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342B1 -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342B1
KR102291342B1 KR1020190084159A KR20190084159A KR102291342B1 KR 102291342 B1 KR102291342 B1 KR 102291342B1 KR 1020190084159 A KR1020190084159 A KR 1020190084159A KR 20190084159 A KR20190084159 A KR 20190084159A KR 102291342 B1 KR102291342 B1 KR 10229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ga
mushroom
extract
water
chaga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245A (ko
Inventor
박관수
이서영
김주석
아르트르 푸첸
빈웨이 두안
Original Assignee
(주)이투와이코스메틱
박관수
이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투와이코스메틱, 박관수, 이서영 filed Critical (주)이투와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08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3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23L2/082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by membran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차가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파괴 없이 추출하여 상황버섯과 각종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차가버섯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차가버섯의 풍미를 개선시켜 관능성과 기호성이 우수한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커피음료, 비타민정 및 그 제조방법{Beverages using chaga mushroo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차가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파괴 없이 추출하여 상황버섯과 각종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차가버섯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차가버섯의 풍미를 개선시켜 관능성과 기호성이 우수한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가버섯은 Barren Flower(종자번식을 할 수 없는 식물) 종류로 포자 번식되지 않고 자작나무에 침투한 바이러스가 자작나무의 수액을 먹고 자라는 매우 독특한 천연버섯으로,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몽골, 캐나다, 미국 등의 북아메리카에서 유럽의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이르기까지 광대하게 펼쳐져 있는 타이가 기후대의 자작나무 삼림지대에서 자생하는 것이다.
차가버섯의 성장과정은 자작나무의 상처를 통해 침투한 바이러스가 자작나무와 싸우는 과정을 통해 암과 같은 변종의 생명체가 생겨나고, 이것이 자작나무 내부에서 목질부분을 제거하며 자리 잡고, 자자나무의 몸속에 2m에 이르는 긴 뿌리를 내려 수액과 목질은 물론, 자작나무가 생존을 위해 만들어 내는 플라보노이드까지 섭취하면서 7년이상 성장한다. 그 후 껍질을 깨고 표면으로 나와 외부에서 2차로 성장을 하면서 비로소 차가버섯의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15년 이상 성장한 차가버섯의 껍질은 균열도 깊고 단단하며 속 부분의 살도 돌처럼 단단해지면서 밝은 색을 띠는 엽맥이 발견되는데, 이렇게 15년 이상 차가버섯이 성장하면 자작나무는 차가버섯으로 인하여 죽어간다.
이러한 차가버섯의 성분은 Chromogen Complex, 다당류, 폴리당, 페놀 알데히드, 폴리페놀, 옥시페놀 카본산, 휘노휜, 차가(60%), 리그닌, 섬유소, 스테로이드계 물질, 유기산(싱아산 4.5% 이하), 삼가 페놀산, 많은 종류의 염(鹽)(Si.Fe. Al. Ca. Mg. Na. Zn. Ma. Cu)및 다량의 K염(鹽) 등으로 구성되고, 그 효능은 베타글루칸과 멜라닌색소의 작용에 의한 활성산소 제거와 면역력 강화로, 이와 같은 면역력 강화 기능을 통해 암, 당뇨병, 고혈압, 알레르기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C형간염 등의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를 도와주는 효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차가버섯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차가버섯을 이용한 차, 음료 등의 제품을 차가버섯을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열수추출을 이용한 방법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품은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가버섯과 원재료의 유효 약리 성분이 파괴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종래에는 상기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음료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는 음료 개발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공개특허 제10-2005-0011235호 등록특허 제10-074520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차가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파괴 없이 추출하여 상황버섯과 각종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차가버섯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차가버섯의 풍미를 개선시켜 관능성과 기호성이 우수한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차가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황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 후,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차가버섯 혼합물을 여과하여 음료를 얻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의 음료를 충진한 후, 살균처리하고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는 30℃~60℃, 1atm∼3atm으로 설정된 초음파 추출기에서 20㎑∼40㎑의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c)단계의 혼합수는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c)단계의 상기 첨가물은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한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해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C, 비타민H, 니코틴산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1.0~3.0중량부 혼합하고, 아가베시럽 2.0~4.0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3~0.08중량부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차가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황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 및 커피추출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 후,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차가버섯 혼합물을 여과하여 음료를 얻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의 음료를 충진한 후, 살균처리하고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차가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황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 후,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차가버섯 혼합물을 건조시켜 차가버섯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와;
e) 상기 차가버섯 혼합분말에 비타민 프리믹스를 혼합한 후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비타민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가버섯을 초음파 저온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차가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파괴 없이 추출하여 상황버섯과 각종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차가버섯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차가버섯의 풍미를 개선시켜 거부감 없이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는 등 관능성과 기호성이 우수한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은 크게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 첨가물을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차가버섯 혼합물을 여과하여 음료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차가버섯 음료의 충진·살균·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차가버섯과 상황버섯 자체가 가지고 있는 유효 성분의 파괴 가능성 없이 최적의 상태에 이르는 추출을 하기 위하여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은 상기 차가버섯, 상기 상황버섯 등의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20㎑∼40㎑의 초음파를 가하여 30℃~60℃의 저온에서 상기 대상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저온에서 추출 효율이 매우 높아 고온에서의 열수추출에 의한 추출 방법보다 유효한 성분의 파괴 없이 상기 대상물의 유효성분 추출이 가능하다.
상기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의 온도가 60℃ 이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대상물이 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대상물의 유효 성분 파괴, 변성, 손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온도는 30℃~60℃의 저온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으로 상기 차가버섯과 상기 상황버섯을 추출하였을 경우, 상기 차가버섯과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 성분 파괴, 변성, 손실 없이 상기 차가버섯과 상기 상황버섯 고유의 성분을 유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차가버섯과 상기 상황버섯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유효 성분의 추출 속도를 가속화하여 추출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먼저,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차가버섯은 진균문(Eumycota)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Eubasidiomycetes) 모균아강(Hymenomycetidae)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s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시루뻔버섯속(Inontus)에 속하며 학명은 Inonotus obliquus 혹은 Fuscoporia obliquus 로 부르며 러시아에서는 Chaga로 부르며 북방 고위도 지역에서 자작나무에 기생하여 균사체로 번식된다하여 차가버섯이라고 부른다.
상기 차가버섯은 북위 45도 이상인 지역에서 수령 15년 이상되며 차가버섯의 가운데 두께가 10cm이상되며 chromogen complex가 10% 이상되며, 수분함량 15% 이하인 사온60도 이하에서 건조된 추출분말을 사용하며, 중국산 차가버섯과 북한산 차가버섯은 제외한다.
상기 차가버섯은 항암성분인 베타클루칸, 플라보노이드, 이노시톨, 트리테르페노이드, 아가리틴산, 알카로이드, 카테킨 성분이 함유되어 위장의 항궤양 작용과 암억제작용, 소화기 계통의 암에 대한 면역 활성 증강 기능이 있으며 특히 카테킨 성분이 당뇨에 특효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가버섯과 95%주정 및 물을 1 : 4.5 : 4.5의 중량비로 30℃~60℃, 1atm∼3atm으로 설정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20㎑∼40㎑의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추출된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처리 하기 위하여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1~2시간 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을 집수한 후, 상기 95%주정을 회수 및 기화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황버섯은 담자균류(Basidiomycetes)의 다년생 버섯으로, 학명으로는 페리누스 바우미(Phellinus baumi)라고 하며, 한국명으로는 목질진흙버섯으로 불린다. 민주름버섯목(Aphyllop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백색 부후균으로, 자실체는 목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상황버섯은 주로 오래된 뽕나무 줄기에서 발견되며, 고산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참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등 활엽수의 고목에서도 자생하고, 상황버섯의 자실체는 진흙 덩어리 형태로 자라다가 겨울이 되면 성장을 멈추고 노란 부분이 진흙색으로 변하게 되며, 봄이 되면 다시 노랗게 덧자라게 되는데, 버섯을 달였을 때는 노랗거나 담황색으로 맑게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버섯은 일반적인 버섯류의 성분 외에 다당류(polysaccharide)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상황버섯이 생산하는 베타글루칸 다당체가 인체 내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황버섯과 95%주정 및 물을 1 : 4.5 : 4.5의 중량비로 30℃~60℃, 1atm∼3atm으로 설정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20㎑∼40㎑의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추출된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처리 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1~2시간 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집수한 후, 상기 95%주정을 회수 및 기화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한다.
상황버섯 추출수는 맛이 구수하고, 그 색은 옅은 갈색을 띄어 맛과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첨가물을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차가버섯이 가지고 있는 맛, 냄새 및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를 감미롭게 개선시키고, 상기 차가버섯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식이유황, 인, 칼륨등의 성분을 함유시켜 상기 차가버섯의 약리성분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지 않고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만으로 상기 혼합수를 제조한 경우에는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의 진한 검은색상, 쓰고 떫은 맛, 한약과 같은 쓴 냄새로 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를 반감시켜 편리하게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는 맛이 구수하고, 그 색은 옅은 갈색을 띄어 맛과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상황버섯 추출수의 냄새는 거의 없지만 상기 차가버섯의 쓴 냄새를 희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에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수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혼합수는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많이 혼합한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의 색이 너무 옅어지고 밍밍한 맛이 나게 되므로 차가버섯의 약리적 효용을 기대하는 사람의 심리를 저감시켜 기호도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차가버섯 고유의 약리적인 유효성분을 해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적게 혼합한 경우에는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너무 적어 상기 차가버섯이 가지고 있는 맛, 냄새 및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상기 혼합수에 첨가물을 순차적으로 더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첨가물은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한 상기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해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C, 비타민H, 니코틴산등의 비타민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1.0~3.0중량부 혼합하고, 아가베시럽 2.0~4.0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3~0.08중량부 더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타민의 신맛, 상기 아가베시럽의 단맛 및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의 새콤한 맛이 어우러져 상기 차가버섯이 가지고 있는 진한 검은색상, 쓰고 떫은맛 및 한약과 같은 쓴 냄새의 관능성과 기호도를 감미롭게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온의 온도에 의해 상기 차가버섯과 상황버섯의 추출수와 첨가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5℃~35℃로 설정된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차가버섯 혼합물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음료를 얻고, 상기 음료를 자동 충진기를 이용하여 정량 충진한 후, 상기 충진된 반제품을 90℃ 전후에서 약 40분간 스팀 살균처리하고 유통기한, 제조일자 등을 표시한 후 완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6]
차가버섯과 95%주정 및 물을 1 : 4.5 : 4.5의 중량비로 60℃, 2atm으로 설정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40㎑의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에 대해 스팀을 2시간 가하고,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을 집수한 후, 상기 95%주정을 회수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만들었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황버섯과 95%주정 및 물을 이용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만들었다.
다음으로,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중량비에 따라 균질하게 혼합하여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6의 혼합수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6의 혼합수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이때, 관능검사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맛, 냄새, 색 및 전체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매우좋음, 7-좋음, 5-보통, 3-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차가+상황
혼합수
혼합 비율 관능 검사
차가버섯 추출수 상황버섯 추출수 냄새 전체기호도
실험예 1 5 5 6.4 7.8 7.4 7.2
실험예 2 6 4 6.9 7.6 7.6 7.3
실험예 3 7 3 7.3 7.4 7.9 7.5
실험예 4 8 2 8.5 7.3 8.2 8.0
실험예 5 9 1 5.9 5.3 6.2 5.8
실험예 6 10 - 2.4 3.6 2.0 2.6
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기 실험예 4의 혼합수가 전체 기호도 8.0으로 상기 실험예 1, 2, 3, 5 및 6의 혼합수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는 쓰고 떫은 맛이 강하고, 한약과 같은 쓴 냄새가 있고, 그 색은 진한 검은색을 띄므로, 상기 실험예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만으로 혼합수를 제조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기호를 반감시켜 편리하게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는 맛이 구수하고, 그 색은 옅은 갈색을 띄어 맛과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상황버섯 추출수의 냄새는 거의 없지만 상기 차가버섯의 쓴 냄새를 희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에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기 실험예 4의 혼합수를 제조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반면에, 상기 실험예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황버섯 추출수를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에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너무 적어 상기 차가버섯이 가지고 있는 맛, 냄새 색의 관능성과 기호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중량비로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한 경우에는 전체기호도가 비슷한 7점대를 유지하고 있어 관능성과 기호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황버섯을 3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면 색이 너무 옅어지고 밍밍한 맛이 나게 되므로 차가버섯의 약리적 효용을 기대하는 사람의 심리를 저감시켜 기호도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차가버섯 고유의 약리적인 유효성분을 해칠 우려가 있다.
[실험예 7~9]
실험예 7 내지 실험예 9는 관능성과 기호도가 높게 평가된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황버섯 추출수를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기 표 1의 실험예 4의 혼합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실험예 4의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해 비타민C, 아가베시럽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중량부에 따라 첨가하여 실험예 7 내지 실험예 9의 차가버섯 혼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험예 7 내지 실험예 9의 차가버섯 혼합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이때, 관능검사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맛, 냄새 및 전체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매우좋음, 7-좋음, 5-보통, 3-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차가버섯 혼합물 혼합 비율 관능 검사
비타민C 아가베시럽 자몽종자추출물 냄새 전체기호도
실험예 7 0.8 1.0 0.01 7.2 7.1 7.1
실험예 8 2.0 3.0 0.05 9.1 8.6 8.8
실험예 9 5.0 5.0 1.0 7.8 6.9 7.3
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황버섯 추출수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기 실험예 4의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해 비타민C 2.0중량부, 아가베시럽 3.0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5중량부를 혼합한 상기 실시예 8의 차가버섯 혼합물의 전체기호도가 8.8로 상기 실험예 7 및 9의 차가버섯 혼합물에 비하여 높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비타민C의 신맛, 상기 아가베시럽의 단맛 및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의 새콤한 맛이 어우러져 상기 차가버섯이 가지고 있는 진한 검은색상, 쓰고 떫은맛 및 한약과 같은 쓴 냄새를 감미롭게 개선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특히, 상기 비타민C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된 경우에는 양이 너무 적어 맛의 기호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상기 비타민C가 2.0중량부 초과로 혼합된 경우에는 그 양이 너무 많아 시큼한 맛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아가베시럽이 3.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된 경우에는 양이 너무 적어 단맛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으며, 상기 아가베시럽이 3.0중량부 초과로 혼합된 경우에는 그 양이 많아 단맛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이 0.05중량부 초과로 혼합된 경우에는 쓴맛이 너무 강해 상기 차가버섯 혼합물 본연의 고유한 맛을 저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교예 1]
10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여 5: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시럽 4.8중량부를 혼합하여 비교예 1의 차가버섯 혼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험예 8과 상기 비교예 1의 차가버섯 혼합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이때, 관능검사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맛, 냄새, 색 및 전체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매우좋음, 7-좋음, 5-보통, 3-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차가버섯 혼합물 추출수 탁도 관능 검사
냄새 전체기호도
실험예 8 투명 9.1 8.6 9.0 8.9
비교예 1 진함 7.1 7.9 7.6 7.5
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을 이용한 상기 실험예 8이 상기 비교예 1에 비하여 탁도 및 관능검사가 우수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험예 8의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은 초음파로 상기 대상물을 진동시켜 유효성분을 분리해 내는 방법으로서, 고온의 열에 의한 성분 파괴 없이 상기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맛과 향을 해치지 않고 상기 대상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의 색이 맑게 추출되므로 탁도가 투명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비교예 1과 같은 고온의 열수추출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유효성분 요소들이 파괴되거나 변성이 일어나게 되어 상기 혼합물의 맛과 냄새가 저하되고, 상기 대상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탁도가 진해져 소비자의 기호를 반감시켜 편리하게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Claims (7)

  1. a) 차가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차가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황버섯과 주정 및 물을 초음파추출기에 넣고 상기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대해 열 또는 스팀을 가한 후, 주정을 회수하여 상황버섯 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 후,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차가버섯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차가버섯 혼합물을 여과하여 음료를 얻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의 음료를 충진한 후, 살균처리하고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의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b)단계의 상황버섯 추출수는 30℃~60℃, 1atm∼3atm으로 설정된 초음파 추출기에서 20㎑∼40㎑의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저온 병합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추출하고,
    상기 c)단계의 혼합수는 상기 차가버섯 추출수와 상기 상황버섯 추출수를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첨가물은 상기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해 비타민C 2.0중량부, 아가베시럽 3.0중량부 및 자몽종자추출물 0.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84159A 2019-07-12 2019-07-12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9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59A KR102291342B1 (ko) 2019-07-12 2019-07-12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59A KR102291342B1 (ko) 2019-07-12 2019-07-12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45A KR20210008245A (ko) 2021-01-21
KR102291342B1 true KR102291342B1 (ko) 2021-08-23

Family

ID=742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159A KR102291342B1 (ko) 2019-07-12 2019-07-12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3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9986A (ja) * 2004-02-19 2005-09-02 Seijiro Kusumi チャーガを混合したコーヒ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39B1 (ko) * 2000-08-07 2003-05-28 김천환 버섯류의 가공방법 및 버섯류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50011235A (ko) 2003-07-22 2005-01-29 배조정 차가버섯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차
KR100745207B1 (ko) 2005-10-24 2007-08-01 박성혜 차가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05471B1 (ko) * 2009-06-30 2012-01-13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기능성 흑마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140017977A (ko) * 2012-08-03 2014-02-12 삼성제약공업주식회사 노년층용 비타 하이브리드 정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9455B1 (ko) * 2015-08-21 2017-1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세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혼합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음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9986A (ja) * 2004-02-19 2005-09-02 Seijiro Kusumi チャーガを混合したコーヒ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45A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550B1 (ko)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3175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101888098B1 (ko) 숙성노니원액과 차가버섯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항산화능을 가진 혼합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7615B1 (ko) 상황버섯으로 발효한 커피의 제조방법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29B1 (ko) 침향을 포함하여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향상시킨 혼합차 제조방법
KR101534554B1 (ko)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768B1 (ko) 생약성분이 함유된 오이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오이 추출 음료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0023A (ko)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KR101703276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KR102291342B1 (ko)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6123A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9270A (ko) 상황버섯을 포함하는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9955A (ko) 기능성 커피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15916B1 (ko) 천연물질 산수유를 이용한 무간수 한방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1743347B1 (ko) 홍삼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596144B1 (ko) 감초추출액이 함유된 진귤차 및 진귤식초차
KR20040081943A (ko) 바이오 천연 생 사과(해피 티) 침출차
KR101994975B1 (ko) 과실류와 초석잠을 이용한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102226425B1 (ko) 면역 활성이 증진된 혼합 야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2485832B1 (ko) 흑차의 액상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차의 액상농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