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08B1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608B1
KR102356608B1 KR1020150036476A KR20150036476A KR102356608B1 KR 102356608 B1 KR102356608 B1 KR 102356608B1 KR 1020150036476 A KR1020150036476 A KR 1020150036476A KR 20150036476 A KR20150036476 A KR 20150036476A KR 102356608 B1 KR102356608 B1 KR 10235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module
main body
casing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626A (ko
Inventor
김완수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6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 및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압착 하우징과, 상기 압착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착즙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하는 스크루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착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착즙모듈을 구비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고속으로 회전되는 회전 칼날을 이용한 원심분리방식으로 과일이나 야채를 파쇄하여 즙을 만드는 방식은, 재료의 파쇄 과정에서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고, 줄기나 잎으로부터는 즙을 만들기가 어렵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부터 주스를 만들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콩으로부터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즙(또는, 주스)을 추출해 내는 착즙기 또는 원액기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착즙기에는 과일이나 야채 등의 착즙 재료가 투입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루가 구비된다. 스크루가 회전하며 재료가 잘게 분쇄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스크루로부터 가압된 재료로부터 즙이 추출된다.
최근에는 가정 내에서 주스나 녹즙을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가정용 착즙기가 많이 개발된 실정이기는 하나, 착즙기가 주로 사용되는 주방에는 이미 냉장고, 전자레인지, 오븐, 커피 메이커, 가스레인지, 인덕션 등의 여러가지 가전기기들이 이미 설치되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따른다. 특히, 착즙기가 주로 거치되는 조리용 선반이나, 요리대는 공간 자체가 그리 넓지 못하고, 주방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용품들이 놓여지기 때문에 더욱 더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 밖에도, 보관상의 이점이나, 사용자의 동선 등의 여러 요인들을 고려할 시, 착즙기를 다른 가전기기와 연계하여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착탈 가능한 착즙모듈을 구비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 및 착즙재료가 투입되는 압착 하우징과, 상기 압착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착즙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하는 스크루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착즙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본체에 의해 구현되는 가전기기 본래의 기능에 착즙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제공 가능한 기능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의 확장은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본체 본래의 기능이 착즙모듈과 상승효과를 일으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가전기기가 거치된 공간의 활용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착즙모듈이 본체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착즙모듈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착즙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나 구동력을 본체에 구비된 구성을 활용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착즙모듈의 구성이 종래의 착즙기에 비해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을 모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례로,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또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기기(1a, 1b)는 냉장고, 전자레인지, 오븐, 커피 메이커, 가스레인지, 인덕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밖에도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a)의 구성을 모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a)는 본체(100)와, 본체(100)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즙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착즙모듈(20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122)을 포함할 수 있다. 착즙모듈(200)은 본체 케이싱(12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22)에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a)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제어부(124), 구동부(130) 및/또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들은 바람직하게는 본체 케이싱(122) 내에 배치된다.
제어부(124)는 가전기기(1a)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가전기기(1a)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는 제어부(124)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구동부(130)는 착즙모듈(200)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특히,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3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착즙모듈(200)의 구동에 전용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체(10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의 구동을 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가정용 전원(예를들어, 상용 220V 교류)을 공급받아, 가전기기(1a)의 작동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전원을 가전기기(1a)의 각부의 구성들에 공급하는 것이다.
착즙모듈(200)은 모듈 케이싱(210), 재료 투입부(251), 압착 하우징(221), 스크루(240), 착즙 배출부(253) 및/또는 찌꺼기 저장용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210)은 본체 케이싱(1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착즙모듈(200)을 본체(100) 로 부터 분리하여 스크루(240)나 압착 하우징(221) 등을 물로 씻거나, 찌꺼기 저장용기(255)에 모인 찌꺼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한다.
모듈 케이싱(210)과 본체 케이싱(122)은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 등의 기구적인 장치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찌꺼기 저장용기(255)는, 바람직하게는, 착즙모듈(2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모듈 케이싱(21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압착 하우징(221)은 모듈 케이싱(210) 내에 구비되며, 재료 투입부(251)를 통해 야채나 과일 등의 착즙 재료가 투입된다. 압착 하우징(221) 내에는 스크루(240)가 구비되며, 스크루(240)의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가 분쇄되면서 찌꺼기 배출구(221a) 측으로 이송된다. 스크루(240)와 압착 하우징(221)의 내주면 사이에서 착즙 재료가 짖눌려지면서 즙이 추출되고, 이렇게 추출된 즙은 압착 하우징(221)에 형성된 망공(221h)을 통해 배출되어 착즙 배출부(253)를 통해 배출된다. 착즙 배출부(253)는 즙이 배출되는 출구(253a)가 가전기기(1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크루(240)는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된다. 스크루(240)의 회전축(242)은 구동부(130)의 구동축(13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242) 및 구동축(13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중공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242)과 구동축(131) 간의 연결과 분리는 착즙모듈(200)을 본체(100)에 착탈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케이싱(210)이 본체 케이싱(122)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회전축(242)이 구동축(131)과 동선 상에 정렬될 수 있도록, 모듈 케이싱(210) 또는 본체 케이싱(122)에는 상대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나 슬롯 등의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루(240)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회전돌기(24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압착 하우징(221)의 내주면에는 스크루(240)와 상호 작용하며 착즙 재료를 가압하는 고정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돌기(222)는 스크루(240)의 회전돌기(241a)와 대응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착 하우징의 길이방향이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될 수도 있다. 고정돌기(222)는 압착 하우징 내에 고정된 것인 반면, 착즙 재료는 스크루(240)에 의해 압착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송 과정에서 착즙 재료가 회전돌기(241a)와 고정돌기(222) 사이에서 가압되어 즙이 추출된다. 이 과정에서, 즙이 추출되고 남은 재료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구(221a)를 통해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재료 찌꺼기는 찌꺼기 저장용기(255)에 누적된다.
찌꺼기 저장용기(255)는 모듈 케이싱(210)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찌꺼기 저장용기(255)는 착즙모듈(2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모듈 케이싱(21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찌꺼기 저장용기(255)로 냉기가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찌꺼기 저장용기(255) 내에 장시간 동안 찌꺼기가 수용되더라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착즙모듈(200)은 찌꺼기 저장용기(255) 내의 찌꺼기 양을 감지하는 찌꺼기 감지센서(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4, 282)는 찌꺼기 감지센서(261)에 의해 감지된 값을 바탕으로 찌꺼기 저장용기(255)를 비워야할 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부(114, 286)를 통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전기기와 비교하여, 압착 하우징(221)으로부터 배출된 즙을 보관하는 착즙 보관용기(257)를 더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더라도, 앞서 설명한 바를 따르기로 한다.
착즙 보관용기(257)는 모듈 케이싱(210)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즙 보관용기(257)는 본체(100)로부터 모듈 케이싱(210)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로 모듈 케이싱(21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착즙모듈(200)은 착즙 보관용기(257) 내의 즙의 양을 감지하는 착즙 감지센서(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4, 282)는 착즙 감지센서(262)에 의해 감지된 값을 바탕으로 착즙 보관용기(257)가 가득 채워진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구동부(130, 27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4, 282)는 표시부(114, 286)를 통해 착즙 보관용기(257)를 비울 것을 알리는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되는 도 3 내지 도 5에서 각부의 구성들 간을 연결하는 실선은 전원의 공급을 표시한 전원선이고, 점선은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제어선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1a, 1b)의 구성을 도시한 일례로,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a, 1b)는 착즙모듈(200)을 구성하는 각부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본체(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각부들의 작동은 본체(100)에 구비된 제어부(124)에 의해 제어된다.
감지부(260)는 실시예에 따라 찌꺼기 감지센서(261) 및/또는 착즙 감지센서(262)를 포함하며, 도 3은 감지부(26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본체(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제공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감지부(260) 뿐만 아니라, 착즙모듈(200)을 구성하는 다른 기구들에도 전원의 공급이 필요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좀 더 살펴보면, 입력부(112), 표시부(114), 구동부(130), 제어부(124) 및 감지부(260)는 본체(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특히, 이들 각부들은 전원 공급부(140)와 통상의 와이어(wire)로 결선되어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입력부(112, 284)를 통해서는 본체(100)의 작동 뿐만 아니라, 착즙모듈(20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설정들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24, 282)는 입력부(112, 284)를 통해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본체(100)와 착즙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4, 286) 역시 본체(100)의 작동 상태 뿐만 아니라 착즙모듈(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서 구동부(130)는 착즙모듈(200)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구성품의 작동에 겸용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어, 가전기기가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인 경우, 원두를 파쇄하기 위한 분쇄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부(130)는 상기 분쇄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적절하게 구성된 동력 전달 수단의 제어하에 착즙모듈(200)의 스크루(24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가전기기의 본래 기능에 필요한 구동부(130)를 이용하여 착즙모듈(200)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착즙모듈(200)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1a, 1b)의 구성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a, 1b)는 본체(100)에 전원 공급부(140)가 구비되고, 감지부(260), 제어부(282), 구동부(270), 입력부(284) 및/또는 표시부(286)는 착즙모듈(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82), 입력부(284) 및/또는 표시부(286)는 각각 착즙모듈(200)의 제어, 설정 입력, 상태 표시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체(100)의 제어, 설정 입력, 상태 표시를 겸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들 각부들은 착즙모듈(200)의 작동에만 관여하고, 본체(100)에는 본체(100)를 구성하는 각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본체(100)의 작동을 위한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 및/또는 본체(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각부들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본체(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1a, 1b)의 구성을 도시한 또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a, 1b)는 스크루(2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70)가 착즙모듈(200)에 구비되고, 전원 공급부(140)를 비롯하여 입력부(112), 표시부(114) 및/또는 제어부(124)는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착즙모듈(200)에는 감지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가전기기는 착즙모듈(200)을 구성하는 각부들(260, 270)에는 본체(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뿐만 아니라, 각부들(260, 270)의 제어 역시 본체(100)에 구비된 제어부(124)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제어부(124), 입력부(112) 및 표시부(114)는 본체(100)에 구비되나, 본체(100)의 작동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착즙모듈(200)의 각부(260, 270)의 제어, 설정 입력 및/또는 상태 표시를 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착즙모듈(200)은 모듈 케이싱(210)과, 모듈 케이싱(210) 내에 구비되며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21)를 갖는 분쇄 하우징(320)과, 각각 분쇄 하우징(320)과 연통되는 한 쌍의 압착 하우징(360, 370)과, 분쇄 하우징(320) 내에서 회전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341, 351)와, 각각의 분쇄롤러(341, 351)와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스크루(342, 352)와, 분쇄 하우징(320)과 각각 연통되고 내측으로 각각 스크루(342, 352)가 수용되는 한 쌍의 압착 하우징(360, 370)과, 한 쌍의 압착 하우징(360, 370)으로부터 모인 재료 찌꺼기를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부(380)와, 각각의 압착 하우징(360, 370)의 망공(360h, 370h)을 통해 유입된 착즙을 모아서 배출하는 착즙 배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분쇄롤러(341, 351) 중 어느 하나(341)는 구동부(130, 270)의 구동축(13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45)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351)는 분쇄 하우징(320) 또는 모듈 케이싱(3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35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스크루(342, 352)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회전돌기(342a, 352a)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크루(342, 352)가 회전됨에 따라 착즙 재료가 압착 하우징(360, 3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착즙 재료가 회전돌기(342a, 352a)와 압착 하우징(360, 370) 사이에서 가압되어 즙이 추출되며, 이렇게 추출된 즙은 착즙 배출부(322)를 통해 배출되고, 즙이 추출되고 남은 재료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구(380)를 통해 배출된다.
실시예에 따라, 찌꺼기 배출부(380)로부터 배출된 재료 찌꺼기가 모이는 찌꺼기 저장용기(255, 도 1 내지 도 2 참조) 및/또는 착즙 배출부(253)로부터 배출된 착즙이 담기는 착즙 보관용기(257, 도 2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착즙모듈(100')은 본체(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착즙모듈(1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본체(100)에 구비된 구동부(130)의 구동축(131)과 착즙모듈(100')의 회전축(345)이 서로 연결되고, 본체(100)로부터 착즙모듈(100')이 분리될 시에는 구동축(131)과 회전축(345)이 서로 분리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상의 착즙모듈(100') 역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며, 설명의 반복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을 구비한 본체; 및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압착 하우징과, 상기 압착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착즙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케이싱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착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 하우징은,
    상기 착즙 재료가 상기 스크루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상기 착즙 재료로 부터 추출된 즙이 배출되는 망공을 포함하고,
    상기 착즙모듈은,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망공을 통해 배출된 즙을 보관하는 착즙 보관용기와, 상기 착즙 보관용기 내의 즙의 양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된 값을 전달하는 착즙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값을 바탕으로 상기 착즙 보관용기가 가득 채워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표시부를 통해 상기 착즙 보관용기를 비울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싱이 상기 본체 케이싱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의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모듈 케이싱이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이 서로 분리되는 가전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하우징은,
    상기 스크루에 의해 이송된 재료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모듈은,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재료 찌꺼기가 누적되는 찌꺼기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저장용기는,
    상기 모듈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전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저장용기는,
    상기 모듈 케이싱이 상기 본체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모듈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전기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보관용기는,
    상기 모듈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가전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보관용기는,
    상기 모듈 케이싱이 상기 본체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모듈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전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모듈은,
    상기 망공을 통해 배출된 즙을 안내하는 착즙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즙 배출부는,
    즙이 배출되는 출구가 상기 모듈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전기기.
KR1020150036476A 2015-03-17 2015-03-17 가전기기 KR10235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76A KR102356608B1 (ko) 2015-03-17 2015-03-17 가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76A KR102356608B1 (ko) 2015-03-17 2015-03-17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26A KR20160111626A (ko) 2016-09-27
KR102356608B1 true KR102356608B1 (ko) 2022-01-26

Family

ID=5710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476A KR102356608B1 (ko) 2015-03-17 2015-03-17 가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9702B (zh) * 2021-05-28 2022-05-03 深圳派乐康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榨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41B1 (ko) * 2012-05-30 2013-04-23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417A (ko) * 2005-04-27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41B1 (ko) * 2012-05-30 2013-04-23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26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7062B (zh) 一种研磨豆浆机及其防堵转方法
RU26217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охлажденн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EP3151707B1 (en) Centrifugal juicer
JP2008027419A (ja) 生果物ジュース自動販売機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1108016A1 (en) Innovative domestic appliance with dual function
JP2013544601A (ja) 飲料機の為の簡単な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CN102008117A (zh) 加工器械和方法
WO2013053228A1 (zh) 榨汁机
CN105982583B (zh) 食物料理机及其防堵转方法
JP2015532160A (ja) 食品挿入デバイスを持つ食品調理用の家庭用機器
JP6076333B2 (ja) 飲料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EP3993679B1 (en) Smart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356608B1 (ko) 가전기기
KR100342091B1 (ko)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274058A (zh) 榨汁机
KR102317143B1 (ko) 전자레인지
EP1872071B1 (en) A refrigerator
KR102400390B1 (ko) 음료기기
CN101545647B (zh) 具有制豆浆功能的微波炉
US20190000259A1 (en) Domestic Food Prepa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Fruit or Vegetable Product
KR20160116635A (ko) 가정용 착유기
KR20160066864A (ko) 주서기
CA3146989C (en) Device for the delivery of products processed from fresh fruits and /or vegetables
KR102343259B1 (ko) 냉장고
KR20090008837A (ko) 다기능 전자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