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60B1 -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60B1
KR102335460B1 KR1020210058644A KR20210058644A KR102335460B1 KR 102335460 B1 KR102335460 B1 KR 102335460B1 KR 1020210058644 A KR1020210058644 A KR 1020210058644A KR 20210058644 A KR20210058644 A KR 20210058644A KR 102335460 B1 KR102335460 B1 KR 10233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mbrane
pressure value
val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지화
Original Assignee
미래그린텍 주식회사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그린텍 주식회사,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미래그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1Perforated, resilient plastic diffusers, e.g. membranes, sheets, foils, tubes, h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8Membrane 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1,2연결배관에 제1,2분기배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분기배관에 복수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기포가 폭기조 내에 공급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배관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 및 상기 제2분기배관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에 설치되는 제1압력 라인과, 상기 폭기조에 설치되는 제2압력 라인과, 상기 제1,2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1,2개폐밸브 및 상기 제1압력 라인 및 제2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제공받아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한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embrane diffuser through dynamic wet pressure sensing}
본 발명은 멤브레인 산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멤브레인 산기관의 멤브레인 상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발생되는 멤브레인 산기관의 압력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멤브레인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 설비는 처리 공정에서 폭기장치인 멤브레인 산기관을 폭기조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멤브레인 산기관은 유기물질을 먹거나 분해하는 호기성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멤브레인 산기관은 장시간 사용 시 멤브레인 표면에 오염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멤브레인에 형성된 미세공이 폐색될 경우, 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한 폭기조 내의 산소 공급량이 감소 되면서 호기성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력이 떨어지게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미세공이 폐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멤브레인 표면에 쌓이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압력의 공기를 멤브레인 산기관에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멤브레인의 수축 및 팽창을 반복시킴으로써, 멤브레인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5419호 및 제2015-0077096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와 같이 멤브레인의 수축 및 팽창이 장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필요 이상의 멤브레인 수축과 팽창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의 신축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멤브레인의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과 인력의 소모가 늘어나게 되고, 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한 공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수처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54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7709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멤브레인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로 인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내부 압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한 후, 필요한 시점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멤브레인 산기관에 공급하여 멤브레인 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공기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1,2연결배관에 제1,2분기배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분기배관에 복수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기포가 폭기조 내에 공급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배관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 및 상기 제2분기배관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에 설치되는 제1압력 라인과, 상기 폭기조에 설치되는 제2압력 라인과, 상기 제1,2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1,2개폐밸브 및 상기 제1압력 라인과 제2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제공받아 제1,2동적 습윤 압력을 계산하며, 상기 제1,2동적 습윤 압력을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해주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압력센서는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 차압을 감지하여 압력을 판단할 수 있는 오리피스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폭기조 내부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 라인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의 압력 값을 뺀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제1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1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개폐밸브는 폐쇄시키며, 상기 제1압력 라인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의 압력 값을 뺀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제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2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를 제외한 나머지 제1개폐밸브는 폐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분기배관은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3압력센서가 구비된 제3압력 라인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제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압력 라인과 제2압력 라인 및 제3압력 라인에는 각각에서 분기되어 상기 폭기조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보조압력 라인과 제2보조압력 라인 및 제3보조압력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압력 라인과 제2보조압력 라인 및 제3보조압력 라인은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는 상기 제1보조압력 라인과 제2보조압력 라인 및 제3보조압력 라인을 통해 상기 제1압력 라인과 제2압력 라인 및 제3압력 라인의 압력 값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은, 공기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1,2연결배관 각각에 제1,2분기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1,2분기배관에 복수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기포가 폭기조 내에 공급되는 수처리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이 멤브레인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될 때 상기 멤브레인 표면을 팽창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에 연결된 제1압력 라인을 통해 상기 제1압력 라인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단계와, 폭기조 내부에 설치되는 제2압력 라인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단계와, 상기 제1압력 라인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의 압력 값을 뺀 제1동적 습윤 압력 값과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어부가 상기 제1연결배관의 제1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외하는 나머지인 상기 제2연결배관의 제2개폐밸브는 폐쇄시켜 상기 공기공급배관의 공기가 상기 제1연결배관만을 통해 제1분기배관을 거쳐 제1멤브레인 산기관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어부가 상기 제2연결배관의 제2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를 제외한 나머지인 상기 제1연결배관의 제1개폐밸브는 폐쇄시켜 상기 공기공급배관의 공기가 상기 제2연결배관만을 통해 제2분기배관을 거쳐 제2멤브레인 산기관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압력 라인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차압을 이용하여 내부 압력를 판단할 수 있는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압력 라인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폭기조 내부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분기배관에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3압력센서가 구비된 제3압력 라인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압력 라인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이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 또한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3압력 라인 각각의 압력 값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1분기배관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의 압력 값이 제2분기배관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의 압력 값보다 크면 상기 제1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는 폐쇄시킨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시키며, 이러한 일정 시간 이후에는 개방된 제1개폐밸브는 폐쇄시키면서 폐쇄되었던 상기 제2개폐밸브는 개방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분기배관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의 압력 값이 제1분기배관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의 압력 값보다 크면 상기 제2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는 폐쇄시킨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시키며, 이러한 일정 시간 이후에는 개방된 제2개폐밸브는 폐쇄시키면서 폐쇄된 상기 제1개폐밸브는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 또한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를 모두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멤브레인 산기관 내부의 압력과 폭기조 수위에 따른 압력의 차를 설정된 압력과의 비교를 통해 멤브레인 표면의 이물질 부착 여부를 판단한 후, 이물질이 부착된 멤브레인 산기관 내부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멤브레인의 팽창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멤브레인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내부 압력이 변화되는 상태를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판단하여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정도의 멤브레인 팽창을 통해 멤브레인 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멤브레인 산기관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멤브레인 산기관을 통한 공기 공급의 효율성을 높이며, 오,폐수 처리 설비의 유지 관리에 따른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이는 효과를 가진다.
참고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설비에서 폭기조에 설치된 멤브레인 산기관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 산기관의 내부 압력과 폭기조 수위에 따른 압력 및 분기배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따른 구성은 멤브레인 산기관에 연결된 제1압력 라인과, 폭기조 내부에 설치된 제2압력 라인과, 멤브레인 산기관과 연결된 분기배관을 공기공급배관에 연결 시켜주기 위한 연결배관의 개폐밸브 및 제1압력 라인의 압력 값과 제2압력 라인의 압력 값을 제공받아 연결배관의 개폐밸브를 제어해주는 제어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폐수 처리 설비는 폭기조(100)의 바닥면에 다수의 멤브레인 산기관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폭기조(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산기관은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다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과 또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다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배관(6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배관이 분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배관(600)에 분기되어 설치되는 연결배관은 제1연결배관(620a)과 제2연결배관(6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배관(620a)의 말단에 제1분기배관(610a)이 형성되면서 이러한 제1분기배관(610a)에는 앞서 설명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다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이 분기된 상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배관(620b)의 말단에도 제2분기배관(610b)이 형성되면서 이러한 제1분기배관(610b)에도 앞서 설명한 또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다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이 분기된 상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배관(600)으로부터 제1,2연결배관(620a)(620b)과 제1.2분기배관(610a)(6510b)을 거쳐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공기는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미세기공을 통과하게 되면서 미세기포로 변화되어 폭기조(100) 내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압력 라인(310a)(310b)은,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정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압력 라인(310a)(310b)은 일측이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되는 제어부(400)와 연결되면서, 제1압력 라인(310a)(310b)을 통해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내부 압력이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내부에는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압력센서는 제1압력 라인(310a)(310b)과 연결되면서 제1압력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 값이 제1압력 라인(310a)(310b)을 거쳐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압력센서는 바람직하게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 통로에 조임기구(오리피스, 벤츄리관, 플로우노즐)를 설치하여 전후 발생하는 압력차를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오리피스 압력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1압력 라인(310a)(310b)은 제1,2분기배관(610a)(610b)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모두나 복수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도 1에서와 같이 제1분기배관(610a)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및 제2분기배관(610b)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압력 라인(310a)(310b)에는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의 압력 게이지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압력 라인(320)은,
폭기조(100)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정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해질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압력 라인(320)은 일측이 폭기조(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제어부(400)와 연결되면서, 제2압력 라인(320)을 통해 폭기조(100)의 수위에 따른 압력이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폭기조(400)의 내부에는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압력센서는 제2압력 라인(320)과 연결되면서 제2압력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 값은 제2압력 라인(320)을 거쳐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력센서는 바람직하게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 정전용량식 압력센서, 전위치계식 압력센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압력센서, 압전기식 압력센서, 실리콘 압력센서, 광학식 압력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제2압력 라인(320)에는 제2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의 압력 게이지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1,2개폐밸브(621a)(621b)는,
앞서 설명한 공기공급배관(600)으로부터 분기된 제1,2연결배관(620a)(620b)에 각각 설치되어 제1,2연결배관(620a)(620b)의 통로를 개폐하면서 공기공급배관(600)으로부터 이동되는 공기가 제1,2분기배관(610a)(610b)쪽으로 이동됨을 단속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개폐밸브(621a)(621b)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제1,2개폐밸브(621a)(621b)가 함께 개폐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제1,2개폐밸브(621a)(621b)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는 공기공급배관(600)의 공기가 제1,2연결배관(620a)(620b)과 제1,2분기배관(610a)(610b)을 거쳐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으로 이동되어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멤브레인을 일정하게 팽창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개폐밸브(621a)는 개방되고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되면 제2개폐밸브(621b)의 폐쇄로 인해 제2연결배관(620b)으로 이동되려는 공기는 제1연결배관(620a)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연결배관(620a)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이동되면서 제1연결배관(620a)과 제1분기배관(610a)을 통해 연결된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멤브레인이 더욱 팽창되고, 이후 수축이 병행되면서 멤브레인 상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멤브레인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내부 압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개방시키고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켜 공기를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에 집중시킴으로써, 멤브레인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반대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멤브레인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내부 압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개방시키고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켜 공기를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에 집중시킴으로써, 멤브레인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제1,2연결배관(620a)(620b)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621a)(621b)의 작동과정으로 설명하였지만, 연결배관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내부 압력에 문제가 발생된 멤브레인 산기관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배관의 개폐밸브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개폐밸브는 폐쇄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제1압력 라인(310a)(310b)과 제2압력 라인(320)과 연결되어 측정된 압력 값을 제공받게 되며, 제1,2개폐밸브(621a)(621b)와 연결되어 제1,2개폐밸브(621a)(621b)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압력 라인(310a)(310b) 및 제2압력 라인(320)을 통해 측정된 압력 값을 전달받아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계산하고, 이러한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과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을 비교한 후, 제1,2연결배관(620a)(620b)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621a)(621b)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통해 제1압력 라인(310a)(310b)에서 측정된 압력 값과 제2압력 라인(320)에서 측정된 압력 값 및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해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유,무선의 형태로 관리자의 단말기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00)가 제1,2동적 습윤 압력을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어부(400)가 제1압력 라인(310a)(310b)의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과 제2압력 라인(320)의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전달받은 다음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에서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빼면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이러한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을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과 비교하여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멤브레인에 이물질이 부착되면서 내부 압력이 불필요하게 상승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1압력 라인(310a)의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과 제2압력 라인(320)의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전달받은 다음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에서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빼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구해지게 되고, 제1압력 라인(310b)의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과 제2압력 라인(320)의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전달받은 다음 제1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에서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빼면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구해지게 된다.
그리고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개방시키고,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킴으로써, 공기를 제1연결관(620a)을 통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으로 집중시켜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멤브레인을 더욱 팽창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개방시키고,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킴으로써, 공기를 제2연결관(620b)을 통해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a)으로 집중시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멤브레인을 팽창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여거서, 제1,2개폐밸브(621a)(621b)의 개방은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동일해지는 상태까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과 최대한 근접하여 제1,2분기배관(610a)(610b)의 내부에 제3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3압력센서를 제3압력 라인(330a)(330b)을 통해 제어부(400)와 연결시킴으로써, 제어부(400)는 제1압력 라인(310a)(310b)과 제2압력 라인(320)의 사용 없이 제3압력 라인(330a)(330b)만을 이용하여 멤브레인 산기관(200)의 내부 압력을 독립적으로 판단한 후,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이 정상적이라 판단될 수 있는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제1,2개폐밸브(621a)(621b)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1압력 라인(310a)(310b)이나 제2압력 라인(320)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제3압력 라인(330a)(330b)을 이용하여 제1,2분기배관(610a)(610b) 내부의 압력 값을 측정한 다음 제1분기배관(610a) 내부의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제2분기배관(610b) 내부의 압력 값이 정상인 경우에는 제1분기배관(610a)과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개방시키고,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키며,
반대로 제2분기배관(610b) 내부의 압력 값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제1분기배관(610a) 내부의 압력 값이 정상인 경우에는 제2분기배관(610b)과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개방시키고,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킴으로써,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과 연결된 제1압력 라인(310a)과 폭기조(100) 내부에 연결된 제2압력 라인(320) 및 제1분기배관(610a)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330a)에 제1보조압력 라인(311a)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을 분기시켜 폭기조(10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과 연결된 제1압력 라인(310b)과 제2분기배관(610b)과 연결된 제3압력 라인(330b)에도 제1보조압력 라인(311b)과 제3보조압력 라인(331b)을 분기시켜 폭기조(10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보조압력 라인(311a)(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331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압력 검사라인이 구비된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는 예를 들어 제어부(400)에 이상이 발생되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쪽에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압력 이상을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를 제1보조압력 라인(311a)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과 연결시킨 상태에서 제1보조압력 라인(311a)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을 통해 제1압력 라인(310a)과 제2압력 라인(320) 및 제3압력 라인(330a)의 압력 값을 확인 한 다음, 제1압력 라인(310a)과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이용하여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하고 이를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설정된 압력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이상을 판단한 후, 자동이나 수동으로 제1개폐밸브(621a)를 작동시켜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쪽에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압력 이상을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또한 같은 방법으로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를 제1보조압력 라인(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b)과 연결시킨 상태에서 제1보조압력 라인(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b)을 통해 제1압력 라인(310b)과 제2압력 라인(320) 및 제3압력 라인(330b)의 압력 값을 확인 한 다음, 제1압력 라인(310b)과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이용하여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하고 이를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설정된 압력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이상을 판단한 후, 자동이나 수동으로 제2개폐밸브(621b)를 작동시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를 사용하더라도 제1보조압력 라인(311a)(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에 문제가 있어 제1,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3보조압력 라인(331a)(331b)을 이용하여 제1,2분기배관(610a)(610b)의 내부 압력을 판단한 후, 제1,2분기배관(610a)(610b)의 설정된 압력과 비교한 다음 이상이 발생되면 제1,2개폐밸브(621a)(621b)의 제어를 통해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공기공급배관(600)의 한쪽에서 분기되는 제1연결배관(620a)과 제1분기배관(610a)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의 제1압력 라인(310a) 압력 값(P1)이 측정되고, 공기공급배관(600)의 다른 한쪽에서 분기되는 제2연결배관(620b) 및 제2분기배관(610b)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의 제1압력 라인(310b) 압력 값(P2)이 측정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1압력 라인(310a)(310b)의 압력 값(P1)(P2)은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측정된 압력 값(P1)(P2)은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폭기조(100)의 내부와 연결된 제2압력 라인(320) 압력 값(P3)이 측정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2압력 라인(320) 압력 값(P3)은 폭기조(100) 내부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측정된 압력 값(P3) 또한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제어부(400)에 의해 제1압력 라인(310a) 압력 값(P1)에서 제2압력 라인(320) 압력 값(P3)을 뺀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과, 제1압력 라인(310b) 압력 값(P2)에서 제2압력 라인(320) 압력 값(P3)을 뺀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을 구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제어부(400)가 이전 단계(S300)를 통해 획득한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과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이 정상적인 상태라고 판단될 수 있는 설정된 압력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1연결배관(620a)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제2연결배관(620b)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키며, 반대로 이전 단계(S300)를 통해 획득한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과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이 정상적인 상태라고 판단될 수 있는 설정된 압력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2연결배관(620b)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제1연결배관(620a)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키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1연결배관(620a)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되고, 나머지 제2연결배관(620b)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되면서 공기공급배관(600)의 공기가 제2연결배관(620b)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제1연결배관(620a)과 제1분기배관(610a)을 따라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으로 이동되어 멤브레인을 팽창시킴에 따라 멤브레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이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2연결배관(620b)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되고, 나머지 제1연결배관(620a)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되면서 공기공급배관(600)의 공기가 제1연결배관(620a)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제2연결배관(620b)과 제2분기배관(610b)을 따라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으로 이동되어 멤브레인을 팽창시킴에 따라 멤브레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 또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제1개폐밸브(621a)와 제2개폐밸브(621b)를 모두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2분기배관(610a)(610b)에는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3압력센서가 구비된 제3압력 라인(330a)(330b)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압력 라인(330a)(330b)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이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400)는 제1동적 습윤 압력 값(P4)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제2동적 습윤 압력 값(P5) 또한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제3압력 라인(330a)(330b) 각각의 압력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제3압력 라인(330a)의 압력 값이 제3압력 라인(330b)의 압력 값보다 크면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시키고,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킨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다음 개방되어 있던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키면서 폐쇄되어 있던 제2개폐밸브(621b)는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제3압력 라인(330b)의 압력 값이 제3압력 라인(330a)의 압력 값보다 크면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시키고,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킨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다음 개방되어 있던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키면서 폐쇄되어 있던 제1개폐밸브(621a)는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폭기조 200a : 제1멤브레인 산기관
200b : 제2멤브레인 산기관 310a,310b : 제1압력 라인
311a,311b : 제1보조압력 라인 320 : 제2압력 라인
321 : 제2보조압력 라인 330a,330b : 제3압력 라인
331a,331b : 제3보조압력 라인 400 : 제어부
600 : 공기공급배관 610a : 제1분기배관
610b : 제2분기배관 620a : 제1연결배관
620b :제2연결배관 621a : 제1개폐밸브
621b : 제2개폐밸브 700 :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

Claims (12)

  1. 공기공급배관(600)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1,2연결배관(620a)(620b)에 제1,2분기배관(610a)(610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분기배관(610a)(610b)에 복수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기포가 폭기조(100) 내에 공급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배관(610a)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및 상기 제2분기배관(610b)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에 설치되는 제1압력 라인(310a)(310b);
    상기 폭기조(100)에 설치되는 제2압력 라인(320);
    상기 제1,2연결배관(620a)(620b)에 설치되는 제1,2개폐밸브(621a)(621b); 및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 및 제2압력 라인(320)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제공받아 상기 제1,2개폐밸브(621a)(621b)의 개폐를 제어해주는 제어부(40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센서는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의 공기 차압을 감지하여 내부 압력을 판단할 수 있는 오리피스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폭기조(100)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압력 라인(310a)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뺀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621a)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키며,
    상기 제1압력 라인(310b)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뺀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621b)를 제외한 나머지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분기배관(610a)(610b)은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3압력센서가 구비된 제3압력 라인(330a)(330b)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압력 라인(330a)(330b)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과 제2압력 라인(320) 및 제3압력 라인(330a)(330b)에는 각각에서 분기되어 상기 폭기조(100)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보조압력 라인(311a)(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331b)이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압력 라인(311a)(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331b)은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형 압력 검사장치(700)는 상기 제1보조압력 라인(311a)(311b)과 제2보조압력 라인(321) 및 제3보조압력 라인(331a)(331b)을 통해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과 제2압력 라인(320) 및 제3압력 라인(330a)(330b)의 압력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8. 공기공급배관(600)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1,2연결배관(620a)(620b) 각각에 제1,2분기배관(610a)(610b)이 설치되고, 상기 제1,2분기배관(610a)(610b)에 복수의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이 설치되며,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기포를 폭기조(100) 내에 공급시키는 수처리 장치에 따른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의 이물질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2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에 연결된 제1압력 라인(310a)(310b)을 통해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단계(S100);
    폭기조(100) 내부에 설치되는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단계(S200);
    상기 제1압력 라인(310a)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뺀 제1동적 습윤 압력 값과, 상기 제1압력 라인(310b)의 압력 값에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의 압력 값을 뺀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을 구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어부(400)가 상기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621a)를 제외하는 나머지인 상기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켜 상기 공기공급배관(600)의 공기가 상기 제1연결배관(620a)만을 통해 제1분기배관(610a)을 거쳐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면 제어부(400)가 상기 제2연결배관(620b)의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621b)를 제외한 나머지인 상기 제1연결배관(620a)의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켜 상기 공기공급배관(600)의 공기가 상기 제2연결배관(620b)만을 통해 제2분기배관(610b)을 거쳐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4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 라인(310a)(310b)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멤브레인 산기관(200a)(200b)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차압을 이용하여 내부 압력를 판단할 수 있는 제1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 라인(320)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기 폭기조(100) 내부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2분기배관(610a)(610b)에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3압력센서가 구비된 제3압력 라인(330a)(330b)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압력 라인(330a)(330b)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이 제어부(400)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 또한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3압력 라인(330a)(330b) 각각의 압력 값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3압력 라인(330a)의 압력 값이 상대적으로 크면 상기 제1개폐밸브(621a)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2개폐밸브(621b)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을 유지한 다음 상기 제1개폐밸브(621a)를 폐쇄시키면서 상기 제2개폐밸브(621b)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3압력 라인(330b)의 압력 값이 상대적으로 크면 상기 제2개폐밸브(621b)만 개방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621a)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을 유지한 다음 상기 제2개폐밸브(621b)를 폐쇄시키면서 상기 제1개폐밸브(621a)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동적 습윤 압력 값이 상기 제1멤브레인 산기관(200a)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상기 제2동적 습윤 압력 값 또한 상기 제2멤브레인 산기관(200b) 내부의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제1개폐밸브(621a)와 제2개폐밸브(621b)를 모두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1020210058644A 2021-05-06 2021-05-06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33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4A KR102335460B1 (ko) 2021-05-06 2021-05-06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4A KR102335460B1 (ko) 2021-05-06 2021-05-06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60B1 true KR102335460B1 (ko) 2021-12-06

Family

ID=7890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44A KR102335460B1 (ko) 2021-05-06 2021-05-06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4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65A (ko) * 1999-09-27 2001-04-06 정순착 분리막 보호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033889A (ja) * 2002-07-02 2004-02-05 Sumitomo Heavy Ind Ltd 散気方法及び散気システム
JP2004174353A (ja) * 2002-11-26 2004-06-24 Tsukishima Kikai Co Ltd 散気装置の運転方法
KR20100005419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신일 오수 처리용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20150077096A (ko)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신일 공기공급 배관 내부의 상승 압력 감지에 의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용 공기 제어장치
KR20190055428A (ko) * 2017-11-15 2019-05-2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막여과 시스템 및 막여과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65A (ko) * 1999-09-27 2001-04-06 정순착 분리막 보호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033889A (ja) * 2002-07-02 2004-02-05 Sumitomo Heavy Ind Ltd 散気方法及び散気システム
JP2004174353A (ja) * 2002-11-26 2004-06-24 Tsukishima Kikai Co Ltd 散気装置の運転方法
KR20100005419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신일 오수 처리용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20150077096A (ko)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신일 공기공급 배관 내부의 상승 압력 감지에 의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용 공기 제어장치
KR20190055428A (ko) * 2017-11-15 2019-05-2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막여과 시스템 및 막여과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7545C (zh) 检漏仪
WO2008035159A3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gas permeability through films and walls of containers
KR20050072683A (ko) 유량 제어장치, 복수의 유체의 유량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시스템, 반도체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유체의유량 제어방법
ATE480704T1 (de) Leckerkennnungsverfahren sowie ventil und brennstoffsystem dafür
KR102335460B1 (ko) 동적 습윤 압력 감지를 통한 멤브레인 산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EP2122312A1 (en) Valve leakby diagnostics
JP2003248517A (ja) 定流量弁及び定流量混合方法
US20200024154A1 (en) Water quality measurement device
JP4481887B2 (ja) 散気システム
US6532980B1 (en) Pressure source with constant relative increase of pressure and method for diagnosing safety valves for over or under pressure
JP2007038179A (ja) ガス混合装置
KR20080083555A (ko) 공기압을 사용한 매설관로 누설 검사 방법
KR20200115418A (ko) 퓸 제거 장치
JP2005095719A (ja) 散気器の散気抵抗測定装置
JP2007205500A (ja) 逆流防止装置
JP2008008685A (ja) 位置確認装置
JPH1137889A (ja) 洩れ及び流量検査装置
US6587797B1 (en) Fluid consumption amount-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65397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emergency water system pressure
JPH0122837B2 (ko)
JP7548754B2 (ja) 低酸素空気供給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装置
EP1270077A1 (en) Pressure discharge flotation device.
JP3276575B2 (ja) 硬水軟化装置の硬度漏れ検出装置
JP4435636B2 (ja) 圧力調整器異常検出装置および圧力調整器異常検出方法
JP6525597B2 (ja) 真空式排液収集システムおよび排液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