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91B1 -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 Google Patents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9991B1 KR102309991B1 KR1020210031213A KR20210031213A KR102309991B1 KR 102309991 B1 KR102309991 B1 KR 102309991B1 KR 1020210031213 A KR1020210031213 A KR 1020210031213A KR 20210031213 A KR20210031213 A KR 20210031213A KR 102309991 B1 KR102309991 B1 KR 102309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water
- wiper
- washing
- rotatably coupled
- filter clo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벨트 프레스의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프레스의 여과포를 세척수 파이프의 와이퍼 운동을 통해 세척할 수 있는 와이퍼형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device for a belt p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type washing device capable of washing a filter cloth of a belt press through a wiper movement of a washing water pipe.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Sewage discharged from homes and factories is treated after being sent to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 sludge treatment process. In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sewage is purified to the extent that the river's self-cleaning action can be activated, and then discharged in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The sludge is treated through processes such as concentration and dewatering.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감량 장치들 중 하나인 탈수기는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작동 원리에 따라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원심 탈수기, 전기침투 탈수기 등으로 분류된다.A dehydrator, which is one of the weight loss devices used in the sludge treatment process, separates the filtrate from the sludge, and is classified into a belt press, a filter press, a screw press, a centrifugal dehydrator, an electroosmotic dehydrator, etc. accor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상기 벨트 프레스는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하면서 상기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이다. 상하부 여과포는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 채 주행한다. 상하부 여과포 사이의 슬러지는 상하부 여과포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탈수되어 슬러지 케이크로 된다. The belt press is a device for dewatering the sludge while supplying the sludg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that run continuously. The upper and lower filter fabrics run while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The sludg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moves while being pressurized by 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and in this process, it is dehydrated and becomes a sludge cake.
슬러지 케이크와 분리된 상하부 여과포에는 슬러지가 묻어 있어, 슬러지 케이크와 분리된 상하부 여과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가 일반적으로 벨트 프레스에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이 세척 장치로는 노즐 고정식과, 노즐 왕복식과, 노즐 회동식이 알려져 있다.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separated from the sludge cake are covered with sludge, and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separated from the sludge cake is generally provided in a belt press. And a nozzle fixed type, a nozzle reciprocating type, and a nozzle rotation type are known as this washing|cleaning apparatus.
노즐 고정식 세척 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65679호(벨트프레스의 여과포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 공보에서는 여과포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즐들이 고정적으로 나열되어 있고, 슬러지 케이크와 분리되어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는 상기 노즐들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다.A nozzle-fixed clean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65679 (filter cloth cleaning device for belt press). In this patent publication, a plurality of nozzles are fixedly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that i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is washed
노즐 왕복식 세척 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8979호(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 공보에서는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노즐이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한 줄의 노즐만으로는 여과포가 세척되지 못하는 부위가 생기기 때문에 노즐은 여과포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여러 줄로 마련된다. 이와 비슷한 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315호(벨트 프레스용 탈수기의 벨트 세척장치)에도 개시되어 있다.A nozzle reciprocating washing device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8979 (a filter cloth washing device for a belt press type dehydrator). In this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the nozzle is provided so that it can reciproc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And since there are areas where the filter cloth cannot be washed with only one row of nozzles, the nozzles are provided in several rows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A similar technique is also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0315 (belt washing device of dehydrator for belt press).
노즐 회동식 세척 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224호(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공보에서는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즐이 수직한 자세로 나열되되, 복수의 노즐들은 여과포의 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각 노즐은 여과포의 주향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A nozzle rotating type washing device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9224 (belt press dewatering filter cloth washing device). In this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a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in a vertical postur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but the plurality of nozzles cannot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and each nozzle has a rotating shaft extending along the strike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can be rotated around the center.
위 노즐 고정식 세척 장치에서는 노즐이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고정적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노즐의 수가 많을 수밖에 없고, 따라서 세척수의 사용량도 많게 된다.In the above nozzle fixed washing apparatus, since the nozzles are fixedly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the number of nozzles used is inevitably large, and thus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is also large.
위 노즐 왕복식 세척 장치에서는 고정식 세척 장치에 비해 노즐의 수가 감소할 수는 있으나, 노즐이 여과포의 주행방향을 따라 여러 줄로 마련될 수밖에 없으므로, 노즐의 수 및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In the above nozzle reciprocating washing device, the number of nozzles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fixed washing device.
위 노즐 회동식 세척 장치에서도 고정식 세척 장치에 비해 노즐의 수가 감소할 수는 있으나, 노즐의 회동 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역시 노즐의 수 및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Although the number of nozzles may be reduced in the above-nozzle rotating type washing apparatus as compared to the fixed washing unit, the rotating range of the nozzles is inevitably limited, and there is also a limit in reducing the number of nozzles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노즐 고정식, 노즐 왕복식 및 노즐 회동식 세척 장치에 비해 노즐의 수 및 세척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nozzles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ixed nozzle type, nozzle reciprocating type, and nozzle rotating type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벨트 프레스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자세로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결합단을 갖고, 세척수를 여과포에 분사하기 위한 세척 노즐을 구비한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 상기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의 결합단 및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지점들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는 연결바; 및 상기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가 상기 결합단을 중심으로 와이퍼 운동을 하도록 상기 연결바를 구동시키는 연결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overall frame of the belt press in a postur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pipe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each having a coupling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 free end having a washing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filter cloth; a connection bar rotatably coupled to connection point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ends and the free ends of the plurality of wash water pipes and maintaining a posture parallel to the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necting bar so that the plurality of wash water pipes perform a wiper movement around the coupling end.
상기 연결바 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일단을 갖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반대단을 밀거나 당기는 로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may include a rod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and a rod driving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opposite end of the rod.
상기 로드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반대단은 상기 회전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rod driv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piece rotating abou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motor. And the opposit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결합단은 결합단 설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단 설치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연결 지점은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은 상기 연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upling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end mounting bracket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end mounting bracke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들이 상기 연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In the connection bar, bolt holes to which bolts used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are fastened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ar.
상기 세척수 파이프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지점과 결합한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에는 상기 로드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다.On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coupled to any one connection point of the washing water pipes.
상기 연결 지점은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상기 자유단보다 상기 결합단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The connection point is located closer to the coupling end than the free end of the wash water pipe.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자유단에는 아래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형태의 콘 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척 노즐은 상기 콘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다.A cone box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downwar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and the washing nozzle is located inside the cone box.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는 세척수 공급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 연결구가 상기 연결 지점과 상기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는 상기 호스 연결구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자유단 쪽으로만 흐르도록 마련된다.A hose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hose is provided in the wash water pipe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free end, and the wash water pipe is provided so tha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hose connector flows only toward the free end.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가 결합단을 중심으로 와이퍼 운동을 하게 되는바, 종래에 비해 노즐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세척수의 사용량도 감소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wash water pipes perform a wiper movement around the coupling end, the number of nozzles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mount of wash water used i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 파이프의 결합단 및 연결 지점들이 지지부재 및 연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들(결합단 설치 브라켓 및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과 결합하고 있어, 세척수 파이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end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ashing water pipe are coupled to the bracket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bar (the coupling end installation bracket and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eas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 파이프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지점과 결합한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에 로드의 일단도 결합되기 때문에, 로드의 일단을 연결바에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end of the rod is also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washing water pipe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bracket for fastening the one end of the rod to the connection ba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바와 결합하는 세척수 파이프의 연결 지점이 세척수 파이프의 자유단보다 결합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세척수 파이프의 와이퍼 운동이 더 넓은 각도로 이루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ashing water pipe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is located closer to the coupling end than the free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the wiper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made at a wider ang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 파이프의 자유단에 콘 박스가 설치되기 때문에, 여과포의 세척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e box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the filter cloth can be cleaned more reli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형 세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퍼형 세척 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퍼형 세척 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와이퍼형 세척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per-type cleaning device of a belt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iper-typ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iper-typ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2 .
FIG. 4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wiper-typ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2 .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iper-typ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wiper-type cleaning apparatus for a belt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는 벨트 프레스(10)의 상하부 여과포(미도시)가 서로 분리되는 지점과 상하부 여과포가 다시 서로 맞접하는 지점 사이의 구간인 회귀 구간에 위치한다.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가 회귀 구간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는 지는 상하부 여과포의 주행 경로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가 회귀 구간에 설치된 예는 선행기술문헌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224호(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에 도시되어 있다.The wiper-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와,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와, 연결바(140)와, 연결바 구동수단(150)을 포함한다.A wiper-
상기 지지부재(110)는 벨트 프레스(1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11)에 설치되되, 여과포(미도시)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자세로 설치된다.The
지지부재(110)의 좌단은 좌측 브라켓(111)을 통해 프레임(11)에 고정되고, 지지부재(110)의 우단은 우측 브라켓(112)을 통해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좌측 브라켓(111)과 우측 브라켓(112) 중 하나에는 상기 연결바 구동수단(150)이 설치된다. 도면에는 우측 브라켓(112)에 연결바 구동수단(150)이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left end of the
상기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는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다. 세척수 파이프(120)의 개수는 여과포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세 개의 세척수 파이프(120)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plurality of
각 세척수 파이프(120)는 결합단(121)과, 자유단(131)을 갖는다.Each
상기 결합단(121)은 결합단 설치 브라켓(122)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 설치 브라켓(122)은 볼트 등을 통해 지지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상기 자유단(13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노즐(132)이 결합되어 있다. 각 세척수 파이프(120)로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 노즐(132)을 통해 주행 중인 여과포로 분사된다. A
또한, 위 자유단(13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태의 설치판(134)이 마련되어 있고, 이 설치판(134)에는 세척 노즐(132)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콘 박스(13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콘 박스(133)는 아래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태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upper
이러한 콘 박스(133)는 세척 노즐(132)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을 좁힘으로써 세척수를 여과포에 집중적으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척 노즐(132)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이 너무 크면 세척수가 여과포에 집중적으로 분사되지 않아 여과포의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콘 박스(133)가 자유단(131)에 마련되면 여과포의 세척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연결바(140)는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의 결합단(121) 및 자유단(131) 사이의 연결 지점들(125a, 125b, 125c)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세척수 파이프(120)의 연결 지점(125a)은 링 형태로 마련되고, 나머지 세척수 파이프들(120)의 연결 지점들(125b, 125c)은 캡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연결 지점들(125a, 125b, 125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들(127a, 127b, 127c)과 결합한다.The
상기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들(127a, 127b, 127c)은 볼트 등을 통해 연결바(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들(127a, 127b, 127c)의 설치 위치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바(14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볼트공(142)들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connection
한편, 각 세척수 파이프(120)의 연결 지점(125a, 125b, 125c)과 자유단(131) 사이에는 호스 연결구(130)가 마련된다.Meanwhile, a
상기 호스 연결구(130)는 세척수 파이프(12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 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세척수 파이프(120)는 호스 연결구(130)로 공급된 세척수가 자유단(131) 쪽으로만 흐르도록 마련되고, 세척수는 자유단(131)에 결합되어 있는 세척 노즐(132)을 통해 분사된다.The
상기 연결바 구동수단(150)은 로드(151)와, 로드 구동수단(155)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150 includes a
상기 로드(151)는 좌우단(152, 153)을 구비하는데, 좌단(152)은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127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가장 우측의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127a)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연결 지점(125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로드(151)의 좌단(152)은 상기 링 형태의 연결 지점(125a)과 함께 가장 우측의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127a)에 설치된다.The
상기 로드 구동수단(155)은 모터(156)와, 회전편(158)을 포함한다.The rod driving means 155 includes a
상기 모터(156)는 감속기(157)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157)는 웜기어를 적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의 축에 결합된 상기 회전편(158)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The
로드(151)의 우단(153)은 회전편(15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편(158)의 회전에 의해 로드(151)의 우단(153)은 좌우로 밀리거나 당겨지지고, 이때 로드(151)의 좌단(152)과 연결된 연결바(140)는 지지부재(110)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좌우로 구동한다. 그리고 연결바(140)의 위와 같은 좌우 구동에 따라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는 결합단(121)을 중심으로 와이퍼 운동을 하게 된다.The
상기 연결 지점(125a, 125b, 125c)은 세척수 파이프(120)의 자유단(131)보다 결합단(121)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좋은데, 그러면 와이퍼 운동의 각도가 커져서 여과포의 더 넓은 범위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가 결합단(121)을 중심으로 와이퍼 운동을 하게 되는바, 종래의 노즐 고정식, 노즐 왕복식 및 노즐 회동식 세척 장치에 비해 적은 수의 노즐로도 여과포의 넓은 범위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노즐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In the wiper-
상기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wiper-
벨트 프레스(10)에서 서로 분리된 후 회귀 구간을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미도시)에는 슬러지가 묻어 있는데, 이 슬러지는 회귀 구간을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미도시)가 와이퍼형 세척 장치(100)에 세척될 때 상하부 여과포로부터 분리된다.After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위 세척 과정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56)의 구동에 의해 회전편(158)이 회전하면, 회전편(158)에 연결된 로드(151)가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한다. 이때, 로드(151)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140)가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연결바(140)와 결합된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120)는 결합단(121)을 중심으로 와이퍼형 운동을 하면서 세척수를 회귀 구간에서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로 분사하게 된다.In the gastric washing process, as shown in FIGS. 5A to 5C , when the
회귀 구간에서 위와 같이 세척된 상하부 여과포는 서로 맞접하는 구간, 즉, 탈수 구간을 주행하고, 이때 맞접한 상하부 여과포 사이에 끼인 슬러지가 탈수된다.In the return section, the upper and lower filter cloths washed as above run in the section that faces each other, that is, the dehydration section, and at this time, the sludge caugh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lter fabrics is dewatered.
한편, 앞서서는 가장 우측의 연결 지점(125a)이 링 형태로 마련되고 나머지 연결 지점들(125b, 125c)이 캡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모든 연결 지점들(125a, 125b, 125c)이 캡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로드(151)의 좌단(152)은 연결바(140)의 우단에 별도로 설치된 설치 브라켓(미도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연결 지점들(125a, 125b, 125c)은 모두 링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Meanwhil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앞서서는 로드 구동수단(155)이 모터(156), 감속기(157) 및 회전편(15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로드 구동수단(155)은 공압 실린더(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압 실린더는 실린더 로드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드(151)의 우단(153)은 공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the foregoing, the rod driving means 155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ombined.
100 : 와이퍼형 세척 장치 110 : 지지부재
111 : 좌측 브라켓 112 : 우측 브라켓
120 : 세척수 파이프 121 : 결합단
122 : 결합단 설치 브라켓 125a, 125b, 125c : 연결 지점
127a, 127b, 127c :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
130 : 호스 연결구 131 : 자유단
132 : 세척 노즐 133 : 콘 박스
134 : 설치판 140 : 연결바
142 : 볼트공 150 : 연결바 구동수단
151 : 로드 152 : 로드의 좌단
153 : 로드의 우단 155 : 로드 구동수단
156 : 모터 157 : 감속기
158 : 회전편 10 : 벨트 프레스
11 : 프레임 100: wiper-type washing device 110: support member
111: left bracket 112: right bracket
120: washing water pipe 121: coupling end
122: coupling
127a, 127b, 127c : Connection point mounting bracket
130: hose connector 131: free end
132: washing nozzle 133: cone box
134: mounting plate 140: connecting bar
142: bolt hole 150: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151: rod 152: left end of the rod
153: right end of the rod 155: rod driving means
156: motor 157: reducer
158: rotating piece 10: belt press
11: frame
Claims (9)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결합단을 갖고, 세척수를 여과포에 분사하기 위한 세척 노즐을 구비한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여과포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
상기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의 결합단 및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지점들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는 연결바; 및
상기 복수의 세척수 파이프가 상기 결합단을 중심으로 와이퍼 운동을 하도록 상기 연결바를 구동시키는 연결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결합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단 설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연결 지점은 상기 연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overall frame of the belt press in a postur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pipe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loth, each having a coupling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 free end having a washing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filter cloth;
a connection bar rotatably coupled to connection point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ends and the free ends of the plurality of wash water pipes and maintaining a posture parallel to the support member; and
and a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connecting bar so that 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pipes perform a wiper movement around the coupling end.
The coupling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end installation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bout a rotational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ashing water pip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A wiper-type cleaning device for a belt press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abou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결바 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일단을 갖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반대단을 밀거나 당기는 로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bar driving means,
a rod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and
A wiper-type cleaning device for a belt press comprising a; rod driving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opposite end of the rod.
상기 로드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편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반대단은 상기 회전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d driv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piece rotating abou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motor, and the opposit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들이 상기 연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wiper-type cleaning device for a belt press in which bolt holes to which bolts used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are fastened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ar on the connection bar.
상기 세척수 파이프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지점과 결합한 연결 지점 설치 브라켓에는 상기 로드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upled to a connection point installation bracket coupled to any one of the washing water pipes.
상기 연결 지점은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상기 자유단보다 상기 결합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oint is located closer to the coupling end than to the free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자유단에는 아래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형태의 콘 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척 노즐은 상기 콘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cone box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downwar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washing water pipe, and the washing nozzle is located inside the cone box.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는 세척수 공급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 연결구가 상기 연결 지점과 상기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는 상기 호스 연결구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자유단 쪽으로만 흐르도록 마련된 벨트 프레스의 와이퍼형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 water pipe has a hose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hos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free end, and the wash water pipe is provided so tha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hose connector flows only toward the free end. Wiper type clean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213A KR102309991B1 (en) | 2021-03-10 | 2021-03-10 |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213A KR102309991B1 (en) | 2021-03-10 | 2021-03-10 |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9991B1 true KR102309991B1 (en) | 2021-10-07 |
Family
ID=7811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213A Active KR102309991B1 (en) | 2021-03-10 | 2021-03-10 |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9991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226U (en) * | 1998-06-03 | 2000-02-07 | 배환수 | Spray nozzle of sprayer |
KR200178979Y1 (en) | 1999-11-11 | 2000-04-15 | 김정태 | washing device for filter cross of belt press type spin dryer |
KR200220315Y1 (en) | 2000-11-30 | 2001-04-16 | 홍익엔지니어링주식회사 | Belt washing machine for dhyrator in a belt press |
KR20030022837A (en) * | 2003-02-19 | 2003-03-17 | 이영채 | A filter washing device for a double belt press |
KR200329224Y1 (en) | 2003-07-10 | 2003-10-08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A filter washing device for a double-belt press |
KR20080030920A (en) * | 2006-10-02 | 2008-04-07 | 주식회사 후상 | Water jet cleaning apparatus for screen |
KR100865679B1 (en) | 2008-06-11 | 2008-10-29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Filter press cleaning device of belt press |
KR20160001915A (en) * | 2014-06-27 | 2016-01-07 | 한국코엔주식회사 | Multi-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
-
2021
- 2021-03-10 KR KR1020210031213A patent/KR1023099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226U (en) * | 1998-06-03 | 2000-02-07 | 배환수 | Spray nozzle of sprayer |
KR200178979Y1 (en) | 1999-11-11 | 2000-04-15 | 김정태 | washing device for filter cross of belt press type spin dryer |
KR200220315Y1 (en) | 2000-11-30 | 2001-04-16 | 홍익엔지니어링주식회사 | Belt washing machine for dhyrator in a belt press |
KR20030022837A (en) * | 2003-02-19 | 2003-03-17 | 이영채 | A filter washing device for a double belt press |
KR200329224Y1 (en) | 2003-07-10 | 2003-10-08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A filter washing device for a double-belt press |
KR20080030920A (en) * | 2006-10-02 | 2008-04-07 | 주식회사 후상 | Water jet cleaning apparatus for screen |
KR100865679B1 (en) | 2008-06-11 | 2008-10-29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Filter press cleaning device of belt press |
KR20160001915A (en) * | 2014-06-27 | 2016-01-07 | 한국코엔주식회사 | Multi-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639790B (en) | Ore washer | |
KR101370379B1 (en) | Vibrating screen for removing impurities | |
FI94932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particle-liquid suspension | |
US4062776A (en) | Sludge concentrator and conditioner | |
US4439320A (en) | Solids concentrator | |
KR101183555B1 (en) | Drum type sludge concentrator | |
KR101209709B1 (en) | Screw type sludge concentration device | |
KR20180070048A (en) | Sewage sludge dewatering device | |
KR101184766B1 (en) | Filtration drum cleaning device | |
KR102051377B1 (en) | Sludge reducing device with screw | |
CN216655591U (en) | Ultrasonic cleaner | |
KR101258811B1 (en) | Punched type concentrating apparatus | |
KR102309991B1 (en) | Wiper type washing device of belt press | |
CN108117112B (en) | Treatment device for sewage | |
KR102305739B1 (en) | Wastewater recycle device of sludge dehydrator | |
KR20090059753A (en) | Surface cleaning device of water treatment plant filtration tank | |
KR101204584B1 (en) | High-pressure washing water supply apparatus and filtration drum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
JP2907675B2 (en) | Screw dehydrator | |
KR20160004499A (en) | Drum Screen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 |
CN217200243U (en) | Scraper conveyor with spraying device | |
CN214991071U (en) | Belt thickener | |
KR200178979Y1 (en) | washing device for filter cross of belt press type spin dryer | |
KR200236846Y1 (en) | sludge removal apparatus | |
KR200329224Y1 (en) | A filter washing device for a double-belt press | |
KR0126034Y1 (en) | Automatic washing unit for the dehydration belt of dewater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