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65B1 -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65B1
KR102352565B1 KR1020170069493A KR20170069493A KR102352565B1 KR 102352565 B1 KR102352565 B1 KR 102352565B1 KR 1020170069493 A KR1020170069493 A KR 1020170069493A KR 20170069493 A KR20170069493 A KR 20170069493A KR 102352565 B1 KR102352565 B1 KR 10235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ice
authentication
key
vehicl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48A (ko
Inventor
예성수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5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7Voic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이 개시된다. 차랑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차량, 상기 차량에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키 및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및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KEY FOR VEHICLE, VEHICLE, SYSTEM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KEY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차량은,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나, 자전거나 또는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다.
근자에 차량은, 각종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용 키(스마트 키 또는 키 포브 등의 용어로 지칭 가능함)를 조작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개방, 트렁크 오픈, 경고음 출력 또는 차량 잠금 등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차량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차량용 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탑승자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차랑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차량, 상기 차량에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키 및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및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용 키가 장착되는 키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인증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 사이의 통신 연결에 응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으로 차량 사용 가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는, 무선으로 상기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은 도어 언락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키에 상기 제1 음성 신호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과 통신 가능한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용 키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는, 차량에 마련된 키 장착부에 장착된 것인 차량용 키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 사이의 통신 연결에 응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음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용 키가 무선으로 상기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도어 언락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 상기 차량이 상기 음성 신호를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서 상기 차량용 키의 음성 수신 동작의 수행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키, 상기 차량용 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용 키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기반으로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 및 상기 인증 장치의 인증 결과에 따라서 동작이 가능해지는 차량을 포함하되,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의된 음성 키워드를 더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차량용 키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와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신호를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가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의된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가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용 키가 장착되는 키 장착부 및 상기 키 장착부에 차량용 키가 장착되면, 상기 차량용 키로부터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및 인증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용 키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전달 받고,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용 키는,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에 마련된 키 거치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차량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성,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는,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가 전송된 이후에 상기 음성,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차량 및 상기 차량에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는 차량용 키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음성 키워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식별 결과 및 상기 음성 키워드의 확인 결과에 따라서 사용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차량용 키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의된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고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 결과 및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키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탑승자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인증의 정확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의하면, 적절한 사용자에게만 차량의 사용이 허가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공급자, 차량 대여업자나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업자 등에 의한 차량 제공 및 관리의 안정성 및 편의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용 키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차량용 키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차량용 키가 키 거치부에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인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a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과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과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이나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차량용 키, 차량 및 인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10)은,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 중 둘은 상호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경우,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소정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케이블은, 예를 들어,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RF/LF 통신, 캔(CAN) 통신, 와이 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은,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3GPP 계열, EV-DO 등의 3GPP2 계열, 와이브로(WiBro) 등의 IEEE 계열과 같은 각종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구현될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은 RF/LF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거나, 또는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유선 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 간의 통신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의 시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용 키(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량(200)에 마련된 키홀(keyhole)에 삽입하고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200)을 시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용 키(100)를 차량(200) 내부의 어딘가에 위치시킨 뒤 차량(200)에 마련된 시동 명령 입력부(예를 들어, 시동 버튼)를 가압하여 차량(200)을 시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차량(200)의 동작 모드는 액세서리(ACC) 모드, 온(on) 모드 및 시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모드에서는 차량(200) 내부에 설치된 일부의 전자 장치들, 일례로 헤드 유닛, 공조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일부의 전자 장치들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온 모드에서는 차량(200) 내부에 설치된 모든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차량(200)의 모든 동작이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된다. 시동 모드에서는 차량(200)이 시동되어 엔진이나 모터 등이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200)의 도어 잠금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차량용 키(100)는, 스마트 키나 포브(FOB) 키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2는 차량용 키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차량용 키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키(10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10)와, 음성 입력부(120)와, 입력부(130)와, 키 통신부(150)와, 저장부(160)와, 사운드 출력부(165)와,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차량용 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입력부(130)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130)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응하여, 키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및/또는 음성 입력부(120)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및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도 3의 외장 하우징(101) 내부에 장착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이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 신호는 회로 또는 도선을 통하여 프로세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2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마이크로폰은 다이내믹 마이크로폰 또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은, 전 방향성 마이크로폰, 양 방향성 마이크로폰 및 단일 방향성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입력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키(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장 하우징(101a)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적절하게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일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용 키(100)에는 복수의 음성 입력부(120)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음성 입력부(120) 각각은 외장 하우징(101a)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는 외장 하우징(101a)의 서로 상이한 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물리 버튼, 노브, 트랙볼, 트랙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감압 센서 및/또는 동작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130)는 복수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 137, 139)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 137, 139)은, 예를 들어, 도어 언락 버튼(131), 도어 잠금 버튼(132), 트렁크 오픈 버튼(133), 조명 동작 버튼(134), 음성 입력 버튼(137) 및 물리 키 토출 버튼(13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복수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 137, 139)는 외장 하우징(101)의 적어도 하나의 면(101a)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 137, 139) 중 일부(131 내지 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101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물리 버튼(131 내지 134)은, 일렬 또는 둘 이상의 열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도어 언락 버튼(131)은, 차량(10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된다. 도어 언락 버튼(131)이 조작되면, 도어 언락 버튼(131)의 조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어 회로나 도선을 통해 프로세서(11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10)는 전기적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키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도어 언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달한다. 차량(200)의 프로세서(도 4의 210)는 도어 언락에 대한 제어 신호에 응하여 차량(100)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잠금 버튼(132)은, 차량(100)의 도어 잠금을 설정하기 위해 조작된다. 도어 잠금 버튼(132)이 조작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어 프로세서(110)로 전달되고, 프로세서(110)는 전기적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키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도어 잠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도어 잠금에 대한 제어 신호에 응하여 차량(100)의 도어를 잠근다. 이에 따라, 차량(100)의 도어는 폐쇄되어 개방되지 않게 된다.
트렁크 오픈 버튼(133)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개방을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트렁크 오픈 버튼(133)이 조작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어 프로세서(110)로 전달되고, 프로세서(110) 및 키 통신부(150)의 동작에 따라 트렁크 오픈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차량(200)으로 전달된다.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트렁크 오픈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100)에 마련된 트렁크를 개방한다.
조명 동작 버튼(134)은, 차량(100)에 마련된 조명 장치의 동작 개시 및 중단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 동작 버튼(134)이 조작되면, 프로세서(110), 키 통신부(150) 및 차량(200)의 프로세서(210)의 동작에 의해 차량(100)에 마련된 조명 장치가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동작을 중단한다. 여기서, 조명 장치는, 차량 실내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의 전조등이나 후면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30)는 비상 상태의 경고를 위해 조작되는 비상 경고 버튼이나, 차량용 키(100)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조작되는 정보 제공 버튼 등도 더 포함 가능하다.
음성 입력 버튼(137)은, 음성 명령 입력 개시를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음성 입력 버튼(137)이 조작되면, 음성 입력 버튼(137)은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프로세서(11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10)는 음성 명령이 입력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음성 입력 버튼(137)에서 전송된 전기적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음성 신호의 처리를 위한 대기 모드를 수행하거나, 음성 입력부(1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음성 입력부(120)를 활성화시키거나, 및/또는 음성 입력부(120)에 대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버튼(1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입력부(120) 주변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음성 입력 버튼(137)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물리 키 토출 버튼(139)는, 차랑용 키(100)에 물리 키(미도시)가 마련되고, 물리 키가 외장 하우징(101)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설계된 경우, 외장 하우징(101) 내부에 수납된 물리 키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물리 키는 차량(200)에 설치된 키 홀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물리 키의 키 홀 삽입 및 회전에 따라서 차량(200)은 시동되거나 또는 상술한 동작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물리 키 토출 버튼(139)는 외장 하우징(101)의 외면(101a)에서 물리 키의 토출 동작에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트렁크 오픈 버튼(133), 조명 동작 버튼(134) 및 물리 키 토출 버튼(139)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키 통신부(150)는,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키 통신부(150)는 제1 통신부(151) 및 제2 통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51)는, 차량(100)의 제4 통신부(도 4의 252)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제1 통신부(151)는, 예를 들어, 도어 언락에 대한 제어 신호 및 도어 잠금에 대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4 통신부(252)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51)는, 실시예에 따라서, RF/LF 통신을 이용하여 제4 통신부(25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 및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2 통신부(153)는, 차량용 키(100)가 차량(200)에 마련된 키 장착부(도 4 내지 도 5의 230)에 장착된 경우, 제3 통신부(239)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통신부(153)를 통하여, 차량용 키(100)의 음성 입력부(12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통신부(153)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3 통신부(239)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을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1 통신부(151)가 제2 통신부(153)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통신부(153)는 생략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통신부(153)는 케이블이나 단자 간의 접촉을 통하여 제3 통신부(239)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통신부(1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일 면(101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151a, 151b)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단자(151a, 151b)는, 예를 들어, 금속 단자, 직렬 포트, 병렬 포트, SCSI 단자, DIN 단자, USB 단자, IEEE1394 단자, e-SATA 단자 또는 썬더볼트 단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단자(151a, 151b)가 금속 단자로 구현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3 통신부(239) 역시 금속 단자(239a)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용 키(100)가 키 장착부(230)에 장착되면 금속 단자는 차량(100)의 금속 단자(239a)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도통된다. 이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제2 통신부(153)로부터 제3 통신부(239)로 전달되거나, 또는 반대로 전기적 신호가 제3 통신부(239)로부터 제2 통신부(153)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단자(151a, 151b)가 USB 단자와 같은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제3 통신부(239)는 이에 대응하는 외부 단자, 일례로 USB 단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용 키(100)가 키 장착부(230)에 장착되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자는 직접 또는 소정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통신부(153) 및 제3 통신부(239) 사이의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저장부(160)는, 차량용 키(100)나 차량(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실시예에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차량(200) 또는 인증 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인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및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는 후술한다.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는, 차량(200)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 예정 정보는 차량(200)의 소유와 관련된 정보, 차량(200)의 사용 예약과 관련된 정보 및 차대 번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200)의 소유와 관련된 정보는, 차량(200)의 소유자 또는 소유할 예정인 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200)의 사용 예약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200)을 공유할 예정이거나 또는 임대한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나, 공유 기간 또는 예약 기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차량용 키(100)에 사전에 할당된 고유 번호,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의 시리얼 번호나 각종 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키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53)가 USB 단자로 구현된 경우, 차량용 키(100)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별도로 마련된 제1 단말 장치(3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단말 장치(380)로부터 USB 케이블 및 USB 단자를 경유하여 차량용 키(100)의 저장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53)와 차량(200)의 제3 통신부(239)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200)으로부터 제3 통신부(239) 및 제2 통신부(153)를 경유하여 저장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차량(200)의 도어 언락 및 도어 잠금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 일례로 RF 코드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RF 코드는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장부(16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필요에 따라서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나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운드 출력부(165)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나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 등을 음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65)는,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부(165)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전원(190)은 차량용 키(100)의 각 부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전원(190)은, 프로세서(110) 및 음성 입력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여 프로세서(110) 및 음성 입력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190)은, 축전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축전지는 다 회수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또는 교체 가능한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190)은, 유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제2 통신부(153)와 키 장착부(230)의 일 면에 마련된 제3 통신부(239)가 서로 직접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차량(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3 통신부(239) 및 제2 통신부(15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전원(19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190)은 유선으로 충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190)은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원(190)은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충전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4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차량용 키가 키 거치부에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200)는, 특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200)은,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나, 자전거나 또는 열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200)은 운전자 및 동승자 중 적어도 하나가 탑승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200)의 내부 공간(201)에는, 엔진룸과 내부 공간(201)을 구획하는 대시보드(202)와, 대시보드(2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센터페시아(203)와, 센터페시아(203)의 하단에 형성되고 운전석(209a) 및 보조석(209b) 사이에 마련되고 기어(209c)가 설치된 기어 박스(204)와, 기어 박스(204) 후단에 설치되는 트레이(205)가 형성된다.
운전석 방향(209a)의 대시보드(202)에는 운전대(207)와 계기판(291)이 설치될 수 있고, 대시보드(202)의 중앙에는 필요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29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203)에는 헤드 유닛(297)이나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각종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이나 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기어 박스(204)에는 기어(209c)나, 버튼이나 노브와 같은 입력 장치(282a)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200)의 내부 공간(201)에는 공조 장치(293)나 스피커 장치(284a) 등도 설치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2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10), 키 장착부(230) 및 무선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장부(270), 사용자 인터페이스(280) 및 주변 장치(2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차량(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10)는 제3 통신부(239)를 통해 전달된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인증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10)는, 인증 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각종 인증 과정, 일례로 제1 인증 과정 내지 제3 인증 과정(도 7의 312, 314, 316)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후술하는 제1 인증 과정 내지 제3 인증 과정(312, 314, 316) 모두를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 장치(300)는 생략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어, 저장부(27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술한 각종 신호 처리나, 또는 제1 인증 과정 내지 제3 인증 과정(312, 314, 316)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인증 장치(300) 및 프로세서(21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된 인증 과정(312, 314, 316)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200)을 사용 가능하게 설정하나 또는 차량(200)을 사용 불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시동 버튼의 가압 조작이나 차량용 키(100)가 삽입된 키홀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운전대(207)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각각의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이 실패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시동 버튼의 조작이나 키홀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운전대(207)가 잠기도록 각각의 부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상술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도어 언락 제어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한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및/또는 차량용 키(100)가 키 장착부(230)에 장착된 이후에 한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또는 전자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중앙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또는 전자 제어 유닛은, 차량(200) 내부의 일 위치, 일례로 대시보드(202)와 엔진룸 사이 공간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차량(200) 내에 설치된 주변 장치(290),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295) 내부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키 장착부(230)는, 차량용 키(100)가 장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키 장착부(23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페시아(203)나, 센터페시아(203)와 기어 박스(204) 사이 공간이나, 또는 기어 박스(204)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 장착부(230)의 설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키 장착부(230)는 형성될 수 있다.
키 장착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키(100)의 제2 통신부(153)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통신부(239)는 차량용 키(100)의 제1 통신부(151)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키 장착부(230)는 차량용 키(100)가 삽입되는 삽입 홈(2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 홈(237)은, 내벽(237a)과, 내측에 형성되고 차량용 키(100)가 안착되는 안착면(235)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237)의 폭은, 차량용 키(1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차량용 키(100)가 용이하게 삽입 및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삽입 홈(237)의 폭 키 장착부(230)에 차량용 키(100)가 장착된 경우, 차량용 키(100)의 양 측면이 내벽(237a)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내벽(237a)에는 차량용 키(1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한 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 홈(237)에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차량용 키(100)를 키 장착부(2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벽(237a) 중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홈(237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벽(237a)의 적어도 하나의 면(239b)에는 제3 통신부(239)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239a)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자(239a)는, 예를 들어, 금속 단자, 직렬 포트, 병렬 포트, SCSI 단자, DIN 단자, USB 단자, IEEE1394 단자, e-SATA 단자 또는 썬더볼트 단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단자(239a)는, 차량용 키(100)의 제2 통신부(153)에 대응하는 단자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의 단자(151a, 151b)가 금속 단자로 구현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면(239b)에 형성된 단자도 금속 단자(239a)로 구현되고, 차량용 키(100)의 단자(151a, 151b)가 USB 단자로 구현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면(239b)의 단자는 USB 단자로 구현된다.
무선 통신부(250)는, 차량(200)이 외부의 장치(100, 3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무선 통신부(250)는, 차량용 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4 통신부(252)와, 인증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5 통신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부(252)는, 차량용 키(100)의 제1 통신부(15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통신부(151)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예를 들어 RF/LF 통신을 이용하여 제1 통신부(15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4 통신부(252)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 및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5 통신부(254)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인증 장치(300)의 통신부(330)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5 통신부(254)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 및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5 통신부(25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통신부(239) 또는 제4 통신부(254)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증 장치(300)의 통신부(330)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저장부(270)는, 차량(200)의 동작이나 프로세서(210)의 각종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실시예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 카드, 솔리드 스테이드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드럼, 콤팩트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210)가 제1 인증 과정 내지 제3 인증 과정(312, 314, 316)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270)는 이에 대응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도 7의 352),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도 7의 354),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7의 356) 및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7의 358)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프로세서(210), 무선 통신부(250) 및 저장부(270)는 텔레메틱스 유닛(TMU, Telematics Unit)이나 헤드 유닛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는, 운전자나 동승자와 같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고,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는, 예를 들어, 입력부(282) 및 출력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82)는 물리 버튼이나,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각종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284)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변 장치(290)는, 차량(200)의 각종 동작과 관련하여 마련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290)는, 계기판(291)이나, 공조 장치(293)나, 내비게이션 장치(295)나, 헤드 유닛(29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장치(29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각 주변 장치(290)에 전력의 공급 유무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각 주변 장치(29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주변 장치(29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도 7은 인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인증 장치(300)는, 차량(200)으로부터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인증 장치(300)는 프로세서(310)와, 통신부(330)와,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인증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관련된 각종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 장치(300)의 각 부품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저장부(350)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술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인증 과정(312, 314, 316)을 수행하여, 차량(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인증 과정(312)을 수행하고,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인증 과정(314) 및 제3 인증 과정(316)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제2 인증 과정(314)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기반으로 제3 인증 과정(316)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인증 과정(312)이 수행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사용 예정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사용 예정 정보와 일치되는 데이터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1 인증 과정(312)에서,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와 일치되는 데이터가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1 과정(312)에서 사용 예정 정보와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양자를 모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인증 과정(312)에 따라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제2 인증 과정(314)을 수행한다. 제2 인증 과정(314)에서 프로세서(31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획득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검출되면, 프로세서(310)는 제2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제2 인증 과정(314)에서,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검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지 여부도 더 판단하여 제2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검출된 음성 특징에 대응하는 화자에 대한 정보가 사용 예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검출된 음성 특징에 대응하는 화자에 대한 정보가 사용 예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2 인증이 성공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제2 인증 과정(314)에 따른 제2 인증이 성공한 이후, 프로세서(310)는 제3 인증 과정(316)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3 인증 과정(316)에서,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를 열람하여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일례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검출되면, 제3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2 인증 과정(314)과 동일하게 제3 인증 과정(316)에서도,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출된 키워드가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지 여부도 더 판단하여 제3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화자에 대한 정보가 사용 예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이상 프로세서(310)의 동작의 일례로 제1 인증 과정(312), 제2 인증 과정(314) 및 제3 인증 과정(316)이 순서대로 수행되는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프로세서(310)의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제1 인증 과정(312), 제2 인증 과정(314) 및 제3 인증 과정(316)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1 인증 과정(312), 제2 인증 과정(314) 및 제3 인증 과정(316) 중 적어도 둘의 순서를 변경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1 인증 과정(312), 제2 인증 과정(314) 및 제3 인증 과정(316)의 수행에 선행하여,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라 컴퓨터 장치에 의해 처리가 가능하고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음성 특징을 분석하여 특징 벡터를 획득하고, 음향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언어학적 모델을 더 이용하여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예에 따라서, 동적 정합(DTW: Dynamic Time Warping) 방법,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s) 및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외부의 장치, 일례로 차량(200)이나 제1 단말 장치(38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통신부(33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외부의 장치(200, 38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이들 모두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인증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실시예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 카드, 솔리드 스테이드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드럼, 콤팩트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350)는 프로세서(310)의 인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 및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 및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장치(300)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 일례로 차량(200)이나 제1 단말 장치(380)으로부터 전달된 것일 수도 있으며, 및/또는 프로세서(310)의 처리 과정에서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는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서로 상이한 화자가 발화한 음성은, 화자 개개인의 특성, 예를 들어, 성별, 나이, 구강 구조, 언어 환경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각각의 화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는, 화자에 따라서 특유의 특징(feature)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화자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는, 이와 같이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에 대응하는 정보, 즉 특징 정보와,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화자를 포함하여 구축된다. 여기서, 특징 정보는, 예를 들어, 특징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자는 차량(200)을 사용할 예정인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는, 차량(200)을 사용할 예정인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을 사용할 예정인 사용자의 음성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은 제1 단말 장치(380)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380)로 입력되어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은 사용자의 셀룰러 폰이나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인증 장치(300) 또는 제1 단말 장치(380)로 입력되어 획득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연결되면, 사용자의 음성은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 장치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다른 단말 장치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인증 장치(300) 또는 제1 단말 장치(380)에 입력되어 획득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은 인증 장치(300) 또는 제1 단말 장치(380)로 입력 및 획득될 수 있다. 인증 장치(300) 및 제1 단말 장치(380)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는,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로 구축된다.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에 저장된 음성 키워드는, 사용자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음성 키워드는, 예를 들어, 트리거 워드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단어, 문구 또는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키워드는, 운전자 등의 사용자나 차량(100)의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는, 차량(200)을 사용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나, 차량(2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는, 차량(200)을 이용할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식별 번호, 사용 요청 기간 및/또는 차대 번호나 차량 등록 번호와 같은 차량(200)의 고유 번호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는,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차량용 키(100)에 사전에 할당된 고유 번호, 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에 저장된 각종 정보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예를 들어, 차량 제조 업자,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업자, 차량 대여 업자 및/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으며,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 중 일부만이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는 인증 장치(300)와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 및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단말 장치(380)는, 인증 장치(300)와 통신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차량용 키(100)와도 통신 가능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380)는, 차량용 키(100)를 이용한 인증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3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거나 또는 수신할 수도 있고,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에 저장된 키워드를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380)는, 입력된 정보들을 인증 장치(300)로 전송하여 인증 장치(300)의 저장부(350)가 상술한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장치(380)는, 필요에 따라, 입력된 정보, 일례로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RF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38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나 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정보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380)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차량(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1), 일례로 운전자나 동승자가 도어 언락 버튼(131)을 조작하면(401), 도어 언락 제어 신호가 차량용 키(100)로부터 차량(200)으로 전달된다(402).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도어 언락 제어 신호에 응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403).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차량(200) 내부에 마련된 키 장착부(230)에 차량용 키(100)를 장착할 수 있다(404).
키 장착부(230)에 차량용 키(100)가 장착되면,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이 형성되고,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405). 한편,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 형성(405)과 동시에 또는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 형성(405) 이전 또는 이후에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 사이의 통신도 동일하게 형성되고(406), 이에 따라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는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호 간에 통신이 형성된 이후, 차량용 키(100)로부터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200)으로 전송된다(410). 필요에 따라, 차량용 키(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나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차량(200)으로 더 전송될 수도 있다.
차량(200)은 차량용 키(100)로부터의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에 응하여, 인증 장치(300)로 수신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즉시 또는 일정 시간 이후에 전송할 수 있다(411).
인증 장치(300)는,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응하여 제1 인증 과정(312)을 수행한다(412).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인증 장치(300)는 사용 예정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장치(300)는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장치(300)는 차량(200)으로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를 전송한다(413). 제1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 장치(300)는 제1 인증 실패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200)은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 있다(414).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일 수도 있다.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하여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1)에게 전달한다(420).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용 키(100)에 표시 장치가 마련된 경우에는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는 시각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1)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가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는 출력부(284), 일례로 스피커 장치(284a)나 내비게이션 장치(295) 등에 마련된 표시 장치(295a)에 의해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는 차량용 키(100)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제1 인증이 실패한 경우라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 또는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는 인증 실패에 대한 메시지, 즉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의 출력(420)에 응하여 사용자(1)는 단어나 문장을 음성으로 발화할 수 있다(421).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사용자의 성명을 발화하거나, 미리 정의된 단어나 문장을 발화하거나, 또는 임의적인 단어나 문장을 발화할 수 있다.
사용자(1)에 의해 발화된 음성은 차량용 키(100)의 음성 입력부(120)에 의해 수신되고, 음성 입력부(120)는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음성 신호는 차량(200)으로 전달된다(422). 만약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1)가 음성을 발화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키(100)를 이용한 인증 과정은 중단 및 취소될 수 있다.
차량(200)은, 음성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수신한 음성 신호를 가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가공 없이 인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장치(300)는, 음성 신호의 전달에 응하여, 제2 인증 과정(314)을 수행한다(424).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증 장치(300)는, 먼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에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면, 인증 장치(300)는 제2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하고, 제2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425). 반대로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 장치(300)는 제2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단하고, 제2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증 장치(300)는,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검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도 더 판단하여 제2 인증 과정(314)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200)은, 제2 인증 성공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제2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 있다(426).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제2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하여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430).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가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는 차량용 키(100)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인증 장치(300)가 제2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단한 경우라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 또는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는 인증 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의 출력(430)에 응하여 사용자(1)는 소정의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고(431), 음성 키워드는 차량용 키(100)의 음성 입력부(120)에 의해 수신된다. 차량용 키(100)는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달하고(432), 차량(200)은,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가공하거나 또는 가공하지 않고 인증 장치(300)로 전송한다(433).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1)가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지 않았다면, 차량용 키(100)를 이용한 인증 과정은 중단 및 취소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인증 장치(300)는,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전달에 응하여, 제3 인증 과정(316)을 수행할 수 있다(434).
제3 인증 과정(316)이 개시되면, 인증 장치(300)는,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를 열람하고, 수신한 음성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한 음성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출되면, 인증 장치(300)는 제3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3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는 차량(200)으로 전송된다(435). 반대로 수신한 음성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 장치(300)는 제3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제3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 역시 차량(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증 장치(300)는,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도 더 판단하여 제3 인증 과정(316)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200)은 이에 응하여 사용 가능하게 설정된다(436). 다시 말해서, 제3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 수신에 응하여,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각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각 부품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200)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는 차량(2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3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200)은 이에 응하여 사용 불가능하게 설정된다. 제3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각 부품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운전대(207)를 잠그거나, 각종 버튼이나 노브 등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시동 버튼의 조작이나 차량용 키(100)가 삽입된 키홀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차량(200)의 사용 가능 설정(436) 이전이나 이후에 또는 차량(200)의 사용 가능 설정(436)과 동시에, 차량(200)은 제3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437). 제3 인증 성공에 대응되는 신호는,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 출력에 대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제3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하여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438).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200)의 사용이 가능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차량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됨에 따라서 차량(200) 사용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200)에 의한 제3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수신에 응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가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b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과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차량(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1)가 도어 언락 버튼(131)을 조작하면(501), 이에 응하여 도어 언락 제어 신호가 차량용 키(100)로부터 차량(200)으로 전달된다(502).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도어 언락 제어 신호에 응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403), 차량의 도어는 개방 가능하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200) 내부에 마련된 키 장착부(230)에 차량용 키(100)를 장착할 수 있다(504).
키 장착부(230)에 차량용 키(100)가 장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 사이의 통신이 형성된다(505).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의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도록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 사이의 통신도 형성된다(506).
이어서, 차량용 키(100)로부터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510). 이 경우, 차량용 키(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나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차량(200)으로 더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200)은 차량용 키(100)로부터의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511).
인증 장치(300)는,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512). 예를 들어, 인증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56) 및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35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장치(300)는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송하고(513), 반대로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 실패와 관련된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차량(200)은 인증 성공 또는 실패와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 있다(514).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200)은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를 이용하여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200)은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인증 성공과 관련된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520).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만약 인증이 실패한 경우라면, 차량용 키(100)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165) 또는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는 인증 실패에 대한 메시지, 즉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의 출력(520)에 응하여 사용자(1)는 소정의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고(522), 사용자(1)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는 차량용 키(100)의 음성 입력부(1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1)가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지 않는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차량용 키(100)를 이용한 인증 과정은 중단 및 취소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키(100)는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달하고(522), 차량(200)은, 순차적으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가공하거나 또는 가공하지 않고 인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523).
인증 장치(300)는,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전달에 응하여, 또 다른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524).
인증 장치(300)는, 예를 들어, 두 가지 인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장치(300)는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 장치(30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장치(300)는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 장치(300)는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를 열람하고, 수신한 음성 키워드를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54)에 저장된 음성 키워드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 키워드의 적절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키워드의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 인증 동작(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 과정과 음성 키워드 인증 과정)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인증 장치(300)는, 상술한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 과정과 음성 키워드 인증 과정을 모두 수행할 결과, 양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추가적인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증 장치(300)는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이 성공하고, 동시에 음성 키워드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추가적인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차량(200)으로 전송된다(535). 또한, 반대로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가 차량(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200)은 추가적인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사용 가능하게 설정된다(536). 다시 말해, 추가적인 인증 성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200)의 프로세서(210)는 각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각 부품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20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차량(200)이 추가적인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사용 불가능하게 설정된다. 필요에 따라,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어, 운전대(207)를 잠그거나, 각종 버튼이나 노브 등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시동 버튼의 조작이나 차량용 키(100)가 삽입된 키홀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차량(200)의 사용 가능 설정(536)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차량(200)은 추가적인 인증 성공과 관련된 정보를 차량용 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537).
차량(200)으로부터 추가적인 인증 성공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용 키(100)는 이에 응하여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538).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200)의 사용이 가능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의 출력은, 이와 동시에 또는 이에 대체하여 차량(200)에 마련된 출력부(284)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차량용 키, 차량 및 인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20)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와, 제2 단말 장치(3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390)는, 차량용 키(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390)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나, 이동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용 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 파이(Wi-Fi)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 가능하다. 제2 단말 장치(390)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용 키(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390)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게임기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말 장치(390)는, 상술한 차량(200)을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10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단말 장치(39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증 장치(300)로 전송하여 인증 장치(300)가 상술한 복수의 인증 과정(312, 314, 316)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단말 장치(390)는 차량용 키(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200)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100)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복수의 인증 과정(312, 314, 316)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390)의 프로세서는, 제2 단말 장치(390)에 저장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으로 지칭 가능함)을 구동시켜 상술한 인증 과정(312, 314, 316)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제2 단말 장치(390)에 제공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키(100)는 차량(2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차량(200)의 키 장착부(230)에 장착될 필요도 없다. 또한, 차량(200)는 인증 장치(300)로 별도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200)은, 제2 단말 장치(390)에 의해 수행된 인증 결과에 따라서, 또는 제2 단말 장치(390)를 경유하여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 장치에 의해 수행된 인증 결과에 따라서 동작 가능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외 차량용 키(100)와, 차량(200)과, 인증 장치(300)와, 제1 단말 장치(380)에 대해선 이미 기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기 위하여 먼저 차량용 키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600). 예를 들어, 차량용 키에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이의 관리를 받는 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은, 차량용 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 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도 인증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600). 차량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다.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은, 차량 또는 인증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 또는 인증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자, 즉 사용자는 차량 주변에서 차량용 키를 조작하고 차량용 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으로 전송한다(6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용 키에 마련된 도어 언락 버튼을 조작하고, 도어 언락 버튼은 조작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용 키의 프로세서는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응하여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키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통신부로 전송한다.
차량이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611).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프로세서는 차량의 통신부로부터 도어 언락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대응하여 도어 잠금 해제와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도어 등에 마련된 도어 잠금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도어 잠금이 해제되고, 차량용 키는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612). 차량용 키가 차량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인증 과정(620 내지 641, 651)은 차량용 키 및 차량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차량용 키, 차량 및 인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용 키가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실시예에 에서는, 후술하는 인증 과정(620 내지 641, 651)은 차량용 키 및 제2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차량용 키,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차량용 키를 차량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 박스 등에 마련된 키 장착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키와 차량은 직접,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가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차량용 키에 마련된 금속 단자와 키 장착부의 금속 단자가 접촉하여 차량용 키와 차량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용 키가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차량용 키에 마련된 단자(일례로 USB 단자)와 키 장착부에 마련된 단자(일례로 USB 단자)는 케이블(일례로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키와 차량은 상호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블을 이용한 연결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실시예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차량용 키가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차량용 키에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일례로 엔에프씨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과, 키 장착부에 마련되고 차량용 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키와 차량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2 단말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시킴으로써 차량용 키와 제2 단말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차량용 키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면,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차량 및 제2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인증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거나, 차량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2 단말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은 복수의 인증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먼저 차량용 키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면, 차량용 키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만약 인증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는, 차량용 키로부터 정보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용 키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인증 장치로 전송한다.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용 키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1 인증을 수행한다(620).
예를 들어,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고, 및/또는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하면(621의 예),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이 실패하면(621의 아니오),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증이 실패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651).
사용자는 음성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하고, 음성을 발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성명이나 또는 기타 다양한 단어나 문장을 발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하면,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수신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할 수 있다(630).
예를 들어,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고유의 특징에 대한 정보(일례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에 대한 정보를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되면, 제2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가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제2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만약 제2 인증이 성공되면(631의 예),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이 실패하면(631의 아니오),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651).
사용자는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에 응하여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고,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수신부는 사용자의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고,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키워드를 수신 및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3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640).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음성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되면,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음성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제3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만약 제3 인증이 성공하면(641의 예), 차량은 사용 가능하게 설정된다(650). 다시 말해서, 제3 인증이 성공한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시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 일례로 내비게이션 장치나, 라디오 수신 장치나, 공조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3 인증이 실패하면(641의 아니오),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651).
도 11은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을 위해 먼저 차량용 키의 인증 과정에서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차량용 키, 차량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700). 예를 들어, 차량용 키, 차량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 음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이의 관리를 받는 자에 의해, 차량용 키, 차량 또는 인증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용 키, 차량 또는 인증 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원격지에서 상호 통신 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차량 주변에서 차량용 키, 일례로 언락 버튼을 조작하면, 차량용 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710).
차량이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711).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통신부가 차량용 키로부터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프로세서는 이에 응하여 도어 등에 마련된 도어 잠금 장치로 잠금 해제와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어 잠금이 해제되면, 차량용 키는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712).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차량용 키를 차량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 박스 등에 마련된 키 장착부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용 키와 차량은 직접,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2 단말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시킴으로써 차량용 키와 제2 단말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차량용 키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면,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차량 및 제2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인증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거나, 차량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2 단말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차량용 키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면, 차량용 키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만약 인증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는, 차량용 키로부터 정보의 수신에 응하여, 차량용 키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인증 장치로 전송한다.
차량용 키가 차량 또는 제2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후,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용 키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한다(720).
구체적으로는,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거나, 및/또는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차량용 키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721).
인증이 성공하면(721의 예),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이 실패하면(721의 아니오),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증이 실패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722).
사용자는 음성 키워드 발화 요청 메시지에 응하여 소정의 음성 키워드를 발화하고,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수신부는 사용자의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고,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키워드를 수신한 후 수신한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730).
이 경우,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 과정과 음성 키워드의 확인 과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고유의 특징에 대한 정보(일례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에 대한 정보를 음성 특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특징에 대한 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 제2 단말 장치 및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음성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음성 키워드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키워드만을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식별 및 인증(도 10의 630)과 음성 키워드의 확인(도 10의 640)이 모두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음성 키워드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면(731의 예), 차량은 사용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740). 다시 말해서,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 차량 시동이 가능해지거나, 및/또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 일례로 내비게이션 장치나, 라디오 수신 장치나, 공조 장치 등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필요에 따라,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사용 가능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반대로 인증이 실패하면(731의 아니오), 차량용 키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인증 실패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722).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차량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차량 충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해당한다.
100: 차량용 키 110: 프로세서
130: 입력부 137: 음성 입력 버튼
150: 키 통신부 151: 제1 통신부
153: 제2 통신부 160: 저장부
165: 사운드 출력부 200: 차량
210: 프로세서 230: 키 장착부
239: 제3 통신부 250: 무선 통신부
252: 제4 통신부 254: 제5 통신부
270: 저장부 280: 사용자 인터페이스
290: 주변 장치 300: 인증 장치
310: 프로세서 330: 통신부
350: 저장부 380: 제1 단말 장치
390: 제2 단말 장치

Claims (27)

  1. 차량;
    상기 차량에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키; 및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및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되,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도어 언락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되, 상기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용 키가 장착되는 키 장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인증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 사이의 통신 연결에 응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으로 차량 사용 가능 명령을 전송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키에 제1 음성 신호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11. 차량과 통신 가능한 차량용 키를 이용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가 무선으로 상기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도어 언락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 상기 차량이 상기 음성 신호를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차량에 마련된 키 장착부에 장착된 것인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키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용 키 사이의 통신 연결에 응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음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키워드가 사전 정의 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서 상기 차량용 키의 음성 수신 동작의 수행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19.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키;
    상기 차량용 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용 키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기반으로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 및
    상기 인증 장치의 인증 결과에 따라서 동작이 가능해지는 차량;을 포함하되,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의된 음성 키워드를 더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21. 차량용 키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와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신호를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가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과 사전에 저장된 음성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식별 및 인증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의된 음성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가 상기 음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에 마련된 키 거치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차량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성,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도어 언락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되, 상기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 상기 음성을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용 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차량에 도어 언락 제어 신호가 전송된 이후에 상기 음성, 차량에 대한 사용 예정 정보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차량용 키.
  26. 삭제
  27. 삭제
KR1020170069493A 2017-06-05 2017-06-05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10235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93A KR102352565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93A KR102352565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48A KR20180133048A (ko) 2018-12-13
KR102352565B1 true KR102352565B1 (ko) 2022-01-19

Family

ID=6467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93A KR102352565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194B (zh) * 2019-04-28 2021-09-07 大众问问(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共享汽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1550A1 (en) * 2002-06-13 2003-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KR101520573B1 (ko) * 2014-01-27 2015-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키,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167B1 (ko) * 2011-06-13 2018-07-23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428884B1 (ko) * 2012-12-18 2014-08-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1550A1 (en) * 2002-06-13 2003-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KR101520573B1 (ko) * 2014-01-27 2015-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키,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48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7861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走行モード設定装置
CN107042811B (zh) 车辆安全和认证系统
CN107872508B (zh) 用于车辆共享系统的关系管理
US20180201226A1 (en) Voice Biometric Pre-Purchase Enrollment for Autonomous Vehicles
US93818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 vehicle activation
CN105264538B (zh) 用于识别系统的认证
US10131321B1 (en) System for keyless valet parking
JP2000080828A (ja) 車両制御装置
CN104786991A (zh) 基于指纹识别的汽车控制方法和系统
WO2016006385A1 (ja)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システム
CN102582576A (zh) 基于声音识别技术的车辆防盗和人身安全保护系统
CN106164398A (zh) 移动设备、车辆远程操作系统、车辆远程操作方法以及程序
US9775100B1 (en) Passenger zone detection with signal strength data aided by physical signal barriers
JP2019026243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51100B1 (en) Securing a vehicle on authorized user change
CN106184121A (zh) 无钥匙切换控制
KR20140079186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차량 보안 강화 및 편의 장치 제어시스템
KR102352565B1 (ko) 차량용 키, 차량, 차량용 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JP2020113065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CN105227555B (zh) 设备启动方法和系统
CN105101565A (zh) 车氛围灯开启方法
CN205451234U (zh) 一种基于声纹识别的车后备箱进入系统
KR20130113160A (ko) 자동차 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301565A1 (en) Vehicle Sound Signal and Method
JP7310594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