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916B1 -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0916B1 KR102320916B1 KR1020210022679A KR20210022679A KR102320916B1 KR 102320916 B1 KR102320916 B1 KR 102320916B1 KR 1020210022679 A KR1020210022679 A KR 1020210022679A KR 20210022679 A KR20210022679 A KR 20210022679A KR 102320916 B1 KR102320916 B1 KR 102320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potato
- plant
- tuber
- red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8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529 tetraterp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RJGDLRCDCYRQOQ-UHFFFAOYSA-N Anthr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CC2=C1 RJGDLRCDCYRQ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723762 Potato virus Y Species 0.000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SMUHPMZFPKNMZ-VBYMZDBQSA-M Chlorophyll b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O)=[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NSMUHPMZFPKNMZ-VBYMZDBQSA-M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2868 chlorophyll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2869 chlorophyll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MSDCGXQALIMLM-UHFFFAOYSA-N 2-[2-[bis(carboxymethyl)amino]ethyl-(carboxymethyl)amino]acetic acid;iron Chemical compound [Fe].OC(=O)CN(CC(O)=O)CCN(CC(O)=O)CC(O)=O LMSDCGXQALIM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898 Ov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453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881 catalytic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1 modif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8017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 괴경 무병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지하 괴경 무병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와 지하 괴경 무병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자 식물을 적색광(Red/660 nm), 청색광(Blue/450 nm) 및 백색광(390~700 nm)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 또는 감자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씨감자 또는 감자와 씨감자 또는 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자 생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병 씨감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기존의 씨감자 생산은 조직배양에서 기본종, 기본식물, 원원종, 원종, 보급종 생산을 하는데 5년이나 걸린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단계인 기본종(pre-basic) 단계는 온실에서 양액재배나 상토를 이용하여 고밀도로 재배하지만, 시설이나 계절의 한계로 1년에 최대 2회 생산하는 생산량에서 한계가 있다. 식물 공장에서 육묘나 엽채류의 경우엔 다양한 LED 조명 시스템에 따른 생산성이 이미 많이 검증이 되어왔지만, 주요한 식량 작물들, 특히 종자용 씨감자 및 감자괴경 생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국내외적으로 없다.
통제된 환경/식물 공장/실내 재배에서의 식물 생산은 잎이 무성한 채소, 마이크로그린, 과일 및 기타 일부 농작물 종들을 위한 잘 확립된 농업 생산 시스템이다.
그러나, 식물 공장에서의 종자로서의 감자괴경의 생산은 외부 환경을 무시하고 일년 내내 5~6회 종자로서의 씨감자 괴경이 생산될 수 있는 비교적 새로운 아이디어이다. 식물 공장에서, 식물 식품 생산은 기술적으로 최적화된 구조물 가능 공간으로 이전되어 계절에 따른 중단없이 최적화된 성장 조건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장하고 우수한 식품 품질을 보장한다.
통제된 환경에서 식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햇빛이 제한되어 인공적인 빛이 빛의 상태를 결정짓기 때문에 빛은 중요하다. 빛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조절하며, 식물 광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탄수화물과 총 바이오매스를 증가시키고 궁극적인 생산도 증가시킨다.
식물 전체 재배 과정은 광질, 수량 및 광 기간에 의해 관리된다. 온실 생산에서 인공 조명은 자연광을 보충하지만, 식물 공장에서 식물은 인공 조명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또한, 폐쇄된 식물 공장의 조명 환경을 조절하여 식물의 생산성과 영양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청색광과 적색광은 영양 품질, 수확량, 바이오매스 생산과는 별개로 식물 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따라서 많은 식물 종들은 온실이나 청색광과 적색광을 이용하여 식물 공장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한다. 식물들이 자연광으로부터 받는 총 빛을 고려하면, 흡수된 빛의 90%는 청색광과 적색광이라는 보고가 있다.
청색광과 적색광은 상추, 시금치, 무, 후추 식물, 오이의 영양과 기능 상태를 증가시켰다. 피토크롬 정지단계의 조절을 통해 광질과 양을 관리하여 활성피토크롬과 총피토크롬의 비율을 변화시키고, 광수용체를 활성시키고 효소활성을 촉진함으로써 농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더 큰 규모에서, 식물 공장들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현장 재배에 비해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식물을 생산하지만 에너지 소비는 전자의 경우 더 높다. 따라서, 공장 생산을 위한 맞춤화된 특성의 최적화는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정적인 전략이다. 게다가, 많은 연구 전략들이 북극 지역이나 심지어 우주 농업과 같은 극단적인 환경에서 식물 식품을 재배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할 때, 종별 요소의 설계와 개발은 식품-에너지 연결의 지속 가능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하다. 인공 LED는 에너지 수요가 낮은 정밀한 스펙트럼에 따라 광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인공 LED 조명은 광질과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달 단계에 따라 정밀한 작물에 필요한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낮은 광선 조사 하에서 청색, 적색, 원적색, 백색의 최적 조합은 식물 생산을 개선하는 동시에 에너지 비용을 절감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84936호에는 LED 식물공장의 소형분화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2333호에는 LED를 광원으로 하고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엽채류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괴경 생산기술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씨감자 또는 감자의 생산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감자 식물에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를 조사하여 재배함으로써, 생산량이 증진된 지하부 괴경 씨감자 및 일반 감자 괴경 재배방법을 확립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 또는 감자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 또는 감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감자 또는 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무균 씨감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인공 인큐베이터내에서 조직배양을 통해 생산된 조직배양묘를 온실에서 계절에 맞춰서 생산하여 연 1~2회 생산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스마트팜 재배 환경 내에서 특정 LED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을 조사하여 씨감자를 재배함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연 5~6회 생산이 가능한 기술로, 씨감자 생산 단계를 5년에서 1년으로 줄여서 신품종의 시장 진입을 조기에 가능하게 하고, 기본종 씨감자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국내 뿐만 아니라, 감자를 재배하는 130여개국에 수출이 가능한 엄청난 시장성을 지녀,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LED를 조사하여 재배한 감자 식물(Golden king, Chungang)의 PVY 감염 여부를 검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을 재배하는 사진을 보여준다.
도 3은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 당 괴경 수 및 괴경 생체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 당 1 g 이상의 괴경 수, 1 g 이하의 괴경 수, 큰 괴경의 생체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의 총 탄수화물 함량과 총 당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5의 L1= 적색광:청색광:초적광(R:B:Fr), L2=적색광:청색광:백색광(R:B:W), L3=청색광:초적광(B:Fr), L4=청색광:백색광(B:W), L5=적색광:초적광(R:Fr), L6=적색광:백색광(R:W), L7=자연광(Control)
도 2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을 재배하는 사진을 보여준다.
도 3은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 당 괴경 수 및 괴경 생체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 당 1 g 이상의 괴경 수, 1 g 이하의 괴경 수, 큰 괴경의 생체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광원 조사 조건에 따른 감자 식물의 총 탄수화물 함량과 총 당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5의 L1= 적색광:청색광:초적광(R:B:Fr), L2=적색광:청색광:백색광(R:B:W), L3=청색광:초적광(B:Fr), L4=청색광:백색광(B:W), L5=적색광:초적광(R:Fr), L6=적색광:백색광(R:W), L7=자연광(Control)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량이 증진된 지하 괴경 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적색광의 파장은 640~680 ㎚이고,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430~470 ㎚이고, 상기 백색광의 파장은 390~700 n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색광의 파장은 660 ㎚이고,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450 ㎚이고, 상기 백색광의 파장은 390~70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LED 조사는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4~18시간씩 30~50일 동안 조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6시간씩 40일 동안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68~72:18~22:8~12 비율이 되도록 조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70:20:10 비율이 되도록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재배는 일반 비닐 온실 또는 유리 온실에 보조광의 밭 재배 또는 포트 재배, 밀폐형 실내 스마트팜 조건 또는 식물공장형 조건하에서 분무경 방식으로 수경재배 또는 포트재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재배는 담수경, 배지경, 분무경 등 영양액을 공급하는 모든 영양재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감자는 골든킹(Golden king, 금왕) 또는 청강(Chungang) 품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생산량이 증진된 지하 괴경 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재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68~72:18~22:8~12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4~18시간씩 30~50일 동안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70:20:10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6시간씩 40일 동안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생산량이 증진된 지하 괴경 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괴경 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하 괴경 씨감자 또는 일반 괴경 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68~72:18~22:8~12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4~18시간씩 30~50일 동안 조사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70:20:10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6시간씩 40일 동안 조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묘목 생산 및 성장 조건
실험 대상에는 감자(Solanum tuberosum L. cv.) 골든킹(Golden king, 강원대V48)과 청강(Chungang, 강원대V41) 품종이 선택되었고, 이 두 품종은 강원대학교 임영석 교수가 개발한 품종으로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청강: 제5962호)과 출원된 품종(출원번호 2019-131)을 사용하였다. 선택된 각각 품종들은 감자괴경으로부터 무균 생장점배양을 통해서 기내로 도입되었다. 기내로 도입된 식물체는 100 μmolm-2s-1의 광합성 광자 플럭스 밀도(PPFD)를 갖는 인공 백색 LED 조명 하에서 시험관 내 조건에서 재배했다. 시험관 내 재배실의 광주기, 상대습도(RH) 및 온도는 각각 16/8시간(낮/야간), 70% 및 25℃였다.
상기 재배한 30일된 조직배양 묘목들을 16-셀 플러그 트레이에 들어 있는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무균 토양에 이식되었다. 새로 이식된 묘목들은 적응을 위해 그늘 아래 3일 동안 온실에 놓여졌다. 3일 후, 적응된 묘목들은 인공 LED 조명을 갖춘 스마트팜 식물 공장으로 옮겨졌다.
30일된 시험관 내에서 재배된 감자 조직배양식물을 토양에 이식하기 전에 PVY 면역 스트립 키트(ISK 20001/0025, Agdia, Inc., USA)를 사용하여 PVY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결과는 도 1과 같이 PVY 음성이었다.
2. 식물 공장 및 LED(Light-Emitting Diode) 설정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LED 장치는 ESLED Co.LTD.,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적색광(R, 660 nm), 청색광(B, 450 nm), 초적광(FR, 730 nm), 백색광(W) LED 등이 결합돼 표 1에 따른 광 처리가 이뤄졌다. 광도는 조명 패널로부터 20 cm 떨어진 식물 차양 높이(plant canopy level)에서 계산되었다(도 2).
Spectrum combinations | Intensity ratio(%) | Intensity (μmol m-2s-1) |
Code name |
R+B+FR | 70:20:10 | 100 | L1 |
R+B+W | 70:20:10 | 100 | L2 |
B+FR | 70:30 | 100 | L3 |
B+W | 70:30 | 100 | L4 |
R+FR | 70:30 | 100 | L5 |
R+W | 70:30 | 100 | L6 |
Natural light | - | - | L7 |
R: 적색광(Red/660 nm), B: 청색광(Blue/450 nm), W: 백색광(390~700 nm), FR: 초적광(Far Red/730 nm)
식물 공장의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식물 생장과 괴경 성장 기간에 광주기 16/8시간(light/dark), 온도 25/15℃(day/night), 상대습도(RH) 70%로 각각 설정하고, 낮과 밤의 온도는 자동 에어컨에 의해 유지되었다. 실험 기간 동안, 감자 식물은 일주일에 두번 양액 영양 용액으로 관개되었다(표 2).
화합물 이름 |
Vegetative Growth Period (Transplantation to 40 th Day) |
Tuber Bulking Period (41th days to Harvesting day) |
||
A 탱크(50 L) | B 탱크(50 L) | A 탱크(50 L) | B 탱크(50 L) | |
Ca(NO3) | 1.5 kg | 7.66 kg | ||
KNO3 | 3.79 kg | 3.79 kg | 3.54 kg | 3.54 kg |
(NH4)2HPO4 | 1.6 kg | 1.52 kg | ||
MgSO4 | 4.3 kg | 3.68 kg | ||
K2SO4 | 1.3 kg | |||
Fe-EDTA | 460 g | 460 g | 30.8 g | |
MnSO4 | 30.8 g | |||
H3BO3 | 57.2 g | 57.2 g | ||
ZnSO4 | 3.6 g | 3.6 g | ||
CuSO4 | 1.3 g | 1.3 g | ||
(NH4)6MO7O24·4H2O | 0.4 g | 0.4 g |
3. 식물성장 특성 및 수율 측정
감자 식물의 성장 특성은 식물 공장에서 인공 LED 조명이 시작된 지 40일 후에 측정되었다. 식물 높이, 잎 수, 마디 수, 잎 길이와 너비, 생체중, 건조 중량 등 성장 특성을 측정했다. 감자 종자 괴경은 감자 식물이 완전히 성숙되었을 때 90일 동안 재배한 후에 수확하여 측정하였다. 괴경 수율은 6개 식물/처리의 수율을 고려하여 측정하였다.
4. 감자 식물의 광합성 색소 분석
감자의 엽록소 a(Chl a), 엽록소 b(Chl a), 총 엽록소(Chl), 카로티노이드 등 광합성 색소는 LED 빛 처리 시작 40일 후에 분석하였다. 광합성 색소 분석을 위해 각 처리한 6개 식물 표본을 수확하였다. 수확한 잎은 즉시 액체 질소에 투하된 다음 -80℃에 저장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합성 색소 검출을 위해 신선한 잎(3 g)을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하여 80% 아세톤 10 mL에 불린 후 상온에 15분간 두었다. 채취한 추출물은 튜브로 옮겨 4,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흡수율은 각각 647, 663 및 470 nm에서 분광광도계(UV-1800 240V, 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합성 색소는 하기 식에 따라 결정되었고 mg/g 생체중(FW)으로 표현하였다.
엽록소 a = 12.25 × A663 - 2.79 × A647
엽록소 b = 21.50 × A647 - 5.10 × A663
총 엽록소 = 7.15 × A663 + 18.71 × A647
카로티노이드 = 1000 × A470 - 1.82 × Chl a - 85.02 × Chl b
5. 총 가용성 탄수화물(TSC) 및 총 가용성 당(TSS) 함량 결정
수확한 신선 잎 샘플(250 mg)에 에탄올 5 mL(95%)를 넣고 균질화하였다. 추출물의 불용성 분율은 에탄올 5 mL(70%)로 세척한 후 3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TSC 및 TSS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0.1 mL의 분취액을 안트론(200 mg의 anthrone과 72% 황산 100 mL 혼합) 1 mL와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은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후 냉각하였다. 총 가용성 탄수화물은 표준 포도당 곡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검출 파장은 625 nm였으며, 결과는 mg/g 생체중으로 표현되었다. 수크로스 함량의 경우 0.2 mL의 상등액을 0.1 mL(30%)의 KOH와 혼합하고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상온에서 냉각 후 3 mL의 안트론(150 mg anthrone과 70% 황산 100 mL 혼합)을 첨가하였다. 10분 후, 샘플은 냉각되었고 흡광도는 620 nm에서 측정하였다. TSS 농도는 표준 포도당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mg/g 생체중으로 표현하였다.
실시예 1. 감자 식물 성장 특성 및 종자 괴경 수율
표 3은 다른 LED 광 스펙트럼 하에서 재배된 감자 식물의 성장 특성을 나타낸다. 연구를 통해, L5 처리는 인공 광 조합 중 양 품종 감자 재배 특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식물 높이, 식물 신선도 및 건조 중량은 두 재배 감자의 L5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마디 수(node number)는 L2/L6/L7을 제외하고 광 조합 내에서 동일했다. 총 잎 수는 강원대V48의 경우 L5에서, 강원대V41의 경우 L2에서 더 높았다. 잎 길이는 강원대V48의 경우 L1/L3/L5, 강원대V41의 경우 L3/L5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인공 LED 광 스펙트럼의 다른 조합이 감자 식물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했다. L5(적색+초적색) 광 조합은 감자 식물의 빠른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적인 추세가 관찰되었다. 적색과 초적색을 갖는 L5 처리는 청색광을 포함한 처리에 비해 감자 잎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두 감자 품종(골든킹, 청강)은 거의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에 대한 유사한 반응 패턴을 보였고, 마디 수는 다양한 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실시예 2. 감자 식물 종자 괴경 수율
식물당 총 괴경 수와 괴경의 생체중은 도 3과 같다. 두 감자 품종의 경우 모두 L2에서 식물당 괴경 수가 더 높았으나, 총 괴경 생체중은 강원대V48에서는 L1이, 강원대V41에서는 L2가 더 높았다. 강원대V48 품종의 경우 L1 처리에 비해 L2 처리에서 총 괴경의 생체중이 감소된 것은 괴경이 더 작았기 때문이다.
큰 괴경의 생체중은 Golden king(강원대V48)의 L1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높으며, 가장 높은 2개의 괴경이 1 g을 넘고, 골든킹(Golden king, 금왕)과 청강 (Chungang) 모두 L4 처리구에서 최소로 나타났다(도 4).
실시예 1 및 2의 결과를 통해, 감자 식물의 성장과 괴경의 형성은 반대로 평가된다. 식물의 성장은 두 식물에 대해 L5 처리에서 촉진되었지만, 괴경 형성은 L2(적색+청색+백색) 처리에서 강화되었다. 이 현상은 성장 및 감자 괴경 형성에 대한 빛 요구사항이 독립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상기 결과는 적색, 청색, 백색의 복합 스펙트럼이 줄기 연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결국 괴경으로 변한다는 것을 입증했고, 괴경(씨감자)의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는 L2 처리가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감자 식물의 광합성 색소 분석
감자 식물의 총 엽록소, Ch1 a, b,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같은 광합성 색소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광처리 중 L1 처리는 강원대V48 품종의 총 엽록소, Ch1 a, b 및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에 상당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강원대V41 품종의 경우, L3에서 총 엽록소, Ch1 a, b가 가장 높았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무처리 다음으로 L1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에 4. 감자 식물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
총 탄수화물 함량과 총 당 함량은 도 5에 나타내었다. 탄수화물은 광합성의 최종 산물이고 식물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매개 변수이다. 두 감자 품종의 총 탄수화물과 당 함유량은 다르게 반응하였다. 총 탄수화물과 당 함량은 강원대V48(골든킹, 금왕) 품종은 L1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강원대V41(청강) 품종은 L5 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Claims (8)
- 골든킹(Golden king) 또는 청강(Chungang) 품종의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68~72:18~22:8~12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4~18시간씩 30~50일 동안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의 재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의 파장은 640~680 ㎚이고,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430~470 ㎚이고, 상기 백색광의 파장은 390~7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의 재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재배된 생산량이 증진된 씨감자.
- 골든킹(Golden king) 또는 청강(Chungang) 품종의 감자 식물을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 LED를 68~72:18~22:8~12 비율이 되도록 조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하루에 14~18시간씩 30~50일 동안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감자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79A KR1023209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79A KR1023209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0916B1 true KR102320916B1 (ko) | 2021-11-03 |
Family
ID=7850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679A KR1023209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091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5460A (ko) * | 2015-08-28 | 2017-03-08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광질을 이용한 시금치의 재배방법 |
KR20170139551A (ko) * | 2015-03-25 | 2017-12-19 | 비타빔 엘티디. | 근적외선 및 가시 광선을 이용한 식물 성장 및 발달 촉진 방법 및 장치 |
-
2021
- 2021-02-19 KR KR1020210022679A patent/KR1023209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9551A (ko) * | 2015-03-25 | 2017-12-19 | 비타빔 엘티디. | 근적외선 및 가시 광선을 이용한 식물 성장 및 발달 촉진 방법 및 장치 |
KR20170025460A (ko) * | 2015-08-28 | 2017-03-08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광질을 이용한 시금치의 재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ang et al. |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influ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ydroponically grown leaf lettuce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
Lu et al. |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ing with light-emitting diodes (LEDs) on tomato yield and quality of single-truss tomato plants grown at high planting density | |
Wheeler et al. | Utilization of potatoes for life support systems II. The effects of temperature under 24-h and 12-h photoperiods | |
Heo et al. | Effects of supplementary LED lighting on growth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Dieffenbachia amoena ‘Camella’and Ficus elastica ‘Melany’ | |
Anjanawe et al. |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growth media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vigour of papaya | |
CN103222420A (zh) | 一种基于led节能光源的小青菜室内栽培技术 | |
KR101120635B1 (ko) | 고품질 ? 고기능성 과채류의 재배방법 | |
CN108094168A (zh) | 一种植物工厂条件下生产富硒生菜的方法 | |
JP5988420B2 (ja) | 葉菜類の生産方法 | |
WO2021057476A1 (zh) | 一种调控植物代谢物质的光环境调控方法 | |
WO2020199277A1 (zh) | 促进植物生长的光照方法和植物灯及其应用 | |
CN109220747A (zh) | 一种蕹菜水培方法 | |
JP6795176B2 (ja) | 植物の栽培方法 | |
Dyśko et al. | Effects of LED and HPS lighting on the growth, seedling morphology and yield of greenhouse tomatoes and cucumbers | |
Johkan et al. | Improved light conditions at the fruit truss accelerate harvest time and enhance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a low-truss, high-density tomato production system | |
Neznamova et al. | The use of energy-efficient sources while growing a small quantity of the cucumber under the artificial lighting agricultural ecosystem | |
CN115589892A (zh) | 一种茶树补光培育方法 | |
KR102320916B1 (ko) | 스마트팜 시스템 내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 |
CN102823495A (zh) | 一种蓝莓的培育方法 | |
KR102499822B1 (ko) |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삼의 재배방법 | |
Treder et al. | The effects of LEDs on growth and morphogenesis of vegetable seedlings cultivated in growth chambers | |
Sadek et al. | Performance of lettuce plants under organic mulch and LEDs light colors | |
CN105917939A (zh) | 一种薄皮甜瓜侧蔓扦插育苗的方法 | |
CN107996304B (zh) | 一种提高芹菜叶柄芹菜素含量的温度调控方法 | |
CN107593455B (zh) | 一种利用led灯促进油橄榄快速育苗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