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36B1 -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 Google Patents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36B1
KR102340336B1 KR1020200052106A KR20200052106A KR102340336B1 KR 102340336 B1 KR102340336 B1 KR 102340336B1 KR 1020200052106 A KR1020200052106 A KR 1020200052106A KR 20200052106 A KR20200052106 A KR 20200052106A KR 102340336 B1 KR102340336 B1 KR 10234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plate
broth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468A (ko
Inventor
김지유
Original Assignee
김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유 filed Critical 김지유
Priority to KR102020005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밥 수용부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국 수용부 및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반찬 수용부를 포함하는 식판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에는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방파 블록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Food tray for overflow prevention of soup}
본 발명은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과 국물 및 다양한 반찬류가 담기는 식판을 시식자가 손에 들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국물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넘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치원을 비롯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단체급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종 공장이나 회사 등의 구내식당에서도 직원들을 대상으로 단체급식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을 비롯한 회사원들은 식사시간에 급식실 또는 구내식당 등에서 각자 식판을 들고 밥과 국 및 여러 종류의 반찬을 제공받아 식사를 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이 담기는 밥 수용부(12)와, 국물이 담기는 국 수용부(14) 및 각종 반찬이 담기는 복수의 반찬 수용부(16)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식판(10)을 들고 이동하면서 각각의 음식물을 제공받은 후, 각자 자리로 이동하여 식사를 하게 된다.
그런데, 식판에 밥과 국 및 각종 반찬을 제공받아 담은 상태에서 식판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밥과 각종 건더기 류의 반찬 등은 각각의 밥 수용부 및 반찬 수용부에서 유동성이 적어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적은 반면, 국 수용부에 담긴 국물은 이동 중 관성력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넘치거나 흘러 내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바닥에 국물을 흘리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와 같이, 급식실 바닥 또는 구내식당 등의 바닥에 국물을 흘리게 되는 경우,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식욕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됨은 물론, 식판을 들고 이동하는 시식자들이 바닥에 떨어진 국물에 의해 미끄러져서 넘어지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 수용부로부터 흘러 넘치는 국물이 식판을 들고 이동하는 시식자 본인은 물론 타인에게 쏟아지는 경우, 뜨거운 국물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으며, 옷이나 신발 등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치원생이나 저학년의 초등학생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주의력이 부족하여 국물이 담긴 식판을 들고 이동하면서 국물을 흘리게 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8259호(2014.12.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밥과 국물 및 다양한 반찬류가 담기는 식판을 시식자가 손에 들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물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넘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국 수용부에 국물이 담긴 상태에서 식판을 들고 이동할 때 관성에 따른 국물의 파동을 감쇠시킴으로써, 국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예방하여 바닥에 국물을 흘려 비위생적인 환경을 억제하고, 바닥의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킴은 물론 본인을 비롯하여 타인에게 각종 피해를 입히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밥 수용부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국 수용부 및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반찬 수용부를 포함하는 식판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에는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방파 블록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파 블록은,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면으로부터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각도로 상향을 향해 좁아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각도로 상향을 향해 좁아지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로부터 양 방향을 향해 각각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차단 턱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파 블록의 기둥부에는, 상기 방파 블록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과 다른 한 쪽을 연통시키는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 홀은, 상기 기둥부의 외측 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홀과,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 의하면, 밥과 국물 및 다양한 반찬류가 담기는 식판을 시식자가 손에 들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물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방파 블록에 의해 넘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 의하면, 국 수용부에 국물이 담긴 상태에서 식판을 들고 이동할 때 국 수용부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방파 블록에 의해 관성에 따른 국물의 파동이 감쇠됨으로써, 국물이 흘러 넘치는 것이 예방되어 바닥에 국물이 흐름이 따른 비위생적인 환경이 억제되고, 바닥의 미끄러짐이 예방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됨은 물론 본인을 비롯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식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판에서 국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파동에 의해 흘러 넘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서, 국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파동감쇠에 의해 국물이 흘러넘치지 않게 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의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서, 국 수용부에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방파 블록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에서, 국 수용부에 담긴 국물이 파동감쇠에 의해 국물이 흘러넘치지 않게 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100)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밥 수용부(110)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국 수용부(120) 및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반찬 수용부(1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국 수용부(120)에는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그 평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는 방파 블록(200)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높이의 방파 블록(200)이 형성된 국 수용부(120)에 국물이 담긴 상태에서, 시식자가 식판(100)을 들고 이동하게 되는 경우, 관성에 의해 국물이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을 발생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국물의 파동이 방파 블록(200)에 의해 감소됨으로써, 국 수용부(120)로부터 외부로 흘러 넘침이 예방될 수 있다.
즉, 국 수용부(120)에 형성된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한 쪽 방향에서 발생된 파동은 방파 블록(200)에 의해 입사파(Incident wave)의 에너지가 감쇠됨에 따라 다른 한 쪽 방향으로의 전달파고계수(Wave transmission coefficient)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국 수용부(120)에 담긴 국물은 방파 블록(200)에 의해 그 파동이 감쇠되어 국 수용부(120)를 벗어나 넘침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파 블록(200)은, 국 수용부(120)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각도로 상향으로 좁아지는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파른 경사각도로 상향으로 좁아지는 기둥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210)의 단면적은 기둥부(220)의 단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파 블록(200)의 종단면 형상은, 바닥부(210)의 경우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향할수록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경사각도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둥부(220)의 경우에도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향할수록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도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210)는 양 측면에 수평 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경사각도가 작은 제1 경사면(212)이 형성되고, 기둥부(220)도 양 측면에 수평 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경사각도가 큰 제2 경사면(22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파 블록(200)의 양 측면에 경사각도가 다른 제1 경사면(212) 및 제2 경사면(222)이 형성되게 되면, 국 수용부(120)에 담긴 국물이 관성에 의해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서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발생될 때, 방파 블록(200)의 제1 경사면(212)에 의해 그 입사파의 에너지가 감소되고, 이어서 제2 경사면(222)에 의해 그 입사파의 에너지가 추가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전체적인 파동이 감쇠되어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감쇠되어 흘러넘침이 예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100)에 의하면, 국 수용부(120)에 국물이 담긴 상태에서 식판(100)을 들고 이동할 때 국 수용부(120)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방파 블록(200)에 의해 관성에 따른 국물의 파동이 감쇠됨으로써, 국물이 흘러 넘치는 것이 예방되어 바닥에 국물이 흐름이 따른 비위생적인 환경이 억제되고, 바닥의 미끄러짐이 예방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됨은 물론 본인을 비롯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파 블록(200)은 식판(100)의 국 수용부(120)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국 수용부(120)에 담긴 국물의 파동 방향은 전 방향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100)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파 블록(200)은 식판(100)의 국 수용부(120)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좌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서로 인접하는 방파 블록(200)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방향의 방파 블록(200)과 세로 방향의 방향 블록은 서로 단락된 형태를 이루어 국물의 이동 경로(122)를 형성하도록 하되, 이 경우 이동 경로(122)를 통해 대각선 방향으로 국물이 흘러넘칠 수 있으므로, 이동 경로(122)의 외측 방향에도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방파 블록(200)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식판(100)의 국 수용부(120)를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상하 좌우에 각각 그 단부가 단락된 상태로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모두 4개의 방파 블록(200)이 배치되고, 단락된 이동 경로(122) 외측 방향에도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모두 4개의 방파 블록(200)이 배치되는 등, 모두 8개의 방파 블록(200)이 형성됨에 따라 전 방향으로의 파동을 감쇠시킬수 있게 됨으로써, 국물의 흘러넘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100)에서, 국 수용부(120)에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방파 블록(200)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방파 블록(200)의 상부 측에 양 방향으로 호 형상의 차단 턱부(230)가 더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방파 블록(200)은 윗 방향으로 향할수록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경사각도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로부터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향할수록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도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기둥부(220)와, 이 기둥부(220)로부터 양 방향을 향해 각각 호 형상으로 라운드 지게 형성된 차단 턱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파 블록(200)이 바닥부(210)와 기둥부(220) 및 차단 턱부(230)로 형성되는 경우, 국 수용부(120)에 담긴 국물이 관성에 의해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서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발생될 때, 방파 블록(200)의 바닥부(210)에 형성된 제1 경사면(212)에 의해 그 입사파의 에너지가 감소되고, 이어서 기둥부(220)의 제2 경사면(222)에 의해 그 입사파의 에너지가 추가적으로 감소되며, 이와 같이 입사파의 에너지가 감소된 국물은 차단 턱부(230)에 의해 다시 한 번 그 입사판의 에너지가 감소됨으로써, 전체적인 파동이 감쇠되어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감쇠되어 흘러넘침이 더욱 확실하게 예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파 블록(200)이 바닥부(210)와 기둥부(220) 및 차단 턱부(230)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20)에는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과 다른 한 쪽을 연통시키는 통과 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파 블록(200)에 통과 홀(240)이 형성되면,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의 국물이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발생될 때, 일부의 국물이 파동 없이 통과 홀(240)을 통과하여 다른 한쪽으로 넘어가게 됨으로써, 방파 블록(200)을 넘으려고 하는 파동이 더 감쇠될 수 있다.
이 때, 통과 홀(2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20)의 외측 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홀(242)과, 기둥부(22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제1 홀(242)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2 홀(24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과 홀(240)이 제1 홀(242)과 제2 홀(244)로 구성되면, 방파 블록(200)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의 국물이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파동이 발생됨에 따라 일부의 국물이 파동 없이 통과 홀(240)을 통과하여 다른 한 쪽으로 넘어갈 때, 넘어가는 국물이 제1 홀(242)을 통과하여 제2 홀(244)로 진입하면서 유량이 줄어들어 1차적으로 완충되고, 제2 홀(244)로 진입하여 유속이 빨라진 국물은 다시 제1 홀(242)로 진입하면서 그 유속이 줄어들어 2차적으로 완충이 이루어짐으로써, 방파 블록(200)을 넘으려고 하는 파동이 더 감쇠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과 홀(240)의 구성이 바닥부(210)와 기둥부(220) 및 차단 턱부(230)로 구성된 방파 블록(200)에 형성된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과 홀(240)의 구성은 바닥부(210) 및 기둥부(220)로만 구성된 방파 블록(200)에도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식판 110 : 밥 수용부
120 : 국 수용부 130 : 반찬 수용부
200 : 방파 블록 210 : 바닥부
212 : 제1 경사면 220 : 기둥부
222 : 제2 경사면 230 : 차단 턱부
240 : 통과 홀 242 : 제1 홀
244 : 제2 홀

Claims (6)

  1.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밥 수용부와,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국 수용부 및 일정 깊이의 오목 홈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반찬 수용부를 포함하는 식판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에는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방파 블록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파 블록은,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면으로부터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각도로 상향을 향해 좁아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평 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각도로 상향을 향해 좁아지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로부터 양 방향을 향해 각각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차단 턱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파 블록의 기둥부에는, 상기 방파 블록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과 다른 한 쪽을 연통시키는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 홀은,
    상기 기둥부의 외측 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홀과,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2106A 2020-04-29 2020-04-29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KR10234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6A KR102340336B1 (ko) 2020-04-29 2020-04-29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6A KR102340336B1 (ko) 2020-04-29 2020-04-29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68A KR20210133468A (ko) 2021-11-08
KR102340336B1 true KR102340336B1 (ko) 2021-12-16

Family

ID=7849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06A KR102340336B1 (ko) 2020-04-29 2020-04-29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635B1 (ko) * 2005-11-23 2006-06-08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조류가 소통되는 방파제
JP2017186759A (ja) * 2016-04-04 2017-10-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JP6352515B1 (ja) * 2017-10-31 2018-07-04 株式会社Portear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40B1 (ko) * 2010-08-06 2012-06-08 이영은 안전 식판
KR20140148259A (ko) 2013-06-22 2014-12-31 박지원 국물 넘침 방지 식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635B1 (ko) * 2005-11-23 2006-06-08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조류가 소통되는 방파제
JP2017186759A (ja) * 2016-04-04 2017-10-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JP6352515B1 (ja) * 2017-10-31 2018-07-04 株式会社Portear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68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814A (en) Stackable tray displaying soda bottles
US3549044A (en) Anti-spilling device for drinking containers
US5551593A (en) Combination food and beverage plate
Symeonides The Judicial Acceptance of the Second Conflicts Restatment: A Mixed Blessing
KR102340336B1 (ko) 국물 넘침 방지용 식판
US20150238034A1 (en) Food tray cup holder
JP5886116B2 (ja) 自動倉庫のラック
US20060151508A1 (en) Lap top tray
CN211066041U (zh) 一种内杯结构及双层杯结构
KR102270983B1 (ko) 조리기구 고정장치
CN104029929B (zh) 一种托盘
EP2036482A1 (en) Support for glasses for dishwasher baskets
US11186426B2 (en) Glass storage tool and glass storage system
KR102419317B1 (ko) 식판
CN214465813U (zh) 具有双重减振结构的外卖箱
US2947458A (en) Holder for containers such as casseroles and the like
JP7233280B2 (ja) ラックの制振構造
KR20150004235U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US20140205399A1 (en) Automatic storage rack
KR102221059B1 (ko) 내진테이블
JP3084850U (ja) 皿型整理棚免震装置
US3343702A (en) Spring cushion egg flat
EP3789315B1 (de) Verpackungspolster
JP3240159U (ja) 鍋蓋ホルダー
KR200496978Y1 (ko) 상판 확장형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