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713B1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 Google Patents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713B1 KR102310713B1 KR1020210041354A KR20210041354A KR102310713B1 KR 102310713 B1 KR102310713 B1 KR 102310713B1 KR 1020210041354 A KR1020210041354 A KR 1020210041354A KR 20210041354 A KR20210041354 A KR 20210041354A KR 102310713 B1 KR102310713 B1 KR 102310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precast concrete
- concrete composite
- fixture
- composite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강관과 각형강관의 외부에 외부 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형강관이 노출되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고정봉을 삽입하여 기둥과 기둥의 수직 접합시에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배제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ing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rectangular steel pipe are composed of external concrete on the outside, and the top and the Upper and lower intersections that allow for installation in precise locations while excluding welding work by inserting fixed ro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t the joint where the rectangular steel pipe is exposed at the bottom to have an interlocking structure at the time of vertical joining of columns It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interlocking joint.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구조시스템은 수직하중은 물론 바람, 지진 등의 수평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은 단면의 증가율에 비해서 내력의 증가율이 높은 기둥부재를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합성기둥을 사용하면 단면의 증가없이도 내력과 변형능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은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에서 H형강이나 강관이 매입된 합성기둥이 많이 사용되며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구조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초고층 구조물에서 기둥 부재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철골 기둥이나 철골 부재를 고강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합성기둥(Hybrid Column)이 건물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계획될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As buildings become taller, structural systems must be able to support horizontal loads such as wind and earthquakes as well as vertical loads more efficiently, which requires column members with a high increase rate of bearing capacity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cross section. In this respect, the use of a composite column can greatly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nd deformation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so that a structure with high efficiency can be obtained. For these factors, composite columns with embedded H-beams or steel pipes are often used, and concrete-filled steel pipe structures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Hybrid Column) is frequently used because it can be planned in an appropriate size to effectively use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그러나 이와 같은 강재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합성기둥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수직접합시에 용접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용접작업은 수행하는 작업자에 따라 품질이 차이 나기 때문에 품질 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으로 인한 화재 등의 위험도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mposite column made of steel and concrete, welding work must be preceded in the case of vertical joining in the fiel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risk of fire, etc.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180575호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과 보 접합부 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 합성기둥과 하부 합성기둥을 수직으로 결합하고 상부 합성기둥과 하부 합성기둥의 결합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H형강 보로 이루어지는 기둥과 보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단면이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의 각형강관과 상기 각형강관의 상하단부에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결합구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구성되는 결합강판 및 상기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상부 합성기둥의 하단부에 구성된 결합강판의 하단부와 하부 합성기둥의 상단부에 구성된 결합강판의 상단부가 상호 결합되며,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이음판이 결합구성되어 보의 웨브와 결합되고, 상부 합성기둥의 하단부에 구성된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와 하부 합성기둥의 상단부에 구성된 패널존 보강플레이트가 각각 보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결합부재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별도의 다이어프램의 제작없이도 내부 다이어프램과 외부 다이어프램의 장점을 모두 가지도록 한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atent Registration No. 1180575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using square steel pipe"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in the column-beam joint structure consisting of an H-shaped steel beam that vertically combines the upper composite column and the lower composite column and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of the upper composite column and the lower composite column,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square shape A rectangular steel pipe of the shape and a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configured to be radially coupled to the corner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 coupling steel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and precast on the out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Consisting of external concrete, the lower end of the bonding steel sheet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mposite column and the upper end of the bonding steel shee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mposite column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joint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is coupled with the web of the beam. , a structure in which the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mposite column and the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mposite column ar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and lower flange of the beam, respectively. It has the advantages of both the inner diaphragm and the outer diaphragm without manufacturing the diaphragm.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기둥간 수직 접합시에 용접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직도 유지가 어려워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verticality as well as a welding opera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vertical joining between colum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과 기둥의 수직 접합시에 용접작업을 배제하면서도, 별도의 서포트 없이 자립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고정봉이 보 연속화를 위하여 기둥을 관통하는 별도의 보 연속화 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excluding the welding work when vertical joining of the column to the column, it can stand on its own without a separate support and can be installed in an accurate position, and when necessary, the fixed rod can be used to serialize the be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that can function as a separate beam continuous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e column.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의 일정길이의 관형상의 각형강관과, 각형강관의 외부에 일정두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외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의 일정길이의 관형상으로 단면크기가 각형강관 보다 일정 크기 작게 형성되어 하부의 일부구간이 각형강관의 상단부에서 내측면에 접합되어 각형강관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구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1 고정구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2 고정구가 형성되는 상부 접합부가 구성되며, 외부 콘크리트의 하단부는 각변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부구간이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블록아웃되어 개구부가 형성되어 각형강관의 하부의 일부구간의 노출되도록 하고, 각형강관의 하부의 노출된 부분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3 고정구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3 고정구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4 고정구가 형성되는 하부 접합부가 구성되고, 슬리브와 슬리브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철근이 접합되어 이루어져 슬리브의 하단부가 외부 콘크리트의 하단부에 노출되도록 슬리브형 접합부재가 외부 콘크리트의 하부에 매립되어 구성되고, 외부 콘크리트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슬리브형 접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용 수직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ubular rectangular steel pipe of a certain length wit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and external concrete made of precast concre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The tubular cross-sectional siz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a part of the lower section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to protrude for a certain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fixture is formed by incision at a certain width from the upp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lower part, and the sides fac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ve a certain width from the upper part to a certain height of the low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fixture at regular intervals The upper junction part is cut to form a second fixture, and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concrete blocks out a part of the central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side from the lower part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art to form an opening to form an opening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square steel pipe is exposed, and the longitudinally facing sid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is cut in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third fixture, and the side fac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At regular intervals, the lower junction is formed by cutting a certain width from the low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higher than the third fixture, and the lower junction part is formed, and the sleeve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vertically configured at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The sleeve-type joint member is embedded in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concret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concrete, and the sleeve-type joint member i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eeve-type joint member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crete to the upper part by a certain leng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prismatic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emen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root for joining is configured.
또한, 일정길이의 봉 형상으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 접합부의 내부를 교차하여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hape of a rod of a certain length, the longitudinal fixing rod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to cross and cross the inside of the upper junction are additionally configur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interlocking joints.
삭제delete
또한,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은 선택적으로 철근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부 접합부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각각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fixed bar and the transverse fixed bar are optionally made of reinforcing bars,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junctions are each configur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precast concrete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interlocking joint. We want to provide a composite pillar.
또한,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은 단부 일정구간의 외주면은 나사산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emen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ertain section of the longitudinal fixed bar and the transverse fixed bar is threaded.
또한,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에는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에 각각 삽입하여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이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상부 접합부가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하부 접합부에 삽입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하부 접합부의 제3 고정구 및 제4 고정구가 각각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에 끼워지도록 삽입하여 구성되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과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외부 콘크리트의 사이에는 받침부재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located at the lower part, a longitudinal fixed rod and a transverse fixed ro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and the upper junction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join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third and fourth fixtures of the lower join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re inser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fixing rod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respectively, and the lower precast concre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composite column and the outer concrete of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삭제delete
또한, 종방향 고정봉 및 횡방향 고정봉 중 선택하여 단부 일정구간의 외주면은 나사산 가공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상부 접합부가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하부 접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종방향 고정봉과 횡방향 고정봉 중 선택하여 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와셔 플레이트가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ertain section of the end is threaded by selecting one of the longitudinal fixed rod and the transverse fixed rod, the upper junction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join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located on the upper part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a wash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the end by selecting one of a longitudinal fixed rod and a transverse fixed rod is inserted and fastened with a nut. do.
본 발명의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는 각형강관과 각형강관의 외부에 외부 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형강관이 노출되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고정봉을 삽입하여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기둥과 기둥의 수직 접합시에 용접작업을 배제하면서도, 별도의 서포트 없이 자립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고정봉이 보 연속화를 위하여 기둥을 관통하는 별도의 보 연속화 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the square steel pipe having upper and lower cross-engaging j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external concrete outside the square steel pipe and the square steel pipe, and the square steel pipe is ex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By inserting a fixing ro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o the joint and the joint to have an interlocking structure, the welding operation is excluded during vertical joining of the column to the column, and it is not only possible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without a separate support, but also When necessary,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of allowing the fixed bar to function as a separate beam continuation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e column for beam continua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상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하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의 일부 단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상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하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의 일정길이의 관형상의 각형강관(20)과, 각형강관(20)의 외부에 일정두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외부 콘크리트(1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precast
각형강관(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측면 및 외측면에 복수의 스터드 등의 전단연결재 등이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콘크리트(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각형이나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rectangular steel pipe 20, shear connectors such as a plurality of studs may be configur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nd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접합부(20a) 및 하부 접합부(20b)가 구성되는데, 하부 접합부(20b)는 각형강관(20)을 노출시켜 형성하도록 하고, 상부 접합부(20a)는 각형강관(20)과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각형강관(20)의 상부에 접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상부 접합부(20a)는 각형강관(20)과 동일한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접합부(20a)가 각형강관(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형강관(20)의 단면보다 일정크기 작은 단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부 접합부(20a)가 각형강관(2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부 접합부(20a)의 외측면이 각형강관(20)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 이 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와 같은 상부 접합부(20a)는 하부의 일부 구간이 각혀강광(20)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되록 하고 상부의 일부구간은 각형강관(20)의 상단부에서 일정 높이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Such an
이와 같이, 각형강관(20)과 상부 접합부(20a)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은 기둥 간의 수직 접합시에 상부 접합부(20a)가 각형강관(20)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접합부(20b)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자립 및 위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상부 접합부(20a)와 하부 접합부(20b)가 겹쳐져 구성되도록 하여 기둥(1) 간의 접합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20 and the
이와 같은 상부 접합부(20a)는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구(21)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1 고정구(21)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2 고정구(22)가 형성되도록 한다.As for the
이와 같이,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의 높이 차가 나도록 하여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고정봉(30)(40)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구성시에 종방향 고정봉(30)과 횡방향 고정봉(30)이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되면서도 교차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하부 접합부(20b)는 각형강관(20)의 하부의 일부를 노출시켜서 형성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서 각변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부구간이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블록아웃되도록 하여 개구부(11)가 형성함으로써, 각형강관(20)의 하부의 일부구간의 노출되어 하부 접합부(20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때, 개구부(11)는 일부 구간을 절개하여 형성하지만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까지 전체를 제거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외부 콘크리트(10)의 상단부에는 보 거치를 위한 주두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하부 접합부(20b)는 각형강관(20)의 하부의 노출된 부분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3 고정구(23)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3 고정구(23)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4 고정구(24)가 형성되도록 한다.The
이와 같이 제3 고정구(23)와 제4 고정구(24)의 높이가 차이나도록 함으로써, 고정봉(30)(40)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구성시에 종방향 고정봉(30)과 횡방향 고정봉(40)의 높이 차이를 제3 고정구(23)와 제4 고정구(24)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By making the height of the
본 발명에서는 상부 접합부(20a)와 하부 접합부(20b)를 구성하여 고정봉(30)(40)을 이용하여 격자상의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고정봉(30)(40)은 별도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미리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 접합부(20a)의 내부를 교차하여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고정봉(30)(40)은 일정길이 봉형상으로 원형단면의 강봉, 철근이나 각형단면의 부재 등 다양한 형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ix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은 단부가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끼워져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지지될 정도의 길이로만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30)(40)의 양단부가 각각 상부 접합부(20a)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각각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고정봉(30)(40)의 양단부가 각각 상부 접합부(20a)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각각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은 단부 일정구간의 외주면은 나사산 가공되도록 하면, 기둥(1)의 단면을 관통하는 철근의 역할을 하며, 기둥(1)과 기둥(1)의 수직 접합부에 보가 접합되는 경우에는 고정봉(30)(40)에 커플러 등으로 보 철근과 연결하여 고정봉(30)(40)이 보 연속화를 위하여 기둥을 관통하는 별도의 보 연속화 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b에서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종방향 고정봉(30)과 횡방향 고정봉(40) 중 선택하여 단부에 복수의 관통공(91)이 형성되는 와셔 플레이트(90)가 끼워져 너트(80)로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way, both ends of the fixin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의 일부 단면도이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 간의 수직 접합시의 접합부 구조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의 단면내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구조를 갖도록 접합된다.The joint structure at the time of vertical bonding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and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upper par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in the lower part The
이때,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에는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각각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이 삽입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격자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며,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의 단면내로 삽입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의 제3 고정구(23) 및 제4 고정구(24)가 각각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에 끼워지도록 삽입된다.At this time, in the
따라서, 기둥(1) 간의 수직 접합시에는 1차로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의 단면내로 삽입되고, 다시 2차로, 고정봉(30)(40)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가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배제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time of vertical bonding between the
특히, 도 5c 및 도 5d에서와 같이, 종방향 고정봉(30) 이나 횡방향 고정봉(40)은 철근으로 이루어지거나,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이 모두 철근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각 상부 접합부(20a)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각각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하여, 고정봉을 철근을 사용하여 기둥 이음 및 기둥과 접합되는 보(2)의 주철근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어, 보 연속화를 위한 보 연속화 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in FIGS. 5c and 5d, the
특히, 도 5d에서와 같이, 종방향 고정봉(30) 이나 횡방향 고정봉(40)은 일측만을 너트(80)로 결합하여 고정하고 타측은 보(2) 접합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d, the
이와 같은 상부 접합부(20a)와 하부 접합부(20b) 및 고정봉(30)(40)을 이용한 접합구조 이외에도 도 6에서와 같이, 슬리브(51)와 슬리브(51)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철근(52)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슬리브형 접합부재(50)가, 슬리브(51)의 하단부가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노출되도록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부에 매립되어 구성되도록 하고, 외부 콘크리트(10)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슬리브형 접합부재(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용 수직근(13)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bonding structure using the
이와 같은 슬리브형 접합부재(50)가 구성되면 수직으로 기둥(1)의 접합시에 하부의 수직근(13)이 슬리브(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슬리브(51)의 내부에 무수축 콘크리트 등을 충진하여 추가 접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such a sleeve-
수직철근(52) 및 수직근(13)은 별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둥(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철근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vertical reinforcing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과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외부 콘크리트(10)의 사이에는 받침부재(60)가 삽입되도록 하여, 기둥(1)과 기둥(1) 간의 접합면에 구성되도록 하여 오차를 수렴함과 동시에 이음부에서의 충격 등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60)는 합성수지, 고무,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6, the support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는 각형강관과 각형강관의 외부에 외부 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형강관이 노출되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고정봉을 삽입하여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기둥과 기둥의 수직 접합시에 용접작업을 배제하면서도, 별도의 서포트 없이 자립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고정봉이 보 연속화를 위하여 기둥을 관통하는 별도의 보 연속화 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the square steel pipe having the upper and lower cross-engaging j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external concret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and the square steel pipe, and the square steel pipe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By inserting fixing ro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o the exposed junction and junction to have an interlock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by standing on its own without a separate support while excluding welding work when vertically joining a column to a column. In addition, when necessary,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of allowing the fixed bar to function as a separate beam continuation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e column for beam continu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10 : 외부 콘크리트
20 : 각형강관
20a :상부 접합부
20b : 하부 접합부
21 : 제1 고정구
22 : 제2 고정구
23 : 제3 고정구
24 : 제4 고정구
30 : 종방향 고정봉
40 : 횡방향 고정봉1: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0: exterior concrete
20: square steel pipe
20a: upper junction
20b: lower joint
21: first fixture
22: second fixture
23: third fixture
24: fourth fixture
30: longitudinal fixing rod
40: transverse fixing rod
Claims (8)
각형강관(20)의 외부에 일정두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외부 콘크리트(10)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의 일정길이의 관형상으로 단면크기가 각형강관(20) 보다 일정 크기 작게 형성되어 하부의 일부구간이 각형강관(20)의 상단부에서 내측면에 접합되어 각형강관(20)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구(21)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1 고정구(21)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상단부에서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2 고정구(22)가 형성되는 상부 접합부(20a)가 구성되며,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단부는 각변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부구간이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블록아웃되어 개구부(11)가 형성되어 각형강관(20)의 하부의 일부구간의 노출되도록 하고, 각형강관(20)의 하부의 노출된 부분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3 고정구(23)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은 일정 간격마다 하단부가 제3 고정구(23)보다 일정 높이 높게 위치하도록 하단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까지 일정폭으로 절개되어 제4 고정구(24)가 형성되는 하부 접합부(20b)가 구성되고,
슬리브(51)와 슬리브(51)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철근(52)이 접합되어 이루어져 슬리브(51)의 하단부가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노출되도록 슬리브형 접합부재(50)가 외부 콘크리트(10)의 하부에 매립되어 구성되고, 외부 콘크리트(10)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슬리브형 접합부재(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용 수직근(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A rectangular steel pipe 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and
It consists of external concrete 10 made of precast concrete of a certain thickness on the out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20,
In the shape of a tube of a certain length wit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the cross-sectional siz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quare steel pipe 20, and a part of the lower section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square steel tube 20. is configur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 and the longitudinally facing sides are cut in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upper 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wer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the first fixture 21, and the sides fac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constant The upper junction part 20a is formed by cutting a certain width from the upp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low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fixture 21 for each interval, and the second fixture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concrete 10,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side is blocked out from the low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so that an opening 11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20, The longitudinally facing sid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20 is cut in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the third fixture 23, and the side fac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The lower junction part 20b is formed by cutting a certain width from the lower e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higher than the third fixture 23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ourth fixture 24 is formed,
The sleeve 51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52 configured vertically to the upper end of the sleeve 51 are join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51 is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concrete 10. It is constructed by being embedded in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concrete 10, and the vertical muscle 13 for bonding is configu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eeve-type bonding member 5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crete 10 to the upper part by a certain length.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ing joint, characterized in that.
일정길이의 봉 형상으로,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 접합부(20a)의 내부를 교차하여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hape of a rod of a certain length,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horizontal fixing ro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er 21 and the second fastener 22 to cross and cross the inside of the upper junction part 20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emen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40 is additionally configured.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은 선택적으로 철근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부 접합부(20a)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각각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40 are selectively made of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cross-engagement joint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joint portion 20a by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rectangular steel pipe with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은 단부 일정구간의 외주면은 나사산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40 ar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s using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n upper and lower cross-engaging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ertain section of the end is threaded.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에는 제1 고정구(21)와 제2 고정구(22)에 각각 삽입하여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이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에 삽입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의 제3 고정구(23) 및 제4 고정구(24)가 각각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에 끼워지도록 삽입하여 구성되며,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과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외부 콘크리트(10)의 사이에는 받침부재(6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In the vertical joint structure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s (1) using the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the upper and lower cross engagement joints of claim 1,
A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a transverse fixing rod 40 are formed by inser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21 and 22 in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he upper junction 20a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junction 20b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joint part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The third fixture 23 and the fourth fixture 24 of (20b)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40, respectively,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60)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and the outer concrete (10) of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
종방향 고정봉(30) 및 횡방향 고정봉(40) 중 선택하여 단부 일정구간의 외주면은 나사산 가공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상부 접합부(20a)가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하부 접합부(2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종방향 고정봉(30)과 횡방향 고정봉(40) 중 선택하여 단부에 복수의 관통공(91)이 형성되는 와셔 플레이트(90)가 끼워져 너트(80)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ertain section of the end by selecting one of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40 is thread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junction 20a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junction 20b of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 washer plate 9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91 formed at an end selected from the longitudinal fixing rod 30 and the transverse fixing rod 40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with a nut 80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354A KR102310713B1 (en) | 2021-03-30 | 2021-03-30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354A KR102310713B1 (en) | 2021-03-30 | 2021-03-30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0713B1 true KR102310713B1 (en) | 2021-10-12 |
Family
ID=7807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1354A KR102310713B1 (en) | 2021-03-30 | 2021-03-30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71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8701A (en) * | 1991-10-09 | 1993-04-20 | Kajima Corp | Joint structure and joint fitting for column material having closed section |
JPH06346509A (en) * | 1993-06-11 | 1994-12-20 | Jdc Corp | Beam connecting structure in connecting position between reinforced or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and beam |
KR101180575B1 (en) | 2012-04-06 | 2012-09-06 | 신세계건설(주) | structure of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beam connection |
KR101637451B1 (en) * | 2015-02-11 | 2016-07-0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
2021
- 2021-03-30 KR KR1020210041354A patent/KR1023107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8701A (en) * | 1991-10-09 | 1993-04-20 | Kajima Corp | Joint structure and joint fitting for column material having closed section |
JPH06346509A (en) * | 1993-06-11 | 1994-12-20 | Jdc Corp | Beam connecting structure in connecting position between reinforced or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and beam |
KR101180575B1 (en) | 2012-04-06 | 2012-09-06 | 신세계건설(주) | structure of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beam connection |
KR101637451B1 (en) * | 2015-02-11 | 2016-07-0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025125A (en) | Column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sing it | |
KR101809687B1 (en) | Joining Members of Steel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8240053B (en) | Assembled integral energy-consumption frame wallboard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310713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s | |
JP3752999B2 (en) | Upper and lower integrated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20111930A (en) | Wooden beam joint structure | |
KR20060064994A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 |
KR101473218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nderground structure | |
KR20180026286A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6164479B2 (en) | Underground pit structure | |
KR200378210Y1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 |
KR102499318B1 (en) | End reinforced steel frame | |
KR101193796B1 (en) | Seismic Reinforcing Method of Column & Girder Frame | |
JP2003105861A (en) | Medium-rise and high-rise building using hfc column and hfc beam or the like | |
JP4628838B2 (en) | Steel foundation structure | |
JP4432581B2 (en) | Building structure that can change floor height | |
JP5096979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ramen structure | |
JP4439938B2 (en) | Wall typ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668215B1 (en) | Prefabricated columns with cross beam connections | |
KR20210154595A (en) | Column-beam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lumn-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joint assembly with flange joint member | |
KR102554408B1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teel-Concrete Hybrid Columns Using Vetical Member | |
KR101685632B1 (en) | Shear connector to increase strength and ductility | |
JP2006169837A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 |
JP2019011675A (en) | Composite structure | |
JP5586926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pillar member use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