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01B1 -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01B1
KR102321901B1 KR1020190126709A KR20190126709A KR102321901B1 KR 102321901 B1 KR102321901 B1 KR 102321901B1 KR 1020190126709 A KR1020190126709 A KR 1020190126709A KR 20190126709 A KR20190126709 A KR 20190126709A KR 102321901 B1 KR102321901 B1 KR 10232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ontact signal
power
amount
outpu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861A (ko
Inventor
이상원
권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to KR102019012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02J3/38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접점신호만을 기반으로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인버터를 통한 태양광 발전량을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설비의 중단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태앙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역전력계전기의 출력접점신호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출력된 상기 출력접점신호는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며, 상기 출력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감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SUNLIGHT GENERATION SYS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접점신호만을 기반으로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인버터를 통한 태양광 발전량을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설비의 중단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태앙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상계거래란, "전기사용자가 태양광 발전설비를 전기 판매 목적이 아닌 자가소비형으로 설치를 하고 난 후 태양광 발전설비로 생산된 전기를 가정집 혹은 공장으로 먼저 공급을 하고 남은 전기를 한전으로 전송하면 한전에서는 전송된 전기량만큼 다음번 전기요금에서 차감시켜주는 거래 방식" 이다.
상계거래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서 한전이 수용가에게 해택을 주는 방식이며, 한전 입장에서는 태양광발전은 제어 불가능하고 또 전력품질 면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없으므로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현재의 상계거래 조건은 주택, 공장, 상가건물, 축사 및 창고 등에 소규모로 설치되며, 설치용량이 50kW 이하인 설비이다.
하지만, 설치면적의 증가와 용량 증대로 최근에는 법적으로는 상계거래가 인정되지 않는 50kW 이상의 용량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계절적 시간대별(점심시간, 방학 등) 전력 수용의 편차로 인해, 만약 태양광발전으로 발전된 전력량이 현재 사용가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보다 큰 경우 한전 계통으로 역 송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태양광발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담당하는 계전기가 역전력계전기다.
즉, 역전력계전기는 부하에서 계통으로 역으로 전기(력)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접점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로 태양광 분전함에 설치된 배선용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를 차단시켜 태양광발전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역전력계전기의 동작은 계약용량의 20% 이상으로 10초 이상 지속되면 동작하도록 설정되며, 현재는 태양광발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계통체계로 운용되고 있다.(도 1 참조)
하지만 많은 경우 태양광발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 보다는 역전력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태양광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면 전력계통의 안정성도 높임은 물론,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8809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 역전력계전기의 출력접점신호만을 이용하여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중단없이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역전력계전기의 출력접점신호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출력된 상기 출력접점신호는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며, 상기 출력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는 상기 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력접점신호의 미입력시 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역전력계전기는 제1출력접점신호 및 제2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고,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미입력시 마다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감소되고,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일 실시례에 의하면, 상기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상기 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출력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될 때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력접점신호의 미입력시 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상기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마다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마다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출력접점신호에 따라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중단없는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중단없는 태양광 발전으로 발전 설비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종래 대비 전체적인 발전량이 증대되어 경제적 가치가 증대된다.
또한, 종래에는 역전력계전기의 동작으로 발전 설비가 중단(차단)되면 관리자가 수동으로 다시 설비를 가동시켜야 했으나, 중단없는 발전 설비의 운영으로 관리자의 부재로 인한 발전 손실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전체적인 유지/운영/보수 비용을 함께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구성도.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비 및 연결관계 등은 도 1을 참조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비 및 작동 상태 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역전력계전기는 부하에서 계통으로 역으로 전기(력)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접점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로 태양광 분전함에 설치된 배선용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를 차단시켜 태양광발전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현재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역전력계전기는 태양광발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계통체계로만 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기 전에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조절하여 중단없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으므로, 본 발명은 역전력계전기와 인버터를 사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은 2가지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첫 번째가 역전계전기에서 역전력 상태가 계측되면 바로 태양광발전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버터의 MPP(Maximum Power Point)를 이동시켜서 교류 발전량을 줄이도록 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가 역전계전기에서 역전력 상태가 계측되면 일부의 태양전지판(PV 모듈)을 분리시켜 직류 발전량을 줄이는 방식이다. 전자의 경우가 본 발명의 주 원리이며, 후자의 경우는 차단과 투입이 가능한 고전압 DC 릴레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금의 기술로는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방식이다.
인버터를 통한 교류 발전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단계(step)별 제어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별 제어는 제어 신호가 들어오면 정해진 크기 단위(step)로 발전량을 증(+) 또는 감(-)시키는 방식이다.
단계별 제어는 현재 설치되고 있는 방식을 변형하여 구현하는 제어방법으로 역전력계전기의 상태 출력을 이용하여 역전력 상황이 발생했다는 접점이 발생하면 인버터가 발전량을 단계별로 축소하는 방식이다. 즉, 인버터가 발전량을 일정 단계 축소시켰는데도 역전력 상황이 지속되면 다시 한 단계 발전량을 더 낮추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 수행은 접점신호가 사라질 때까지 반복되고, 정상전력이 되면 역전력계전기의 접점신호가 해제된다. 따라서, 접점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단계별 누진적으로 발전량이 감소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기존의 역전력계전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인버터에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접점신호에 따라서 단계별로 발전량을 감소시키는 기능만 부여하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의 증가로 인버터의 발전량을 늘려야 할 경우에는 일정 시간 접점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인버터의 발전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발전량의 축소와 증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태양광 설비는 대다수의 운전 조건이 소비전력량이 발전전력량 보다 더 크기 때문에 발전전력량 추적 동작은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특별히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발전량 추적 동작은 하드웨어적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인버터 내의 소프트웨어적인 변수값 변경으로 이루어지므로 장비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역전력계전기에 출력접점 1개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나 기술적인 어려움이 없다.
다만, 전술한 추적 동작을 시행하는데는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될 수 있어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역전력계전기의 동작시간을 경과할 수 있으므로 인버터의 제어 알고리즘에 변경이 있어야 하며, 추적 경계 역전력치를 법적 한계치 보다는 조금 낮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을 1개 사용하는 제어 방식을 조금 더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하기 위하여, 역전력계전기에 출력접점을 2개 추가하여 제어할 수 있다. 출력접점 1개는 역전력 상태인가를 알려주는 신호로, 출력접점 다른 1개는 여유전력 상태인가를 알려주는 신호로 나누는 방식이다. 즉, 전자의 접점이 들어오면 인버터는 발전전력량을 줄이는 제어를 수행하고, 후자의 접점이 들어오면 인버터는 발전전력량을 늘리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전술한 1개의 접점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감/증 반복 동작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조금 더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1개의 출력접점을 사용하는 방식과 2개의 출력접점을 사용하는 방식 모두 결과적으로는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계 조건에서 태양광 발전이 되도록 발전량을 줄이는 작업을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역전력 상태가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태양광 발전을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으므로 관리 측면에서 편리함은 물론, 발전효율을 높힐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요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요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례(출력접점 1개 사용)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역전력계전기(10)의 출력접점신호(S0)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된다. 즉, 역전력 상태가 되면 역전력계전기(10)가 동작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 자체가 정지되므로, 역전력 상태가 되기 전에 역전력계전기(10)로부터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출력된 출력접점신호(S0)는 인버터(20)로 입력된다. 이를 위해 출력접점신호(S0)가 인버터(20)로 입력되도록 역전력계전기(10)와 인버터(20)를 연결시킨다. 이때, 역전력계전기(10)와 인버터(20)를 다이렉트로 연결시키거나, 역전력계전기(10)로부터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추가하고, 감지부와 인버터(2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출력접점신호(S0)에 따라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감된다. 즉, 인버터(20)는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될 때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인버터(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접점신호(S0)의 미입력시 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증가시킨다. 일례로,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될 때마다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5kW씩 감소시키고, 10분 동안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되지 않으면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5kW씩 증가시킨다. 이후 다시 10분 동안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되지 않으면 추가적으로 5kW를 증가시키며, 이와 같은 발전전력량 증가 동작은 10분 단위로 출력접점심호(S0)가 출력되지 않으면 반복된다.
다음으로,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례(출력접점 2개 사용)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역전력계전기(10)는 제1출력접점신호(S1) 및 제2출력접점신호(S2)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제1출력접점신호(S1)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인버터(20)로 입력되고, 제2출력접점신호(S2)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출력접점신호(S1)의 미입력시 마다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인버터(20)로 입력된다. 즉, 제1출력접점신호(S1)는 역전력 상태로 가는 경우 제2출력접점신호(S2)는 여유전력 상태일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출력접점신호(S1)의 입력시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감소되고, 제2출력접점신호(S2)의 입력시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가된다. 일례로, 제1출력접점신호(S1)가 출력될 때마다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5kW씩 감소시키고, 제2출력접점신호(S2)가 출력될 때마다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을 5kW씩 증가시킨다.
한편, 인버터(20)의 발전전력량의 증감 설정치는 역전력계전기(10)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출력접점신호(S0), 제1출력접점신호(S1) 및 제2출력접점신호(S2)의 출력 설정값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일 실시례는, 역전력계전기(10)로부터 출력접점신호(S0)가 출력되는 단계(S10), 출력된 출력접점신호(S0)가 인버터(20)로 입력되는 단계(S20) 및 입력된 출력접점신호(S0)에 따라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때,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S30)는, 출력접점신호(S0)가 인버터(20)로 입력될 때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감시키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접점신호(S0)의 미입력시 마다 기설정된 전력량만큼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증가시키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방법의 다른 실시례는, 역전력계전기(10)로부터 제1출력접점신호(S1)가 출력되는 단계(S10-1), 출력된 제1출력접점신호(S1)가 인버터(20)로 입력되는 단계(S20-1), 제1출력접점신호(S1)의 입력시마다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감소시키는 단계(S31), 역전력계전기(10)로부터 제2출력접점신호(S2)가 출력되는 단계(S10-2), 출력된 제2출력접점신호(S2)가 인버터(20)로 입력되는 단계(S20-2) 및 제2출력접점신호(S2)의 입력시마다 인버터(20)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가시키는 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역전력계전기가 동작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정지하기 전에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역전력계전기로 인한 중단없는 태양광 설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전 및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역전력계전기 20 : 인버터
S0 : 출력접점신호 S1 : 제1출력접점신호
S2 : 제2출력접점신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발전전력량과 부하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량을 파악하고 부하에서 계통 방향으로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면 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역전력계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역전력계전기는 제1출력접점신호 및 제2출력접점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는 역전력 상태가 감지되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고,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미입력시 마다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감소되고,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 상기 인버터의 발전전력량이 일정량씩 증가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마다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역전력계전기로부터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출력접점신호가 상기 인버터로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출력접점신호의 입력시마다 상기 인버터가 발전전력량을 일정량씩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26709A 2019-10-14 2019-10-14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32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09A KR102321901B1 (ko) 2019-10-14 2019-10-14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09A KR102321901B1 (ko) 2019-10-14 2019-10-14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61A KR20210043861A (ko) 2021-04-22
KR102321901B1 true KR102321901B1 (ko) 2021-11-08

Family

ID=7573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709A KR102321901B1 (ko) 2019-10-14 2019-10-14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80B1 (ko) 2022-10-06 2023-06-02 조재욱 전력 계통의 역전력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0652B1 (ko) * 2023-11-27 2024-07-04 주식회사 풍성인더스 전력 제어를 통한 역송전 방지 및 벤틸레이션 기능을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64B1 (ko) * 2015-11-20 2016-03-02 지투파워(주) 하이브리드 mppt제어에 의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개선 방법
KR101705499B1 (ko) * 2016-11-03 2017-02-09 이앤에이치(주) 태양광 하이브리드형 에너지저장장치의 잉여전력 제어 시스템
KR101717956B1 (ko) * 2016-10-17 2017-03-20 (주)한국스카다 Iot 기반의 역 전송 전력조절 및 누수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44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대성기전 태양광 접속반 역전력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64B1 (ko) * 2015-11-20 2016-03-02 지투파워(주) 하이브리드 mppt제어에 의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개선 방법
KR101717956B1 (ko) * 2016-10-17 2017-03-20 (주)한국스카다 Iot 기반의 역 전송 전력조절 및 누수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05499B1 (ko) * 2016-11-03 2017-02-09 이앤에이치(주) 태양광 하이브리드형 에너지저장장치의 잉여전력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80B1 (ko) 2022-10-06 2023-06-02 조재욱 전력 계통의 역전력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61A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285B2 (en) Photovoltaic voltage regulation
Urtasun et al.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a battery-diesel stand-alone system with distributed PV generation based on grid frequency modulation
JP6063031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その制御方法
Haidar et al. An improved scheme for enhancing the ride-through capability of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towards meeting the recent grid codes requirements
KR10232190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JP5939069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07028735A (ja) 分散電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4388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역전력 차단을 위한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574651B2 (ja) 電力制御装置
EP2989709B1 (en) A module for storing/drawing electricity in/from an electric accumulator applicable to photovoltaic systems, a photovoltaic system and a method of upgrading a photovoltaic system
JP6369803B2 (ja) 蓄電装置
US10951039B2 (en) Multi-input PV inverter system and method
JP2008035619A (ja) 分散型電源の単独運転判定方法
WO2016056315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そ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WO2014024731A1 (ja) 連系系統切替装置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US1065172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lar light voltage
JP6086328B2 (ja) 周波数制御方法
JP6438072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6625469B2 (ja) 電力制御装置
JP3242499U (ja) 電力制御装置
JP6294447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94791B1 (ko)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단독 운전 검출 방법
JP2023166743A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7073852A (ja) 系統連系用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rtasun Erburu et al.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a battery-diesel stand-alone system with distributed PV generation based on grid frequency 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