 바디(11)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31, 32; ilder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는 2 이상의 축선(X1, X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엔진(1)의 크랭크샤프트 및 제너레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동력을 발생함에 따라 벨트(4)의 긴장측 및 이완측이 상시적으로 바뀔 수 있고, 이러한 벨트(4)의 긴장측 및 이완측이 바뀌는 것에 대응하여 바디(11)는 2 이상의 축선(X1, X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디(11)는 제1축선(X1) 및 제2축선(X2)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축선(X1)과 제2축선(X2)은 일정각도로 서로 교차할 수 있다(the first axis X1 and the second axis X2 are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predetermined angle). 보다 구체적으로, 제1축선(X1)과 제2축선(X2)은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축선(X1)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바디(11)의 내부에는 제1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15)을 가질 수 있으며, 슬롯(15)의 양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바디(1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벽(11a)과, 한 쌍의 제1벽(11a)들의 양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벽(11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5)은 한 쌍의 제1벽(11a)과 한 쌍의 제2벽(11b)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벽(11a)은 서로 이격되고, 각 제1벽(11a)은 제1축선(X1)을 따라 연장되고, 각 제2벽(11b)은 한 쌍의 제1벽(11a)들의 각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벽(11b)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의 슬롯(15)에는 제1가이드부재(41) 및 제2가이드부재(42)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11)는 제1가이드부재(41)에 의해 제1축선(X1)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제2가이드부재(42)에 의해 제2축선(X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41)는 바디(11)의 슬롯(15)에 설치되어 바디(1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41)는 바디(11)의 한 쌍의 제1벽(11a)에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41a)를 가질 수 있고, 각 지지부(41a)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41b)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기(41b)는 각 제1벽(11a)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각 제1벽(11a)은 제1가이드부재(41)의 한 쌍의 지지돌기(4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바디(11)는 제1가이드부재(41)에 의해 제1축선(X1)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바디(11)의 슬롯(15)에는 탄성부재(18)가 설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18)는 제1축선(X1)을 따라 제1가이드부재(41) 및 바디(11)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elastic member allow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body is provided within cavity of body). 이에 따라, 제1가이드부재(41)는 탄성부재(18)에 의해 바디(11)에 대해 제1축선(X1)을 따라 탄성지지될 수 있고, 바디(11)는 탄성부재(18)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41)에 대해 제1축선(X1)을 따라 탄성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8)는 바디(11)의 슬롯(15) 내에서 제1가이드부재(41)의 일면과 슬롯(15)의 어느 한 제2벽(11b)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탄성부재(18)의 일단은 제1가이드부재(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탄성부재(18)의 타단은 바디(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41)의 일면에는 탄성부재(18)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돌기(19a)가 형성될 수 있고, 슬롯(15)의 어느 한 제2벽(11b)의 내면에는 탄성부재(18)의 타단이 지지되는 제2돌기(19b)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부(41a)와 각 제1벽(11a) 사이에는 한 쌍의 제1댐퍼(43)가 개별적으로 개재될 수 있고, 각 제1댐퍼(43)는 마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제1댐퍼(43)는 지지부(41a) 및 한 쌍의 지지돌기(41b)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디(11)가 제1축선(X1)을 따라 이동하면, 바디(11)의 각 제1벽(11a)과 각 제1댐퍼(43)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완충력(damping force)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완충력에 의해 벨트(4)의 구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벨트 텐셔너(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42)는 제2축선(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가이드부재(42)는 제1가이드부재(41)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재(41)는 중공부(41c)를 가지며, 제1가이드부재(41)의 중공부(41c)에는 제2가이드부재(42)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42) 및 제1가이드부재(41)의 중공부(41c)는 서로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가이드부재(42) 및 제1가이드부재(41)의 중공부(41c)는 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제2가이드부재(42) 및 제1가이드부재(41)는 서로 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바디(11)는 제2가이드부재(41)의 제2축선(X2)을 따른 바디(11)의 이동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42) 및 제1가이드부재(41)의 중공부(41c)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42)의 일부 외면과 제1가이드부재(41)의 내면 사이에는 제2댐퍼(44)가 개재될 수 있고, 각 제2댐퍼(44)는 마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댐퍼(42b)는 제2가이드부재(42)의 일부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바디(11)가 제2가이드부재(42)를 따라 제2축선(X2)을 따라 이동하면 제2가이드부재(42)의 외면과 제2댐퍼(42b)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완충력(damping force)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완충력에 의해 벨트(4)의 구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벨트 텐셔너(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42)의 양단에는 브라켓(45)이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각 브라켓(45)이 엔진(1)의 벨트 구동장치(2)에 장착됨으로써 벨트 텐셔너(10)가 벨트 구동장치(2)의 벨트(4)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42)의 양단이 브라켓(45)을 통해 엔진(1)의 프론트 측에 고정되고, 바디(11)의 슬롯(15) 내에서 탄성부재(18)가 제1가이드부재(41) 및 바디(11)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탄성부재(18)의 일단이 제1가이드부재(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부재(18)의 타단이 바디(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벨트(4)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8)의 강성을 조정함으로써 벨트(4)의 장력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31, 32)는 벨트 구동장치(2)의 벨트(4)와 접촉하여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31, 32)는 바디(11)의 적어도 한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는 적어도 2개의 아암(21, 22)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아이들러 롤러(31, 32)는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각 아암(21, 22)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아암(21, 22)은 제1축선(X1)의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아암(21)과, 제1축선(X1)의 좌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아암(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아암(21)에는 제1아이들러 롤러(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아암(22)에는 제2아이들러 롤러(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2개의 아암(21, 22)이 바디(11)의 일단부에서 제1축선(X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에 2개의 아이들러 롤러(31, 32)가 대칭적으로 배치됨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의 프론트 측에 설치된 벨트 구동장치의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아암 및 아이들러 롤러의 갯수, 아암의 형상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11)의 적어도 일단부에 2개의 아이들러 롤러(31, 32)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단순하고 컴팩트한 단일의 벨트 텐셔너(10)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단일의 벨트 텐셔너(10)가 벨트 구동장치(2)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장력이 저감될 수 있고, 이에 연비 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착 위치의 제약이 적으므로 다양한 엔진의 사양에 맞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고, 중량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아암(121, 122)이 바디(11)의 일단부에서 제1축선(X1)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고, 2개의 아암(121, 122)에 2개의 아이들러 롤러(131, 132)가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2개의 아이들러 롤러(131, 132)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아암(121)은 제1축선(X1)의 우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아암(122)은 제1축선(X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아암(121)에는 제1아이들러 롤러(1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아암(122)에는 제2아이들러 롤러(1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엔진(1)의 프론트 측에 설치된 벨트 구동장치(2)의 일 형태를 예시한도면이다.
도 7의 벨트 구동장치(2)는 좌측에 배치된 크랭크풀리(5)와, 우측에 배치된 제너레이터 풀리(6)와, 크랭크풀리(5)와 제너레이터 풀리(6) 사이에 배치된 압축기 풀리(7)와, 크랭크풀리(5), 제너레이터 풀리(6), 압축기 풀리(7)에 감겨진 벨트(4)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크랭크풀리(5)는 엔진(1)의 크랭크샤프트에 설치되고, 제너레이터 풀리(6)는 제너레이터(미도시)의 샤프트에 설치되며, 압축기 풀리(7)는 압축기(미도시)의 샤프트에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11에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가 벨트 구동장치(2)에 장착된 구조를 예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벨트 구동장치(2)의 구동상태에 따라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벨트 구동장치(2)에서 스타터(미도시)에 의해 엔진이 시동하고, 이에 크랭크풀리(5)의 구동에 의해 압축기 풀리(7) 및 제너레이터 풀리(6)가 회전하여 제너레이터가 발전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8에서는 벨트(4)의 하부 구간에서 긴장측(4a, tensioned side)가 형성되고, 벨트(4)의 상부 구간에서 이완측(4b, loosen sid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의 상태에서 벨트(4)의 이완측(4b)을 긴장시키도록 벨트 텐셔너(10)의 바디(11)가 제2축선(X2)에서 우측방향(화살표 R방향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벨트 구동장치(2)에서 제너레이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엔진이 시동하고, 이에 제너레이터 풀리(6)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풀리(5) 및 압축기 풀리(7)가 회전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9에서는 벨트(4)의 상부 구간에서 긴장측(4a, tensioned side)가 형성되고, 벨트(4)의 하부 구간에서 이완측(4b, loosen sid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9의 상태에서 벨트(4)의 이완측(4b)을 긴장시키도록 벨트 텐셔너(10)의 바디(11)가 제2가이드부재(42)를 따라 제2축선(X2)에서 좌측방향(화살표 L방향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벨트 구동장치(2)에서 토크 부스팅(torque boosting) 등과 같이 엔진 및 제너레이터가 모두 구동하고, 크랭크풀리(5) 및 제너레이터 풀리(6)가 모두 구동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 벨트(4)의 전구간이 이완될 수 있으므로, 도 10의 상태에서 벨트(4)의 전구간을 이완시키도록 벨트 텐셔너(10)의 바디(11)가 제1가이드부재(41)을 따라 제1축선(X1)에서 하부방향(화살표 D방향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벨트 구동장치(2)에서 타력주행 등과 같이 엔진 및 제너레이터가 모두 구동하지 않고, 이에 크랭크풀리(5) 및 제너레이터 풀리(6)가 모두 구동하지 않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에서 벨트(4)의 전구간이 긴장될 수 있으므로 도 11의 상태에서 벨트 텐셔너(10)의 바디(11)가 제1가이드부재(41)를 따라 제1축선(X1)에서 상부방향(화살표 U방향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를 도시한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아암(221)은 제1축선(X1)을 따라 연장되고, 제2아암(222)은 제1축선(X1)의 좌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아암(221)에는 제1아이들러 롤러(2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아암(222)에는 제2아이들러 롤러(2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아암이 바디(11)의 서로 다른 단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2개의 아이들러 롤러가 바디(11)의 서로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를 도시한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의 일단부에 제1아암(3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아암(321)은 제1축선(X1)의 우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1)의 타단부에는 제2아암(32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332)은 제1축선(X1)의 좌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아암(321)에는 제1아이들러 롤러(3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아암(322)에는 제2아이들러 롤러(3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텐셔너(10)를 도시한다.
도 14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의 일단부에 제1아암(4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아암(421)은 제1축선(X1)의 우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1)의 타단부에는 제2아암(42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432)은 제1축선(X1)의 우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아암(421)에는 제1아이들러 롤러(4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아암(422)에는 제2아이들러 롤러(4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아암이 바디(11)의 적어도 일단부에 일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가 바디(11)의 적어도 일단부에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벨트 텐셔너 11: 바디
15: 슬롯 18: 탄성부재
21: 제1아암 22: 제2아암
31: 제1아이들러 롤러 32: 제2아이들러 롤러
41: 제1가이드부재 42: 제2가이드부재
43: 제1댐퍼 44: 제2댐퍼

Claims (15)

  1. 2 이상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슬롯을 가진 바디;
    상기 바디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아이들러 롤러;
    상기 바디의 슬롯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
    상기 바디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의해 2 이상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벨트 텐셔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벨트 텐셔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슬롯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텐셔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제2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벨트 텐셔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축선과 상기 제2축선은 일정각도로 교차하는 벨트 텐셔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제1댐퍼를 더 포함하는 벨트 텐셔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는 마찰재질인 벨트 텐셔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 및 상기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제2댐퍼를 더 포함하는 벨트 텐셔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마찰재질인 벨트 텐셔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적어도 한 단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2 이상의 아이들러 롤러는 상기 2 이상의 아암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텐셔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아암은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한 단부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벨트 텐셔너.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아암은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한 단부에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벨트 텐셔너.
KR1020170070583A 2017-06-07 2017-06-07 벨트용 텐셔너 KR10237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83A KR102371605B1 (ko) 2017-06-07 2017-06-07 벨트용 텐셔너
US15/803,086 US10557530B2 (en) 2017-06-07 2017-11-03 Belt tensioner
DE102017126596.1A DE102017126596B4 (de) 2017-06-07 2017-11-13 Riemensp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83A KR102371605B1 (ko) 2017-06-07 2017-06-07 벨트용 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96A KR20180133596A (ko) 2018-12-17
KR102371605B1 true KR102371605B1 (ko) 2022-03-07

Family

ID=6433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83A KR102371605B1 (ko) 2017-06-07 2017-06-07 벨트용 텐셔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57530B2 (ko)
KR (1) KR102371605B1 (ko)
DE (1) DE10201712659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890B1 (ko) * 2017-10-24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트리플 풀리 벨트 오토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10514086B2 (en) * 2018-02-07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align belt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tensioners
JP2020026185A (ja) * 2018-08-10 2020-02-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0058925A1 (en) * 2018-09-21 2020-03-26 Videotec S.P.A. Device and method for tensioning a belt of a video camera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8044A1 (en) * 2007-11-06 2009-05-07 Teco Image System Co., Ltd. Belt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8700A (en) * 1925-07-27 1926-03-30 Anderson Alfred Fitz Roy Belt tensioning and adjusting apparatus
US3630096A (en) * 1970-08-21 1971-12-28 Carl T Brewer Drive-tensioning apparatus
US3926063A (en) * 1974-12-09 1975-12-16 Leonard E Mayfield Floating idler pulley apparatus
US4416647A (en) * 1981-05-26 1983-11-22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KR950014753U (ko) * 1993-11-12 1995-06-17 벨트의 진동감쇠 및 장력조절장치
US5938551A (en) * 1997-03-28 1999-08-17 Schwinn Cycling & Fitness Inc. Variable tension pulley system
DE19849886A1 (de) 1998-10-29 2000-05-11 Bosch Gmbh Robert Riementrieb, insbesondere bei Brennkraftmaschinen zum Antrieb von Nebenaggregaten eines Fahrzeugs
JP4070596B2 (ja) * 2000-10-03 2008-04-02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2つの直線ベルトテンショナ
AR037212A1 (es) * 2001-11-06 2004-10-27 Gates Corp Tensionador lineal de correa de recorrido limitado
US6817328B2 (en) * 2002-09-11 2004-11-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Belt driven engine starter motor system
US20050181901A1 (en) * 2004-02-13 2005-08-18 Chang-Hyun Shin Double action belt tensioner
DE102006044040B4 (de) 2006-09-14 2013-02-28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Zugmittelgetriebe mit kraftschlüssigem Zugmittel und regelbarer Vorspannung
DE102007042501A1 (de) 2007-09-07 2009-03-26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anordnung
JP6067379B2 (ja) * 2013-01-09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DE112015002405B4 (de) * 2014-05-22 2022-06-15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Riementransmissionssystem
DE102014213141B4 (de) * 2014-07-07 2023-05-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trieb
WO2016098051A1 (en) 2014-12-17 2016-06-23 Dayco Europe S.R.L. Tensioner for an accessory drive
KR101768060B1 (ko) 2015-12-14 2017-08-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정지시간 측정기를 포함하는 엔진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관리시스템
DE102016100509B4 (de) * 2016-01-13 2020-07-02 Kleemann Gmbh Riemenspannvorrichtung
TWI632315B (zh) * 2017-06-19 2018-08-11 城紹科技股份有限公司 能動態調整驅動輪與從動輪間多溝式傳動皮帶兩側張力平衡的調節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8044A1 (en) * 2007-11-06 2009-05-07 Teco Image System Co., Ltd. Belt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6596A1 (de) 2018-12-13
US10557530B2 (en) 2020-02-11
KR20180133596A (ko) 2018-12-17
DE102017126596B4 (de) 2021-07-22
US20180355954A1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605B1 (ko) 벨트용 텐셔너
JP4070596B2 (ja) 2つの直線ベルトテンショナ
RU2267669C2 (ru) Способ настройки системы ременного привода и система ременного привода (варианты)
US8092328B2 (en) Dual tensioner assembly
KR100729296B1 (ko) 벨트 구동 시스템용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벨트 구동 시스템
KR100730972B1 (ko) 이동 제한식의 선형 벨트 텐셔너
KR100570933B1 (ko) 벨트 텐셔너
KR102451890B1 (ko) 트리플 풀리 벨트 오토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20190120345A1 (en) Tensioning device
WO2017147251A1 (en)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KR100628287B1 (ko) 벨트 텐셔너, 벨트 구동 시스템 및 이 벨트 구동 시스템 긴장 방법
KR20180006375A (ko) 벨트 전동 시스템
KR20020014476A (ko)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KR101273873B1 (ko) 타원형의 내부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오토 텐셔너
KR101369590B1 (ko) 자동차용 오일펌프 체인 텐셔너
WO2015041133A1 (ja) チェーン伝動装置
KR20020049535A (ko) 엔진의 구동벨트 진동억제기구
KR20080043302A (ko) 자동차의 구동 벨트용 텐셔너
JPH0735208A (ja) チェーンガイド
JP2005140206A (ja) ベルト伝動装置
JP2001254797A (ja) 産業用ロボット
KR20040033879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