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917B1 -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 Google Patents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917B1
KR102358917B1 KR1020200147420A KR20200147420A KR102358917B1 KR 102358917 B1 KR102358917 B1 KR 102358917B1 KR 1020200147420 A KR1020200147420 A KR 1020200147420A KR 20200147420 A KR20200147420 A KR 20200147420A KR 102358917 B1 KR102358917 B1 KR 10235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damping
housing
damping device
transmissio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왕산업
주식회사 대한전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왕산업, 주식회사 대한전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왕산업
Priority to KR102020014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3Bases o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자동제어반 등의 함체에 지진이나 태풍 등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함체내부의 전력기기나 부스바(Bus Bar)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감쇠기능을 구비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함체에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중에 특히 사선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쇠시켜 지진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함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The encloser with intensifled vibration damping function}
본 발명은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자동제어반 등의 함체에 지진이나 태풍 등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함체내부의 전력기기나 부스바(Bus Bar)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감쇠기능을 구비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함체에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중에 특히 사선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쇠시켜 지진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함체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은 철제프레임(Frame)을 직육면체 형태로 조립한 후 그 외부를 도색된 철판으로 구성하고 함체의 전, 후면 또는 전면에 도어를 갖춘 폐쇄된 함체이며, 상기의 함체는 전도,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함체의 일례로서 배전반의 내부구성도이다.
상기 함체는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함체 내부에 조립된 전력전송 수단인 Bus Bar나 전력기기 등은 진동에 의한 충격으로 파손 및 고장을 가져오게 된다.
이에, 수배전반 등의 함체에는 지진이나 태풍 등의 재난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감쇠장치가 설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함체에 설비되는 진동감쇠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의 진동에는 어느 정도 진동을 흡수하나, 사선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에는 함체가 비틀리는 등 구조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재난시 사선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하여 함체에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이 작용하면서 함체 내부의 부스바(Bus Bar)나 전력기기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711435호(공고일: 2017.03.13) 특허문헌 2: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8-0113790호(공개일: 2018.10.17) 특허문헌 3: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09393호(공개일: 2019.01.28) 특허문헌 4: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749580호(공고일: 2017.06.22) 특허문헌 5: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04775호(공개일: 2016.01.13)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자동제어반 등의 함체에 지진이나 태풍 등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함체내부의 전력기기나 부스바(Bus Bar)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에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중에 특히 수직방향뿐 아니라 수평방향과 사선방향의 진동까지도 감쇠시켜 지진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진동감쇠기능을 구비한 함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제프레임(Frame)을 육면체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전력기기, 부스바(bus bar)가 구비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상기 함체가 놓이는 지면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감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입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함체와 볼트결합하는 함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진동전달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면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를 지지하는 평판스프링;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상기 평판스프링의 굴곡부와 동시에 면접촉하는 상단을 구비되는 제2진동전달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에 바닥고정홀(262)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커버; 및 상기 제2진동전달체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를 제시한다.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상기 평판스프링의 돌출부간의 면접촉시 접촉단면의 형상은 곡선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상기 평판스프링의 굴곡부와 동시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진동전달체의 상단의 접촉단면의 형상은 곡선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제프레임(Frame)을 육면체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전력기기, 부스바(bus bar)가 구비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상기 함체가 놓이는 지면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감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진동감쇠장치는,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날개가 돌출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제1진동전달체;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의 중앙 외곽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진동전달체의 하부에 일단이 밀착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의 하부에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과 접촉하는 제2진동전달체; 상기 압축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상기 제2진동전달체와 각각 접촉하는 완충고무;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날개(312)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를 제시한다.
상기 제2진동감쇠장치 상부커버의 결합날개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은 상기 결합날개 및 상기 하부커버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날개의 상측의 상기 볼트와 너트의 결합 사이에는 와셔 및 진동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진동하중 감쇠용 압축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함체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에 밀착하는 3개의 다리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나사결합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함체에 발생하는 사선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은
Figure 112020118657734-pat00001
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조물간의 볼트결합시에 구조물간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은, 상기 고정볼트와 지진감쇠기능을 위해 상기 고정볼트를 둘러싸는 고무패킹이 모두 포함되도록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로 지진 등에 의한 외부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방향에서 가해지는 진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에서 가해지는 진동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함체의 일례로서 배전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진동감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2진동감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함체 내부의 기기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능 및 구조의 설명을 통하여 의미를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인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진동감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1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부에 전력기기, 부스바(bus bar)가 구비되고, 철제프레임(100)을 육면체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10)에는 함체와 상기 함체가 놓이는 지면(90)사이에 제1진동감쇠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20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또는 사각 등의 입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220)가 구성된다.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내측에는 제1진동전달체(230)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에는 함체고정홀(23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함체고정홀(232)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함체의 하부와 볼트결합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200)에는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를 지지하는 평판스프링(240)이 구성된다.
상기 평판스프링(240)은 자체가 보유한 탄성체로서의 성질에 의하여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수평방향 뿐 아니라, 사선방향에서 전달되는 압력 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평판스프링(240에는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내부 중심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의 하부와 면접촉되면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를 지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와 상기 평판스프링(240)의 돌출부간의 면접촉시 접촉단면의 형상은 곡선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압력을 감쇠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200)의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내측에는 제2진동전달체(2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진동전달체(250)는 상기 평판스프링(240)과 함께 제1진동전달체(230)를 지지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진동전달체(250)에는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의 하부와 상기 평판스프링(240)의 굴곡부와 동시에 면접촉하는 상단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와 상기 평판스프링(240)의 굴곡부와 동시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진동전달체(250)의 상단의 접촉단면의 형상은 곡선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압력을 감쇠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200)에는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하부에 하부커버(260)가 구비되며, 하부커버(260)의 하부에는 지면과 맞닿는 바닥고정홀(26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60)에 형성되는 바다고정홀(262)를 통해 제1진동감쇠장치(200)는 지면에 볼트결합을 통해 밀착고정이 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200)에는 상기 제2진동전달체(250)와 상기 하부커버(260)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압축스프링(270)이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스프링(270)의 위치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즉, 상기 제2진동전달체(250)는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2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의 하측과 곡면형상으로 맞닿도록 구비되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230)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는 진동이 상기 평판스프링(240)에 의해 1차 감쇠되는 동시에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압축스프링(270)에 2차적으로 전달되면서 감쇠된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 내지 진동은 상기 압축스프링(270)이 압축되면서 탄성 에너지로 변환되어 감소 내지는 소멸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2진동감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4와 같이, 제2진동감쇠장치(300)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부커버(310)가 구성되는데, 상부커버(310)는 상부에 관통홀(31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의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날개(314)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 상부에는 제1진동전달체(320)가 밀착되어 구비되어 상기 함체(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에도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성되면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볼트는 상기 상부커버(310)에 형성되는 관통홀(312)을 통해 함체(10)의 하부와 볼트결합된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의 중앙 외곽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의 하부에 일단이 밀착하는 압축스프링(330)이 구성된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의 하부에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스프링(330)의 타단과 접촉하면서 압축스프링(330)을 지지하는 제2진동전달체(340)가 구성된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의 중앙에서 상기 압축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와 상기 제2진동전달체(340)와 각각 접촉하는 완충고무(350)가 구성된다.
상기 완충고무(350)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약한 진동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함체에 강한 진동이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스프링(330)을 통해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날개(312)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커버(360)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커버(360)는 지면 체결용 금구(60)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60) 사이에 완충용 패드(370)가 더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커버(310)와 하부커버간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상기 완충용 패드(370)는 상부커버(320) 하부와 상기 하부커버(360)의 상부테두리의 사이에 원형의 고리의 형상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면서, 상하방향 진동 및 사선방향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상기 완충용 패드(370)를 상기 결합날개(314)와 상기 하부커버(360)의 사이에만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진동감쇠장치(300)에서, 상기 상부커버(310)의 결합날개(314)와 상기 하부커버(360)의 결합은 상기 결합날개(314), 완충용 패드(370) 및 상기 하부커버(370)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날개(314)의 상측의 상기 볼트와 너트(30)의 결합 사이에는 와셔(40) 및 진동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압축스프링(38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는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함체(10)에서 전달되는 진동 내지는 압력을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의 하부에 일단이 밀착하는 압축스프링(330)에 전달한다. 이때 압축스프링(330)은 수축되면서 진동 또는 압력을 탄성에너지로 전환하여 감쇠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330)에 의해 감쇠된 진동은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의 하부에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와 이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330)의 타단과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2진동전달체(340)에 전달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진동전달체(320)와 상기 제2진동전달체(340)의 재질은 고무재질 내지는 연질금속 등으로 될수 있으며,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진동감쇠장치(300)에는 두개의 타입의 압축스프링(330, 380)이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상부커버(310)의 내측의 중앙 외곽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330)은 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주역할로 하며, 상기 결합날개(314) 상측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380)은 상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과 함께 다수의 압축스프링(380)을 통해 수평, 수직뿐 아닌 사선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도 감쇠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2, 도 5와 같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에 결착되는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이 구성된다.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에는 함체(10)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에 밀착고정되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된 면에 밀착하는 3개의 다리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밀착부(410)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3개의 밀착부(410)에는 각각 나사결합공(420)을 형성하면서, 함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면에 나사결합으로 밀착고정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은 함체(10)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에 모두 밀착고정되면서, 결국 함체(10)가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상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각각의 함체(10)의 모서리마다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을 구성함으로써, 수평, 수직방향뿐 아니라 사선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크게 감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Figure 112020118657734-pat00002
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도 2를 참고할때, 함체의 8개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3개의 면 중에 2개의 면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함체의 8개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3개의 면 중에 2개의 면을 선택하여 모서리에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400)을 각각 밀착고정하게 되면, 함체(10)의 내부의 각각의 모서리에 가해지는 사선방향의 압력 내지는 진동에 대해서도 각각의 모서리부분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육면체의 형상인 철제프레임(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함체 내부의 기기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스바(bus bar) 나 전력기기, 애자나 철제프레임(100) 등의 구조물 등의 볼트결합부위에 전달되는 진동을 상쇠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조물간의 볼트결합시에 구조물간 고정볼트(710)가 삽입되는 관통홀에는 고무패킹(740)이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구조물간 고정볼트(710)가 삽입되는 관통홀에는 고정볼트(710)와 함께 지진감쇠기능을 위해 고정볼트를 둘러싸는 고무패킹(740)이 모두 포함되도록 크기가 조절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부스바 등의 구조물(70)과 전력기기등의 구조물(80)이 결합시에 서로 맞닿는 각각의 부위에 형성되는 관통홀에는 고정볼트(710)가 끼워진다.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볼트(710)의 끝단에는 고정너트(720)를 끼우고, 상기 고정너트(720)와 상기 구조물(70) 사이에 스프링와셔(73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의 크기를 고정볼트(710)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고정볼트(710)의 이격된 틈사이에 고무패킹(740)을 끼우게 된다.
상기 구조물(80)과 고정볼트(710)의 헤드부위 사이에는 평와셔(750)를 삽입하면서 진동에 대한 결합보강구조(7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보강구조(700)를 구성함으로써 응력이 함체에 구비되는 각종 전력기기, bus bar, 애자 등의 결합부위에 미치는 미소한 진동의 영향을 감쇠 내지는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보강구조(700)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구조물(70)의 예로는 부스바bus bar, 전력기기, 애자 등의 구조물이 될수 있으며, 구조물(80)에는 부스바, 철제프레임 등이 될수 있으며, 실시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물등의 체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20: 볼트
30: 너트 40: 와셔
60: 지면 체결용 금구 70, 80: 구조물
90: 지면 100: 철제프레임
200: 제1진동감쇠장치
210: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 220: 상부커버
230: 제1진동전달체 232: 함체고정홀
240: 평판스프링
250: 제2진동전달체 260: 하부커버
262: 바닥고정홀 270: 압축스프링
300: 제2진동감쇠장치 310: 상부커버
312: 관통홀 314: 결합날개
320: 제1진동전달체 330: 압축스프링
340: 제2진동전달체 350: 완충고무
360: 하부커버 370: 완충용 패드
380: 압축스프링
400: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 410: 밀착부
420: 나사결합공
700: 결합보강구조 710: 고정볼트
720: 고정너트 730: 스프링와셔
740: 고무패킹 750: 평와셔

Claims (8)

  1. 철제프레임(Frame)을 육면체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전력기기, 부스바(bus bar)가 구비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상기 함체가 놓이는 지면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감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입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함체와 볼트결합하는 함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진동전달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면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진동전달체를 지지하는 평판스프링;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전달체와 상기 평판스프링의 굴곡부와 동시에 면접촉하는 상단을 구비되는 제2진동전달체;
    상기 제1진동감쇠장치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에 바닥고정홀(262)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커버;
    상기 제2진동전달체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함체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에 밀착하는 3개의 다리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나사결합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함체에 발생하는 사선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선진동감쇠용 보강브라켓은
    Figure 112021134668274-pat00010
    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7420A 2020-11-06 2020-11-06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Active KR10235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20A KR102358917B1 (ko) 2020-11-06 2020-11-06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20A KR102358917B1 (ko) 2020-11-06 2020-11-06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917B1 true KR102358917B1 (ko) 2022-02-07

Family

ID=8025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20A Active KR102358917B1 (ko) 2020-11-06 2020-11-06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917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64Y1 (ko) * 2008-01-30 2008-05-28 주식회사 삼신기전 코너연결구가 구비된 배전외함
KR101325640B1 (ko) * 2013-08-29 2013-11-26 조영숙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341151B1 (ko) * 2013-08-19 2013-12-13 (주)설악전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524233B1 (ko) *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KR20160004775A (ko)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공기흐름 개선장치 및 진동감쇠장치가 장착된 면진 배전반
KR101711435B1 (ko) 2016-07-01 2017-03-13 노현기 내진 기능 및 진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749580B1 (ko) 2017-03-17 2017-06-22 해림계전(주)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806505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 대한전공 내진 서포트
KR101832889B1 (ko) * 2017-02-24 2018-03-02 주식회사 코스모텍 내진 서포트
KR20180113790A (ko) 2017-04-07 2018-10-17 이준희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20190009393A (ko) 2019-01-08 2019-01-28 서규선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032420B1 (ko) * 2018-06-21 2019-10-15 (주)대성스텐 함체용 내진장치
KR102150899B1 (ko) * 2020-05-11 2020-09-02 주식회사 주왕산업 진동감지기능 및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64Y1 (ko) * 2008-01-30 2008-05-28 주식회사 삼신기전 코너연결구가 구비된 배전외함
KR101341151B1 (ko) * 2013-08-19 2013-12-13 (주)설악전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325640B1 (ko) * 2013-08-29 2013-11-26 조영숙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20160004775A (ko)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공기흐름 개선장치 및 진동감쇠장치가 장착된 면진 배전반
KR101524233B1 (ko) *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KR101711435B1 (ko) 2016-07-01 2017-03-13 노현기 내진 기능 및 진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832889B1 (ko) * 2017-02-24 2018-03-02 주식회사 코스모텍 내진 서포트
KR101806505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 대한전공 내진 서포트
KR101749580B1 (ko) 2017-03-17 2017-06-22 해림계전(주)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20180113790A (ko) 2017-04-07 2018-10-17 이준희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32420B1 (ko) * 2018-06-21 2019-10-15 (주)대성스텐 함체용 내진장치
KR20190009393A (ko) 2019-01-08 2019-01-28 서규선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150899B1 (ko) * 2020-05-11 2020-09-02 주식회사 주왕산업 진동감지기능 및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774276B1 (ko) 판스프링과 적층식 면진판을 이용한 수배전반 외함용 면진장치
KR10174958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598350B1 (ko)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1446890B1 (ko)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1038672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608689B1 (ko) 내진 구조체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158964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561039B1 (ko)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963022B1 (ko)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232336B1 (ko) 수배전반용 진동패드 및 그 진동패드가 구성된 수배전반의 하부구조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2341159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KR102608837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1593148B1 (ko) 내진 수배전반
KR102332515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KR102305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및 면진장치
KR101027917B1 (ko) 내진 골조구조로 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1476735B1 (ko)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1520906B1 (ko) 하이브리드 내진 수배전반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183834B1 (ko) 내진용 자기에어스프링 유닛이 내장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