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70B1 - Furniture leg assembly - Google Patents

Furniture leg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070B1
KR102367070B1 KR1020200062407A KR20200062407A KR102367070B1 KR 102367070 B1 KR102367070 B1 KR 102367070B1 KR 1020200062407 A KR1020200062407 A KR 1020200062407A KR 20200062407 A KR20200062407 A KR 20200062407A KR 102367070 B1 KR102367070 B1 KR 10236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leg
legs
support
leg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5477A (en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이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연 filed Critical 이태연
Priority to KR102020006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070B1/en
Publication of KR2021014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2013/026Underframes having three or four legs connected in a central knot
    • A47B2013/027Underframes having three or four legs connected in a central knot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목재로 이루어져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고 가구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바닥에 높이차 또는 경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가구를 설치할 수 있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which is made of wood to produce a luxurious image while being able to assemble solidly, to stably support the furniture on the floor, and to stably install the furniture even when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or inclination on the floor It provides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that can be used.

Description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Furniture leg assembly}Furniture leg assembly {Furniture leg assembly}

본 발명은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져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면서도 조립도 간단하면서도 가구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that is made of wood to produce a luxurious image and is easy to assemble while stably supporting furniture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넓은 면적의 상판이 다수의 다리 위에 얹히는 형태인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류는 다리가 견고하게 조립되어야 한다.In general, furniture such as desks or tables, in which a large-area top plate is placed on multiple legs, requires the legs to be firmly assembled.

이러한 가구류 다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102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6-0144138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As prior art related to such furniture legs,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0102 (Reference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4138 (Reference 2), etc. have been proposed.

상기 참고문헌 1은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이의 가구 다리용 연결구는 가구의 본체 하단면 고정되기 위해 다수의 연결구 고정 나사홈들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안쪽에 융기되어 형성되되, 내측은 중심보다 높게 융기되어 융기부를 형성하고, 외측은 중심보다 낮게 침강되어 침강부(122)를 형성하며, 중심부에 다리 고정 나사홈이 형성된 다리 버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구 다리용 연결구를 이용한 가구는 본체와 다리를 가지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다리를 잇기 위해 상기 연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하단면 은 상기 프레임과 연접하여 연결구 고정 나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다리의 상부는 일체형 고정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고정나사가 상기 연결구와 결합하여 다리의 하단이 수직 하강지점에서 바깥쪽으로 벗어난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ence 1 relates to a furniture leg connector and furniture using the same. The furniture leg connector include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 fixing screw grooves are formed to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and a raised inside of the frame. However, the inner side is raised higher than the center to form a raised portion, and the outer side is lowered than the center to form a lowered portion (122),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eg brace having a leg fixing screw groove formed in the center, and a furniture leg A furniture using a connector for use in furniture having a main body and legs,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egs, wherein a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frame and coupled by a connector fixing screw, the leg The upper part of the unit includes an integral fixing screw, and the integral fixing screw is combined with the connecto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eg is deviated outward from the vertical descending point.

그리고 참고문헌 2는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몸체에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 맞대어 위치되며, 안쪽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체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모서리부가 맞닿는 연결부의 양쪽면에는 상부몸체의 중량에 의해 가구용 받침다리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Reference 2 relates to a support leg for furniture, which is positioned against the corners facing each other on a plurality of support bodies that support the upper body capable of storing and storing items, and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a fixing bracket and a fastening bolt. a connection part integrally fixed to the support body by fastening; In the furniture support legs extending integr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legs formed to be spread outward toward the lower sid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corners of the support body abut the weight of the furniture support legs by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is inserted is further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splaying phenomenon.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의 가구는 다리의 상부는 일체형 고정 나사만을 포함하고 있어 다리의 상부만 본체 하부에 고정되며 본체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가 구비됨에도 다리간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여서 본체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furniture of Reference 1, the upper part of the leg includes only one-piece fixing screws, so only the upper part of the leg is fixed to the lower body, and even though a plurality of legs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connection between the legs is not made, so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s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supported.

또한 상기 참고문헌 2의 가구용 받침다리는 연결부에 고정홈 등을 형성해야 하므로 다리 제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조립시에도 지지몸체의 모서리부를 고정홈에 삽입 지지하고 고정브라켓과 체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지만, 상기 참고문헌 1과 마찬가지로 받침다리 상부만 지지몸체의 하부에 복수의 받침다리가 구비됨에도 받침다리간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여서 본체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support leg of Reference 2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it has to form a fixing groove in the connection part, and also inserts and supports the corner part of the support body into the fixing groove during assembly, and the support by fastening the fixing bracket and the fastening bolt. Although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dy, as in Reference 1, only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le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legs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od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legs is not mad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cannot be stably supported. .

특히 참고문헌 1,2의 다리 또는 받침다리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원목재질로 제작하여 경사지게 배치하면 그 구조가 더욱취약하고 가구의 본체 또는 지지몸체 상부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는 경우 하중이 받침다리 상단에 집중되어 구조적으로 더욱 취약하다.In particular, if the legs or support legs in References 1 and 2 are made of solid wood and inclined to create a luxurious atmosphere, the structure is more vulnerable, and when a heavy object is placed on the main body of furniture or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ody, the load is not supported. Concentrated on the top of the bridge, it is structurally more vulnerable.

참고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102호Reference 1: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7-0000102 참고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6-0144138호Reference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4138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로 이루어져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가구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도 간단한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that is made of wood and that can be firmly assembled while producing a luxurious image, can stably support the furniture on the floor, and is easy to assemble. .

특히 본 발명은 다리를 경사 배치하면서도 견고하게 책상 또는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무거운 하중에도 다리의 벌어짐 또는 파손 등의 우려가 없어 견고한 구조를 갖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leg assembly having a sturdy structure that can be firm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of a desk or table while slanting the legs, and there is no fear of spread or damage of the legs even under a heavy load. there is.

아울러 본 발명은 바닥에 높이차 또는 경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가구를 설치할 수 있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leg assembly capable of stably installing furniture even when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or an inclination on the floor.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technical problem;

가구의 본체 하부에 구비되되 목재로 이루어져 바닥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다리와, 상기 제1 및 제2 다리의 중간부가 양단에 관통 고정되는 중간 지지구와, 상기 가구의 본체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다리의 상단부가 양단 하부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First and second leg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and made of wood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 intermediate support through which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fixed through both ends,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There is provided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is configured with upper supporters fixed to the lower portions of both ends.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다리는 원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구는 상기 제1 및 제2 다리의 중간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지지구는 가구의 본체 하부에 밀착되어 복수의 제3 나사로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다리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made of solid wood; the intermediate suppor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supporting and surrounding th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The upper end support includes a body part th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and fixed with a plurality of third screws, and first and second leg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part of the body part to surround and suppor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upper support part.

아울러, 상기 제1 다리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1 외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경사면의 하단에는 단차진 상태로 외경이 확장되는 제1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다리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2 외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경사면의 하단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제2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지지부는 상하로 제1 다리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1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부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의 제1 외측경사면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1 내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경사면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의 제1 지지턱 상단에 지지되는 제1걸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지지부는 상하로 제2 다리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2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의 제2 외측경사면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2 내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경사면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의 제2 지지턱 상단에 지지되는 제2걸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outer sloping surfac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leg in a state where the outer diameter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inclined surface is a first support jaw whose outer diameter is expanded in a stepped state. formed; A second outer sloping surfac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leg in an inclined state of the out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upport jaw having an outer diameter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inclined surface;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eg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inclined stat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first outer side of the first leg is formed. A first inner sloping surface for guiding to be easily fitt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the inner diameter is extended below the first inner slanted surface to form a first protruding jaw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jaw of the first leg;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g passes verticall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second outer side of the second leg is extended. A second inner sloping surface for guiding to be easily fitt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the inner diameter is extended below the second inner slanted surface to form a second protruding sill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sill of the second leg, characterized in that do.

또한, 상기 제1 중간지지부의 외측에는 제1 나사가 제1 관통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지지부의 외측에는 제2 나사가 제2 관통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irst screw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and a second screw through the second through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hrough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fastening holes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상단 지지구의 몸체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하나 이상의 제3 체결공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제3 나사가 관통되어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상단지지부는 하측에 제1 다리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상단지지부는 하측에 제2 다리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one or more third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upper supporter in a plate shape, so that one or more third screws are penetrated to be coupled to the body of the furniture; The first upper end support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g is inserted at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upper end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e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is inserted is formed.

이때, 상기 몸체부의 일측 표면에는 제4 나사가 제1 삽입홈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측 표면에는 제5 나사가 제2 삽입홈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5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fourth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ourth screw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fifth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ifth screw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characterized by being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다리는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다리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제1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마감구가 장착되고; 상기 마감구의 하측에는 상기 마감구가 결합된 제1 및 제2 다리의 하단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마감구의 제1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egs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equipped with a finishing tool having a first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wer side of the closing tool,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to which the closing tool is coupled are inserted to be elevating, and a guide part having a first female thread screwed with the first male thread of the closing tool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관절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구의 하측에는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구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구의 중앙 상측에는 상향돌출되는 목부의 상단에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구의 관절안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가 상기 높이조절구의 제2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and a joint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A support sphere supported on the floor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and a spherical joint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neck that protrudes upwardly on the center upper side of the support sphere, and is inserted into the joint seating groove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A fixing nut having a second fe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crewed to the second male screw thread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다리의 중간부와 상단부를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하여 가구의 본체 하부에 고정함으로서 목재 특유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면서도 가구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made of wood are firmly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while creating a luxurious image unique to wood.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하부에 높이조절구와 회동가능한 받침구가 구비되어 바닥에 높이차 또는 경사 등으로 인해 불규칙적이어도 안정적으로 가구를 설치 또는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ight adjustment member and a rotatable support member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eg, so that furniture can be stably installed or arranged even if irregularly due to a height difference or inclination on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적용하는 가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지지구의 변형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지지구의 변형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urniture le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urniture to which the furniture le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c) are views showing modified embodiment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to (c) are views showing modified embodiments of the upper end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way of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100)는 가구의 본체(1)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다리(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가 양단에 관통 고정되는 중간 지지구(130)와, 상기 가구의 본체(1)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가 양단 하부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구(140)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furniture leg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130 having a middle part fixed through both ends, and an upper support member 140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having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fixed to the lower ends of both ends.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100,100')는 적어도 한쌍 이상 대치되게 구비되어 최소 4개의 다리로 가구의 본체(1)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100)는 가구의 일 예인 테이블 또는 책상의 상판(1a) 하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판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동일한 구조의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100)가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air of the furniture leg assemblies 100 and 100'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with at least four legs. As shown as an example, the furniture leg assembly 10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a of a table or desk, which is an example of furniture, and the furniture leg assembly 100 having the same structure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아울로 상기 가구는 상판의 높이가 높은 테이블 또는 책상은 물론 상판의 높이가 낮은 좌탁이나 의자, 쇼파 그리고 긴 다리를 구비하는 엔틱 가구등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구의 본체(1)는 테이블 등의 상판(1a)이나 의자의 좌판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furniture includes not only a table or desk with a high top, but also a low table or chair, a sofa, and antique furniture with long legs. Accordingly,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includes a top plate 1a such as a table or a seat plate of a ch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우선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목재 특히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나이테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목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First of all,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preferably made of wood, in particular, solid wood in which annual growth rings that create a luxurious atmosphere are continuously formed.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형 단면을 갖도록 원목 각재를 회전시켜 원형 단면을 갖도록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원형 단면인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경이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made of the same structure, and can be process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y rotating a wooden square material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only been shown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outer diamet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polygons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이와 같은 제1 다리(11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1 외측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경사면(112)의 하단에는 단차진 상태로 외경이 확장되는 제1 지지턱(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다리(12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2 외측경사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경사면(122)의 하단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제2 지지턱(124)이 형성된다.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leg 110 as described above, a first outer sloping surface 112 that extends downwardly in an inclined state is formed,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slanted surface 112 has an outer diameter in a stepped state. The extended first supporting jaw 114 is formed. And a second outer sloping surface 122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leg 120 in an inclined state of the out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sloping surface 122 has a second outer diameter extended. 2 support jaws 124 are formed.

한편, 상기 중간 지지구(130)는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를 연결하는 연결부(136)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support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132 and 134 supporting and surrounding th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132 and 134 . It consists of a connection part 136 for connecting the.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는 연결부(13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136)의 양단에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arts 132 and 134 are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arts 132 and 134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connection part 136 . That is,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132 and 13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136 .

이러한 중간 지지구(130)는 금속재를 이용한 주물 또는 플라스틱재를 이용한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support 130 may be manufactured by a casting method using a metal material or an injection method using a plastic material.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중간지지부(132)는 상하로 제1 다리(110)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1 관통부(13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부(132a)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110)의 제1 외측경사면(112)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1 내측경사면(13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경사면(132b)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110)의 제1 지지턱(114) 상단에 지지되는 제1걸침턱(132c)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art 132 has a first penetration part 132a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eg 110 penetrates up and dow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on part 132a is lower side. A first inner inclined surface 132b for guiding to be easily fitted on the first outer inclined surface 112 of the first leg 110 is formed by extending the inner diameter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and the first inner inclined surface 132b ), the inner diameter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g 110, the first supporting jaw 114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pping jaw (132c)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 중간지지부(134)는 상하로 제2 다리(120)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2 관통부(134a)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134a)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120)의 제2 외측경사면(122)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2 내측경사면(134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경사면(134b)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120)의 제2 지지턱(124) 상단에 지지되는 제2걸침턱(134c)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art 134 has a second penetration part 134a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g 120 penetrates up and dow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4a has an inner diameter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inner inclined surface 134b is formed to extend in an inclined state to guide it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outer inclined surface 122 of the second leg 120, and the inner diameter is located below the second inner inclined surface 134b. This is extended to form a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34c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124 of the second leg 120 .

이러한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는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부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및 제2 다리(110,120)가 수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를 수직으로 관통 형성함도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through-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132 and 134 are inclined so as to maintain a structure inclined away from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lthough only show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32a and 134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vertically parallel.

그리고 상기 제1 중간지지부(132)의 외측에는 제1 나사(133)가 제1 관통부(132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132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지지부(134)의 외측에는 제2 나사(135)가 제2 관통부(134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체결공(134d)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를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에 관통 지지한 후 제1 및 제2 나사(133,135)를 제1 및 제2 체결공(132d,134d)을 통해 조이면 제1 및 제2 나사(133,135)가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를 파고들어 중간 지지구(130)에 제1 및 제2 다리(110,120)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분리되는 것도 방지된다. 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132d through which the first screw 133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portion 132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132,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134 is A second fastening hole 134d through which the second screw 135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hrough portion 134a is formed outside. 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suppo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132 and 134,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When the screws 133 and 135 are tighte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132d and 134d, the first and second screws 133 and 135 dig into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130 ) and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firmly fixed and are also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때 제1 및 제2 체결공(132d,134d)은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나사(133,135)가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132d and 134d may be formed, and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screws 133 and 135 may be fastened thereto.

그리고 상기 상단 지지구(140)는 가구의 본체(1) 하부에 밀착되어 복수의 제3 나사(143)로 고정되는 몸체부(142)와,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144,146)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42 and the body part 14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is fixed with a plurality of third screws 143 , the body part 142 . It consists of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parts 144 and 146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while surrounding them.

이때, 상기 몸체부(14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하나 이상의 제3 체결공(142a)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제3 나사(143)가 관통되어 가구 본체(1)의 전면을 파고들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144,146)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대칭되게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42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one or more third fastening holes 142a are formed on the surface, and one or more third screws 143 are penetrated through the body portion 142 to dig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furniture body 1 and are coupled. .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portions 144 and 146 are formed integrally on one sid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42 to be symmetrically formed with the same structure.

이러한 상단 지지구(140)는 금속재를 이용한 주물 또는 플라스틱재를 이용한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member 14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asting method using a metal material or an injection method using a plastic material.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상단지지부(144)는 하측에 제1 다리(11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144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42)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상단지지부(146)는 하측에 제2 다리(1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146a)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14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42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144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g 11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second upper end support portion 146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42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146a at the lower sid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g 120 is inserted.

이러한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144,146)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은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부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구조를 유지할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및 제2 다리(110,120)가 수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함도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portions 144 and 146 are inclined so as to maintain the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lthough only show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vertically parallel.

그리고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표면에는 제4 나사(145)가 제1 삽입홈(144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체결공(142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42)의 타측 표면에는 제5 나사(147)가 제2 삽입홈(146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5 체결공(142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를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144,146)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에 삽입 지지한 후 제4 및 제5 나사(145,147)를 제4 및 제5 체결공(142b,142c)을 통해 조이면 제4 및 제5 나사(145,147)가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를 파고들어 상단 지지구(140)에 제1 및 제2 다리(110,120)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분리되는 것도 방지된다. And a fourth fastening hole 142b through which a fourth screw 145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44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42, an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142 A fifth fastening hole 142c through which the fifth screw 147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46a is form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parts 144 and 146, and then the fourth and fifth When the screws 145 and 147 are tightened through the fourth and fifth fastening holes 142b and 142c, the fourth and fifth screws 145 and 147 dig in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 and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firmly fixed and are also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때 제4 및 제5 체결공(142b,142c)은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4 및 제5 나사(145,147)가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fourth and fifth fastening holes 142b and 142c may be formed, and one or more fourth and fifth screws 145 and 147 may be fastened thereto.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원형 단면인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경이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only been illustrated in circular cross-sec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outer diameter may be formed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이에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 및 상단부가 전체적으로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 중간 지지구(130)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와 상단 지지구(140)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의 내경이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성형하지만,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 및 상단부가 전체적으로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면 중간 지지구(130)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와 상단 지지구(140)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의 내경이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and 4 , for example, when the middle and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the first and second penetration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130 are made. The parts 132a and 134a and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are formed to form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5 , for example, the When the middle and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0 and the second of the upper support 140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그리고 상기 중간 지지구(130)와 상단 지지구(1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내지 (c)와 같이 중간 지지구(130)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의 단면이 사각, 삼각, 육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의 (a) 내지 (c)와 같이 상단 지지구(140)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의 단면이 사각, 삼각, 육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130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6 and 7 . For example, as shown in (a) to (c) of FIG. 6 , the cross-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enetrating 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a triangle, a hexagon, etc., The cross-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a triangle, or a hexagon, as shown in FIGS. 7A to 7C .

물론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단부는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면 중간 지지구(130)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는 내경이 원형단면을 이루고 상단 지지구(140)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의 내경은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간 지지구(130)의 제1 및 제2 관통부(132a,134a)와 상단 지지구(140)의 제1 및 제2 삽입홈(144a,146a)은 동일한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for example, i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upper portion has a square cross-sectio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intermediate support unit 130 have inner diameters.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e a square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through-portions 132a and 134a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4a and 146a of the upper support 140 have the same shape or different shapes. can be done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동일한 구조로서,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단(110a,120a)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감구(150)가 장착된다.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lower ends 110a and 120a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equipped with a finishing tool 15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이러한 마감구(15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에 제1 수나사산(152)이 형성되고, 하단 중앙에는 지지공(154)이 형성되어 체결수단(155)이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수단(155)은 일 예로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nishing sphere 15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first male thread 15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upport hole 15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to fasten the fastening means 155 . The fastening means 15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crew.

그리고 상기 마감구(150)의 하측에는 상기 마감구(150)가 결합된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단(110a,120a)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마감구(150)의 제1 수나사산(152)과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162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62)가 상측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구(160)가 장착된다. 따라서 높이조절구(160)를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구(160)가 상승하고,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구(160)가 하강하여 전체적인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구가 설치되는 바닥에 높이차가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받침대를 더 놓지 않고도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lower end of the closing member 150, the lower end (110a, 120a)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120) to which the closing member 150 is coupled are inserted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osing member 150 The first male screw thread 152 and the first female screw thread 162a screw-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62 is forme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16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is mounted. Therefore, when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rises, and when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descends. Thus,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can be adjusted. Such a structur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precisely adhered to without placing a separate pedestal when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on the floor on which the furniture is installed.

이에 더해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산(164)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관절안착홈(165)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male screw thread 164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0 , and a joint seating groove 165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하측에는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구(170)가 구비된다. 이때 받침구(170)의 중앙 상측에는 상향돌출되는 목부(172)의 상단에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17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구(170)의 관절부(174)는 높이조절구(160)의 관절안착홈(16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암나사산(182)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180)를 높이조절구(160)의 제2 수나사산(166)에 나사결합시켜 주면 고정너트(180)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84) 상단에 받침구(170)의 관절부(174)가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받침구(170)가 관절부(174)가 관절안착홈(165)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받침구(170) 하부가 회동가능하여 가구가 설치되는 바닥에 경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완전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low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is provided with a support sphere 170 supported on the floor. At this time, a joint portion 174 having a spherical shap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172 protruding upwardly on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sphere 170 . At this time, the joint portion 174 of the support sphere 170 is inserted into the joint seating groove 165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and the fixing nut 180 having the second female thread 18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joint portion 174 of the support sphere 170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184 that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xing nut 180 by screwing to the second male thread 166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 In this structure, since the support sphere 170 is in a state in which the joint part 174 is seated in the joint seating groove 165,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sphere 170 is rotatable, so that even if there is an inclination on the floor on which the furniture is installed, it will be in full close contact.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가구 본체 100: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110: 제1 다리 120: 제2 다리
130: 중간 지지구 132: 제1 중간지지부
134: 제2 중간지지부 136: 연결부
140: 상단 지지구 142: 몸체부
144: 제1 상단지지부 146: 제2 상단지지부
150: 마감구 160: 높이조절구
170: 받침구 180: 고정너트
1: furniture body 100: furniture leg assembly
110: first leg 120: second leg
130: intermediate support 132: first intermediate support
134: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136: connection portion
140: upper support 142: body portion
144: first upper support portion 146: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150: closing sphere 160: height adjustment sphere
170: support sphere 180: fixing nut

Claims (8)

가구의 본체(1) 하부에 구비되되 목재로 이루어져 바닥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다리(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가 양단에 관통 고정되는 중간 지지구(130)와, 상기 가구의 본체(1)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가 양단 하부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구(1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원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구(130)는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중간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지지부(132,134)를 연결하는 연결부(1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지지구(140)는 가구의 본체(1) 하부에 밀착되어 복수의 제3 나사(143)로 고정되는 몸체부(142)와,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단지지부(144,1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다리(11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1 외측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경사면(112)의 하단에는 단차진 상태로 외경이 확장되는 제1 지지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다리(12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는 제2 외측경사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경사면(122)의 하단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제2 지지턱(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지지부(132)는 상하로 제1 다리(110)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1 관통부(13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부(132a)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110)의 제1 외측경사면(112)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1 내측경사면(13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경사면(132b)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1 다리(110)의 제1 지지턱(114) 상단에 지지되는 제1걸침턱(132c)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지지부(134)는 상하로 제2 다리(120)의 상측이 관통되는 제2 관통부(134a)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134a) 내주면 하측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로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120)의 제2 외측경사면(122)에 끼우기 쉽도록 안내하는 제2 내측경사면(134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경사면(134b)의 하측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2 다리(120)의 제2 지지턱(124) 상단에 지지되는 제2걸침턱(13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are made of wood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an intermediate support in which the middl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fixed through and fixed at both ends ( 130) and an upper end supporter 14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both ends of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re made of solid wood;
The intermediate support unit 13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132 and 134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while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upports 132 and 134 . is made of a connecting portion 136;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42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of the furniture and fixed with a plurality of third screws 143,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42, It consists of first and second upper end support portions (144, 146) for supporting while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120);
A first outer sloping surface 11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leg 110 in a state where the outer diameter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inclined surface 112 has an outer diameter in a stepped state. An extended first support jaw 114 is formed;
A second outer sloping surface 12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leg 120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and the outer diameter is exten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sloping surface 122 . A support jaw 124 is formed;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132 has a first through portion 132a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eg 110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132a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The first inner inclined surface 132b is formed to guide it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outer inclined surface 112 of the first leg 110 by extending in a photographic state, and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ner inclined surface 132b. A first stepping jaw (132c) supported on the top of the first supporting jaw (114) of the first leg (110) is extended is forme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art 134 is formed with a second penetration part 134a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g 120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4a is low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inner inclined surface 134b is formed to be extended in a photographic state to easily fit into the second outer inclined surface 122 of the second leg 120, and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ner inclined surface 134b. The leg assembly for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34c) extend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124) of the second leg (120)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지지부(132)의 외측에는 제1 나사(133)가 제1 관통부(132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132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지지부(134)의 외측에는 제2 나사(135)가 제2 관통부(134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체결공(134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astening hole 132d through which the first screw 133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portion 132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132 ,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134 . The leg assembly for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astening hole (134d) through which the second screw (135)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hrough portion (134a)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구(140)의 몸체부(14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하나 이상의 제3 체결공(142a)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제3 나사(143)가 관통되어 가구의 본체(1)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상단지지부(144)는 하측에 제1 다리(11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144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42)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상단지지부(146)는 하측에 제2 다리(1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14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142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one or more third fastening holes 142a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one or more third screws 143 are penetrated through the body portion 1 of the furniture. combined,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14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42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144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g 110 is inserted, the body portion 142 . The second upper support part 146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urniture le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46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g 12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42)의 일측 표면에는 제4 나사(145)가 제1 삽입홈(144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체결공(142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42)의 타측 표면에는 제5 나사(147)가 제2 삽입홈(146a)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5 체결공(14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4. The method of claim 3,
A fourth fastening hole 142b through which a fourth screw 145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44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42,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42b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142. 5 A furniture le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fth fastening hole (142c) through which the screw (147)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46a)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는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단(110a,120a)에는 외주면에 제1 수나사산(152)이 형성되는 마감구(150)가 장착되고,
상기 마감구(150)의 하측에는 상기 마감구(150)가 결합된 제1 및 제2 다리(110,120)의 하단(110a,120a)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마감구(150)의 제1 수나사산(152)과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162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62)가 상측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구(1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t the lower ends 110a and 120a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a first male screw thread 15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losing member 150, the lower ends 110a and 120a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110 and 120 to which the closing member 150 is coupled are inserted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closing member 150 are inserted. 1 A leg assembly for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height adjustment member (160) having a guide portion (162) formed at an upper side of which a first male screw thread (152) and a first female screw thread (162a) screw-coupled to is formed is moun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산(164)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관절안착홈(165)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하측에는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구(170)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구(170)의 중앙 상측에는 상향돌출되는 목부(172)의 상단에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1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관절안착홈(16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암나사산(182)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180)가 상기 높이조절구(160)의 제2 수나사산(166)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male threaded thread 164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160, and a joint seating groove 165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A support sphere 170 supported on the floor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phere 160, and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sphere 170 has a spherical joint portion 174 at the upper end of the neck 172 that protrudes upward. is integrally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joint seating groove 165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0, the fixing nut 180 having the second female thread 18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0 is A furniture le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crewed to the second male thread (166).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62407A 2020-05-25 2020-05-25 Furniture leg assembly Active KR102367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07A KR102367070B1 (en) 2020-05-25 2020-05-25 Furniture leg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07A KR102367070B1 (en) 2020-05-25 2020-05-25 Furniture leg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77A KR20210145477A (en) 2021-12-02
KR102367070B1 true KR102367070B1 (en) 2022-02-23

Family

ID=7886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07A Active KR102367070B1 (en) 2020-05-25 2020-05-25 Furniture leg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0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99Y1 (en) 2000-07-07 2001-02-15 송원준 sectional table used for kitchen
US20050215104A1 (en) 2002-12-09 2005-09-29 Lipniarski David J Indented female blow-molded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and method
JP2009165792A (en) * 2008-01-16 2009-07-30 Izumi Shirai Leg cap for adjusting height of leg part of desk or chai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935Y2 (en) * 1990-03-28 1996-09-25 株式会社ニフコ Instrument leg device
US6749265B1 (en) * 2003-04-30 2004-06-15 Ideal Concepts Inc. Seat of a metallic chair
KR20120097448A (en) * 2011-02-22 2012-09-04 백승진 Folding type table
KR20160144138A (en) 2015-06-08 2016-12-16 김성태 Foot of the furniture
KR20170000102U (en) 2015-06-30 2017-01-09 서성철 A bracket for furniture legs and furniture using the bra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99Y1 (en) 2000-07-07 2001-02-15 송원준 sectional table used for kitchen
US20050215104A1 (en) 2002-12-09 2005-09-29 Lipniarski David J Indented female blow-molded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and method
JP2009165792A (en) * 2008-01-16 2009-07-30 Izumi Shirai Leg cap for adjusting height of leg part of desk or chai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51193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77A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872464L (en) Table support
US4113312A (en) Bench
US2981578A (en) Table with hollow central pedestal support
CN201542016U (en) Assembly structure used for fixing legs of tubular furniture to top plates thereof
CN110285121A (en) Furniture system
KR102367070B1 (en) Furniture leg assembly
JP3035474B2 (en) Adjuster bolt device
EP2005860B1 (en) Furnishing element
KR102254238B1 (en) Height regulition apparatus of chair
CN209898741U (en) Outdoor table integrated with table and stool
US20060202094A1 (en) Support stand
JP3837087B2 (en) Simple toilet height adjustment structure
JP3406048B2 (en) Assembly structure of tables, desks, etc.
KR20130141739A (en) Stopper assembly for fixing parasol posts of outdoor tables
CN220916985U (en) Detachable support structure and sofa
KR20160144138A (en) Foot of the furniture
CN215532942U (en) Furniture leg
US3510159A (en) Hollow leg joint construction
CN218457752U (en) Adjustable supporting component for laterally connected bed
US11596222B2 (en) Leg-plate joinery assembly
CN109567443B (en) Outdoor table with integrated table and stool
KR102095958B1 (en) A table
KR102524393B1 (en) Height adjuster for storage furniture
CN213282178U (en) Supporting leg movable joint and supporting leg with adjustable inclination angle
CN215519512U (en) A construction horse ben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