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060B1 -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060B1
KR102288060B1 KR1020140101139A KR20140101139A KR102288060B1 KR 102288060 B1 KR102288060 B1 KR 102288060B1 KR 1020140101139 A KR1020140101139 A KR 1020140101139A KR 20140101139 A KR20140101139 A KR 20140101139A KR 102288060 B1 KR102288060 B1 KR 10228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sound
pickup area
sound pickup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499A (ko
Inventor
박성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060B1/ko
Priority to US14/806,097 priority patent/US9915676B2/en
Publication of KR2016001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3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means, e.g.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P3/3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means, e.g.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using photograph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48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촬영된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METHOD FOR RECEIVING SOUND OF SUBJECT AND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이동하는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성능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장치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고성능 카메라(예, DSLR 카메라)와 같이 특정 피사체(Photographic Subject)(예, 특정 오브젝트)에게 초점을 맞추어 촬영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의 제어 옵션(control option)을 조작하여 촬영할 피사체를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영상과 함께 소리도 같이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리 및 잡음도 함께 수신하게 된다. 즉,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소리도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전자장치는 전체 촬영 범위 중에서 일정 부분을 주요 취음 영역(예,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주요 취음 영역으로 설정된 일정 영역에서 발생된 소리를 그 외의 영역에서 발생된 소리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여 특정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좌측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하거나, 전자장치의 우측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직접 설정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예, 취음)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화각(예, 촬영 범위)의 위, 아래, 좌측, 우측과 같이 전자장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영상으로 촬영 중인 특정 피사체를 인식하고, 상기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변경하여 상기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안한다. 전자장치는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함으로써 주변의 잡음을 최소화하고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피사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촬영된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카메라로 촬영하는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한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여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 중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한 피사체(예,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확인된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함으로써,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전자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 및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소리들을 걸러내고,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지향성 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 100은 제어부 110, 메모리 120, 마이크 130, 표시부 140, 카메라 150 및 입력부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 110은 상기 구성 요소들에게 신호(예: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10은 통상적으로 전자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110은 상기 버스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메모리 120, 마이크 130, 표시부 140, 카메라 150 및 입력부 16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피사체를 인식하고,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 110은 피사체 추적 모듈 112, 속도 측정 모듈 114,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을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 추적 모듈 112는 전자장치 100이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 추적 모듈 112는 동영상으로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특정 피사체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피사체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거나, 동영상의 중심에 위치한 피사체가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피사체 추적 모듈 112는 선택된 특정 피사체와 관련하여 특정 피사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 추적 모듈 112는 상기 특정 피사체의 모양, 형태, 색깔, 밝기 등의 특정 피사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특정 피사체 정보는 제어부 110에 의해 메모리 120에 저장될 수 있다. 피사체 추적 모듈 112는 수집한 특정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예컨대,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수집한 특정 피사체 정보(특정 피사체의 모양, 형태, 색깔, 밝기 등)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예, 피사체의 이동 방향,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상기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특정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만약 특정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을 확인하고 해당 사람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공개 소스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OPEN source Computer Vision library, OPEN CV)를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다. OPEN CV는 실시간 컴퓨터 영상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로 객체(object), 얼굴, 행동 인식, 독순(예, 입술 읽기), 모션 추적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다. OPEN CV는 수많은 영상들의 분석을 위해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다. 또한,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동영상에서 배경과 피사체를 구분할 수 있는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범위의 일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기설정된 관심영역 중 특정 피사체를 포함하고 있는 관심영역을 활성화시켜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은 동영상으로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특정 피사체로 인식하고, 상기 특정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속도 측정 모듈 114은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이용하여 추적되는 특정 피사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속도 측정 모듈 114은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이 수집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는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방향 및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는 메모리 120에 저장될 수 있다. 속도 측정 모듈 114은 메모리 120에 저장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은 동영상으로 촬영되고 있는 촬영 범위(예, 화각(angle of view))를 다수의 경계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촬영 범위는 전자장치 100의 표시부 140에 표시되는 범위로, 카메라 150의 화각일 수 있다.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은 촬영 범위를 기준으로 경계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계선을 경계로 촬영 범위를 다수의 경계 영역(예, 제 1 경계 영역, 제 2 경계 영역, 제 3 경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선의 설정은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100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100 간의 거리가 근거리인 경우 특정 피사체는 카메라 150 화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은 특정 피사체가 카메라 150 화각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경계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경계선으로 화각을 3개(예, 왼쪽, 가운데, 오른쪽)의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고, 특정 피사체가 가운데 경계 영역보다 크게 촬영되는 경우 2개 경계선의 간격은 넓혀질 수 있다. 또는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100 간의 거리가 원거리인 경우 특정 피사체는 카메라 150 화각의 일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은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와 원거리의 구분은 개발자에 의해 미리 설정해둔 특정 값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각을 기준으로 경계 영역을 3개(예, 왼쪽, 가운데, 오른쪽)로 나누는 경우 3개의 경계 영역은 동일한 면적으로 나뉘어 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적으로 나뉘어 질 수도 있다. 여기서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은 경계선을 경계로 각각의 경계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경계선의 위치 및 개수는 촬영 범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와 전자장치 간의 위치를 판단하여 일정 거리마다 경계선이 설정될 수도 있다. 경계선은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2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개발자가 경계 영역을 미리 나눌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경계 영역을 임의적으로 나눌 수도 있다.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변경)할 수 있다. 주요 취음 영역은 제어부 110가 마이크 130를 제어하여 원하는 소리(sound)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여 촬영 범위의 일정 범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 100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피사체로부터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소리를 수신하는 경우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전자장치 100의 왼쪽에 내장된 마이크 130의 볼륨을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 130의 볼륨을 크게 설정한다는 것은 볼륨을 작게 설정했을 때보다 더욱 많은 소리를 보다 큰 음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특정 피사체의 위치 및 특정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다수의 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 주변의 잡음과 수신하고자 하는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원하는 소리만을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전술된 피사체 추적 모듈 112, 속도 측정 모듈 114 및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로부터 특정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주요 취음 영역은 주요 취음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비교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보다 큰 음으로 수신할 수 있는 취음 영역이다. 예를 들어,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이 수집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속도 측정 모듈 114이 측정한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속도로 특정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이 설정한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특정 피사체가 위치한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임계치 이상의 속도는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이 특정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속도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인 경우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은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원(예, 피사체, 오브젝트)의 소리를 취음(Capture)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축 또는 수직축 음원들 간의 선별적인 지향성이 필요하다. 상기 선별적인 지향성을 위해 전자장치 100는 복수 개의 마이크가 전자장치 100를 기준으로 좌, 우측 면과 상,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는 전자장치 100를 기준으로 좌, 우측 면에 서로 떨어뜨려 배치되거나 상, 하측 면에 서로 떨어뜨려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향성은 다수의 마이크를 통해 취음된 소리(sound)에 대하여 빔 포밍(Beam-forming)과 같은 신호 처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빔 포밍은 취음할 범위에 대응하여 사운드 빔을 형성하여 빔이 지향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취음 영역은 피사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운드 빔의 각도, 즉, 취음 각도에 의해 형성되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음 각도가 증가하면 주요 취음 영역도 넓어지므로 전자장치 100는 넓은(wide) 범위에서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취음 각도가 감소하면 주요 취음 영역이 감소하므로 전자장치 100는 좁은(narrow) 범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취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 10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을 통해 빔 포밍 각도(예, 취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 전자장치 100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빔 포밍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 100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빔 포밍 각도를 변경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120은, 상기 제어부 11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마이크 130, 표시부 140, 카메라 150, 입력부 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제어부 11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 120은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도 있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2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이 특정 피사체를 추적할 때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120는 특정 피사체를 인식하기 위한 측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120는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다수의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20는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을 통해 경계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 속도 측정 모듈 114,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 및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을 이용하여 인식된 피사체를 추적하여 소리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 120에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 130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sound)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 130는 수신한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 100는 적어도 두 개의 마이크 130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 130는 지향성 마이크일 수 있다. 지향성 마이크는 특정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취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다란 모양의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지향성 마이크는 단일 지향성과 양지향성이 있을 수 있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는 180도로 한쪽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무지향성 마이크는 360도로 특정 방향에 관계 없이 전후좌우의 모든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양지향성 마이크는 2개의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전방과 후방의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고, 그 외의 방향에서 오는 소리는 약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마이크 130는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특정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a에서 적어도 두 개의 마이크 130를 이용하여 소리를 선별하여 수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부 140은 메모리 12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40은, 예를 들면, 패널, 홀로그램 장치 및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 140은 패널, 홀로그램 장치 및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 140는 카메라 150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카메라 150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 범위에 대응되는 영상일 수 있다. 표시부 140는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카메라 1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속에서 특정 피사체로 인식된 피사체를 다른 피사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카메라 150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16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160는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입력부 160에 입력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제어부 110는 카메라 150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다수의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피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 및 주변의 잡음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동영상을 표시부 140에 표시하면서 마이크 130를 통해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동영상으로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특정 피사체로 선택할 수 있다. 특정 피사체로 선택하는 방법은 제어부 110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피사체로 선택하거나, 표시부 140의 중심에 위치한 피사체를 임의적으로 특정 피사체로 선택할 수 있다. 동작 205에서 제어부 110는 상기 선택된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요 취음 영역은 제어부 110가 소리를 보다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을 통해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주요 취음 영역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100 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다. 주요 취음 영역은 특정한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표시부 140는 사용자가 특정 피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피사체를 주변 배경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동작 207에서 제어부 110는 선택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선택된 특정 피사체와 관련하여 특정 피사체 정보(예, 특정 피사체의 모양, 형태, 색깔, 밝기 등)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수집한 특정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정보(예, 특정 피사체의 모양, 형태, 색깔, 밝기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10는 정해진 시간 동안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특정 피사체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09에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표시부 140에 표시된 영상을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조정되어 있던 주요 취음 영역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를 추적하여, 주요 취음 영역이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마이크 13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 130를 제어한다는 것은 지향성 마이크의 빔 포밍 각도를 조절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동작 201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100, 특히, 제어부 110는 피사체들(제 1 피사체 301, 제 2 피사체 303, 제 3 피사체 305)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는 사람 또는 사물로, 촬영하는 대상일 수 있다. 표시부 140는 제어부 110의 제어 하에, 카메라 15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40에 표시되는 영상이 곧 카메라 150로 촬영하는 촬영 범위 310일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카메라 150를 통해 촬영 범위 310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들(제 1 피사체 301, 제 2 피사체 303, 제 3 피사체 305)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마이크(제 1 마이크 131, 제 2 마이크 132)로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마이크(제 1 마이크 131, 제 2 마이크 132)를 제어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310를 기준으로 제 1 마이크 131의 취음 영역을 제 1 취음 영역 321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310를 기준으로 제 2 마이크 132의 취음 영역을 제 2 취음 영역 322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취음 영역 321과 제 2 취음 영역 322이 서로 겹쳐지는 영역이 주요 취음 영역일 수 있다. 주요 취음 영역은 촬영 범위 중 일정 범위로, 마이크를 통해 중점적으로 소리를 수신할 수 취음 영역일 수 있다. 도 3a에서 각각의 취음 영역(예, 제 1 취음 영역 321, 제 2 취음 영역 322)은 촬영 범위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 110는 마이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주요 취음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주요 취음 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더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마이크 131의 제 1 취음 영역 321과 제 2 마이크의 제 2 취음 영역 322이 겹쳐지는 취음 영역을 주요 취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 마이크들의 겹쳐진 취음 영역을 주요 취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가 많으면 많을수록 주요 취음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주변 소리와 더욱 잘 구별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마이크는 전자장치 100의 좌, 우 또는 위, 아래 등 전자장치 100의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는 도 2의 동작 203 및 동작 205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310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들(제 1 피사체 301, 제 2 피사체 303, 제 3 피사체 305) 중에서 제 2 피사체 303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피사체 303를 선택하거나, 촬영 범위 310의 중심에 위치한 제 2 피사체 303를 선택하여 특정 피사체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제 2 피사체 303의 모양, 형태, 색깔 및 밝기 등의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피사체 303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제 2 피사체 303가 사람인 경우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의 얼굴을 인식하고, 제 2 피사체 303를 추적할 수도 있다. 제어부 110는 OPEN CV를 이용하여 제 2 피사체 303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를 특정 피사체로 인식한 후에, 인식된 제 2 피사체 303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 323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요 취음 영역 323은 도 3a의 제 1 취음 영역 321과 제 2 취음 영역 322이 서로 겹쳐지는 취음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 110는 취음 영역 설정 모듈 118을 통해 촬영 범위 310의 일부 영역을 주요 취음 영역 323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인식된 제 2 피사체 303의 형태 325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인식된 제 2 피사체 303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 323을 조정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위치, 크기 등에 따라 주요 취음 영역 323을 다르게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제 2 피사체 303의 크기 및 형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피사체 303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 323의 크기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c는 도 2의 동작 207 및 동작 209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제 2 피사체 303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의 이동 330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 323도 함께 이동 340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를 특정 피사체로 인식하고,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 323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특정 피사체로 인식된 제 2 피사체 303의 피사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수집한 제 2 피사체 303의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피사체 303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로 인식된 제 2 피사체 303의 피사체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제 2 피사체 303의 피사체 정보 변화량을 확인하고, 상기 변화량을 기반으로 제 2 피사체 303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의 이동 330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 323도 함께 이동 340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 110는 제 2 피사체 303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주요 취음 영역 323도 제 2 피사체 303 중심으로 변경되도록 지향성 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지향성 마이크를 제어한다는 것은 지향성 마이크의 빔 포밍 각도를 조절하여 주요 취음 영역 323이 변경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동작 407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동작 201에서 동작 207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작 401에서 동작 407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2의 동작 201에서 동작 207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동작 409에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속도 측정 모듈 114을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에 해당하는 속도는 제어부 110가 특정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피사체의 최저 속도일 수 있다. 즉,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더 이상 특정 피사체를 추적할 수 없다. 동작 409에서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미만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동작 413에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요 취음 영역의 조정은 주요 취음 영역의 범위를 축소 또는 확대하거나, 주요 취음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미만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 110의 주요 취음 영역 조정 방법은 도 2에서의 주요 취음 영역 조정 방법하고 동일하다.
동작 409에서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동작 411에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위치한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가 특정 피사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피사체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위치하고 있던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를 기반으로 조정했던 주요 취음 영역을 특정 피사체가 위치한 경계 영역에 기반하여 다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한 후에,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 영역은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촬영 범위를 구분한 영역으로,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를 재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피사체를 재인식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한 경우 제어부 110는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조정되었던 주요 취음 영역을 촬영 범위에 기반하여 다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1에서 제어부 110는 취음 영역을 경계 영역에 기반하여 조정한 상태이다. 그리고 특정 피사체가 상기 경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즉, 표시부 140에 표시되는 촬영 범위에 기반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빠르게 이동하여 특정 피사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촬영 범위 전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다시 특정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전체로 확대된 주요 취음 영역을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하여 재조정할 수 있다. 만약, 특정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 110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정된 주요 취음 영역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다시 특정 피사체를 인식하여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재조정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동작 401 내지 동작 405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을 통해 촬영 범위 310를 제 1 경계 영역 510, 제 2 경계 영역 520 및 제 3 경계 영역 5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6을 통해 경계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각각의 경계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5a는 촬영 범위 310를 3개의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경계 영역은 특정 피사체와 전자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 110는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18을 통해 각각의 경계 영역들(제 1 경계 영역 510, 제 2 경계 영역 520, 제 3 경계 영역 530)에 대응되는 취음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각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취음 영역과 관련된 정보들을 메모리 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촬영 범위 310에 특정 피사체 501를 포함하였으며, 특정 피사체 501를 중심으로 주요 취음 영역이 제 1 취음 영역 505으로 조정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특정 피사체 501의 움직임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는 도 4의 동작 407 내지 동작 411에 대응되는 하나의 예시도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주요 취음 영역이 제 1 취음 영역 505으로 조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피사체 501는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 540할 수 있다.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 540함에 따라,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1 취음 영역 505을 조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 540하는 경우 특정 피사체 501가 위치한 제 2 경계 영역 520을 기반으로 제 1 취음 영역 505에서 제 2 취음 영역 507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 540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제 1 경계 영역 510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이동 540하는 경우 특정 피사체 501의 이동 방향과 관계 없이 주요 취음 영역을 촬영 범위 310로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를 재인식하고, 제 2 취음 영역 507으로 조정된 주요 취음 영역을 재인식된 특정 피사체 501를 기반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는 도 4의 동작 407 내지 동작 411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예시도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특정 피사체 501는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경계 영역을 이탈하여 이동 550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 및 속도 측정 모듈 114을 통해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경계 영역을 이탈하여 이동 550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경계 영역 안에 특정 피사체 501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피사체 501가 경계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가 경계 영역을 이탈하여 이동 550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가 임계치 이상의 속도로 경계 영역을 이탈하여 이동 550하는 경우 주요 취음 영역을 촬영 범위 310에 기반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 110는 주요 취음 영역을 촬영 범위 310에 기반하여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를 재인식하여 특정 피사체 501의 위치를 확인하고, 특정 피사체 501가 위치한 제 1 경계 영역 510에 기반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제 3 취음 영역 509으로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501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제 3 취음 영역 509으로 조정된 주요 취음 영역을 특정 피사체 501 중심으로 다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동작 607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동작 201에서 동작 207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작 601에서 동작 607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2의 동작 201에서 동작 207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동작 609에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획득한 소리 정보를 메모리 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리 정보는 음고(음의 높낮이), 음정, 음색, 진동수, 소리의 크기 등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는 미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데이터 베이스는 사람의 얼굴을 기반으로 소리(예, 목소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데이터 베이스는 사람의 얼굴에 대응하여 그 사람의 소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 110는 인식한 사람의 소리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불러올 수도 있다. 사람의 얼굴을 기반으로 해당 사람의 소리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해 두면, 제어부 110는 다수의 피사체들로부터 동시에 발생하는 소리들 중에서도 특정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만을 선별하여 중점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획득한 후에, 동작 611에서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경우 동작 617에서 제어부 11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기능은 제어부 110가 도 2의 동작 209와 동일하게 상기 획득한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를 추적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특정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을 이탈하는 경우 동작 613에서 제어부 110는 동작 609에서 획득한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였다는 것은 더 이상 표시부 140에 특정 피사체가 표시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즉, 제어부 110는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더 이상 특정 피사체를 추적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 110는 획득한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제어부 110는 추적한 특정 피사체에 대응하여 주요 취음 영역을 다시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여 표시부 140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반하여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동작 601 내지 동작 609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를 선택하여 인식하고, 특정 피사체 701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 323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소리 정보 705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소리 정보는 음의 높낮이, 진동수, 소리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의 소리 정보 705를 메모리 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가 사람인 경우 해당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에 대응하여 해당 사람의 소리(예, 목소리)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특정 피사체 701와 관련하여 소리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 110는 동영상 촬영하는 상태에서 특정 피사체 701의 소리 정보 705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이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피사체 701를 추적하고,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b는 도 6의 동작 611 내지 동작 615에 대응되는 예시도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특정 피사체 701는 촬영 범위 310를 이탈하여 이동 710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가 촬영 범위 310를 이탈하였으므로 피사체 추적 모듈 112을 통해 더 이상 특정 피사체 701를 추적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를 더 이상 인식할 수 없는 경우 특정 피사체 701가 촬영 범위 310를 이탈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피사체 701가 촬영 범위 310를 이탈하여 이동 710한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 701로부터 획득한 소리 정보 705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 323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주요 취음 영역 323은 전자장치 100를 기준으로 전자장치 100의 왼쪽, 오른쪽, 위 및 아래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피사체가 촬영 범위 310의 왼쪽 방향으로 이탈한 경우, 제어부 110는 특정 피사체의 소리 정보 705를 기반으로 주요 취음 영역을 전자장치 100의 왼쪽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자장치 110 : 제어부
112 : 피사체 추적 모듈 114 : 속도 측정 모듈
116 : 경계 영역 설정 모듈 118 : 취음 영역 조정 모듈
120 : 메모리 130 : 마이크
140 : 표시부 150 : 카메라
160 : 입력부

Claims (18)

  1.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촬영된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피사체의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경계 영역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은,
    촬영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피사체가 상기 경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촬영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상기 피사체의 최저 이동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피사체와 전자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피사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지향성 마이크이며, 상기 마이크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피사체가 상기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정보는,
    음고, 음정, 음색 및 진동수를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12.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에 포함된 피사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피사체의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경계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경계 영역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피사체가 경계 영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피사체가 상기 경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촬영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피사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피사체가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촬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요 취음 영역을 조정하는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KR1020140101139A 2014-08-06 2014-08-06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228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39A KR102288060B1 (ko) 2014-08-06 2014-08-06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14/806,097 US9915676B2 (en) 2014-08-06 2015-07-22 Method for receiving sound of subjec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39A KR102288060B1 (ko) 2014-08-06 2014-08-06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99A KR20160017499A (ko) 2016-02-16
KR102288060B1 true KR102288060B1 (ko) 2021-08-10

Family

ID=5526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39A KR102288060B1 (ko) 2014-08-06 2014-08-06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5676B2 (ko)
KR (1) KR102288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9469B (zh) * 2019-02-28 2021-12-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設備
KR20210115970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5331B2 (en) * 2006-05-10 2012-04-10 Honda Motor Co., Ltd. Sound source tracking system, method and robot
CN102804060B (zh) * 2009-06-30 2016-08-0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音频控制图像捕捉
KR101023339B1 (ko) * 2009-07-16 2011-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 피사체의 자동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42161B2 (en) * 2010-05-18 2014-09-23 Polycom, Inc. Videoconferencing system having adjunct camera for auto-framing and tracking
KR101677699B1 (ko) * 2010-07-20 2016-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20310093A1 (en) * 2011-06-06 2012-12-06 Fujifilm Corporation Ultrasound image producing method and ultrasound image diagnostic apparatus
US9161012B2 (en) * 2011-11-1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deo compression using virtual skeleton
KR101951418B1 (ko) * 2012-06-25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오디오 줌잉방법
US9078055B2 (en) * 2012-09-17 2015-07-07 Blackberry Limited Localization of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based on single beep per channel signatures
KR101988897B1 (ko) * 2013-01-25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오디오 줌잉 공유방법
US10401825B2 (en) * 2013-01-31 2019-09-0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rea occupancy information extraction
JP2014153663A (ja) * 2013-02-13 2014-08-25 Sony Corp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516056B (en) * 2013-07-09 2021-06-30 Nokia Technologies Oy Audio processing apparatus
CN104375811B (zh) * 2013-08-13 2019-04-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效处理方法和装置
US9721161B2 (en) * 2013-08-14 2017-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Dynamic adjustment of imaging parameters
US9596437B2 (en) * 2013-08-21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focusing via multiple microphones
US9483228B2 (en) * 2013-08-26 2016-11-0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Live engine
RU2678481C2 (ru) * 2013-11-05 2019-01-29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4220A1 (en) 2016-02-11
US9915676B2 (en) 2018-03-13
KR20160017499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710B2 (en) Voice control system, vo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9913027B2 (en) Audio signal beam forming
EP3326360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50146078A1 (en) Shift camera focus based on speaker position
US1089319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8353129B (zh) 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US9885869B2 (en) Think and zoom
US20170188140A1 (en) Controlling audio beam forming with video stream data
US20190005678A1 (en) Pose estimation using multiple cameras
JP6892524B2 (ja) 対象追跡に基づくスローモーションビデオキャプチャ
KR2015001174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66035B1 (en) Multiple camera autofocus synchronization
JP2016158241A (ja) 撮像装置、撮像アシスト方法及び撮像アシス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0004381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CN116235506A (zh) 用于提供图像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KR102288060B1 (ko) 피사체의 소리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JP2022533755A (ja) 空間オーディオをキャプチャする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200192099A1 (en) Camera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motion in device
KR20160088719A (ko) 이미지를 촬영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101527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162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ttons of electronic device
US1149000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631166B2 (ja) 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US20230105785A1 (en) Video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video content providing device
KR102655625B1 (ko) 피사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