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269B1 - 빔 리프터 - Google Patents
빔 리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2269B1 KR102352269B1 KR1020190162710A KR20190162710A KR102352269B1 KR 102352269 B1 KR102352269 B1 KR 102352269B1 KR 1020190162710 A KR1020190162710 A KR 1020190162710A KR 20190162710 A KR20190162710 A KR 20190162710A KR 102352269 B1 KR102352269 B1 KR 102352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er
- plate
- grip
- moving frame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빔 리프터를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빔 리프터에서 하부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하부 리프터를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하부 리프터에서 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부 리프터를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하부 리프트에서 고정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6의 하부 리프트에서 고정 프레임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12는 도 6의 하부 리프트에서 고정 프레임을 도시한 하면도,
도 13은 도 6의 하부 리프트에서 이동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도 6의 하부 리프트에서 이동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220: 상부 리프터 보디 300: 하부 리프터
336: 핸들 310: 고정 프레임
312a: 상판 314a: 기저판
314aa: 이동 그립 가이드 슬롯 314ab: 레버 가이드 슬롯
314ac: 제1 핀 홀 314b: 좌측판
314c: 우측판 316: 고정 그립
320: 이동 프레임 322a: 수평판
322ab: 제2 핀 홀 322ac: 제3 핀 홀
322b: 수직판 322ba: 이동 프레임 가이드 슬롯
324: 이동 그립 330: 레버
334: 레버리지 바 400: 연결부재
500: 핀 610: 볼트
620: 너트 630: 와셔
710: 제1 파이프 720: 제2 파이프
Claims (15)
-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상부 리프터; 및
빔을 파지하고 상기 상부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하부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리프터는 상기 빔을 복수 개 파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리프터는,
상기 상부 리프터와 연결되고 상기 빔의 일측을 파지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대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빔의 타측을 파지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빔의 일측을 파지하는 복수의 고정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빔의 타측을 파지하는 복수의 이동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리프터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왕복 운동 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을 관통하는 레버리지 바(bar); 및
상기 레버리지 바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그립은 상기 고정 그립과 같은 개수로 형성되는 빔 리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과 상기 이동 그립은 각각 홀수로 형성되는 빔 리프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리지 바와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핸들까지의 거리가 상기 레버리지 바와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회전축까지의 거리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빔 리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 그립과 상기 이동 그립 사이 간격이 증가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 그립과 상기 이동 그립 사이 간격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리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핀이 삽입 가능한 제1 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레버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핀 홀과 연통되고 상기 핀이 삽입 가능한 제2 핀 홀 및 상기 레버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핀 홀과 연통되고 상기 핀이 삽입 가능한 제3 핀 홀을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레버리지 바가 삽입되는 레버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고정 그립을 갖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의 일 측부로부터 상기 고정 그립의 반대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좌측판; 및
상기 기저판의 타 측부로부터 상기 고정 그립의 반대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에 대향되는 우측판;을 더 포함하고,
볼트의 다리부가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을 관통한 후 너트 및 와셔와 체결되는 빔 리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기저판에 안착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에 대향되는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다리부가 관통하는 이동 프레임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과 상기 수직판 사이에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가 관통하는 제1 파이프가 개재되고,
상기 우측판과 상기 수직판 사이에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가 관통하는 제2 파이프가 개재되는 빔 리프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일단부가 상기 좌측판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판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일단부가 상기 우측판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판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거리인 제1 파이프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거리인 제2 파이프의 축 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빔 리프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타단부는 외경이 상기 이동 프레임 가이드 슬롯의 내경보다 큰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부는 외경이 상기 이동 프레임 가이드 슬롯의 내경보다 큰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판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기저판에 대향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는 빔 리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프터와 상기 하부 리프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리프터는,
상기 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 리프터 보디; 및
상기 상부 리프터 보디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디 리브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디 리브는 상기 상부 리프터 보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 가능한 연결부재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보디 리브 중 하나의 연결부재 체결홀에 체결되는 빔 리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710A KR102352269B1 (ko) | 2019-12-09 | 2019-12-09 | 빔 리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710A KR102352269B1 (ko) | 2019-12-09 | 2019-12-09 | 빔 리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2853A KR20210072853A (ko) | 2021-06-18 |
KR102352269B1 true KR102352269B1 (ko) | 2022-01-17 |
Family
ID=7662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710A Active KR102352269B1 (ko) | 2019-12-09 | 2019-12-09 | 빔 리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22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7104B1 (ko) * | 2021-07-07 | 2024-03-13 | 태륭건설(주) | 대형 아스팔트 매트의 인양용 조금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24846A (ja) * | 2015-07-21 | 2017-02-02 | 株式会社キトー | 吊り具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1273A (ja) * | 1993-01-21 | 1994-09-27 | Daiwa Koeki Kk | 長尺材の吊上げ用治具 |
KR20140003936U (ko) | 2012-12-18 | 2014-06-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H빔 운반용 지그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710A patent/KR10235226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24846A (ja) * | 2015-07-21 | 2017-02-02 | 株式会社キトー | 吊り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2853A (ko) | 2021-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9669B1 (ko) | 슬래브,패널또는시트재료를위한리프팅장치 | |
KR20070116222A (ko) | 건설장치용 클램프 | |
KR102352269B1 (ko) | 빔 리프터 | |
JP6528794B2 (ja) | ドライブチェーンのリンク組付装置及びリンク組付方法 | |
US6343444B1 (en) | Plumbing device for plumbing and connection of a long member | |
KR101986095B1 (ko) | 벽돌운반장치 | |
CN113685035A (zh) | 一种用于建筑工地调整钢筋位置的提吊装置 | |
KR102334703B1 (ko) |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 |
US7237815B2 (en) | Lifting apparatus | |
KR102260492B1 (ko) | 지게차용 클램프장치 | |
KR102074218B1 (ko) |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 |
KR102336494B1 (ko) |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 |
JP6489047B2 (ja) | 物品搬送装置 | |
KR102208574B1 (ko) | 자재 가공 시스템 | |
JP7100899B2 (ja) | セントルにおける天フォームの移動装置 | |
US824614A (en) | Lifting-jack. | |
KR20110033639A (ko) |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 |
JP7567880B2 (ja) | 長尺物の移動方法 | |
CN221251203U (zh) | 转辙机搬移装置 | |
KR101767315B1 (ko) | 후크 고정 스토퍼 및 트윈 타입 후크 스팬 조정장치와 방법 | |
KR102632691B1 (ko) | 겐트리크레인의 축결합용 보강부재 용접 지그 | |
FR2888599A1 (fr) | Pose-plaques | |
KR102560294B1 (ko) | 로프 결박이 가능한 구조 개선된 건설 자재 리프트 장치 | |
KR101202661B1 (ko) | 블록 축조방법 | |
KR102568188B1 (ko) | 호이스트 주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