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747B1 -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747B1
KR102263747B1 KR1020200046323A KR20200046323A KR102263747B1 KR 102263747 B1 KR102263747 B1 KR 102263747B1 KR 1020200046323 A KR1020200046323 A KR 1020200046323A KR 20200046323 A KR20200046323 A KR 20200046323A KR 102263747 B1 KR102263747 B1 KR 10226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insert
work chair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to KR102020004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바퀴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는 중공형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마감재를 포함하며, 프레임 마감재는 프레임의 단부에서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며, 삽입체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과하는 축 부재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제공하며, 축 수용부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축 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WORKING CHAIR FOR EASY ASSEMBLY}
본 발명은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용접 등의 결합 방식을 최소로 하여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품 활용도가 높은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7600호는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배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는 작업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농사용 작업의자는 프레임을 중심으로 바퀴, 나선축으로 체결된 시트 및 등받이를 구비하며, 나선축을 수용하는 축지관을 프레임에 용접으로 용접하여 제공한다.
하지만, 용접을 하기 위해서 시트가 결합된 상태로 축지관을 프레임에 용접을 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는 제작이나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내용은 공개특허 제10-2009-099431호에 기재된 작업용 의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작업의자에서 가장 내구성이 필요한 부분이 바퀴 축 및 축을 감싸는 허브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메인 프레임을 U-자로 절곡하고, 그 단부에 축 허브를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바퀴 주변을 복잡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의자의 메인 프레임을 활용하여 바퀴 축을 직접 장착할 수 있고, 마감까지 완료할 수 있는 조립식 농업용 작업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 향상은 물론 부품의 개수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농업용 작업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는 중공형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마감재를 포함하며, 프레임 마감재는 프레임의 단부에서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며, 삽입체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과하는 축 부재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제공하며, 축 수용부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축 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축 수용부가 프레임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 마감재는 축 부재가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후, 축 부재의 단부에 삽입되어 축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축 부재는 바퀴 축이 될 수 있으며, 바퀴가 아닌 별도의 구조체, 예를 들어 주변의 바퀴 구조의 예를 들어, 바퀴 프레임이나 기타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의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홀 또는 슬릿에 바퀴 축, 바퀴 프레임 등을 위치시키고, 프레임 마감재를 프레임 단부에서부터 밀어 넣어 축 수용부로 하여금 축 부재를 고정하고, 프레임과 프레임 마감재를 나사 등의 체결 부재로 고정하여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분해과정은 그 반대이기 때문에 조립과 분해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축 수용부는 삽입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축 수용부의 정면 또는 배면의 윤곽은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1
또는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축 수용부는 삽입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예를 들어 축 수용부의 정면 및 배면의 윤곽이 눕혀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프레임 마감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다른 연장 프레임을 장착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은 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프레임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마감재의 삽입체에는 프레임 홀을 통과한 연장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수용부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의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프레임의 축 방향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의자의 등받이를 연장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경우라면, 프레임 수용부를 프레임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프레임 마감재의 프레임 수용부에 대응하여 프레임에 프레임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장 프레임 단부를 프레임 수용부에 고정하는 과정으로 작업의자에 등받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는 삽입체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정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지 플랜지로부터의 치수를 규격화하여 프레임에도 그에 대응하는 홀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의 단부에는 축 부재의 통과를 위한 관통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측이 개방된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 프레임에 연결하는 바퀴 프레임이나 주변 프레임을 개방된 면을 통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바퀴 프레임 등을 프레임에 먼저 통과하도록 설치한 후 프레임 마감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사용 작업의자의 중공형 프레임에 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마감재는 프레임의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 및 프레임의 단부에서 삽입되면서 축 부재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포함하며, 축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축 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 수용부는 상기 삽입체의 하부 또는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축 수용부가 삽입체의 하부에 형성되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축 수용부의 정면 또는 배면의 윤곽은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3
또는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 수용부가 삽입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예를 들어 축 수용부의 정면 및 배면의 윤곽이 눕혀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삽입체에는 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수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는 작업의자의 메인 프레임을 활용하여 바퀴 축을 직접 장착할 수 있고, 조립, 마감 및 분해까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작업의자에서는 바퀴 등에 큰 하중이 부과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에 횡으로 걸치는 프레임을 추가하고, 그 프레임에 바퀴를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용접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농사용 작업의자는 프레임 마감재를 이용하여 바퀴의 장착, 바퀴의 윤활, 바퀴의 고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에 축 홀만 형성하는 경우보다 마감재의 축 수용부가 축을 내부에서도 지지하기 때문에 축 홀이 변형되면서 작업의자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은 물론 조립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과정에 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과정에 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100)는 메인 프레임(130), 메인 프레임(130) 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110), 메인 프레임(130)의 전후로 장착되는 2쌍의 바퀴(120), 메인 프레임(130)의 후방에 고정되는 연장 프레임(140) 및 연장 프레임(140)에 장착되는 등받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바퀴(120)는 바퀴 축(122)을 통해 연결되며, 바퀴 축(122)은 메인 프레임(130)의 단부 아래에 형성된 축 홀(132)을 통과하여 메인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몸무게 등은 메인 프레임(130)의 축 홀(132)의 상단 4개 지점을 통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서 축 홀(132)의 상단은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손상된 축 홀은 바퀴(12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업제품 중에서 이렇게 중공의 메인 프레임에 바퀴 축을 직접 관통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택하는 작업의자는 거의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서는 메인 프레임(130)에 축 홀(132)을 형성하고 바퀴 축(122)을 직접 장착하되, 삽입체(210) 및 축 수용부(220)를 포함하는 프레임 마감재(200)를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200)는 메인 프레임(130)의 전후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후단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마감재(200)는 연장 프레임(140)과의 연결 과정에서도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110)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나사축(112)이 고정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30)에도 시트 어댑터(114)를 고정하여 시트(110)를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높이 조절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200)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내구성 및 윤활 특성을 가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마감재(200)는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210), 삽입체(210)의 하부에 형성된 축 수용부(220), 삽입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230) 및 정지 플랜지(240)를 포함한다.
축 수용부(220)는 삽입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측면이라고 가정할 때, 정면,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수용부(220)의 정면 또는 배면의 윤곽은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5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르게는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6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수용부(220)가 메인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 축(122)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메인 프레임(130)의 단부에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이후에는 바퀴 축(122)의 상면을 제한하여 축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윤활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축 베어링으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프레임 마감재(200)를 메인 프레임(130)의 단부에 삽입한 후, 나사 체결홀(133) 등을 통해서 삽입된 삽입체(2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30)의 전후로 같은 프레임 마감재(2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프레임 마감재(2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장착된 프레임 마감재(200)는 전방의 바퀴 축(122)을 지지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지만, 후방에 장착된 프레임 마감재(200)는 후방의 바퀴 축(122)을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등받이(150)의 고정을 위한 연장 프레임(140)을 고정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의 프레임 마감재(200)의 프레임 수용부(230)가 형성되며, 프레임 수용부(230)에 대응하여 프레임 홀(134)이 메인 프레임(1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자나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130)에 바퀴 축(122)과 프레임 마감재(200)를 삽입한 후, 등받이(150)가 장착된 연장 프레임(140)을 프레임 홀(134)을 통해 삽입체(210)의 프레임 수용부(23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130)의 측면으로 볼트나 나사 등을 통과시켜 연장 프레임(140)을 메인 프레임(130)에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수용부(23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지만, 연장 프레임을 수직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삽입체에서도 프레임 수용부를 수직 또는 직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프레임 마감재를 달리하여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참고로, 이전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이전 실시예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을 이하 설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300)는 횡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330), 메인 프레임(330) 상부에 위치하는 시트(310), 메인 프레임(330)의 전후로 장착되는 바퀴(320) 및 시트(310)에 일체로 연결된 등받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로 배치되는 각 바퀴(320)는 광폭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축 형상의 바퀴 프레임(324)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퀴 프레임(324)은 메인 프레임(330)의 좌우 단부 아래에 형성된 축 홀(332)을 통과하여 메인 프레임(330)에 고정될 수 있다.
바퀴 축을 고정하는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 축 이외의 축 형상 부재, 예를 들어 바퀴 프레임(324)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요도로 프레임 마감재(2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지만, 축 수용부(230)가 형성된 프레임 마감재(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속으로 다양한 용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프레임 마감재(200)는 내구성 및 윤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3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210), 삽입체(210)의 하부에 형성된 축 수용부(220), 삽입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230) 및 정지 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메인 프레임(330)에 축 홀(332)을 형성하고 바퀴 프레임(324)을 통과시키며, 삽입체(210) 및 축 수용부(220)를 포함하는 프레임 마감재(200)를 측면에서 바퀴 프레임(324)을 장착하기 전 또는 후에 삽입하여 바퀴 프레임(324)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200)를 메인 프레임(330)의 단부에 삽입한 후, 나사 체결홀 등을 통해서 삽입된 삽입체(2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좌우로 같은 프레임 마감재(2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프레임 마감재(2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좌우로 프레임 홀 등을 형성하여 연장 프레임을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 수용부가 없는 프레임 마감재도 가능하다.
동일한 메인 프레임이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마감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30)은 단부 아래에 형성된 축 홀(132) 및 프레임 홀(1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단부로 프레임 마감재(400)가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400)는 내구성 및 윤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410), 삽입체(410)의 하부에 형성된 축 수용부(420), 삽입체(41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430) 및 정지 플랜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 수용부(430)는 전후가 막힌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연장 프레임의 치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 수용부(43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30)에서 축 홀(132')이 아래가 아닌 단부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 마감재(500)는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510), 삽입체(510)의 중앙부에 누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수용부(520), 삽입체(510)에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530) 및 정지 플랜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축 수용부(52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메인 프레임(130)에서도 축 홀(132')을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장 프레임에 대응하여 삽입체(510)에서도 프레임 수용부(53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삽입체(510)도 상하 비대칭을 이루는 U-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부가 하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이고, 하부 구조에 프레임 수용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서도 바퀴 축 또는 바퀴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130)에 고정한 후, 축 수용부(520)가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 마감재(500)를 삽입하여 메인 프레임(13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이 삽입되는 경로를 고려하여, 삽입체(510)의 상부 구조에도 안착부(532)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프레임(730)은 중앙부에 형성된 축 슬릿(732) 및 프레임 홀(7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단부로 프레임 마감재(600)가 삽입될 수 있다.
축 슬릿(732)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퀴 프레임(324)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바퀴 프레임(324)을 장착하기 위해서 바퀴(320)를 일시적으로 분리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축 슬릿(732)을 이용하기 때문에 바퀴 등을 분리하지 않고도 축 형상의 프레임을 프레임(730)의 단부에 장착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 마감재(600)는 메인 프레임(7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610), 삽입체(610)의 중앙부에 누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수용부(620), 삽입체(610)의 하부 구조에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630) 및 정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수용부(620)는 삽입체(6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프레임(730)에서도 축 슬릿(732)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장 프레임에 대응하여 삽입체(610)에서도 프레임 수용부(63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삽입체(610)도 상하 비대칭을 이루는 U-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부가 하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이고, 하부 구조에 프레임 수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프레임 마감재(800)가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하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형성된 축 수용부(820)만 포함할 수가 있다. 물론 이 경우 프레임의 중앙부에 축 슬릿(73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마감재(800)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610), 삽입체(610)의 중앙부에 누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수용부(620) 및 정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수용부(620)는 삽입체(6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프레임에서도 축 슬릿(732)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 마감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731) 및 프레임 마감재(900)는 안정된 결합을 위해 좌우로 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731)은 폭이 높이에 비해 큰 직사각형태의 중공형 프레임일 수 있으며, 중앙에 축 슬릿(7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응하여, 프레임 마감재(900)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체(910), 삽입체(910)의 중앙부에 누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축 수용부(920) 및 정지 플랜지(940)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수용부(920)는 삽입체(9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프레임에서도 축 슬릿(733)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바퀴 프레임 등을 축 슬릿(733)에 걸쳐 장착한 후, 프레임 마감재(900)로 프레임(731)의 단부를 마감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프레임의 상하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홀 등은 장착되는 바퀴 프레임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농사용 작업의자 130:메인 프레임
110 : 시트 120 : 바퀴
140 : 연장 프레임 200 : 프레임 마감재
210 : 삽입체 220 : 축 수용부
230 : 프레임 수용부 240 : 정지 플랜지

Claims (14)

  1. 바퀴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에 있어서,
    중공형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마감재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통과하는 축 부재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제공하며,
    상기 축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 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용부는 상기 삽입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용부의 정면 또는 배면의 윤곽은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7
    또는
    Figure 112020039450513-pat00008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용부는 상기 삽입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용부의 정면 및 배면의 윤곽은 눕혀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프레임 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에는 상기 프레임 홀을 통과한 상기 연장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농사용 작업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연장 프레임의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축 방향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마감재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정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축 부재의 통과를 위한 관통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마감재는 상기 축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후, 상기 축 부재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바퀴 축 또는 바퀴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12. 농사용 작업의자의 중공형 프레임에 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 및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서 삽입되면서 상기 축 부재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 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마감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용부는 상기 삽입체의 하부 또는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마감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에는 상기 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마감재.
KR1020200046323A 2020-04-16 2020-04-16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Active KR10226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23A KR102263747B1 (ko) 2020-04-16 2020-04-16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23A KR102263747B1 (ko) 2020-04-16 2020-04-16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747B1 true KR102263747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323A Active KR102263747B1 (ko) 2020-04-16 2020-04-16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466A (ko) * 1997-11-13 1999-06-05 지상철 밭고랑 작업차
KR200333868Y1 (ko) * 2003-07-24 2003-11-19 이봉선 농작업용 의자
KR100849205B1 (ko) * 2007-04-23 2008-07-3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KR102139828B1 (ko) * 2019-01-02 2020-07-30 주식회사 부농테크 농사용 작업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466A (ko) * 1997-11-13 1999-06-05 지상철 밭고랑 작업차
KR200333868Y1 (ko) * 2003-07-24 2003-11-19 이봉선 농작업용 의자
KR100849205B1 (ko) * 2007-04-23 2008-07-3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KR102139828B1 (ko) * 2019-01-02 2020-07-30 주식회사 부농테크 농사용 작업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9485A (en) Seats constructed of interlocking elements
US4676519A (en) Wheelchair
US6253933B1 (en) Shelving rack
US4861102A (en) Tray assembly for attachment to folding chairs and other supporting structures
US6839950B2 (en) Frame assembly for modular furni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5411315A (en) Infant bounce chair
US4557521A (en) Chair having a resiliently interconnected seat and back
AU651971B2 (en) High density stacking flex chair
US5626394A (en) Tubular chair frame
US7621600B2 (en) Seat frames having appearance of one-piece construction and seat frames having a back support design derived from the frame
US3058777A (en) Method of interconnecting metal chair rounds and legs
KR102263747B1 (ko) 조립식 농사용 작업의자
US20040189059A1 (en) Chair with bight formed in leg
US2851090A (en) Chair
JP6726441B2 (ja) 椅子の脚構造
KR102139828B1 (ko) 농사용 작업의자
US2292831A (en) Chair
JP2009056257A (ja) テーブル付椅子
US2755844A (en) Chair with pivoted back
US20200037770A1 (en) Mobile chair
CN222367383U (zh) 学生用靠背椅
KR20180003313U (ko)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KR200495606Y1 (ko) 야외용 테이블의 받침 구조
JPS628770Y2 (ko)
KR950002825Y1 (ko) 휴대용 간이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