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876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876B1
KR102353876B1 KR1020180083762A KR20180083762A KR102353876B1 KR 102353876 B1 KR102353876 B1 KR 102353876B1 KR 1020180083762 A KR1020180083762 A KR 1020180083762A KR 20180083762 A KR20180083762 A KR 20180083762A KR 102353876 B1 KR102353876 B1 KR 10235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terminal
connector
lock membe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613A (ko
Inventor
유우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발열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전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0)은,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16)와, 실장면을 따른 일방향을 길이 방향(X)으로 하여 연장되어 전원 단자(30)와 로크 부재(40)를 보유지지하는 측벽(14)을 갖고 있고, 전원 단자(30)와 로크 부재(40)는, 길이 방향(X)으로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전원 단자(30)는, 수용부(16) 내에 위치하여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31A)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31)와, 하우징(10)의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속되는 접속부(33)를 갖고, 탄성 아암부(31)가 그의 일단측을 이루는 자유단측에 접촉부(31A)를 형성하고, 탄성 아암부(31)의 타단측이 하우징(10)의 저벽(11)에 위치하는 이행부(32)를 통하여 접속부(33)에 연결되어 있고, 로크 부재(40)는 접속부(33)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측벽(14)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와 이에 끼워맞춰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이루고 있고, 모두,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신호 단자(콘택트)와 전원 단자(콘택트)를 하우징에서 배열 보유지지하고 있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원 단자는, 전체적으로 대략 가로 S자 형상을 이루어, U자 형상부와 역 U자 형상부를 갖고 있다. 즉, U자 형상부에 형성된 2개의 아암부 중 한쪽이, 역 U자 형상부에 형성된 2개의 아암부 중 한쪽과 공통으로 되어 있다. U자 형상부의 다른 한쪽의 아암부는 탄성을 갖고 있고, 자유단이 한쪽의 아암부의 측으로 둥그렇게 만곡부를 이루고, 당해 만곡부 중 상기 한쪽의 아암부에 가까운 부분이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U자 형상부의 2개의 아암부의 사이에 상대방인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 단자가 진입해 왔을 때에, 당해 2개의 아암부로 가압되어 상기 접촉부가 이 대응 단자에 대하여 탄성을 갖고 가압된다.
또한, 상기 전원 단자는, 역 U자 형상부의 다른 한쪽의 아암부가 그 하단에서 굴곡되어 있고,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접속부는,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대하여 땜납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대방으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와 끼워맞춰 접속되면, 양 커넥터간에서, 신호 단자에 신호 전류가, 전원 단자에 전원 전류가 흐른다. 전술한 전원 단자에는, 상대방으로서의 대응 단자에 대하여, 접촉부에서 접속부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U자 형상부와 역 U자 형상부를 거쳐, 전원으로서의 대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16897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대략 가로 S자 형상을 이루는 전원 단자에 있어서는, 접촉부에서 접속부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U자 형상부와 역 U자 형상부의 두 번에 걸쳐 만곡한 경로를 이루고 있어 거리가 길어지고 있는 만큼, 저항도 크고, 전원으로서 대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발열량도 높아진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발열량이 높은 것은 회로부 및 회로 부품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신호 단자에 비하여 대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원 단자에 있어서, 발열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전기 절연재제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된 금속재제의 전원 단자 및 로크 부재를 갖고, 상기 전원 단자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로크부와 걸어맞춰진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을 따른 일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측벽을 갖고 있고,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벽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가 그의 일단측을 이루는 자유단측에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고, 당해 탄성 아암부의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저벽에 위치하는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접속부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상기 측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단자에서는, 전류가 접촉부로부터 탄성 아암부와 이행부를 거쳐 접속부로 흐른다. 탄성 아암부와 하우징 저면에 위치하는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벽에 위치하는 이행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아암부와 접속부는 만곡 부분을 거치는 일 없이, 최단 거리의 전류 경로를 이루고 있고, 따라서, 발열량이 최솟값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가 연결되고 있고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원 단자는 로크 부재와 일 부재로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단자와 로크 부재는 서로 보강하여 외력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전원 전류는, 최단 거리를 이루는 탄성 아암부, 이행부를 거쳐 접속부로 이르는 경로를 흐르게 되어, 로크 부재의 쪽으로는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발열량이 증대할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로크 부재의 폭 범위 내에 수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전원 단자와 로크 부재가 다른 범위를 갖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 컴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벽에 의해 보유지지된 보강 금구(金具)를 추가로 갖고, 당해 보강 금구가 로크 부재와는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크 부재 및 보강 금구가 서로 강도를 높이고, 또한, 하우징에서의 보유지지 강도도 높여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회로 기판으로 땜납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의 고정부와 상기 전원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공통 패드에 납땜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가, 그 접촉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와 접속부를 하우징의 저벽에 위치하는 이행부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전원 단자의 전류는 접촉부에서 이행부를 거쳐 접속부까지, 최단 거리로 흐르게 되고, 종래와 같이, 접촉부로부터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굴곡한 로크부를 거쳐 접속부로 장거리의 경로를 거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발열량이 억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그의 상대방인 플러그 커넥터의 양 커넥터를 끼워맞춤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 커넥터를 상하로 위치를 반대로 그리고 자세를 반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리셉터클 전원 단자, 리셉터클 로크 부재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에 대해서, 이들의 위치 관계 및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3(C)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D)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전원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양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전원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일체로 된 전원 단자·보강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로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일체로 된 한쪽의 전원 단자·로크 부재를 나타내고, 도 7(A)는 사시도, 도 7(B)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7(C)는 하방에서 본 다른 한쪽의 전원 단자·로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리셉터클 커넥터(Ⅰ)가 하방에 위치하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을 잘 나타내도록 편의상, 도 1과는 위치 관계를 상하 반대로 그리고 자세를 상하 반전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Ⅰ) 및 플러그 커넥터(Ⅱ)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다. 도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P)이 나타나 있고, 도 2에서는, 플러그 커넥터(Ⅱ)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Q)이 나타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Ⅰ) 및 플러그 커넥터(Ⅱ)는, 회로 기판(P, Q)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을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그리고 발출 방향(이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라고 함)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을 「커넥터 끼워맞춤 발출 방향(Z)」이라고 하고, 회로 기판(P)의 실장면을 따라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커넥터 길이 방향(X)」라고 하고, 이에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Y)」으로 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구성]
리셉터클 커넥터(Ⅰ)는, 도 1,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박형(薄形)의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X)(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이기도 함)으로 당해 하우징(1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된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커넥터 길이 방향(X)의 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0)에서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50)를 갖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커넥터 길이 방향(X)의 전체 범위에서 일치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길이 방향(X)에 있어서,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길이가,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길이보다 커져 있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가 수용부(16)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P)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11)과, 커넥터 폭 방향(Y)으로의 저벽(11)의 중앙역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2)과 저벽(11)의 외주연으로부터 기립하여 돌출벽(12)을 둘러싸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고, 둘레벽(13)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돌출벽(12)이 섬 형상을 이루어 위치하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커넥터 폭 방향(Y)으로 대향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4)과,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대향함과 함께 한 쌍의 측벽(14)의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커넥터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벽(15)을 갖고 있다. 둘레벽(13)과 돌출벽(12)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사각 환상의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Ⅱ)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벽(12)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 단자용 홈부(12A)가, 그리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 단자용 홈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 단자용 홈부(12A) 및 전원 단자용 홈부(12B)는, 돌출벽(12)의 측면(12C)(커넥터 폭 방향(Y)에서 측벽(14)에 대한 면)으로부터 함몰됨과 함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Z)이 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벽(12)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의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 위치에서는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위치에서는 저벽(11)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신호 단자용 홈부(12A)는, 후술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탄성 아암부(21)을 수용하고, 전원 단자용 홈부(12B)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탄성 아암부(31)를 수용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용 홈부(12A)에 대하여 전원 단자용 홈부(12B)는 넓은 홈 폭 치수(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의 치수)를 이루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중앙 영역 범위에서, 커넥터 폭 방향(Y)의 중앙 위치에서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인 2위치에서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2위치의 어느 것에서도 2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가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쪽의 외측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즉,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보다도 단부벽(15)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50)는, 당해 단부벽(15)의 상벽면(15A), 내측 벽면(15B) 및 외측 벽면(15C)을 덮도록 하여 하우징(10)의 단부벽(15)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 등에 대해서는 개별로 재차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3(A)∼도 3(D)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리셉터클 전원 단자(30), 리셉터클 로크 부재(4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부재는 하우징(10)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X)을 따라 보았을 때에, U자 형상부와 역 U자 형상을 그들의 공통 아암부에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가로 S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커넥터 폭 방향(Y)에서 내측(돌출벽(12)측)에 위치하는 탄성 아암부(21)와, 당해 탄성 아암부(21)에 대하여 외측의 위치에서 측벽(14)에 매설 보유지지되는 매설 아암부(22)(도 1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도 3(A) 참조)와, 양자간에 위치하는 중간 아암부(23)와, 탄성 아암부(21)와 중간 아암부(23)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4)를 갖고 있다. 중간 아암부(23)와 매설 아암부(22)는 이들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향한 볼록 만곡부(2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21)와 중간 아암부(23)와 연결부(24)에서 전술한 U자 형상부를 형성하고, 중간 아암부(23)와 매설 아암부(22)와 볼록 만곡부(25)에서 전술한 역 U자 형상부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아암부(21)와 중간 아암부(23)와 연결부(24)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수용부(1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아암부(21)의 상단측, 즉 자유단측에는 커넥터 폭 방향(Y)에서 중간 아암부(23)의 쪽으로 향하여 볼록 만곡한 접촉부(21A)가 형성되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Ⅱ)의 플러그 신호 단자(70)가 U자 형상부로 진입했을 때에, 접촉부(21A)가 탄성 아암부(21)의 탄성 변위에 의한 힘으로 플러그 신호 단자(70)를 눌러 중간 아암부(23)와의 사이에서 가압된다. 탄성 아암부(21)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돌출벽(12)에 형성된 신호 단자용 홈부(12A) 내에 있어 커넥터 폭 방향(Y)으로 탄성 변위하고, 접촉부(21A)의 부분이 신호 단자용 홈부(12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중간 아암부(23)와 매설 아암부(22)와 볼록 만곡부(25)는, 상술의 역 U자 형상부를 이루고, 중간 아암부(23) 및 볼록 만곡부(25)가 하우징(10)의 측벽(14)의 내면 및 상면에 접하고, 매설 아암부(22)가 측벽(14) 내에 매설됨으로써, 당해 측벽(14)에 의해 각각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중간 아암부(23)와 매설 아암부(22)를 연결하고 있는 볼록 만곡부(25)는 측벽(14)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매설 아암부(22)의 하단으로부터는, 회로 기판(P)에 면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Y)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 돌출하는 접속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22A)는, 회로 기판(P)의 대응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패드(P1)(도 1 참조)에 땜납 접속된다.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와 동일하게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그 단자 폭(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의 폭 치수)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보다도 크다.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커넥터 길이 방향(X)을 따라 보았을 때에,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탄성 아암부(21)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탄성 아암부(31)를 갖고, 당해 탄성 아암부(31)의 상단측, 즉 자유단측에 접촉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탄성 아암부(31)의 하단으로부터 이행부(32)를 거쳐 커넥터 폭 방향(Y)의 외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33)를 갖고 있다. 이행부(32)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위치하고, 접속부(33)는 이행부(32)보다도 약간 하측이 되는 측벽(14)의 위치에 있어서의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고(도 4 참조), 이행부(32)로부터 접속부(33)로는, 최단 거리로 직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하우징(10)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당해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도 4와 같이, 탄성 아암부(31)의 하단 부분과 이행부(32)의 일부가 하우징(10)의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이행부(32)는 저벽(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지만, 저벽(11)의 하면에서도, 벽두께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접속부(33)에는, 도 3(B), 도 3(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X))의 양단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Y)에서 외방으로 향한 2개의 돌출부(33A)를 갖고, 양 돌출부(33A)의 사이에 절결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3B)는, 후술의 리셉터클 로크 부재의 고정부(42A)를 수용함과 함께, 회로 기판(P)과의 땜납 접속시, 당해 접속부(33)에 있어서의 땜납 연(緣)부 길이를 크게 확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고, 도 3(B),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X)을 따라 보았을 때에 대략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 있어서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중복되는 치수 및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보다도 폭이 넓고,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폭 범위 내에 리셉터클 전원 단자(30)가 수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대략 역 U자 형상을 이루도록, 내측 아암부(41)와 당해 내측 아암부(41)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매설 아암부(42)를 갖고, 내측 아암부(41)와 매설 아암부(42)는 그들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향한 볼록 만곡부(43)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아암부(41)는 하우징(10)의 측벽(14)의 내벽면(14A)에 보유지지되고, 매설 아암부(42)는 당해 측벽(14)의 벽두께 내에 매설되어 보유지지되어 있다. 볼록 만곡부(43)는, 측벽(14)의 상면(14B)에서 노출되어 있다. 내측 아암부(41)의 상부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으로 돌출하도록 볼록 만곡한 로크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아암부(41)의 하단은, 커넥터 폭 방향(Y)에서 내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스토퍼부(41B)를 갖고 있다. 스토퍼부(41B)는, 플러그 커넥터(Ⅱ)와의 끼워맞춤시에 과도하게 강하 진입했을 때 당해 플러그 커넥터(Ⅱ)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설 아암부(42)는, 그 하단이,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X)이 되는 당해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폭 방향이 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로, 도시의 예에서는, 중앙부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측벽(14) 위치에서의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42A)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2개의 돌출부(33A)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33B) 내에 위치하고(도 1 참조), 회로 기판(P)의 대응부에 땜납에 의해 고정되고,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보유지지를 강화한다. 내측 아암부(41)와 매설 아암부(42)와 볼록 만곡부(43)로 둘러싸인 공간은 하우징(10)으로 충전되고 있음과 함께, 고정부(42A)의 상측에도 하우징(10)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전술한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탄성 아암부(31)와 어울려, 하단에서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불연속이기는 하지만,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U자 형상부와 유사한 U자 형상부를 형성한다(도 3(B), 도 4 참조). 즉,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탄성 아암부(31)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내측 아암부(41)에 의해 U자 형상의 공간으로서 수용부(16)의 일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U자 형상부에 상대방으로서의 플러그 커넥터(Ⅰ)의 플러그 전원 단자(80)를 수용하여 가압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는 그 접촉부(31A)에서 플러그 전원 단자(80)와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리셉터클 로크 부재(40)는 그 로크부(41A)에서 플러그 전원 단자의 대응부와 서로 걸어고정하여 빠짐 방지의 로크를 행한다.
하우징(10)의 단부벽(15)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50)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리셉터클 전원 단자(30) 그리고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동일하게,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 및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벽(15)에 매설 보유지지된 외측 아암부(51)와, 외측 아암부(51)의 상단부로부터 단부벽(15)의 내측 벽면(15B)으로 돌아 들어가 당해 내측 벽면(15B)에 위치하는 중간 아암부(52)와, 중간 아암부(52)의 하단의 일부(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굴곡된 연결부(53)와, 연결부(53)로부터 기립하여 상단에서 역 U자 형상으로 만곡된 내측 아암부(54)와, 중간 아암부(52)의 하단 및 연결부(53)의 양측에서 당해 연결부(53)에 대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하우징(10)의 외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단부벽(15) 위치에서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는 단부벽측 고정부(55)와, 중간 아암부(52)의 측연(側緣)으로부터 연장되어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단부벽(15)과 측벽(14)의 벽두께 내에 매설되는 굴곡 매설 아암부(56)와, 굴곡 매설 아암부(56)의 하단에서 측벽(14) 위치에서 저벽(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L자 형상으로 굴곡됨으로써 당해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는 측벽측 고정부(57)를 갖고 있다. 중간 아암부(52)로부터 외측 아암부(51)로는 상면 만곡부(50A)를 거쳐 이행하고 있다. 연결부(53)는, 대부분이 하우징(10)의 저벽(11)에 매설되어 보유지지되어 있고, 일부가 저벽(11)에 형성된 홈의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
다음으로,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Ⅰ)에 대하여 상대방이 되는 플러그 커넥터(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Ⅱ)는, 도 1,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60)과, 하우징(60)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당해 하우징(60)에 의해 보유지지된 플러그 신호 단자(70)와, 플러그 전원 단자(80)와, 플러그 보강 금구(90)를 갖고 있다.
하우징(60)은, 플러그 커넥터(Ⅰ)가 부착되는 회로 기판(Q)(도 2 참조)에 면하는 저벽(61)(도 1에서는, 당해 저벽(61)은 상향으로 나타나 있음)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벽(61)으로부터 기립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62)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62)은, 리셉터클 커넥터(Ⅰ)에 대한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하우징(10)의 수용부(16)에 수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Ⅰ)와 끼워맞춤된다. 둘레벽(62)은, 커넥터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63)과, 2개의 측벽(63)끼리를 그 단부로 연결하는 2개의 단부벽(64)을 갖고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70) 및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측벽(63)의 상부를 덮는 역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플러그 커넥터(Ⅱ)가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수용부(16)로 끼워맞춤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각각 접촉 접속하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63)에 대하여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보강 금구(90)는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와 걸어맞추는 위치에서 단부벽(64)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70)와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금속판을 굴곡하여 거의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지만,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경우와 동일하게, 플러그 신호 단자(70)보다도 플러그 전원 단자(80)의 쪽이 단자 폭(커넥터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단자 폭 치수)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70)와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하우징(60)의 측벽(63)의 상부를 덮어 권취하도록 당해 측벽(63)의 내벽면(63A)에 이르고, 당해 내벽면(63A)의 하단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Y)에서 외방으로 향하여 굴곡되고, 저벽(61)을 관통하고 나서 당해 저벽(6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70) 및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측벽(63)의 내벽면(63A)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각각 접촉부(71;81)를 형성하고, 저벽(61)의 하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각각 접속부(72;82)를 형성하고, 나아가서는, 측벽(63)의 상부를 덮고 있는 부분이 측벽(63)의 외벽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볼록 만곡을 이루는 로크부(73;83)를 형성하고 있다.
플러그 보강 금구(90)는, 단부벽(64)의 내벽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단이 하방으로 향하여 굴곡되고, 이 굴곡 부분이 단부벽(64) 내에 매설되어 있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동작]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커넥터(Ⅰ)와 플러그 커넥터(Ⅱ)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Ⅰ)와 플러그 커넥터(Ⅱ)의 끼워맞춤 직전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끼워맞춤 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모두 커넥터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30) 및 플러그 전원 단자(80)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2A)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접속부(33),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고정부(42A)를 각각 회로 기판(P)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 그리고 땜납 고정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의 단부벽측 고정부(55)와 측벽측 고정부(57)를 회로 기판(P)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하고, 리셉터클 커넥터(Ⅰ)를 회로 기판(P)에 실장한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2A)는 대응 회로부로서의 회로 기판(P)에 형성된 패드(P1)에 땜납 접속되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접속부(33)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고정부(42A)는, 회로 기판(P)에 형성된 공통의 패드(P2)에 각각 땜납 접속 그리고 땜납 고정된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의 단부벽측 고정부(55)와 측벽측 고정부(57)는, 각각 대응하는 패드(P3, P4)에 땜납 고정된다. 나아가서는, 플러그 커넥터(Ⅱ)의 플러그 신호 단자(70)의 접속부(72) 및 플러그 전원 단자(80)의 접속부(82)를 각각 다른 회로 기판(Q)의 대응 회로부를 이루는 패드(Q1, Q2)에 각각 땜납 접속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Ⅰ) 및 플러그 커넥터(Ⅱ)에 있어서의 각각의 땜납 접속 부분 및 땜납 고정 부분에, 필요에 따라서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를 도포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Ⅰ)를 플러그 커넥터(Ⅱ)의 하방에 위치시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수용부(16)가 상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Ⅱ)를 그 둘레벽(62)이 하방으로 향한 자세로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나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Z)에서, 플러그 커넥터(Ⅱ)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플러그 커넥터(Ⅱ)의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둘레벽(62)을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수용부(16) 내에 끼워넣는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Ⅱ)의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신호 단자(70)는, 도 4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 1에서 볼 수 있는 접촉부(21A)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Ⅰ)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에 형성된 U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아암부(21)와 중간 아암부(23)의 사이를 눌러넓혀 돌입한다. 그리고, 탄성 아암부(21)가 커넥터 폭 방향(Y)에서 돌출벽(12)의 쪽으로 향하여 탄성 변위한다. 또한, U자 형상부로의 돌입이 진행되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가 되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촉부(21A)가 플러그 커넥터(Ⅱ)의 플러그 신호 단자(70)와 접압을 갖고 접촉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Ⅱ)의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탄성 아암부(31)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의 내측 아암부(41)에서, 불연속이지만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에 끼워맞춤된다. 플러그 전원 단자(80)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접촉부(31A)로부터 탄성 아암부(31) 그리고 이행부(32)를 거쳐 접속부(33)에 이르는 전로(電路)인,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授受)를 행한다. 이 경우, 이행부(32)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위치하고, 이 이행부(32)로 이어지는 접속부(33)는 하우징(10)의 측벽(14)의 하방 위치에서 저벽(11)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로는 이행부(32)와 접속부(33)와의 사이를, 굴곡 부분을 거치는 일 없이, 거의 직선 형상의 최단 거리로 연결하게 된다. 그 때문에, 수암페어에서 수십 암페어(보다 구체적으로는, 5∼20암페어) 정도의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발열량이 억제된다. 또한, 플러그 전원 단자(80)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접촉 부분인 접촉부(31A)에서는, 전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발열원(發熱源)이 될 수 있지만, 발생한 열은 이행부(32)와 접속부(33)를 통하여 회로 기판(P)에 전도되기 때문에, 방열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Ⅱ)의 플러그 전원 단자(80)에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접면하는 측에 로크부(8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로크부(83)와 걸어맞추어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Ⅱ)의 플러그 보강 금구(90)는, 도 4, 도 5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의 상면 만곡부(50A)로 안내된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50) 및 플러그 보강 금구(90)는, 각각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10)을 보강함과 함께, 커넥터 끼워맞춤 개시시에 다소 위치 어긋남이 있어 양 커넥터가 충돌했을 때에 받는 충격력으로부터 하우징(10)을 보호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한 형태 이외에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의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의 양 부재는,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양 부재 모두에 전원 전류가 거의 흐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전류에 의한 발열량의 억제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없고, 그 형상 등에 제한은 없어져, 부재 자체의 강도, 하우징의 보강의 상위(相違)나 제조상의 용이성으로 그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양 부재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재 점수의 감소, 부재 가공 공정수의 감소로부터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나는 다른 형태에서는, 도 3(A),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50)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동등의 로크·보강 금구(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도 3(A), 도 3(C)의 것과 공통 부위에는 그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로크·보강 금구(100)는, 로크 부재 부분(140)과 보강 금구 부분(150)을 갖고 있다. 로크 부재 부분(140)과 보강 금구 부분(150)은, 양자가 연결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리셉터클 보강 금구(50)와 거의 그들의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3의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로크 부재 부분(140)과 보강 금구 부분(150)은, 로크 부재 부분(140)의 매설 아암부(142)와 보강 금구 부분(150)의 굴곡 매설 아암부(156)가 연결됨으로써, 일 부재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부재 부분(140)과 보강 금구 부분(150)이 일 부재로서 형성됨으로써, 양 부분이 서로 어울려 부재 자체의 강도 및 하우징 보강의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재 가공 공정수, 부재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 이 도 7에 있어서는, 도 3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원 단자·로크 부재(200)를 갖고 있다. 도 7에서는, 도 3(A), 도 3(C)의 것과 공통 부위에는 그 부호에 「200」을 더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전원 단자·로크 부재(200)는, 전원 단자 부분(230)과 로크 부재 부분(240)을 갖고 있다. 전원 단자 부분(230) 자체와 로크 부재 부분(240) 자체는, 각각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리셉터클 로크 부재(40)와 거의 그들의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3의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있어서, 전원 단자 부분(230)은, 도 3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비교한 경우, 도 7(A), 도 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A), 도 3(D)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접속부(233)가 거의 평탄 판면을 형성하고 있고, 도 3(A), 도 3(D)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에 형성된 절결부(33B)나 그 양측에 위치하여 형성된 돌출부(33A) 등은 존재하고 있지 않고, 상기 평탄 판면을 형성하는 접속부(233)가 큰 면적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233)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의 땜납 면적은 크고, 땜납에 의한 보유지지 강도는 높다.
전원 단자 부분(230)과 일체로 되어 있는 로크 부재 부분(240)은, 전원 단자 부분(230)의 접속부(233)의 연부(커넥터 폭 방향(Y)에서, 탄성 아암부(23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233B)에서 굴곡되어 기립하는 매설 아암부(242)를 거쳐 당해 매설 아암부(242)의 상단에서 커넥터 폭 방향(Y) 그리고 하방으로 향하여 굴곡된 내측 아암부(241)를 갖는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매설 아암부(242) 및 내측 아암부(241)는, 도 3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매설 아암부(42) 및 내측 아암부(41)에 상당한다. 도 7(A)의 예에서는, 매설 아암부(242)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Y)에서 외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242A)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리셉터클 보강 금구(250)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C)에 나타나는 전원 단자·로크 부재(200)는, 도 7(A)에 있어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있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쪽의 전원 단자·로크 부재(200)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고정부(242A)는, 커넥터 길이 방향(X)에서, 도 7(A)과 도 7(C)에서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 부재 부분(240)은, 도 7(B)에서는, 그 내측 아암부(241)의 하연이 접속부(233)에 접하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접하고 있어도 접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전원 단자·로크 부재(200)에 있어서는, 전원 단자 부분(230)이 그 접촉부(231A)에서 상대방으로서의 플러그 전원 단자(80)와 접촉하면, 접촉부(231A)로부터 탄성 아암부(231), 이행부(232)를 거쳐 접속부(233)에 이르는 거의 직선 형상의 전로를 형성하여 플러그 전원 단자(80)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한다. 그때, 전원 단자 부분(230)의 접속부(233)로부터 로크 부재 부분(240)이 일체를 이루어 기립하고 있지만, 전원 전류는 최단 거리인 거의 직선 형상의 전로를 흐르게 하기 때문에, 로크 부재 부분(240)측으로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리셉터클 전원 단자(30)의 경우와 동일하게, 전류에 의한 발열량은 대폭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로크 부재 부분(240)의 내측 아암부(241)의 하단이 접속부(233)에 접하고 있어도 접하고 있지 않아도, 로크 부재 부분(240)에는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은 동일하다.
10 : 하우징
14 : 측벽
16 : 수용부
30;130;230 : (리셉터클) 전원 단자
31;131;231 : 탄성 아암부
31A;131A;231A : 접촉부
32;132;232 : 이행부
33;133;233 : 접속부
40;140;240 : (리셉터클) 로크 부재

Claims (6)

  1. 전기 절연재제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된 금속재제의 전원 단자 및 로크 부재를 갖고, 상기 전원 단자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로크부와 걸어맞추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을 따른 일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측벽을 갖고 있고,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위치
    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벽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가 그의 일단측을 이루는 자유단측에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고, 당해 탄성 아암부의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저벽에 위치하는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접속부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상기 측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로크 부재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로크 부재의 폭 범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벽에 의해 보유지지된 보강 금구(金具)를 추가로 갖고, 당해 보강 금구가 로크 부재와는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회로 기판으로 땜납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의 고정부와 상기 전원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공통 패드에 납땜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80083762A 2017-08-21 2018-07-1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35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8726 2017-08-21
JP2017158726A JP6894320B2 (ja) 2017-08-21 2017-08-2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13A KR20190020613A (ko) 2019-03-04
KR102353876B1 true KR102353876B1 (ko) 2022-01-19

Family

ID=6551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62A KR102353876B1 (ko) 2017-08-21 2018-07-1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94320B2 (ko)
KR (1) KR102353876B1 (ko)
CN (1) CN109428182B (ko)
TW (1) TWI746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9370B2 (ja)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CN214505933U (zh) * 2020-08-03 2021-10-26 广濑电机株式会社 连接器
JP7484062B2 (ja) 2020-08-17 2024-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CN112310682A (zh) * 2020-11-13 2021-02-02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电路板连接器
JP7245943B2 (ja) * 2021-04-02 2023-03-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KR102677262B1 (ko) * 2021-04-02 2024-06-24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32070B1 (ko) * 2021-04-02 2024-02-02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79519B1 (ko) * 2022-09-08 2024-07-0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9640A (ja) * 2014-07-16 2016-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48613A (ja) * 2014-08-27 2016-04-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CN2660713Y (zh) * 2003-08-12 2004-12-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713668Y (zh) * 2004-04-30 2005-07-27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CN2901611Y (zh) * 2006-03-02 2007-05-1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6293431B2 (ja) *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73990B2 (ja) *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513509B2 (ja)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830013B2 (ja) * 2017-03-07 2021-02-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9640A (ja) * 2014-07-16 2016-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48613A (ja) * 2014-08-27 2016-04-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8182A (zh) 2019-03-05
TW201914109A (zh) 2019-04-01
JP2019036500A (ja) 2019-03-07
JP6894320B2 (ja) 2021-06-30
CN109428182B (zh) 2021-06-15
KR20190020613A (ko) 2019-03-04
TWI746862B (zh) 202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87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3300140B (zh)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US11139601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45031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CN108879146B (zh) 浮动连接器
TWI644483B (zh) 連接器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KR10141888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FI126552B (en) plug
KR200800791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갖는 조합 커넥터
KR20190140992A (ko) 전기 커넥터
US11777253B2 (en) Receptacle connector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20047369A (ja) コネクタ
US20200328540A1 (en) Connector, header, and socket
US20100163302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5444283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14673042U (zh) 插座连接器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502648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JP7245943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CN218632563U (zh) 板对板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