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326B1 - 회전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326B1
KR102352326B1 KR1020190073336A KR20190073336A KR102352326B1 KR 102352326 B1 KR102352326 B1 KR 102352326B1 KR 1020190073336 A KR1020190073336 A KR 1020190073336A KR 20190073336 A KR20190073336 A KR 20190073336A KR 102352326 B1 KR102352326 B1 KR 10235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hes
storage space
rotary washing
pla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000A (ko
Inventor
김성현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프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프라임
Priority to KR102019007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3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3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위에 얹혀진 식기들을 회전시켜 분리하고 세척하도록 한 회전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회전세척부(300)는 서로 마주보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 사이에 양 측면이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함께 상기 식기 및 식판을 수납하도록 수평판(303), 수직판(304), 경사판(305)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기 및 식판을 뒤집고 식기와 식판을 따로 분리하며;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회전축에는 일정 기준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면 회전축이 아이들링하도록 한 토크리미트 스위치(참조부호 없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크리미트스위치가 기준치 이상의 토크를 감지하면 아이들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리와 빛으로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장치(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세척시스템{Rotary washing system}
본 발명은 회적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판위에 얹혀진 식기들을 회전시켜 분리하고 세척하도록 한 회전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는 대용량 자동 식기세척기는 호텔, 병원, 학교, 희사와 같이 주로 단체급식하는 대형식당에 설치된다.
대용량 자동 식기세척기는 많은 인원이 식사를 한 후, 퇴식투입부로부터 발생하여 퇴식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된 다수의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고, 각각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식기들과 식판에 세척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과정과 세척 완료된 식기들과 식판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식기과 식판을 분리하고 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606호(2015.04.13.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식기(국그릇, 밥그릇, 찬그릇)들이 상부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경사를 두고 식판을 기울여, 식기들을 자유낙하되도록 중력올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식기들이 낙하과정에서 식기들과 컨베이어 및 식기와 식기 간 충돌에 의해 식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79624호에 개시된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에 따르면, 적층 수거된 다수의 식판을 하나씩 투하하도록 구성되는 식판투입부, 상기 식판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식판을 전달받아 애벌세척하는 애벌세척부, 상기 애벌세척부로부터 전달받은 식판에 세제를 제거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헹굼부, 상기 헹굼부로부터 전달받은 식판에 린스를 투입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린스투입기를 구비하는 린스부; 상기 린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식판을 별도의 식기적재함에 전달하도록 구성도는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식판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식판을 애벌세척부, 헹굼부, 린스부 및 배출부까지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식판투입장치가 이중으로 소모되지 않아 시설 및 유지 비용이 절감되며, 전체적으로 세척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절약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어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54510호에 개시된 '탈착이 용이한 식판 분리 공급장치'에 따르면, 각종 식기세척장치의 선단에 부착되는 탈착이 용이한 식판 분리 공급장치에 있어서, 한 쌍이 대칭형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식기세척장치에 일단면이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식판공급부를 포함하여 단체 급식소 등에서 사용된 식판을 적층 수거한 후 각종 식기세척기로의 투입이 원활히 진행되며, 또한 다양한 목적 및 구조를 갖는 각종 식기세척기의 선단에 식판 분리 공급장치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범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67962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554510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51160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면서 애벌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식기와 식판의 분리 및 세척에 따른 인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키면서도, 종래기술 보다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회전세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기와 식판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00)와, 하나의 식판위에 얹힌 복수개의 식기를 전동회전력으로 회전하여 식판은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식기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는 회전세척부(300)와, 상부에 위치한 식판과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식기를 따로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세척부(300)에는 식기 및 식판을 수납하도록 수평판(303), 수직판(304), 경사판(305)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200)로부터 이송된 식기 및 식판을 상기 수평판(303) 위에 얹혀진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기 및 식판을 뒤집고, 뒤집어진 식기와 식판을 각각 다른 층으로 이송하여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형판(308)(309)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함께 상기 수납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회전축에는 일정 기준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면 회전축이 아이들링하도록 한 토크리미트 스위치(참조부호 없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크리미트스위치가 기준치 이상의 토크를 감지하면 아이들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리와 빛으로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장치(301)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 전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식기 및 식판을 상기 수납공간으로 전동회전력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0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 후단에 배치되어 수납된 식기들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각으로 인해 중력에 의해서 배출부(400)로 이동할 때 식기들을 아래에서 받쳐주기 위한 가이드판(401)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벽에 고정되고, 수납된 식판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식판의 이송을 위해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링롤러(30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진 각도(A)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인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판(303) 및 경사판(305)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애벌세척을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회전축(312)과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의 중심인 종동회전축(313)과 상기 종동회전축(313)으로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310)과, 상기 종동회전축(313)에 고정된 금속재질의 금속바(314)와, 상기 금속바(314) 상단에 별도의 브라켓으로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센서(315)와, 상기 감속센서(315)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센서(31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400)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판을 이송하기 위한 식판이송롤러(402),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기들을 이송하기 위한 식기이송롤러(403)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식판이송롤러(402)와 상기 식기이송롤러(403)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세척을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식판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식판의 미는 힘에 의해서 회동되면서 감지하는 식판카운팅센서(317)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식기와 식판을 분리함과 동시에 애벌세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과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전에 식기 및 식판의 세척 소요시간을 예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세척갯수를 파악할 수 있고, 회전속도를 높임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식기와 식판을 세척하기 위한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불특정 고장상황에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설계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주요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수납공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식판카운팅센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주요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세척부(300)의 회전축에는 일정 기준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면 회전축이 아이들링하도록 한 토크리미트 스위치(참조부호 없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기준치 이상의 토크는 고장상태가 이고, 고장상태는 빨리 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토크리미트스위치가 기준치 이상의 토크를 감지하면 아이들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리와 빛으로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장치(30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회전세척부를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식기와 식판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00)와, 하나의 식판위에 얹힌 복수개의 식기를 전동회전력으로 회전하여 식판은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식기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는 회전세척부(300)와, 상부에 위치한 식판과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식기를 따로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세척부(300) 서로 마주보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 사이에 양 측면이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함께 상기 식기 및 식판을 수납하도록 수평판(303), 수직판(304), 경사판(305)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 내벽에 고정되고, 수납된 식판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식판의 이송을 위해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링롤러(30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303) 및 경사판(305)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애벌세척을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수납공간 전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식기 및 식판을 상기 수납공간으로 전동회전력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02)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기 및 식판을 뒤집고 식기와 식판을 따로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식기 또는 식판에 부착된 잔반은 하부에 배치된 잔반통(311)로 떨어져서 수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수납공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진 각도(A)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 범위에서 별도의 동력없이 식기를 이송하기에 용이하고 식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는데, 최적의 각도는 약 30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회전세척부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로서, 상기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회전축(312)과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의 중심인 종동회전축(313)과 상기 종동회전축(313)으로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310)이 구비된다.
상기 종동회전축(313)에 고정된 금속재질의 금속바(314)와, 상기 금속바(314) 상단에 별도의 브라켓으로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센서(315)와, 상기 감속센서(315)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센서(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속센서(315)와 상기 정지센서(316)는 금속을 감지하여 접근 여부를 검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로서, 상기 수납공간 후단에 배치되어 수납된 식기들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각으로 인해 중력에 의해서 배출부(400)로 이동할 때 식기들을 아래에서 받쳐주기 위한 가이드판(401)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판을 이송하기 위한 식판이송롤러(402),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기들을 이송하기 위한 식기이송롤러(40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식판이송롤러(402)와 상기 식기이송롤러(403)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세척을 위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예시를 위한 도면으로, 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세척시스템의 식판카운팅센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식판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센서가 구비되는데, 식판의 미는 힘에 의해서 회동축(318)이 회동되면서 감지하는 식판카운팅센서(317)를 포함한다.
100; 퇴식컨베이어 200; 투입부
300; 회전세척부 400; 배출부
500; 제 1 이송컨베이어 600; 2차 애벌세척부
700; 제 2 이송컨베이어 800; 세정부
900; 건조제어부 1000; 식판이동장치
302; 가이드롤러 303; 수평판
304; 수직판 305; 경사판
306; 아이들링롤러 307; 회전축
308, 309; 원형판

Claims (10)

  1. 식기와 식판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00)와, 하나의 식판위에 얹힌 복수개의 식기를 전동회전력으로 회전하여 식판은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식기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는 회전세척부(300)와, 상부에 위치한 식판과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식기를 따로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척부(300)에는 식기 및 식판을 수납하도록 수평판(303), 수직판(304), 경사판(305)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200)로부터 이송된 식기 및 식판을 상기 수평판(303) 위에 얹혀진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기 및 식판을 뒤집고, 뒤집어진 식기와 식판을 각각 다른 층으로 이송하여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되,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회전축에는 일정 기준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면 회전축이 아이들링하도록 한 토크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크리미트 스위치가 기준치 이상의 토크를 감지하면 아이들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리와 빛으로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장치(301)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전동회전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형판(308)(309)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과 함께 상기 수납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수납공간 전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식기 및 식판을 상기 수납공간으로 전동회전력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회전축(312)과 상기 한 쌍의 원형판(308)(309)의 중심인 종동회전축(313)과 상기 종동회전축(313)으로 전동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310)과, 상기 종동회전축(313)에 고정된 금속재질의 금속바(314)와, 상기 금속바(314) 상단에 별도의 브라켓으로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센서(315)와, 상기 감속센서(315)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금속바(314)가 근접하면 상기 구동회전축(312)의 회전속도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센서(316)를 더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후단에 배치되어 수납된 식기들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각으로 인해 중력에 의해서 배출부(400)로 이동할 때 식기들을 아래에서 받쳐주기 위한 가이드판(401)을 더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내벽에 고정되고, 수납된 식판이 회전으로 뒤집어진 후 상기 식판의 이송을 위해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링롤러(306)를 더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305)의 경사진 각도(A)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세척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303) 및 경사판(305)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애벌세척을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세척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0)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판을 이송하기 위한 식판이송롤러(402),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식기들을 이송하기 위한 식기이송롤러(403)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판이송롤러(402)와 상기 식기이송롤러(403)에는 분사노즐에 의한 세척을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세척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척부(30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식판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식판의 미는 힘에 의해서 회동되면서 감지하는 식판카운팅센서(317)를 더 포함하는 회전세척시스템.

KR1020190073336A 2019-06-20 2019-06-20 회전세척시스템 Active KR10235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36A KR10235232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36A KR10235232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세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00A KR20200145000A (ko) 2020-12-30
KR102352326B1 true KR102352326B1 (ko) 2022-01-18

Family

ID=7408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36A Active KR10235232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3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75910U (zh) * 2010-05-07 2010-12-22 俞明 一种用于餐具清洗设备的翻盘机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90B2 (ja) * 1990-05-22 1995-04-10 山陽オーバルメンテナンス株式会社 トルクリミッタ
KR101511606B1 (ko) 2014-07-01 2015-04-13 명형진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KR101679624B1 (ko) 2014-10-28 2016-11-25 주식회사프라임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KR101554510B1 (ko) 2014-10-28 2015-09-21 주식회사프라임 탈착이 용이한 식판 분리 공급장치
KR20190017637A (ko) * 2018-04-16 2019-02-20 주식회사프라임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KR102083389B1 (ko) * 2018-12-03 2020-03-02 김성현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75910U (zh) * 2010-05-07 2010-12-22 俞明 一种用于餐具清洗设备的翻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00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8123B (zh) 餐具餐盘翻转装置及利用该装置的洗碗系统
KR101511606B1 (ko)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KR101679624B1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EP2648594B1 (en) Loading apparatus for a conveyor dishwasher
EP2648595B1 (en) Conveyor dishwasher
KR200463654Y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이송 컨베이어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CN109157175A (zh) 餐具自动清洗回收系统
KR102352326B1 (ko) 회전세척시스템
KR102286532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101556518B1 (ko) 복합 식판세척기
KR101688389B1 (ko)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102030524B1 (ko)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CN113692323A (zh) 用于卸载尤其布置在托盘或托盘状物体上的多件清洗器具的卸载组件
CN212892770U (zh) 一种拆垛机构及具有该拆垛机构的自动清洗机
CN210902881U (zh) 餐具自动化清洗装置
CN113854920A (zh) 全自动餐碗、餐杯正反倒正机
JP7528138B2 (ja) 洗浄システム
CN213963271U (zh) 防堆积装置及带有其的传输装置、洗碗装置和置物台
AU2021203146B2 (en) System for loading at least one conveyor dishwasher with items of washware, arrang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conveyor dishwasher and one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t least one conveyor dishwasher with items of washware
CN206447121U (zh) 传送带
CN221383466U (zh) 一种餐具清洗系统
JP6282422B2 (ja) 食器篭の取り扱い方法
KR102138810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102235634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