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36B1 -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 Google Patents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36B1
KR102340736B1 KR1020200060574A KR20200060574A KR102340736B1 KR 102340736 B1 KR102340736 B1 KR 102340736B1 KR 1020200060574 A KR1020200060574 A KR 1020200060574A KR 20200060574 A KR20200060574 A KR 20200060574A KR 102340736 B1 KR102340736 B1 KR 10234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joint
wire
control modu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3588A (en
Inventor
김효곤
박지현
박성호
최영호
최재연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36B1/en
Publication of KR2021014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고관절까지 양측으로 구부러진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슬관절까지 연장 구비된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종아리 측면을 거쳐 종아리 후면으로 연장 구비된 제 3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후면 양측에 구비된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상기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1 구름 관절부; 상기 제 2 지지대와 제 3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름 관절부; 및 상기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구름 관절부와 상기 제 2 구름 관절부를 거쳐 상기 제 3 지지대의 하단 고정단에 고정 장착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ounted on a user's waist and bent to both sides up to a hip joint; a secon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extended to the knee joint; a thir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calf through the side of the calf; a first control module and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 second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nd a wire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 through the first rolling joint and the second rolling joint from each of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Description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본 발명은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용 해제가 가능한 직렬 탄성 구동기와 텐던 드리븐 메커니즘을 이용한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using a series elastic actuator that can be applied and released and a tendon driven mechanism.

종래에 착용식 로봇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반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산업현장에 이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 산업현장의 노동자들의 작업자세유지를 위해 개발된 의자형 착용로봇들이 개발되었고 이중 일부는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In the past, attempts to introduce wearable robots to industrial sites are increasing thanks to continuous research on wearable robots and the development of base technologies. Among them, chair-type wearable robots developed to maintain the working posture of workers in industrial fields have been developed, and some of them are being introduced to the market.

이러한 착용식 로봇은 인체에 로봇 메커니즘이 체결하는 형태를 갖는 외골격형 착용의 형태를 가져 외골격과 인체관절 회전축을 일치시키기 어렵고, 사람의 자유도보다 부족하며, 강체로된 메커니즘의 질량과 관성은 보행시 균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착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외골격 메커니즘에 의한 착용로봇 시스템의 중량 증가는 구동기의 용량을 증가하게 한다. These wearable robots have an exoskeleton-type wear in which the robot mechanism is fastened to the human body, so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rotation axis of the exoskeleton and the human body joint, and lacks the degree of freedom of a person. Because it affects the balance, the wearer not only feels a sense of alienation, but the weight increase of the wearable robot system by the exoskeleton mechanism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actuator.

특히, 종래의 착용식 로봇은 고관절과 슬관절을 지원하기 위해 관절 수대로 모터가 추가되어 경량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wearable robo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weight because motors are ad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joints to support the hip and knee joints.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 10-1324502호Patent Literatur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2450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해제가 가능한 직렬 탄성 구동기와 텐던 드리븐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경량화된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by applying a releasable serial elastic actuator and a tendon driven mechanis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고관절까지 양측으로 구부러진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슬관절까지 연장 구비된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종아리 측면을 거쳐 종아리 후면으로 연장 구비된 제 3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후면 양측에 구비된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상기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1 구름 관절부; 상기 제 2 지지대와 제 3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름 관절부; 및 상기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구름 관절부와 상기 제 2 구름 관절부를 거쳐 상기 제 3 지지대의 하단 고정단에 고정 장착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ounted on a user's waist and bent to both sides up to a hip joint; a secon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extended to the knee joint; a thir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calf through the side of the calf; a first control module and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 second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nd a wire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 through the first rolling joint and the second rolling joint from each of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서 상기 제 1 구름 관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 1 회전 조인트, 상기 제 2 지지대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회전 조인트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2 회전 조인트 및 상기 제 1 회전 조인트와 제 2 회전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와이어를 거치하는 제 1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ing joint part is mounted to a first rotary joint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on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first rotary joi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tation joint and the first rotation joint and the second rotation join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w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서 상기 제 2 구름 관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타측 선단부에 장착된 제 3 회전 조인트, 상기 제 3 지지대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회전 조인트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4 회전 조인트 및 상기 제 3 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 2 회전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와이어를 거치하는 제 2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lling joint part is mounted on a third rotation joint mounted on the other tip of the second support, and is mounted on the tip of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third rot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rotational joint and the third rotational joint and the second rotational join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tational joint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pulley for mounting the w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서 상기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지지대의 후면 양측에 각각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각각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고정 연결된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boxes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pport, respectively, and the wires are fixedly connected therei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서 상기 구동기는 모터를 외측에 장착한 제 1 단; 상기 제 1 단에 대응하여 이격되고, 두 개의 가이드봉으로 상기 제 1 단에 연결된 제 2 단;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이 관통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단을 구비한 와이어 블록;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의 모터에 연결된 스크류축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이 관통하는 기준 블록; 및 상기 와이어 블록과 상기 기준 블록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 각각에 구비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includes a first stage on which a motor is mounted to the outside; a second e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a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with two guide rods; a wire block through which the two guide rods pass and having a wire fixing end for fixing the wire on one side; a movable body provided between the two guide rods and provided to engage 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first stage; a reference block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vable body and through which the two guide rods pass; and a spring provided on each of the two guide rods between the wire block and the reference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기의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축에 맞물리게 구비된 상기 이동체에 일체로 구비된 기준 블록의 위치와 이동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actuat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ovable body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and to adjust the movement spe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dictionary meaning, and the concept of the term is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for the invento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하나의 모터로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동시에 지원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근력 지원으로 모터(210)의 사양을 낮출 수 있어 경량화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extension movement of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simultaneously with one motor,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motor 210 can be lowered by supporting the muscle strength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achieve weight reduction. can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인체 관절과 유사한 구름관절을 적용하여 인체의 관절축과의 불일치를 줄이고, 와이어와 구동기를 이용한 텐던 드리븐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구동기를 상체 허리에 위치하여 인체 하지 결합부를 경량화함으로서 착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rolling joint similar to a human joint to reduce the mismatch with the joint axis of the human body, applies a tendon driven mechanism using a wire and an actuator, and applies the actuator to the upper body and lower back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arer's fit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lower extremity coupling part of the huma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제 2 구름 관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구동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에너지 회생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자유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rolling joint constituting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operational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iving mode state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nergy regeneration mode state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ee mode state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제 2 구름 관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구동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에너지 회생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자유모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showing a second rolling joint constituting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D are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operatio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riving mode state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nergy regeneration mode state of the support device,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ree mode state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고관절까지 양측으로 구부러진 제 1 지지대(101), 제 1 지지대(10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슬관절까지 연장 구비된 제 2 지지대(102), 제 2 지지대(10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종아리 측면을 거쳐 종아리 후면으로 연장 구비된 제 3 지지대(103), 제 1 지지대(101)의 후면 양측에 구비된 제 1 제어모듈(110)과 제 2 제어모듈(120), 제 1 지지대(101)와 제 2 지지대(102)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1 구름 관절부(130), 제 2 지지대(102)와 제 3 지지대(103)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름 관절부(140) 및 제 1 제어모듈(110)과 제 2 제어모듈(120) 각각으로부터 제 1 구름 관절부(130)와 제 2 구름 관절부(140)를 거쳐 제 3 지지대(103)의 하단 고정단에 고정 장착된 와이어(105)를 포함한다.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upporter 101 that is mounted on a user's waist and bent to both sides up to the hip joint, and a second supporter 1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er 101 and extended to the knee joint. A first control module ( 110)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120, the first rolling joint 130, the second support 102 and the third support 103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2. ) from each of the second rolling joint part 140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110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120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first rolling joint part 130 and the second rolling joint part 140 through the second rolling joint part 140 3 includes a wire 105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fixed end of the support 103 .

제 1 구름 관절부(130)는 사용자의 고관절 부분에 구비된 부재로서, 제 1 지지대(101)와 제 2 지지대(102)의 결합부분에서 제 1 지지대(101)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 1 회전 조인트(131), 제 2 지지대(102)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제 1 회전 조인트(131)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2 회전 조인트(132) 및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로부터 이격되고 와이어(105)를 거치하는 제 1 풀리(133)를 포함한다. The first rolling joint 130 is a member provided in the user's hip joint, and is a first rotary joint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upport 101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2 . (131), a second rotary joint 132 and a first rotary joint 131 and a second rotary joint 132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102 and engaged with the first rotary joint 131 to rotate and a first pulley 133 spaced apart from and carrying the wire 105 .

여기서,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는 일측 테두리에 톱니를 다수 구비한 원반 형태로서, 사용자의 고관절 운동에 따라 톱니 부분을 통해 서로 맞물려 회동한다. 톱니 부분은 고관절 운동의 회전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의 맞물리는 원주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rotation joint 131 and the second rotation joint 132 are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plurality of teeth on one edge, and are rotated by mesh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eeth according to the user's hip joint motion. The toothed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range where the first rotational joint 131 and the second rotational joint 132 engage in correspondence to the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hip joint motion.

제 2 구름 관절부(140)는 사용자의 슬관절 부분에 구비된 부재이고 제 1 구름 관절부(130)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대칭되는 구조로서, 제 2 지지대(102)의 타측 선단부에 장착된 제 3 회전 조인트(141), 제 3 지지대(103)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제 3 회전 조인트(141)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4 회전 조인트(142) 및 제 3 회전 조인트(141)와 제 4 회전 조인트(142)로부터 이격되고 와이어(105)를 거치하는 제 2 풀리(143)를 포함한다. The second rolling joint 140 is a member provided in the user's knee joint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rolling joint 130, but has a symmetrical structure, and a third rotation join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02 ( 141), a fourth rotational joint 142 and a third rotational joint 141 and a fourth rotational joint 142 that are mounted on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103 and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third rotational joint 141 from and a second pulley 143 that is spaced apart and carries the wire 105 .

여기서, 제 3 회전 조인트(141)와 제 4 회전 조인트(142)는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 처럼 일측 테두리에 톱니를 다수 구비한 원반 형태를 갖고, 사용자의 슬관절 운동에 따라 톱니 부분을 통해 서로 맞물려 회동한다. 이때, 제 3 회전 조인트(141)와 제 4 회전 조인트(142)의 톱니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의 톱니 부분과 반대로 대칭 구비되어 슬관절 운동의 회전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원주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rotation joint 141 and the fourth rotation joint 142 have a disk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eeth on one edge like the first rotation joint 131 and the second rotation joint 132, and the user's knee joint According to the movement, it rotates by mesh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oothed part. At this time, the toothed portions of the third rotary joint 141 and the fourth rotary joint 142 are symmetrically opposite to the toothed portions of the first rotary joint 131 and the second rotary joint 132 as shown in FIG. 2 . It can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range engag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knee joint motion.

제 2 풀리(143)도 또한 제 1 풀리(133)와 마찬가지로 와이어(105)를 거치하지만, 제 1 풀리(133)가 제 1 회전 조인트(131)와 제 2 회전 조인트(132)의 후방에 구비되는 반면에 제 2 풀리(143)는 제 3 회전 조인트(141)와 제 4 회전 조인트(142)의 전방에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다. The second pulley 143 also holds the wire 105 like the first pulley 133 , but the first pulley 133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rotary joint 131 and the second rotary joint 132 .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second pulley 143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hird rotation joint 141 and the fourth rotation joint 142 .

제 1 제어모듈(110)과 제 2 제어모듈(120)은 제 1 지지대(101)의 후면 양측에 각각 박스 형태로 구비되어, 각각의 내부에는 와이어(105)가 고정 연결된 구동기(200)와 구동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module 110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12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boxes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01, respectively, and the wire 105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river 200 and the driver therein. It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200 .

구체적으로, 구동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0)를 외측에 장착한 제 1 단, 제 1 단에 대응하여 이격되고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으로 연결된 제 2 단(209),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이 관통하고 일측면에 와이어(105)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단(202)을 구비한 와이어 블록(201),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 사이에 구비되고 제 1 단과 모터(210)에 연결된 스크류축(206)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207), 이동체(207)에 일체로 구비되고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이 관통하는 기준 블록(208) 및 와이어 블록(201)과 기준 블록(208) 사이에서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 각각에 구비된 스프링(205-1,205-2)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actuator 200 includes a first stage on which the motor 210 is mounted on the outside, a second stage 209 spaced a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ge and connected by two guide rods 203 and 204 . ), a wire block 201 having a wire fixing end 202 through which the two guide rods 203 and 204 pass through and fixing the wire 105 to one side, and provided between the two guide rods 203 and 204 and the first A movable body 207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206 connected to the stage and the motor 210, a reference block 208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vable body 207 and through which two guide rods 203 and 204 pass, and a wire block 201 ) and the reference block 208 between the two guide rods 203 and 204, and includes springs 205-1 and 205-2 provided on each.

제어부는 구동기(200)의 모터(210)에 연결되고 외부의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따라 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크류축(206)의 회전방향과 회전력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크류축(206)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207)를 통해 두 개의 가이드봉(203,204)에 대한 기준 블록(208)의 위치와 이동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otor 210 of the actuator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210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sensor (not shown) to adjust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crew shaft 206 . do.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position and movement speed of the reference block 208 with respect to the two guide rods 203 and 204 through the movable body 207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206 .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기(2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와이어(105)의 인장력 및 모터(210)의 구동을 통한 기준 블록(208)의 이동으로 스프링(205-1,205-2)의 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지 근력을 지원하는데 특징이 있다. The actuato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by the movement of the reference block 208 through the tensile force of the wire 105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즉,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200)는 와이어(105)의 인장력 및 모터(210)의 구동을 통한 기준 블록(208)의 이동으로 스프링(205-1,205-2)의 변위를 결정하여 다양한 모드로 사용자의 하지 근력을 지원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A to 4D , the actuator 200 moves the reference block 208 through the tensile force of the wire 105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210 , thereby displacing the springs 205 - 1 and 205 - 2 . can be determined to support the user's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in various modes.

먼저,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사용자에 착용하여 움직임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200)는 고정 연결된 와이어(105)의 인장력에 의해 와이어 블록(201)이 기준 블록(208)으로 스프링(205-1,205-2)을 압축하기 시작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A as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upport device is worn on the user and moves, the actuator 200 converts the wire block 201 into the reference block 208 by the tensile force of the fixedly connected wire 105. The springs 205-1 and 205-2 begin to compress.

이러한 스프링(205-1,205-2)의 압축이 최대로 이루어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블록(201)이 기준 블록(208)으로 스프링(205-1,205-2)을 최대 압축한 상태로 누르게 된다. When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is maximized, the wire block 201 is the reference block 208 as shown in FIG. 4b to the maximum compression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will press

이때, 제어부는 외부의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따라 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크류축(206)을 회전시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206)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207)를 통해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d1 만큼 아래로 이동시킨 탄성해제상태를 만들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screw shaft 206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2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sensor (not shown), and is attached to the screw shaft 206 as shown in FIG. 4C .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lastic release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is moved downward by d1 through the movable body 207 provided in engagement.

이에 따라, 구동기(200)의 와이어 블록(201)이 스프링(205-1,205-2)을 압착하지 않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의 자유구간을 갖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d2의 자유구간으로인해 와이어 블록(201)의 이동이 제약되지 않아 사용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 block 201 of the actuator 200 does not compress the springs 205 - 1 and 205 - 2 , and as shown in FIG. 4D ,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te having a free section of d2 . Due to the free section of d2, the movement of the wire block 201 is not restricted, so that the user can move freely.

이와 같이 동작하는 구동기(200)는 제어부에 의해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조정하여 스프링(205-1,205-2)의 압축시작위치 및 탄성해제위치를 조절하여,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의 3가지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The actuator 200 operating in this way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by the control unit to adjust the compression start position and the elastic release position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so that the 3 of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It can support two modes.

구체적으로, 첫번째 모드는 구동모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를 사용자가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하는 과정에 스프링(205-1,205-2)의 탄성력이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지원하여 보행시 입각기 구간에 적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mode is a driving mode, and as shown in FIG. 5 , a spring ( 205-1,205-2) can be applied to the stance phase during walking by supporting the extension movement of the hip and knee joints.

즉, 사용자가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함에 따라 와이어(105)가 신축 또는 인장되면서 와이어 블록(201)이 스프링(205-1,205-2)을 움직이게 하여 스프링(205-1,205-2)의 탄성력이 와이어(105)의 신축 또는 인장을 지원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That is, as the user extends the hip and knee joints, the wire 105 is stretched or stretched while the wire block 201 moves the springs 205-1 and 205-2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It supports the extension or tension of the wire 105, and thus allows the user to smoothly perform extension movements of the hip and knee joints.

두번째 모드는 에너지 회생모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5-1,205-2)이 특정 관절운동구간에 압축되도록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조절한 모드이고, 에너지가 스프링(205-1,205-2)의 탄성에너지로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고 일어서는 동작과정을 지원하여 운동에너지로 회생될 수 있다. The second mode is an energy regeneration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is adjusted so that the springs 205-1 and 205-2 are compressed in a specific joint motion section as shown in FIG. 6, and energy is applied to the springs 205-1 and 205 In the state of being stored as elastic energy of -2), it can be regenerated as kinetic energy by suppor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sitting and standing.

이를 위해 제어부는 모터(210)의 구동을 제어하여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설정하여, 와이어 블록(201)이 기준 블록(208)의 방향으로 스프링(205-1,205-2)의 압축시작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210 to se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and the wire block 201 is the compression start position of the springs 205-1 and 205-2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can be adjusted.

그리고 세번째 모드는 자유모드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관절 운동시 스프링(205-1,205-2)이 압축되지 않게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조정하여, 착용자의 힘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보행시 유각기 구간에 적용될 수 있다. And the third mode is a free mode, which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208 so that the springs 205-1 and 205-2 are not compressed during joint movement of the human body as shown in FIG. It can be applied to the swing phase when walking.

즉, 도 4c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가 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크류축(206)을 회전시켜, 스크류축(206)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207)를 통해 기준 블록(208)의 위치를 d1 만큼 아래로 이동시킨 탄성해제상태를 만들어, d2의 자유구간을 갖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d2의 자유구간으로인해 와이어 블록(201)의 이동이 제약되지 않아 사용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C and 4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210 to rotate the screw shaft 206, and through the movable body 207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206, the reference block ( 208) can be moved down by d1 to create an elastic release state, thereby creating a state with a free section of d2. Due to the free section of d2, the movement of the wire block 201 is not restricted, so that the user can move freely.

이와 같이 동작하는 구동기(2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하나의 모터(210)로 고관절, 슬관절의 신전 운동을 동시에 지원하고 스프링(205-1,205-2)의 탄성력에 의한 근력 지원으로 모터(210)의 사양을 낮출 수 있어 경량화를 획득할 수 있다.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ctuator 200 operating in this way, supports the extension movement of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simultaneously with one motor 210 and uses the springs 205-1 and 205-2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pecification of the motor 210 by supporting the muscular strength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weight reduc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는 인체 관절과 유사한 구름관절을 적용하여 인체의 관절축과의 불일치를 줄이고, 와이어(105)와 구동기(200)를 이용한 텐던 드리븐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구동기(200)를 상체 허리에 위치하여 인체 하지 결합부를 경량화함으로서 착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rolling joint similar to a human joint to reduce mismatch with the joint axis of the human body, and a tendon driven mechanism using the wire 105 and the actuator 200 . By applying the actuator 200 to the upper body waist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lower body coupling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er's fit.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제 1 지지대 102: 제 2 지지대
103: 제 3 지지대 105: 와이어
110: 제 1 제어모듈 120: 제 2 제어모듈
130: 제 1 구름 관절부 131: 제 1 회전 조인트
132: 제 2 회전 조인트 133: 제 1 풀리
140: 제 2 구름 관절부 141: 제 3 회전 조인트
142: 제 4 회전 조인트 143: 제 2 풀리
200: 구동기 201: 와이어 블록
202: 와이어 고정단 203,204: 가이드봉
205-1,205-2: 스프링 206: 스크류축
207: 이동체 208: 기준 블록
209: 제 2 단 210: 모터
101: first support 102: second support
103: third support 105: wire
110: first control module 120: second control module
130: first rolling joint 131: first rotation joint
132: second rotation joint 133: first pulley
140: second rolling joint 141: third rotation joint
142: fourth rotation joint 143: second pulley
200: actuator 201: wire block
202: wire fixed end 203, 204: guide rod
205-1,205-2: spring 206: screw shaft
207: moving object 208: reference block
209: second stage 210: motor

Claims (6)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고관절까지 양측으로 구부러진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슬관절까지 연장 구비된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종아리 측면을 거쳐 종아리 후면으로 연장 구비된 제 3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후면 양측에 구비된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상기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1 구름 관절부;
상기 제 2 지지대와 제 3 지지대의 결합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름 관절부;
상기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구름 관절부와 상기 제 2 구름 관절부를 거쳐 상기 제 3 지지대의 하단 고정단에 고정 장착된 와이어; 및
상기 제 1 제어모듈과 제 2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지지대의 후면 양측에 각각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각각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고정 연결된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는,
모터를 외측에 장착한 제 1 단;
상기 제 1 단에 대응하여 이격되고, 두 개의 가이드봉으로 상기 제 1 단에 연결된 제 2 단;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이 관통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단을 구비한 와이어 블록;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의 모터에 연결된 스크류축에 맞물리게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이 관통하는 기준 블록; 및
상기 와이어 블록과 상기 기준 블록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봉 각각에 구비된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는 고정 연결된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 블록이 상기 기준 블록으로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스프링의 압축이 최대로 이루어지면, 상기 와이어 블록이 상기 기준 블록으로 상기 스프링을 최대 압축한 상태로 누르게 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축에 맞물리게 구비된 상기 이동체를 통해 상기 기준 블록의 위치를 소정거리만큼 아래로 이동시킨 탄성해제상태를 만들고,
상기 구동기의 상기 와이어 블록이 상기 스프링을 압착하지 않으면, 소정의 자유구간을 갖는 상태를 만들고, 상기 소정의 자유구간으로인해 상기 와이어 블록의 이동이 제약되지 않게 하는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
a first support mounted on the user's waist and bent to both sides up to the hip joint;
a secon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extended to the knee joint;
a third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calf through the side of the calf;
a first control module and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 second rolling join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 wire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 through the first rolling joint and the second rolling joint from each of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boxes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respectively, and include a driver to which the wire is fixedly connected therei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r,
The actuator is
a first stage with a motor mounted on the outside;
a second e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a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with two guide rods;
a wire block through which the two guide rods pass and having a wire fixing end for fixing the wire on one side;
a movable body provided between the two guide rods and provided to engage 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first stage;
a reference block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vable body and through which the two guide rods pass; and
a spring provided on each of the two guide rods between the wire block and the reference block; including,
In the actuator, the wire block compresses the spring to the reference block by the tensile force of the fixedly connected wire,
When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is made to the maximum, the wire block is pressed in the state of maximum compression of the spring with the reference block,
Whe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screw shaf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nso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lock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movable body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create an elastic release state,
If the wire block of the actuator does not compress the spring,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that creates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free section and does not restrict movement of the wire block due to the predetermined free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름 관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 1 회전 조인트, 상기 제 2 지지대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회전 조인트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2 회전 조인트 및 상기 제 1 회전 조인트와 제 2 회전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와이어를 거치하는 제 1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olling joint portion is a first rotary joint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a second rotary joint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otary joint, and the first rotary joint And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tary joint and comprises a first pulley for mounting the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름 관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타측 선단부에 장착된 제 3 회전 조인트, 상기 제 3 지지대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회전 조인트에 맞물려 회동하는 제 4 회전 조인트 및 상기 제 3 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 2 회전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와이어를 거치하는 제 2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olling joint portion is a third rotary join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 fourth rotary joint mounted on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third rotary joint, and the third rotation A wearable lower extremity strength support devic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joint and the second rotational joint and includes a second pulley for mounting the w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기의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축에 맞물리게 구비된 상기 이동체에 일체로 구비된 기준 블록의 위치와 이동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하지근력 지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actuat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adjust the position and movement speed of the reference block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ovable body provided to engage the screw shaft. support device.
KR1020200060574A 2020-05-20 2020-05-20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KR102340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74A KR102340736B1 (en) 2020-05-20 2020-05-20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74A KR102340736B1 (en) 2020-05-20 2020-05-20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88A KR20210143588A (en) 2021-11-29
KR102340736B1 true KR102340736B1 (en) 2021-12-16

Family

ID=7869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574A KR102340736B1 (en) 2020-05-20 2020-05-20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6727B (en) * 2022-04-02 2024-05-14 长春工业大学 Wearable three-degree-of-freedom hip joint rehabilit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4297A (en) * 2012-12-26 2014-07-07 Suncall Engineering Kk Walking state measuring apparatus and walking assi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02B1 (en) 2012-03-21 2013-11-01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Wearable human power amplification device using wire rope
KR102061548B1 (en) * 2018-04-19 2020-01-02 근로복지공단 Lumbar suppor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4297A (en) * 2012-12-26 2014-07-07 Suncall Engineering Kk Walking state measuring apparatus and walking assi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88A (en)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035B1 (en)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JP6791715B2 (en) Joint assembly and exercise assist device including it
JP2020518295A5 (en)
US20140330431A1 (en) Joint Torque Au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Gait Assistance
KR101577030B1 (en) Training robotic device for the finger
CN111110519A (en) Multi-sensing intelligent wearable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KR101912920B1 (en) Ankle module for gait rehabilitation robot
KR101486808B1 (en) Walking assisting apparatus adjustable a range of external force using spring
CN112025681A (en) Electric waist assisting exoskeleton
KR102340736B1 (en) Assist muscular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KR20200093056A (en) Drive assembly for moving body parts
CN113367935A (en) Flexible driving knee joint rehabilitation robot
KR20200142128A (en)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1096875B (en) Flexible bearing waist and back mechanism, power-assisted support and portable power-assisted equipment thereof
CN113101150B (en) Flexible transmission walking aid rehabilitation exoskeleton system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Bacek et al. A novel modular compliant knee joint actuator for use in assistive and rehabilitation orthoses
CN113524143B (en) Variable-rigidity knee joint and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CN110665192A (en) Recovered type ectoskeleton gloves robot
JP2020192124A (en) Passive movement device
KR102194958B1 (en) Wearable device for human back support
JP6799378B2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653100B1 (en) A leg action assist apparatus with Reverse drive is easy
KR101947267B1 (en) Knee supporting device for walking assist
KR101872721B1 (en) Elbow exoskeleton robot
KR100814735B1 (en) Force assistive wearable robot for wearing human body and movement mode cognitive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