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48B1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3748B1 KR102333748B1 KR1020210061859A KR20210061859A KR102333748B1 KR 102333748 B1 KR102333748 B1 KR 102333748B1 KR 1020210061859 A KR1020210061859 A KR 1020210061859A KR 20210061859 A KR20210061859 A KR 20210061859A KR 102333748 B1 KR102333748 B1 KR 102333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cking
- electrode
- stage
- separator
- lam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6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29 atom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18038 SCGB1D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23495 SCGB1D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5 an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 nickel-cadmium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은, 제1 전극이 적층되는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전극이 적층되는 제2 적층 영역 사이에서 원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마련되고 분리막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분리막의 일부가 고정되는 적층 스테이지; 및 상기 적층 스테이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전극과 분리막의 분리부들로 이루어지는 분리막 폴딩체의 단계적인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내에서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된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스테이지 상에 단계적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어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전극 적층기에 파지된 전극과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충돌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불량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과 분리막이 단계적으로 적층되는 적층 스테이지를 가변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전지의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금속 전지, 리튬-이온(Ni-Ion)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Battery, 이하 "LIPB"라 함) 등이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양극 및 음극 소재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저장 및 발생시킨다. 여기서, 방전이란 전압이 높은 음극에서 낮은 양극으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것이며(양극의 전압 차이만큼 전기를 발생), 충전이란 전자를 다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때 양극 물질은 전자와 리튬 이온을 받아들여 원래의 금속 산화물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는 충전될 때 금속 원자가 분리막을 통하여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충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로 방전될 때 금속 원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IT제품, 자동차분야 및 에너지 저장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됨으로써 각광받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에 대하여, IT제품 분야에서는 이차전지의 장시간 연속사용과, 소형화 및 경량화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출력, 내구성 및 폭발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분야는 풍력,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고정형으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완화된 조건의 이차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1970년대 초부터 연구개발이 진행되었고, 1990년 리튬 금속 대신 탄소를 음극으로 이용한 리튬 이온전지가 개발되면서 실용화되었다. 리튬 이차전지는 500회 이상의 사이클 수명과 1 내지 2시간의 짧은 충전 시간을 특징으로 하여 이차전지 중 가장 판매 신장률이 높고 니켈-수소 전지에 비해서 30 내지 40%정도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현존하는 이차전지 중 단위전지 전압(30 내지 37V)이 가장 높고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여, 이동 기기에 최적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전지라 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는 여러가지 종류로 형성될 수 있고, 대표적인 외장재의 종류는 원통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Pouch) 등이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 내부에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세퍼레이터, Separator)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가 구비된다. 전극 조립체는 그것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스택형 전극 조립체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분리막 원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시킴과 함께, 분리막 원단이 지그재그형으로 폴딩되어 형성된 분리막층들 사이에 양극과 음극이 교번적으로 개재되도록 전극을 분리막 원단에 적층하여 스택형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Z 폴딩형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분리막 원단이 적층 스테이지를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막 원단을 적층 스테이지에 고정한 후, 리니어 스크류, 리니어 모터, 기타 리니어 이송 장치를 이용해 적층 스테이지를 직선 경로를 따라 직선 왕복 이송하여, 분리막 원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한다.
또한,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적층 스테이지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는 상기 직선 경로의 양측 전환점들 각각에 분리막 원단에 양극 또는 음극을 적층하는 전극 적층기를 배치하여, 적층 스테이지를 따라 상기 전환점들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여 정지된 상태인 분리막 원단의 일영역에 전극 적층기를 이용해 전극을 적층한다.
이러한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리니어 이송 장치의 공차로 인해 적층 스테이지를 상기 전환점들에 정확히 배치하기 어렵다고 적층 스테이지의 이송시간이 길다는 문제점과, 적층 스테이지의 이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과, 적층 스테이지를 따라 상기 전환들에 도달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적층기에 파지된 전극이 충돌하지 않도록 전극 적층기를 상기 전환들로부터 멀게 이격시켜 배치해야 됨으로 인해 전극을 분리막 원단에 적층하는데 긴 공정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댄싱 롤러를 이용해 분리막 원단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분리막 원단으로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분리막 원단이 적층 스테이지를 따라 직선 경로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바, 적층 스테이지의 위치에 따라 댄싱 롤러와 적층 스테이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된다. 즉, 적층 스테이지가 상기 전환점들에 배치된 때에는 적층 스테이지와 댄싱 롤러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고, 적층 스테이지가 상기 전환점들 사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 때에는 적층 스테이와 댄싱 롤러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된다.
이러한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에 의하면, 상기 분리막 원단에 인가되는 장력을 일정하기 위해서는, 적층 스테이지가 상기 전환점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중간점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댄싱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댄싱 롤러를 통과한 분리막 원단의 일부를 다시 댄싱 롤러 쪽으로 회수하여야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Z 폴딩형 방식은, 분리막 원단이 정방향(공급 방향) 및 역방향(회수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리막 원단에 맥동이 발생함으로써, 분리막 원단에 손상이 발생하고, 분리막 원단에 인가되는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이자면, 이 경우 구성 추가로 인한 제조/관리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도 분리막 원단이 분리막 적층을 위한 적층 스테이지 측으로만 이송되지 못하고 텐션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분리막 공급부 측으로 역 이동할 수 밖에 없는바, 역 이동시 분리막이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다.
부연하자면, 분리막 공급부의 안내롤러와 접촉하면서 인출된 분리막 원단 부분이 역 이동하여 다시 안내롤러와 재접촉하면서 마찰접촉에 의해 분리막 원단이 쉽게 찢어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결국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불량, 품질 저하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전극과 더불어 분리막 원단을 폴딩하여 분리부들을 단계적으로 적층함으로써 분리막 폴딩체를 형성할 때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적층 스테이지를 동일한 패턴으로 왕복 이동시킨 바, 전극을 적층시키는 전극 적층기와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 사이의 거리가 단계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전극 적층기에 파지된 전극과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충돌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층 스테이지 상에 단계적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어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전극 적층기에 파지된 전극과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충돌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불량 발생을 저감시키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전극의 적층 위치에 적층 스테이지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적층 스테이지의 이송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원단에 맥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막 원단이 미리 정해진 공급 방향으로만 적층 스테이지를 향해 공급되는 상태에서 분리막 원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이 적층되는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전극이 적층되는 제2 적층 영역 사이에서 원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마련되고 분리막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분리막의 일부가 고정되는 적층 스테이지; 및 상기 적층 스테이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전극과 분리막의 분리부들로 이루어지는 분리막 폴딩체의 단계적인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내에서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된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가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사이를 다수회 반복 이동하여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내에서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각각 제1 적층 기준점과 제2 적층 기준점에 항시 위치하도록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단계적으로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적층 기준점과 제2 적층 기준점의 Z방향 좌표값은 상기 원호 궤적의 원호 중심축의 Z방향 좌표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사이에서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스윙 유닛에서 상기 적층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스테이지 고정블록과 상기 적층 스테이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고정블록에 대해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스테이지 고정블록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일단은 상기 승강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적층 스테이지 측으로 연장되며, 승강 블록이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적층 스테이지와 상기 승강 블록을 연결하는 승강 브래킷; 및 상기 리드 스크류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할 때 상기 적층 스테이지 및 상기 승강 브래킷이 리드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래킷은 상기 승강 블록과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블록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 상기 가이드 핀의 단부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에 비접촉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의 타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에 의하면, 적층 스테이지 상에 단계적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어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전극 적층기에 파지된 전극과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충돌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불량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스테이지에 X 방향 및 Z 방향으로 작은 관성이 작용하도록 적층 스테이지를 원호 궤적을 따라 스윙시킴으로써, 적층 스테이지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바,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을 전극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적층 영역의 기준점에 가깝게 배치하여도 전극 조립체와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이 미리 파지해둔 전극들이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이 포함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있어서, 스윙 유닛에 의해 제1 스윙이 실시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스윙 유닛에 의해 제2 스윙이 실시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서 스테이지 유닛과 폴딩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스테이지 유닛과 폴딩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폴딩 지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서 스테이지 유닛과 적층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를 이용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의 속도 그래프,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의 속도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스윙 유닛에 의해 제2 스윙이 실시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서 스테이지 유닛과 폴딩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스테이지 유닛과 폴딩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폴딩 지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서 스테이지 유닛과 적층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를 이용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의 속도 그래프,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의 속도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에 있어서, 스윙 유닛(30)에 의해 제1 스윙이 실시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에 있어서, 스윙 유닛(30)에 의해 제2 스윙이 실시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분리막 원단(S)을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 유닛(10); 분리막 원단(S)의 미리 정해진 베이스부(Fb)가 고정되는 적층 스테이지(22)를 구비하는 스테이지 유닛(20); 분리막 원단(S)이 적층 스테이지(22)를 추종하면서 이동되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미리 정해진 원호 궤적(P)을 따라 왕복으로 스윙하는 스윙 유닛(30); 적층 스테이지(22)가 상기 원호 궤적(P)을 따라 스윙될 때 분리막 원단(S)의 미리 정해진 폴딩 기준점이 걸림되게 배치되며, 상기 폴딩 기준점을 중심으로 분리막 원단(S)을 폴딩시켜 적층 스테이지(22)에 고정된 베이스부(Fb)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분리부(Fs)를 분리막 원단(S)에 단계적으로 형성하는 폴딩 지그(41)를 구비하는 폴딩 유닛(40); 적층 스테이지(22)가 상기 원호 궤적(P)의 미리 정해진 적층 위치에 도달되면 분리부(Fs)가 단계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적층 스테이지(22) 상에 층상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전극을 적층하는 적층 유닛(50); 및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스테이지(22)에서는 분리막 원단(S)이 지그재그형으로 폴딩되어 층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분리막 폴딩체(F)와, 분리막 폴딩체(F)의 서로 다단으로 적층된 베이스부(Fb) 및 분리부들(Fs) 사이의 계면들 각각에 하나씩 개재되는 전극들로 구성되는 Z 폴딩형의 전극 조립체(A)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분리막 공급 유닛(10)은, 공급롤과, 댄싱 롤러(12)와, 안내 부재(14)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롤은 롤 상태로 미리 권취된 분리막 원단(S)을 권출하는 공급하는 부재이다.
댄싱 롤러(12)는 공급롤로부터 공급된 분리막 원단(S)에 인가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함과 함께, 분리막 원단(S)의 소정의 길이만큼 임시적으로 저장해두었다가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양상에 맞춰 분리막 원단(S)을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댄싱 롤러(12)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롤러들(12a, 12b)과, 고정 롤러들(12a, 12b) 사이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롤러(12c)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롤러들(12a, 12b)과 가변 롤러(12c)는 댄싱 롤러(12)를 통과한 분리막 원단(S)의 일구간이 지그재그형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가변 롤러(12c)는 고정 롤러들(12a, 12b)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이동하면서 공급롤로부터 공급되는 분리막 원단(S)의 일구간을 댄싱 롤러(12) 내에 소정의 길이만큼 임시적으로 저장해둘 수 있다. 가변 롤러(12c)는 분리막 원단(S)의 폴딩이 정지된 상태일 때 고정 롤러(12a, 12b)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변 롤러(12c)는 스윙 유닛(30)에 의해 적층 스테이지(22)가 스윙되면서 분리막 원단(S)의 폴딩이 진행될 때, 고정 롤러들(12a, 12b)에 근접하도록 고정 롤러(12a, 12b)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데, 분리막 원단(S)이 폴딩될 때에는 분리막 원단(S)이 적층 스테이지(22)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처럼 분리막 원단(S)의 폴딩으로 인해 분리원 원단이 적층 스테이지(22) 쪽으로 당겨질 때, 가변 롤러(12c)는 분리막 원단(S)이 적층 스테이지(22) 쪽으로 당겨지는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고정 롤러들(12a, 12b)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이를 통해 댄싱 롤러(12)는 임시적으로 저장해 둔 분리막 원단(S)을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양상에 맞춰 댄싱 롤러(12)에서 적층 스테이지(22)를 향해 즉, 미리 정해진 공급 방향을 향해 공급한다. 이러한 댄싱 롤러(12)는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양상에 맞춰 분리막 원단(S)의 공급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분리막 원단(S)에 인가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 부재(14)는 적층 스테이지가 스윙 유닛(30)에 의해 스윙될 때 댄싱 롤러(12)로부터 공급된 분리막 원단(S)이 미리 정해진 추종 양상으로 적층 스테이지(22)를 추종하면서 이동하도록, 분리막 원단(S)을 안내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4)는 댄싱 롤러(12)로부터 공급된 분리막 원단(S)이 사이 간격에 개재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롤러들(14a, 14b)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롤러들(14a, 14b)은 적층 스테이지(22)의 좌우 수평 방향(이하, 'X 방향'이라고 함), 적층 스테이지(22)의 전후 수평 방향(이하, 'Y 방향'이라고 함) 및 적층 스테이지(22)의 높이 방향(이하, 'Z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내는 XYZ 좌표계에 있어서, 안내 롤러들(14a, 14b)의 사이 간격의 X 좌표값이 상기 원호 궤적(P)의 원호 중심축(C)의 X 좌표값과 동일하되 안내 롤러들(14a, 14b)의 Z 좌표값이 서로 동일하도록 설치된다. 즉, 안내 롤러들(14a,14b)은, 상기 안내 롤러들(14a, 14b)의 사이 간격이 원호 중심축(C)에 비해 +Z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안내 롤러들(14a, 14b)을 설치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댄싱 롤러(12)로부터 공급된 분리막 원단(S)을 안내 롤러들(14a, 14b)의 사이 간격을 -Z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스테이지(22)가 스윙 유닛(30)에 의해 스윙될 때, 분리막 원단(S)은 안내 롤러들(14a, 14b)의 둘레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적층 스테이지(22)를 추종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테이지 유닛(20)은 적층 스테이지(22)와, 승강기(2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적층 스테이지(22)는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를 이용해 제조하고자 하는 전극 조립체(A)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시 분리막 원단(S)의 베이스부(Fb)는 적층 스테이지(22)의 상면에 안착된다. 분리막 원단(S)의 베이스부(Fb)는 분리막 원단(S)의 선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 스테이지(22)는 이처럼 상면에 안착된 베이스부(Fb)를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는 진공 흡착 외에 다른 고정 수단을 통해 베이스부(Fb)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적층 스테이지(22)는 후술하는 스윙 유닛(30)에 의해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할 때 그 상면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관련된 추가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승강기(26)는 적층 스테이지(22)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후술하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의 상면에 설치된다. 즉, 승강기(26)는 적층 스테이지(22)와 스테이지 고정블록(31) 사이에 적층 스테이지(22)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26)는 승강모터(26a), 리드 스크류(26b), 승강 브래킷(26d), 가이드 핀(26e)을 포함한다.
먼저, 승강모터(26a)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정역 회전 제어가 용이한 서보 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스크류(26b)는 볼 스크류로서, 승강모터(26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일단은 승강모터(26a)에 축 연결되고 타단은 적층 스테이지(22) 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리드 스크류(26b)에는 리드 스크류(26b)와 나사 결합되어 리드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따라 리드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로 승강 블록(26c)이 결합된다.
승강모터(26a)와 리드 스크류(26b)는 승강기 하우징(26f) 내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승강 브래킷(26d)은 적층 스테이지(22)와 승강 블록(26c)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단은 적층 스테이지(2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브래킷(26d)은 승강모터(26a)의 구동에 의해 승강 블록(26c)이 리드 스크류(2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승강 블록(26c)과 연동하여, 즉 승강 블록(26c)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 블록(26c)에 일체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승강 브래킷(26d)에는 승강 블록(26c)이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홀이 마련되고, 승강 블록(26c)은 승강 브래킷(26d)의 상기 삽입홀에 일체로 삽입 고정된다.
가이드 핀(26e)은 리드 스크류(26b)와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승강모터(26a)의 구동에 의해 리드 스크류(26b)가 회전할 때 적층 스테이지(22) 및 승강 브래킷(26d)이 리드 스크류(26b)의 회전 방향에 따라 Z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 핀(26e)은 승강기 하우징(26f) 내에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설치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26)는 제1 연결 플레이트(26g)와 제2 연결 플레이트(26h)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드 스크류(26b)의 타단(상단), 가이드 핀(26e)의 단부(상단)는 적층 스테이지(22)에 비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적층 스테이지(22)의 승하강 이동시 적층 스테이지(22)와 연동하여 승강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1 연결 플레이트(26g)는 리드 스크류(26b)의 타단(상단), 가이드 핀(26e)의 일측 단부(상단)를 서로 연결하며, 구체적으로 리드 스크류(26b)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리드 스크류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베어링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제2 연결 플레이트(26h)는 리드 스크류(26b)의 일단(하단), 가이드 핀(26e)의 타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마찬가지로 리드 스크류(26b)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리드 스크류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플레이트(26g) 및 제2 연결 플레이트(26h)는 승강기 하우징(26f)의 내벽 또는 승강기 하우징(26f) 내부의 별도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승강 브래킷(26d)에는 가이드 핀(26e)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시(26i)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승강 브래킷(26d)에는 가이드 부시(26i)가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홀이 마련되고, 가이드 부시(26i)는 승강 브래킷(26d)의 상기 삽입홀에 일체로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기(26)는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양상에 맞춰 승강모터(26a)를 구동하여 승강 브래킷(26d)을 가이드 부시(26i)를 통해 가이드 핀(26e)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브래킷(26d)의 상단이 적층 스테이지(22)에 일체로 고정되는바 적층 스테이지(22)를 +Z 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Z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 스윙 유닛(30)은 제1 적층 영역(L1)과 제2 적층 영역(L2) 사이의 원호궤적을 따라 적층 스테이지(22)를 왕복 이동시켜 분리막 원단이 적층 스테이지(22)를 따라 추종하면서 이동하도록 분리막을 인출하는 것으로서, 적층 스테이지(22)가 상부에 결합되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과,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을 구동하는 고정블록 구동유닛(3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은 그 상부에 적층 스테이지(22)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폴딩 지그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에 마련되어 전극과 분리막을 가압 고정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층 스테이지(2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과 적층 스테이지(22)를 구분하였으나,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련 도면에는 폴딩 지그가 적층 스테이지(22)에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 구동유닛(32)은 회전암(32a)과 왕복이동 구동부(32b)를 포함한다.
회전암(32a)은 그 일단이 스테이지 고정블록(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왕복이동 구동부(32b)는 회전암(32a)의 타단을 회전시켜 적층 스테이지(22)를 원호 궤적(P)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암(32a)의 타단에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33)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 고정블록(31), 즉 적층 스테이지(22)는 원호 궤적(P)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궤적(P)의 원호각도는 180도로 형성되어 이동궤적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블록 구동유닛(32)은 회전암(32a)과 왕복이동 구동부(32b)를 포함하는 구조 외에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캠 구조, 모터-크랭크암 구조, 실린더-크랭크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 또한 적층 스테이지(22)를 수평상태로 원호 궤적(P)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왕복이동 구동부(32b)는 적층 스테이지(22)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호궤적(P)을 따라 이동하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4)는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 궤적(P)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적층 스테이지(22)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4a)와, 제1 지지부재(34a)가 상기 제1 방향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재(34a)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5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Z축 방향, 제2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적용된다.
상기 제1 방향은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 궤적(P)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를 승강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 궤적(P)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제1 방향과 수직 교차하는 방향이다.
제1 지지부재(34a)는 스테이지 고정블록(31)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이동블록(34b), 복수의 제1 이동블록(34b)이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제1 이동블록(34b)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1 레일(34c)이 Z축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본체(34d)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35a)는 베이스 지지플레이트(35b)와, 베이스 지지플레이트(35b)상에 X축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레일(35c)과, 제1 지지부재 본체(34d)가 제2 레일(35c)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재 본체(34d)의 하부에 제2 레일과 결합되는 제2 이동블록(35d)을 포함한다.
즉, 회전암(32a)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이 원호궤적(P)을 따라 이동할 때, 스테이지 고정블록(31)은 제1 지지부재 본체(34d)의 제1 레일(34c)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1 지지부재 본체(34d)는 제2 레일(35c)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지지부재(34a)와 제2 지지부재(35a)의 X, Z축 방향 슬라이드 이동 구조를 통해 스테이지 고정블록(31), 즉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형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호 궤적(P)은 미리 정해진 원호 각도 및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호 궤적(P)은 원호 각도는 180°이고, 곡률 반경이 R이고, 원호 궤적(P)의 일측 단부에 해당하는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의 XZ 좌표가 (R, 0)이며, 원호 궤적(P)의 타측 단부에 해당하는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의 XZ 좌표가 (-R, 0)이고, 원호 궤적(P)의 하사점의 XZ 좌표가 (0, -R)이 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처럼 원호 궤적(P)이 정해짐에 따라, 스윙 유닛(30)은 회전암(32a)을 미리 정해진 일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층 스테이지(22)에 안착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중심부가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에 배치되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제1 적층 영역(L1)을 향해 스윙하는 제1 스윙과, 회전암(32a)을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층 스테이지(22)에 안착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중심부가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에 배치되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제2 적층 영역(L2)을 향해 스윙하는 제2 스윙을 교번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전극 조립체(A)는 분리막 원단(S)을 폴딩하여 분리부들(Fs)을 단계적으로 적층함으로써 분리막 폴딩체(F)를 형성함과 함께, 분리막 폴딩체(F)에 포함된 베이스부(Fb) 및 분리부들(Fs)의 계면들에 전극을 개재시켜 형성하는 바, 분리부들(Fs)의 및 전극들의 개재 양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A)의 Z 방향 두께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전극 조립체(A)의 형성 양상에 따라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Z 방향 좌표는 점직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Z 방향 좌표가 변화를 고려치 않고 적층 스테이지(22)를 동일한 패턴으로 계속적으로 스윙시키면, 후술할 적층 유닛(50)의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 및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와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 사이의 거리가 단계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에 파지된 전극들과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이 충돌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승강기(26)는 적층 스테이지(22)에 안착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Z 좌표값이 원호 중심축(C)의 Z 좌표값과 동일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분리막 원단(S)의 폴딩 및 전극의 적층 양상에 맞춰 적층 스테이지(22)를 -Z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승강기(26)는 전극 조립체(A)의 Z 방향 두께 증가분만큼 적층 스테이지(22)를 -Z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스윙 유닛(30)은 전극 조립체(A)의 Z 방향 두께 증가와 상관없이 제1 스윙 및 제2 스윙을 동일한 패턴으로 교번적으로 실시하여,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을 제1 적층 영역(L1) 및 제2 적층 영역(L2)에 교번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을 제1 적층 영역(L1) 및 제2 적층 영역(L2)에 배치하도록 제1 스윙 및 제2 스윙을 실시하는 경우에, 안내 롤러들(14a, 14b)은 각각 제1 스윙 또는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된 상태일 때 분리막 원단(S)이 상기 안내 롤러(14a, 14b)의 둘레면의 최저점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안내 롤러들(14a, 14b)은 각각, 제1 스윙 또는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된 상태일 때 상기 안내 롤러(14a, 14b)의 둘레면의 최저점과 맞닿는 분리막 원단(S)의 특정 지점의 Z 좌표값이 원호 중심축(C)의 Z 좌표값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내 롤러들(14a, 14b)은 각각, 제1 스윙과 제2 스윙이 실시완료된 상태일 때, 안내 롤러들(14a, 14b)과 분리막 폴딩체(F)사이에서 분리막 원단(S)이 +X 방향 또는 - X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폴딩 유닛(40)은 적층 스테이지(22)가 제1 스윙 및 제2 스윙될 때 안내 롤러(14a, 14b)를 통과한 분리막 원단(S)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하여 적층 스테이지(22)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막 원단(S)은 선단부에 해당하는 베이스부(Fb)가 적층 스테이지(22)에 고정되는 바, 적층 스테이지(22)의 스윙 시 적층 스테이지(22)를 추종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분리막 원단(S)의 이동 경로에 분리막 원단(S)이 걸림되는 걸림 부재를 배치되면, 분리막 원단(S)은 걸림 부재에 걸림된 분리막 원단(S)의 특정 부위를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유닛(40)은 이러한 분리막 원단(S)의 폴딩 원리를 이용해, 적층 스테이지(22)가 상기 원호 궤적(P)을 따라 스윙될 때 안내롤러(14a, 14b)를 통과한 분리막 원단(S)을 미리 정해진 폴딩 기준점을 기준으로 폴딩시켜, 적층 스테이지(22)에 미리 고정된 베이스부(Fb)에 Z 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되는 분리부들(Fs)을 분리막 원단(S)에 단계적으로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폴딩 지그(4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폴딩 지그(41)는 제1 폴딩 지그(42), 제2 폴딩 지그(4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폴딩 지그(42)는 제1 스윙이 실시될 때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일단이 걸림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상층의 일단을 중심으로 안내 롤러들(14a, 14b)을 통과한 분리막 원단(S)을 폴딩시켜, 새로운 분리부(Fs)를 상기 최상층에 미리 적층된 전극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최상층으로부터 연장 형성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 중심축(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스윙이 실시되는 경우, 제1 폴딩 지그(42)는 제1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에 있어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위치한 분리부(Fs)의 양측 단부 중 분리부(Fs)와 분리막 원단(S)의 연결점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우측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폴딩 지그(42)는 적층 스테이지(22)의 전후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제1 폴딩 지그들(42)은 각각 분리부(Fs)에 후술할 적층 유닛(50)의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에 의해 미리 적층된 제2 전극(E2)을 -Z 방향으로 눌러서 고정함과 동시에 분리부(Fs)의 우측 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유닛(40)은 이러한 제1 폴딩 지그들(42)을 각각 Y 방향 및 Z 방향 각각으로 왕복 이송하는 한 쌍의 제1 지그 이송기들(4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그 이송기들(44)은 제1 폴딩 지그들(42)을 각각 제1 스윙이 실시될 때에만 제1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에 있어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해당하며 제1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 바로 직전의 제2 스윙의 실시 회차에서 적층된 제2 전극(E2)을 -Z 방향으로 눌러줌과 동시에 분리부(Fs)의 우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제1 폴딩 지그(42)를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윙이 실시될 때, 분리막 원단(S)은 폴딩 기준점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폴딩되고, 분리막 폴딩체(F)에는 이전의 제2 스윙의 실시 회차에서 형성된 분리부(Fs) 및 이러한 분리부(Fs)에 적층된 제2 전극(E2)을 커버하며 베이스부(Fb)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분리부(Fs)가 새로 형성되며, 이처럼 새로 형성된 분리부(Fs)는 분리막 폴딩체(F)의 새로운 최상층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1 지그 이송기들(44)은 각각, 새로 형성된 분리부(Fs)가 직전에 형성된 분리부(Fs)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제1 폴딩 지그(42)가 새로 형성된 분리부(Fs)와 직전에 형성된 분리부(Fs)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1 폴딩 지그(42)를 이송한다.
제2 폴딩 지그(43)는 제2 스윙이 실시될 때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타단이 걸림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상층의 타단을 중심으로 안내 롤러들(14a, 14b)을 통과한 분리막 원단(S)을 폴딩시켜, 새로운 분리부(Fs)를 상기 최상층에 미리 적층된 전극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최상층으로부터 연장 형성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스테이지(22)가 원호 중심축(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스윙이 실시되는 경우, 제2 폴딩 지그(43)는 제2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에 있어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위치한 분리부(Fs)의 양측 단부 중 분리부(Fs)와 분리막 원단(S)의 연결점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좌측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폴딩 지그(43)는 적층 스테이지(22)의 전후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제2 폴딩 지그들(43)은 각각 분리부(Fs)에 후술할 적층 유닛(50)에 의해 미리 적층된 제1 전극(E1)을 -Z 방향으로 눌러서 고정함과 동시에 분리부(Fs)의 좌측 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유닛(40)은 이러한 제2 폴딩 지그들(43)을 각각 Y 방향 및 Z 방향 각각으로 왕복 이송하는 한 쌍의 제2 지그 이송기들(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그 이송기들(45)은 제2 폴딩 지그들(43)을 각각 제2 스윙이 실시될 때에만 제2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에 있어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해당하며 제2 스윙의 현재 실시 회차 바로 직전의 제1 스윙의 실시회차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을 -Z 방향으로 눌러줌과 동시에 분리부(Fs)의 좌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제2 폴딩 지그(43)를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스윙이 실시될 때, 분리막 원단(S)은 폴딩 기준점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폴딩되고, 분리막 폴딩체(F)에는 이전의 제1 스윙의 실시 회차에서 형성된 분리부(Fs) 및 이러한 분리부(Fs)에 적층된 제1 전극(E1)을 커버하며 베이스부(Fb)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분리부(Fs)가 새로 형성되며, 이처럼 새로 형성된 분리부(Fs)는 분리막 폴딩체(F)의 새로운 최상층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지그 이송기들과 제2 지그 이송기들은 각각, Y방향으로 로드를 전후진 시킬수 있는 실린더, Z방향으로 로드를 전후진 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Y방향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Z방향 승강을 위한 실린더 몸체를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그 이송기들(45)은 각각, 새로 형성된 분리부(Fs)가 직전에 형성된 분리부(Fs)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경우, 제2 폴딩 지그(43)가 새로 형성된 분리부(Fs)와 직전에 형성된 분리부(Fs)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2 폴딩 지그(43)를 이송한다.
이러한 폴딩 유닛(40)에 의하면, 제1 스윙과 제2 스윙이 미리 정해진 실시 회차만큼 교번적으로 실시될 때, 제1 폴딩 지그(42) 및 제2 폴딩 지그(43)를 이용해 분리막 원단(S)을 교번적으로 폴딩함으로써, 지그재그형으로 폴딩된 분리막 원단(S)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시 회차와 동일한 개수의 분리부들(Fs)을 포함하는 분리막 폴딩체(F)를 적층 스테이지(22) 상에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분리막 원단(S)의 폴딩 공정에 있어서, 베이스부(Fb)가 적층 스테이지(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최초의 스윙에 해당하는 제1 스윙 또는 제2 스윙이 실시될 때에는, 제1 폴딩 지그(42) 및 제2 폴딩 지그(43)는 베이스부(Fb)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폴딩 지그(42) 및 제2 폴딩 지그(43)는 베이스부(Fb)에 제1 전극(E1) 또는 제2 전극(E2)이 적층된 상태에서 후속의 제1 스윙 또는 제2 스윙을 실시할때부터, 분리막 원단(S)에 전술한 분리부(Fs)가 단계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동된다.
도 12는 스테이지 유닛(20)과 적층 유닛(5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 적층 유닛(50)은 제1 스윙 또는 제2 스윙의 실시가 완료되었을 때 제1 적층 영역(L1) 또는 제2 적층 영역(L2)에 배치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에 제1 전극(E1) 또는 제2 전극(E2)을 적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유닛(50)은 제1 적층 유닛(52)과, 제2 적층 유닛(5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층 유닛(52)은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다수의 제1 전극들(E1)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52a)와, 제1 적재 트레이(52a)로부터 공급된 제1 전극(E1)을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하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와, 제1 적재 트레이(52a)로부터 제1 전극(E1)을 파지한 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 안착시켜 공급하는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와, 제1 전극 정렬 부재(52b)로부터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된 제1 전극(E1)을 파지한 후 제1 스윙이 실시 완료되어 제1 적층 영역(L1)에 배치된 분리막 폴딩체(F)의 현재 최상층에 해당하는 분리부(Fs)에 적층하는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 등을 가질수 있다.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적재 트레이(52a)와 제1 전극 정렬 부재(52b) 사이 구간을 왕복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극 정렬용 암(52e)과,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제1 전극(E1)을 진공 흡착하여 파지 한 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파지 해제하여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 안착시키는 제1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52f)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가 비어 있는 상태일 때,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제1 전극(E1)을 미리 파지해둔 제1 전극(E1)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파지 해제하여,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 정렬 부재(52b)는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로부터 공급된 제1 전극(E1)을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와 제1 적층 영역(L1) 사이 구간을 왕복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극 적층용 암(52g)과,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된 제1 전극(E1)을 진공 흡착하여 파지 한 후 제1 적층 영역(L1)에서 파지 해제하여, 분리막 폴딩체(F)의 현재 최상층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상면에 Z 방향으로 적층하는 제1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52h)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제1 파지 부재가 제1 전극(E1) 트레이에서 미리 파지해둔 제1 전극(E1)이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과 대면하도록, 제1 스윙이 실시 완료되기 전에 제1 적층 영역(L1)에서 미리 대기한다.
또한,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스윙이 실시완료되면, 미리 파지해둔 제1 전극(E1)을 파지 해제하여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상면에 적층한다.
한편,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와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 상에서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적층 유닛(54)은 양극과 음극 중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다수의 제2 전극들(E2)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54a)와, 제2 적재 트레이(54a)로부터 공급된 제2 전극(E2)을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하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와, 제2 적재 트레이(54a)로부터 제2 전극(E2)을 파지한 후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 안착시켜 공급하는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와, 제2 전극 정렬 부재(54b)로부터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된 제2 전극(E2)을 파지한 후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어 제2 적층 영역(L2)에 배치된 분리막 폴딩체(F)의 현재 최상층에 해당하는 분리부(Fs)에 제2 전극(E2)을 적층하는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와 제2 전극 정렬 부재(54b) 사이 구간을 왕복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전극 정렬용 암(54e)과,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제2 전극(E2)을 진공 흡착하여 파지 한 후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파지 해제하여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 안착시키는 제2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54f)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가 비어 있는 상태일 때,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미리 파지해둔 제2 전극(E2)을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파지 해제하여,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정렬 부재(54b)는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로부터 공급된 제2 전극(E2)을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할 수 있다.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와 제2 적층 영역(L2) 사이 구간을 왕복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전극 적층용 암(54g)과,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된 제2 전극(E2)을 진공 흡착하여 파지 한 후 제2 적층 영역(L2)에서 파지 해제하여, 분리막 폴딩체(F)의 현재 최상층에 해당하는 분리부(Fs)의 상면에 Z 방향으로 적층하는 제2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54h)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제2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54h)가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미리 파지해둔 제2 전극(E2)이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과 대면하도록,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기 전에 제2 적층 영역(L2)에서 미리 대기한다. 또한,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미리 파지해둔 제2 전극(E2)을 파지 해제하여 분리막 폴딩체(F)의 최상층의 상면에 적층한다.
한편,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와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 상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를 이용해 전극 조립체(A)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를 이용해 전극 조립체(A)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스윙을 먼저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전극 조립체(A)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스테이지(22)의 고정부를 이용해 분리막 원단(S)의 베이스부(Fb)를 적층 스테이지(22)의 상면에 고정한다(S10).
다음, 후속의 제1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베이스부(Fb)가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승강기(26)는 적층 스테이지(22)를 -Z 방향으로 베이스부(Fb)의 두께만큼 하강시킨다. 이와 함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대기하고,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E1)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파지한 후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1 적층 영역(L1)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제2 전극(E2)을 파지한 후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 안착시키고,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2 적층 영역(L2)에서 대기한다(S20).
이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유닛(30)은 제1 스윙을 실시하여 베이스부(Fb)를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에 배치한다. 이와 함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대기한다(S30).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미리 파지해둔 제1 전극(E1)을 제1 적층 영역(L1)에 배치된 베이스부(Fb)에 적층한다(S40).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1 적층 영역(L1)에서 대기하고, 제1 폴딩 지그(42)는 후속의 제2 스윙이 실시될 때 베이스부(Fb)의 좌측 단부가 당해 제1 폴딩 지그(42)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S4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을 -Z 방향으로 눌러서 고정한다(S50).
다음, 승강기(26)는 후속의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후속의 제2 스윙으로 인해 새로 형성되는 분리부(Fs)가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S 4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의 두께만큼 -Z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와 함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전극(E1)을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파지한 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 안착시키고,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제2 전극(E2)을 파지한 후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2 적층 영역(L2)에서 대기한다(S 60).
이후,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유닛(30)은 제2 스윙을 실시하여, 새로운 분리부(Fs)를 베이스부(Fb) 및 S4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을 커버하도록 형성함과 함께, 새로 형성된 분리부(Fs)를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에 배치한다. 이와 함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대기하고,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대기한다(S 70).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미리 파지해둔 제2 전극(E2)을 S7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에 적층한다.
이와 함께, 제1 폴딩 지그(42)를 베이스부(Fb)와 분리부(Fs)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한다(S 80).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2 적층 영역(L2)에서 대기하고, 제2 폴딩 지그(43)는 후속의 제1 스윙이 실시될 때 S7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의 우측 단부가 제2 폴딩 지그(43)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S80 단계에서 적층된 제2 전극(E2)을 -Z 방향으로 눌러서 고정한다(S 90).
다음, 승강기(26)는 후속의 제1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후속의 제1 스윙으로 인해 새로 형성되는 분리부(Fs)가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S 7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의 두께 및 S 80 단계에서 적층된 제2 전극(E2)의 두께 및 합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Z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와 함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대기하고,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제1 전극(E1)을 파지한 후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1 적층 영역(L1)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전극(E2)을 제2 적재 트레이(54a)서 파지한 후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안착시킨다(S 100).
이후,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유닛(30)은 제1 스윙을 실시하여, 새로운 분리부(Fs)를 S 7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 및 S 80 단계에서 적층된 제2 전극(E2)을 커버하도록 형성함과 함께, 새로 형성된 분리부(Fs)를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에 배치한다. 이와 함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4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대기한다(S 110).
다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미리 파지해둔 제1 전극(E1)을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에 적층한다. 이와 함께, 제2 폴딩 지그(43)를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와 S 7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한다(S 120).
이후, 다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적층 영역(L1)의 제1 적층 기준점(L1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1 적층 영역(L1)에서 대기하고, 제1 폴딩 지그(42)는 후속의 제2 스윙이 실시될 때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의 좌측 단부가 제1 폴딩 지그(42)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S 12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을 -Z 방향으로 눌러서 고정한다(S 130).
다음, 승강기(26)는 후속의 제2 스윙이 실시 완료되면 후속의 제2 스윙으로 인해 새로 형성되는 분리부(Fs)가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의 두께 및 S 12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의 두께 및 합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Z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와 함께, 다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전극(E1)을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파지한 후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 안착시키고,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2 적재 트레이(54a)에서 대기하고,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54d)는 제2 전극 정렬 부재(54b)에서 제2 전극(E2)을 파지한 후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2 적층 영역(L2)에서 대기한다(S 140).
이후,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유닛(30)은 제2 스윙을 실시하여, 새로운 분리부(Fs)를 상기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분리부(Fs) 및 상기 S 120 단계에서 적층된 제1 전극(E1)을 커버하도록 형성함과 함께, 새로 형성된 분리부(Fs)를 제2 적층 영역(L2)의 제2 적층 기준점(L2a)에 배치한다. 이와 함께, 다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52c)는 제1 적재 트레이(52a)에서 대기하고,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52d)는 제1 전극 정렬 부재(52b)에서 대기한다(S 150).
위와 같은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S 80 내지 S 150 단계를 미리 정해진 실시 회차만큼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수의 분리부(Fs)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A)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윙을 시작으로 분리막 원단(S)의 폴딩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S 80 단계는 제1 폴딩 지그(42)를 1회차의 제2 스윙에 의해 최초로 형성된 분리부(Fs)와 베이스부(Fb)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하도록 실시한다. 그런데, 2회차 이상의 제2 스윙이 실시된 이후부터, 상기 80 단계는 제1 폴딩 지그(42)를 현재 회차의 제2 스윙에 의해 형성된 분리부(Fs)와 직전 회차의 제1 스윙에 의해 형성된 분리부(Fs)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인출하도록 실시한다.
도 22는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의 속도 그래프이고,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에 있어서, 적층 스테이지(22)의 속도 그래프이다.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는, 전극 조립체가 안착된 적층 스테이지를 전극 조립체의 수평 방향(X 방향)을 따라 설정된 직선 경로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시켜 분리막 원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는, 적층스테이지 및 이에 안착된 전극 조립체가 폴딩 지그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전극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 급격하게 가감속되면서 이송되고, 적층 스테이지 및 이에 안착된 전극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의 행정 거리가 길다. 이로 인해,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는, 전극 조립체에 수평 방향으로 큰 관성이 작용하여 전극 조립체에 관성 방향(수평 방향)으로의 틀어짐이 발생하고, 적층 스테이지 및 이에 안착된 전극 조립체의 이송 시간이 길고, 적층 스테이지를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관성에 의해 전극 조립체에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딩 지그를 이용해 전극 조립체를 두께 방향으로 큰 압력으로 가압하여야 했는 바, 폴딩 지그로부터 인가되는 큰 가압력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전극들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한편,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를 미리 정해진 원호 각도 및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 궤적(P)을 따라 스윙시켜 분리막 원단(S)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시킴으로써 분리막 폴딩체(F)를 구성한다. 이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 및 이에 안착된 전극 조립체(A)를 전극 조립체(A)의 수평 방향(X 방향) 및 두께 방향(Z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가감속시키면서 이송하여, 분리막 원단(S)을 지그재그형으로 폴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폴딩 지그(4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수평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A)에 작용하는 관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A)에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 조립체(A)를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적층 스테이지(22)의 행정 거리를 줄여 적층 스테이지(22) 및 이에 안착된 전극 조립체(A)의 이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의 스윙 시 적층 스테이지(22)가 Z 방향으로도 점진적으로 가감속되면서 이송되는 바, 전극 조립체(A)는 Z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으로 인해 Z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을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의 스윙 시 폴딩 지그(41)를 통해 전극 조립체(A)를 Z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줄일 수 있는 바, 폴딩 지그(41)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A)에 포함된 전극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에 X 방향 및 Z 방향으로 작은 관성이 작용하도록 적층 스테이지(22)를 원호 궤적(P)을 따라 스윙시킴으로써, 적층 스테이지(22)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바,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52d, 54d)을 전극(E1, E2)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적층 영역(L1,L2)의 적층 기준점(L1a, L2a)에 가깝게 배치하여도 전극 조립체(A)와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52d, 54d)이 미리 파지해둔 전극들(E1, E2)이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전극 적층용 이재기들(52d, 54d)의 행정 거리를 줄여, 전극 적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적층 스테이지(22)를 원호 궤적(P)을 따라 이송하는 바, 적층 스테이지(22) 및 댄싱 롤러(12)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종래의 Z 폴딩형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와 같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위해 분리막 원단(S)을 댄싱 롤러(12) 쪽으로 회수할 필요 없이 분리막 원단(S)을 미리 정해진 공급 방향으로만 이송하여도 분리막 원단(S)에 인가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1)는 분리막 원단(S)을 공급 및 회수하는 과정에서 분리막 원단(S)에 발생하는 맥동으로 인해 분리막 원단(S)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막 원단(S)에 인가되는 장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10 : 분리막 공급 유닛
12 : 댄싱 롤러 12a, 12b : 고정 롤러
12c : 가변 롤러 14 : 안내 부재
14a, 14b : 안내 롤러 20 : 스테이지 유닛
22 : 적층 스테이지 26 : 승강기
26a: 승강모터 26b: 리드 스크류
26c: 승강 블록 26d: 승강 브래킷
26e: 가이드 핀 26f: 승강기 하우징
26g: 제1 연결 플레이트 26h: 제2 연결 플레이트
26i: 가이드 부시 30 : 스윙 유닛
31: 스테이지 고정블록 32: 고정블록 구동유닛
32a: 회전암 33: 구동모터
34: 지지부재 34a: 제1 지지부재
34b: 제1 이동블록 34c: 제1 레일
34d: 제1 지지부재 본체 35a: 제2 지지부재
35b: 베이스 지지플레이트 35c: 제2 레일
35d: 제2 이동블록
40 : 폴딩 유닛 41 : 폴딩 지그
42 : 제1 폴딩 지그 43 : 제2 폴딩 지그
44 : 제1 지그 이송기 45 : 제2 지그 이송기
50 : 적층 유닛 52 : 제1 적층 유닛
52a : 제1 적재 트레이 52b : 제1 전극 정렬 부재
52c :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 52d :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
52e : 제1 전극 정렬용 암 52f : 제1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
52g : 제1 전극 적층용 암 52h : 제1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
54 : 제2 적층 유닛 54a : 제2 적재 트레이
54b : 제2 전극 정렬 부재 54c :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
54d :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 54e : 제2 전극 정렬용 암
54f : 제2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
54g : 제2 전극 적층용 암 54h : 제2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
S : 분리막 원단 A : 전극 조립체
F : 분리막 폴딩체 Fs : 분리부
Fb : 베이스부 E1 : 제1 전극
E2 : 제2 전극 C : 원호 궤적
L1 : 제1 적층 영역 L1a : 제1 적층 기준점
L2 : 제2 적층 영역 L2a : 제2 적층 기준점
12 : 댄싱 롤러 12a, 12b : 고정 롤러
12c : 가변 롤러 14 : 안내 부재
14a, 14b : 안내 롤러 20 : 스테이지 유닛
22 : 적층 스테이지 26 : 승강기
26a: 승강모터 26b: 리드 스크류
26c: 승강 블록 26d: 승강 브래킷
26e: 가이드 핀 26f: 승강기 하우징
26g: 제1 연결 플레이트 26h: 제2 연결 플레이트
26i: 가이드 부시 30 : 스윙 유닛
31: 스테이지 고정블록 32: 고정블록 구동유닛
32a: 회전암 33: 구동모터
34: 지지부재 34a: 제1 지지부재
34b: 제1 이동블록 34c: 제1 레일
34d: 제1 지지부재 본체 35a: 제2 지지부재
35b: 베이스 지지플레이트 35c: 제2 레일
35d: 제2 이동블록
40 : 폴딩 유닛 41 : 폴딩 지그
42 : 제1 폴딩 지그 43 : 제2 폴딩 지그
44 : 제1 지그 이송기 45 : 제2 지그 이송기
50 : 적층 유닛 52 : 제1 적층 유닛
52a : 제1 적재 트레이 52b : 제1 전극 정렬 부재
52c : 제1 전극 정렬용 이재기 52d : 제1 전극 적층용 이재기
52e : 제1 전극 정렬용 암 52f : 제1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
52g : 제1 전극 적층용 암 52h : 제1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
54 : 제2 적층 유닛 54a : 제2 적재 트레이
54b : 제2 전극 정렬 부재 54c : 제2 전극 정렬용 이재기
54d : 제2 전극 적층용 이재기 54e : 제2 전극 정렬용 암
54f : 제2 전극 정렬용 파지 부재
54g : 제2 전극 적층용 암 54h : 제2 전극 적층용 파지 부재
S : 분리막 원단 A : 전극 조립체
F : 분리막 폴딩체 Fs : 분리부
Fb : 베이스부 E1 : 제1 전극
E2 : 제2 전극 C : 원호 궤적
L1 : 제1 적층 영역 L1a : 제1 적층 기준점
L2 : 제2 적층 영역 L2a : 제2 적층 기준점
Claims (7)
- 제1 전극이 적층되는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전극이 적층되는 제2 적층 영역 사이에서 원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마련되고 분리막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분리막의 일부가 고정되는 적층 스테이지; 및
상기 적층 스테이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전극과 분리막의 분리부들로 이루어지는 분리막 폴딩체의 단계적인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내에서 상기 적층 스테이지 상에 적층된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승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사이에서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스윙 유닛에서 상기 적층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스테이지 고정블록과 상기 적층 스테이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고정블록에 대해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접근 또는 이격시키며,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스테이지 고정블록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일단은 상기 승강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적층 스테이지 측으로 연장되며, 승강 블록이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적층 스테이지와 상기 승강 블록을 연결하는 승강 브래킷; 및
상기 리드 스크류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할 때 상기 적층 스테이지 및 상기 승강 브래킷이 리드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 상기 가이드 핀의 단부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에 비접촉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의 타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적층 스테이지가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사이를 다수회 반복 이동하여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상기 제1 적층 영역과 제2 적층 영역 내에서 상기 분리막 폴딩체의 최상층이 각각 제1 적층 기준점과 제2 적층 기준점에 항시 위치하도록 상기 적층 스테이지를 단계적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 기준점과 제2 적층 기준점의 Z방향 좌표값은 상기 원호 궤적의 원호 중심축의 Z방향 좌표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래킷은 상기 승강 블록과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 유닛.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7972A KR20220154583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90072 | 2020-12-31 | ||
KR20200190072 | 2020-12-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7972A Division KR20220154583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3748B1 true KR102333748B1 (ko) | 2021-12-01 |
Family
ID=7870266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1859A KR102333748B1 (ko) | 2020-12-31 | 2021-05-13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KR1020210061860A KR102327492B1 (ko) | 2020-12-31 | 2021-05-13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KR1020210061858A KR102333754B1 (ko) | 2020-12-31 | 2021-05-13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
KR1020210099452A KR102336427B1 (ko) | 2020-12-31 | 2021-07-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0210127973A KR20220154584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KR1020210127972A KR20220154583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KR1020210127971A KR20220154582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1860A KR102327492B1 (ko) | 2020-12-31 | 2021-05-13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KR1020210061858A KR102333754B1 (ko) | 2020-12-31 | 2021-05-13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
KR1020210099452A KR102336427B1 (ko) | 2020-12-31 | 2021-07-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0210127973A KR20220154584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KR1020210127972A KR20220154583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KR1020210127971A KR20220154582A (ko) | 2020-12-31 | 2021-09-28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7) | KR10233374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082B1 (ko) * | 2018-09-07 | 2019-03-18 | 조기봉 |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
KR20190098047A (ko) * | 2019-01-18 | 2019-08-21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용 고속 스택 제조 장치 |
KR102120403B1 (ko) * | 2020-02-21 | 2020-06-08 | 주식회사 우원기술 | 이차전지용 셀 스택 제조장치 |
KR20200089452A (ko) | 2019-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6432B1 (ko) * | 2016-04-04 | 2018-09-07 | (주)엔에스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KR102003737B1 (ko) * | 2018-02-13 | 2019-10-01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용 고속 스택 제조 장치 |
KR20200023852A (ko) * | 2018-08-27 | 2020-03-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
KR102049509B1 (ko) * | 2019-02-26 | 2019-11-27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방법 및 장치 |
KR20200104190A (ko) * | 2019-02-27 | 2020-09-03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방법 및 장치 |
KR20200145375A (ko) * | 2019-06-21 | 2020-12-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
-
2021
- 2021-05-13 KR KR1020210061859A patent/KR1023337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5-13 KR KR1020210061860A patent/KR1023274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5-13 KR KR1020210061858A patent/KR102333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7-28 KR KR1020210099452A patent/KR102336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28 KR KR1020210127973A patent/KR20220154584A/ko unknown
- 2021-09-28 KR KR1020210127972A patent/KR20220154583A/ko unknown
- 2021-09-28 KR KR1020210127971A patent/KR2022015458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082B1 (ko) * | 2018-09-07 | 2019-03-18 | 조기봉 |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
KR20200089452A (ko) | 2019-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
KR20190098047A (ko) * | 2019-01-18 | 2019-08-21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용 고속 스택 제조 장치 |
KR102120403B1 (ko) * | 2020-02-21 | 2020-06-08 | 주식회사 우원기술 | 이차전지용 셀 스택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7492B1 (ko) | 2021-11-17 |
KR102333754B1 (ko) | 2021-12-01 |
KR20220154582A (ko) | 2022-11-22 |
KR20220154583A (ko) | 2022-11-22 |
KR20220154584A (ko) | 2022-11-22 |
KR102336427B1 (ko) | 202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6983B1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
JP5714295B2 (ja) | 積層体の作製装置および作製方法 | |
US1110149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
KR20210009779A (ko) |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 |
KR20180133235A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
KR101896432B1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
KR102333748B1 (ko)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적층 스테이지 승강유닛 | |
KR20230017704A (ko)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US20210057775A1 (en) | Stack holding apparatus | |
KR101963739B1 (ko) | 적층형 2차전지의 분리막 마감장치 | |
KR101873198B1 (ko) | 2차전지 제조용 소재 연결장치 | |
KR20210045182A (ko) | 2차전지 제조장치용 픽업 앤 플레이스 장치 | |
KR102165376B1 (ko) | 2차 전지용 연속식 고속 셀 스택 적층장치 | |
KR101912883B1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시스템 | |
KR102320193B1 (ko) | 폴딩방식을 이용한 2차전지 스테킹 방법 | |
KR102322077B1 (ko) | 폴딩플레이트를 구비한 2차전지 스테킹 장치 | |
KR20220002014A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
KR102192818B1 (ko) |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 |
KR20220002013A (ko) |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전극 조립체 | |
KR20230001210A (ko) |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단면 전극 스택용 분리막 핸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 |
KR20220119728A (ko) | 이차전지의 전극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KR20220120373A (ko) | 단위셀의 이송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