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945B1 -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2945B1 KR102312945B1 KR1020190091461A KR20190091461A KR102312945B1 KR 102312945 B1 KR102312945 B1 KR 102312945B1 KR 1020190091461 A KR1020190091461 A KR 1020190091461A KR 20190091461 A KR20190091461 A KR 20190091461A KR 102312945 B1 KR102312945 B1 KR 102312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demolition
- fixing
- separation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와,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격부를 고정부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와, 이격부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 spacer part having one end protrudingly install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part, a connecting pa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spaced part by connecting the fixed part, and a blocking part installed up and down on one end of the spaced part to block the detachment of the tornad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emolition work while form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demolition work space of the barrier plate by installing the separation part and the fixing part on the outer wall so as to install the barrier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apparatus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for demolition,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최근에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기존의 건물을 해체한 후 다시 새로운 건물을 짓거나 고층건물의 일정 부분만을 해체하여 보수하는 작업이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s buildings deteriorate, many works are being carried out to dismantle existing buildings and then build new ones or to dismantle and repair only a certain part of high-rise buildings.
이러한,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는 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중장비를 건물의 옥상에 올려 윗층부터 차례로 해체하는 기계식 해체공법과, 기둥이나 내력벽, 창 사이의 벽(Pier)과 같은 구조물에 소량의 폭약을 이용하여 파괴 시켜 해체하는 발파해체공법이 있다.There are several methods of dismantling an existing building, one of which is a mechanical dismantling method in which heavy equipment is placed on the roof of a building and dismantled sequentially from the upper floor, and a structure such as a column, a load-bearing wall, or a wall between windows (Pier) There is a blasting and dismantling method in which a small amount of explosive is used to destroy and dismantle.
기계식 해체공법은, 중기 인양, 중기하중에 대한 위험요소 등으로 안전성에 검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종종 노후 된 건물이 흔들림에 따라 중장비나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echanical dismantling method has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verify safety due to risk factors for heavy lifting and heavy loads, and there are often safety accidents in which heavy equipment or workers fall from high places due to shaking of old buildings. there was.
발파해체공법은, 고층건물의 안정성과 강성을 저하시켜 불안정한 상태로 만들어 구조물 자체의 하중으로 붕괴하도록 유도하여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고층건물의 해체작업 시, 화약의 폭발에 의해 대부분의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소음을 유발하고 분진 등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last dismantling method is a method of dismantling high-rise buildings by lowering the stability and rigidity of the high-rise building to an unstable state and inducing it to collapse under the load of the structure itself.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noise and generating dust.
특히, 해체 대상이 되는 건물들이 도심지나 주택가 등에 위치하는 경우 고층건물의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으로 인하여 주변 건물에 피해를 주며, 이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여 공기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buildings to be dismantled are located in downtown areas or residential areas, noise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of high-rise buildings cause damage to neighboring buildings, and civil complaints about this cause delays. there was.
또한, 종래의 건축구조물의 철거방법으로는 먼저 별도의 흙막이를 설치하고 강재를 사용하여 흙막이를 지지하도록 후에,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내려가면서 기존 건축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In addition, as a conventional method of demolition of a building structure, a method of dismantling an existing building structure while descending from an upper layer to a lower layer is generally applied after installing a separate retaining barrier and using steel to support the retaining barrier.
이러한 종래의 건물의 철거방법은, 인접한 건축구조물의 철거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민원이 발생할 소지가 있고, 진동이나 소음이 그대로 인접 건축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공해나 진동공해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this conventional method of demolition of a build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ivil complaints may occur because the demolition space of an adjacent building structur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vibration or noise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building structure as it is, causing noise pollution or vibration pollutio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form an installation space and a demolition work space of a blocking plat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emolition work at the same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discharging performance of the demolition and at the same time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demolition do it with
또한, 본 발명은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structural support strength for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demolition work spac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safety.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nd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facilitate the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spaced part while improving the fixing bearing capacity of the fix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apable of reducing the drop load of the discharge and expanding the loading space of the discharge, and a demoli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로서,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10);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이격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that is fixed by installing a blocking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50)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상기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바;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이격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이격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재개해서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locking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20)는, 건물 내부의 바닥에 입설되어 고정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를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10)와 연결되는 고정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건물 내부의 바닥을 통과해서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asses through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and is bent so as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으로서, 건물 내부의 바닥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이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홀에 고정바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이격홀에 이격바를 삽입하여 고정바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을 차단하는 단계;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for fixing by installing a blocking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the steps of forming a fixing hole in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forming a separation hole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serting and fixing a fixing bar into the fixing hole; inserting a separation bar into the separation hole and connecting to a fixed bar; connecting a blocking plate to one end of the separation bar to block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emolition of the building floor by floor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and discharging the dismantled object to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locking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scharging step, the demolition material discharged to the separation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n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and a demolition work space for the barrier plate by installing a separation part and a fixing part on the outer wall to install the barrier pl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demolition work. provide possible effects.
또한, 차단부의 하부에 배출부를 형성하여 배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discharge space by forming the discharge part under the blocking part,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demolished object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demolished object.
또한, 이격부로서 외벽에 이격바와 결합편과 이격연결편을 구비하고 소정거리 이격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having a separation bar, a coupling piece, and a separation connecting piece on the outer wall as a separation part and configured as a separation type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ructural support strength for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demolition work space is improved,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safety at the same time. to provide.
또한, 고정부로서 바닥판에 고정바와 고정편과 고정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having a fixed bar, a fixed piece, and a fixed connecting piece on the bottom plate as a fixed por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olding force of the fixed portion and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spaced portion.
또한, 배출부에 의해 철거물을 하층에 창문을 통해 배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inducing the discharging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indow on the lower floor by the discharge unit, it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alling load of the discharge and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e loading space of the dis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이격부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paced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이격부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is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show the coupling state of the spaced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emolition us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는, 이격부(10), 고정부(20), 연결부(30), 차단부(40) 및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100)의 둘레에 차단부(40)의 설치를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하고 비계 등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단이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재로서, 이격바(11), 결합편(12) 및 이격연결편(1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이격바(11)는, 건물의 외벽(100) 둘레에 형성된 이격홀(120)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된 봉부재로서, 이러한 이격바(11)로는 강관이나 철재관 등과 같은 고정빔(rigid beam)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이러한 이격바(11)는,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d1)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개의 이격바(11)가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차단부(4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므로, 이러한 이격공간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나 통로공간을 제공하도록 비계 등과 같은 임시가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또한, 이러한 이격바(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1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제1 이격바(11a)와 제2 이격바(11b) 등과 같이 복수개의 이격바가 연결부재(33)를 재개해서 수평방향에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결합편(12)은, 이격바(11)의 일단에 형성되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로서, 이러한 결합편(12)으로는 이격바(11)의 일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이격연결편(13)은, 이격바(11)의 타단에 형성되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이격연결편(13)으로는 이격바(11)의 타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spaced
고정부(20)는, 건물의 내부의 각층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고정바(21), 고정편(22) 및 고정연결편(2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고정바(21)는, 건물의 내부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입설되어 고정되며 바닥판(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봉부재로서, 이러한 고정바(21)는, 건물 내부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을 통과해서 바닥판(200)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고정편(22)은, 고정바(21)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21)를 바닥판(2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이러한 고정편(22)으로는 피스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고정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고정연결편(23)은, 고정바(21)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격부(10)와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이러한 고정연결편(23)으로는 고정바(21)의 타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ixed connecting
연결부(3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부(10)의 타단을 고정부(20)의 일단에 연결하여 이격부(10)와 고정부(20)를 서로 고정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제1 연결편(31) 및 제2 연결편(32)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제1 연결편(31)은, 철거용 건물의 동일 층에 설치된 이격부(10)와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1 연결편(31)으로는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편(32)은, 철거용 건물의 하층에 설치된 이격부(10)와 상층에 설치된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2 연결편(32)으로는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second connecting
차단부(40)는,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로서, 방음판이나 방진판이나 천막이나 메쉬망 등과 같은 차단판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blocking
이러한 차단부(40)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서 이격부(10)를 개재해서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철거용 건물의 각각의 층별로 배출되거나 각층의 창문(110)을 통해서 배출되는 철거물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is blocking
배출부(50)는,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각층에서 배출된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서, 개폐판(51), 잠금편(52) 및 지지편(5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개폐판(51)은,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수단으로서,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의 하부를 개폐하여 하방으로 낙하된 철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창문을 통해서 건물의 하층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opening/
잠금편(52)은, 개폐판(51)의 일단에 설치되어 개폐판(51)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수단으로서, 개폐판(51)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유지하여 개폐판(51)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게 된다.The locking
지지편(53)은, 차단부(40)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개폐판(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회전축을 개재해서 개폐판(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이하,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6 and 7 .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은, 고정홀 형성단계(S10), 이격홀 형성단계(S20), 고정바 고정단계(S30), 이격바 연결단계(S40), 차단판 연결단계(S50), 층별 철거단계(S60) 및 배출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이다.3, 6 and 7, the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the building of this embodiment is a fixing hole forming step (S10), a spaced hole forming step (S20), a fixing bar fixing step (S30) , the separation bar connection step (S40), the blocking plate connection step (S50), the floor demolition step (S60), and the discharge step (S70) are included. It is a method of demolition using a fixing device.
고정홀 형성단계(S10)는, 철거용 건물의 내부의 바닥판(200)에 고정홀(21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바닥판(200)의 외곽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홀(210)을 천공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fixing hole forming step (S10) is a step of forming a fixing
이격홀 형성단계(S20)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 둘레에 이격홀(12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외벽(100)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이격홀(120)을 천공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separation hole forming step (S20) is a step of forming the
고정바 고정단계(S30)는, 고정홀(210)에 고정바(21)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로서, 복수개의 고정홀(210)에 고정바(21)를 삽입하고 고정편(22)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The fixing bar fixing step ( S30 ) is a step of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이격바 연결단계(S40)는, 이격홀(120)에 이격바(11)를 삽입하여 고정바(21)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복수개의 이격홀(120)에 이격바(11)를 삽입하고 연결부(30)에 의해 이격바(11)와 고정바(2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디.The separation bar connection step (S40) is a step of inserting the
차단판 연결단계(S50)는, 이격바(11)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100)을 차단하는 단계로서,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서 이격바(11)를 개재해서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차단판을 설치하여 철거용 건물의 각각의 층별로 배출되거나 각층의 창문(110)을 통해서 배출되는 철거물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e blocking plate connection step (S50) is a step of connecting the blocking plate to one end of the
층별 철거단계(S60)는, 철거용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로서, 상층에서 철거된 철거물을 외벽(100)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하층으로 배출하고, 이러한 철거와 배출을 상층에서 최하층으로 층별로 반복해서 진행하게 된다.The floor demolition step (S60) is a step in which the building for demolition is demolished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by floor. and discharge are repeated layer by layer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st layer.
배출단계(S70)는, 각각의 층별로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discharging step (S7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demolished materials removed for each floor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eparation part and the fixing part on the outer wall to install the blocking plate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demolition work space of the blocking plate are formed and the efficiency of the demolition work is improved. provide possible effects.
또한, 차단부의 하부에 배출부를 형성하여 배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discharge space by forming the discharge part under the blocking part,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demolished object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demolished object.
또한, 이격부로서 외벽에 이격바와 결합편과 이격연결편을 구비하고 소정거리 이격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having a separation bar, a coupling piece, and a separation connecting piece on the outer wall as a separation part and configured as a separation type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ructural support strength for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demolition work space is improved,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safety at the same time. to provide.
또한, 고정부로서 바닥판에 고정바와 고정편과 고정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having a fixed bar, a fixed piece, and a fixed connecting piece on the bottom plate as a fixed por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olding force of the fixed portion and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spaced portion.
또한, 배출부에 의해 철거물을 하층에 창문을 통해 배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inducing the discharging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indow on the lower floor by the discharge unit, it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alling load of the discharge and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e loading space of the discharg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 이격부 20: 고정부
30: 연결부 40: 차단부
50: 배출부10: spaced part 20: fixed part
30: connection part 40: blocking part
50: discharge unit
Claims (10)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10);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이격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30);
상기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40); 및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50)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A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a spaced portion 10 having one end protrudingly install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fixing unit 20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connection part 30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eparation part 10 to the fixing part 20;
a blocking unit 40 installed vertically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unit 10 to block the separation of the demolished object; and
I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blocking part 40, the discharge part 50 for discharging the demolished material; including,
The discharge unit 50,
an opening/clos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unit 40 to open and close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locking unit 40; and
and a locking piec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lock and unlock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10);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이격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바;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이격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이격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재개해서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A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a spaced portion 10 having one end protrudingly install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fixing unit 20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connection part 30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eparation part 10 to the fixing part 20; and
Including;;
The spacer 10 is,
A plurality of separation bars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upling piece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bar and coupled to the blocking part 40; and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paration bar, the separation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20; includes,
The separation bar i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connected in a line by restarting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paration bar i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locking unit 40 is maintained at 0.5 to 1 m.
상기 고정부(20)는,
건물 내부의 바닥에 입설되어 고정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를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10)와 연결되는 고정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ixing part 20,
A fixed bar that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a fixing piec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xing bar to fix the fixing bar to the bottom plate; and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ar, the fixed connection piec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10).
상기 고정바는, 건물 내부의 바닥을 통과해서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bar is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asses through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and is bent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bottom surface.
건물 내부의 바닥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이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홀에 고정바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이격홀에 이격바를 삽입하여 고정바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을 차단하는 단계;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demolition fixing device for a building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for demolition,
forming a fixing hole on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forming a separation hole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serting and fixing a fixing bar into the fixing hole;
inserting a separation bar into the separation hole and connecting to a fixed bar;
connecting a blocking plate to one end of the separation bar to block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emolition of the building floor by floor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and
Discharging the dismantled object to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locking plate;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discharging step, a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fixing device for demoli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ing material discharged to the separation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en) | 2019-07-29 | 2019-07-29 |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en) | 2019-07-29 | 2019-07-29 |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3804A KR20210013804A (en) | 2021-02-08 |
KR102312945B1 true KR102312945B1 (en) | 2021-10-14 |
Family
ID=7456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en) | 2019-07-29 | 2019-07-29 |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294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8137A (en) | 2022-10-06 | 2024-04-15 | (주)터미널산업건설 | High-rise building demolition method with enhanced safe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3191B1 (en) * | 2023-08-11 | 2024-05-03 | 수성건설 주식회사 | Sheathing fall protection for building demoli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5448A (en) * | 2015-02-06 | 2016-08-12 | 大成建設株式会社 |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
KR101668948B1 (en) * | 2015-04-14 | 2016-10-24 | 강민오 |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assembly scaffold for detachable outer wall and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7873B1 (en) | 2005-05-25 | 2006-09-25 | (주) 한강건설환경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building |
KR101520050B1 (en) | 2014-09-24 | 2015-05-13 |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 Demolishing method of building using bubble shower |
KR101856768B1 (en) | 2016-06-23 | 2018-05-11 | 주식회사 한솔기업 | Method for breakup structure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461A patent/KR1023129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5448A (en) * | 2015-02-06 | 2016-08-12 | 大成建設株式会社 |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
KR101668948B1 (en) * | 2015-04-14 | 2016-10-24 | 강민오 |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assembly scaffold for detachable outer wall and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8137A (en) | 2022-10-06 | 2024-04-15 | (주)터미널산업건설 | High-rise building demolition method with enhanced safe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3804A (en) | 2021-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2945B1 (en) | 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27860B1 (en) | Eco automatic building demolition method and demolition device | |
CN110685459B (en) | Breaking hammer dismantling construction method for dismantling hoist bent from lower part | |
JP6603824B2 (en) |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system and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method at the time of multi-story building dismantling | |
JP2007016432A (en) | Demolition and cur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demolishing skyscraper by using it | |
JP6684011B1 (en) | Curing system for prevention of upward scattering when disassembling multi-story building and curing method for preventing upward scattering | |
KR20220063797A (en) | Method of Removing Underground Retaining Wall by using H-beam Pile with Prestress Introduction | |
CN111794555B (en) | Method for repairing multi-story historical building | |
JP7369090B2 (en) | shaft wall unit | |
KR10166894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assembly scaffold for detachable outer wall and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20190142A (en) |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system and upper scattering prevention curing method in dismantlement of multilayer stage building | |
KR20090113042A (en) | Gang form assembly | |
KR102425363B1 (en) | A structure of a flared shieldin integrated with climbing system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 |
JP6093665B2 (en) | Structure reconstruction method | |
JP2014001518A (en) | Dismantlement method for structure | |
KR101079048B1 (en) | The repair or reinforcement method of face brick construction | |
JP5952098B2 (en) | Structure demolition method | |
JP6173771B2 (en) | Building demolition method and building demolition support device used therefor | |
JPH09184199A (en) | Recyclable building frame, and constructing and dismantling method therefor | |
KR102503595B1 (en) | Energy reduction underground retaining wall demolition method | |
JP5992218B2 (en) | Structure demolition method | |
KR101085324B1 (en) | Security a handrail pro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the same | |
KR102259942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beam of form | |
JP2006029001A (en) | Interior installation protective structure in cylindrical demolition structure | |
KR100540338B1 (en) | Install structure of net that prevent f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