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27B1 -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27B1
KR102263127B1 KR1020190158359A KR20190158359A KR102263127B1 KR 102263127 B1 KR102263127 B1 KR 102263127B1 KR 1020190158359 A KR1020190158359 A KR 1020190158359A KR 20190158359 A KR20190158359 A KR 20190158359A KR 102263127 B1 KR102263127 B1 KR 10226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to
hold
detection step
stat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9015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25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related to comfort of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5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은, 현재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 차속이 0일 경우, 브레이크의 On 상태로 기설정 된 시간동안 유지되는 지, 기어의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 및 앞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전방상태 검출단계; 및 상기 전방상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 진입을 허용하는 오토홀드 진입단계;를 포함하는 것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Auto Hol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Front Signal, And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변경에 따른 차량 주행 시 차량이 울컥이는 충격없이 안락한 차량 출발을 구현할 수 있는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오토홀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시스템(AVH, AUTO VEHICLE HOLD)은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 및 안전 운전성을 위하여, 정차시 브레이크의 압력유지 기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브레이크를 밟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킨 일종의 편의장치를 말한다.
상기 오토홀드 시스템은 오토홀드 준비(ready) 진입 후, 변속단 D/R/N단 혹은 스포츠 모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차량이 정지한 후,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고 있어도 차량 정지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운전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후 변속단 D/R 혹은 스포츠모드에서 가속페달을 밟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되어 차량 출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오토홀드 시스템은 브레이크 압력 유지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발을 편하게 쉴 수 있고, 언덕 또는 심한 경사에서도 밀리지 않고 차량을 다시 출발시킬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오토홀드 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상태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정체구간에서 수시로 정차하는 구간에서 운전자의 의지와 다르게 오토홀드에 빈번하게 진입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오토홀드 진입상태에서 엑셀 페달 신호로 인한 오토홀드 해제 시 울컥거리는 충격과 함께 차량이 출발하여 주행의 안락감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5249호 (2017년 06월 0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변경에 따른 차량 주행 시 차량이 울컥이는 충격없이 안락한 차량 출발을 구현할 수 있는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는 오토홀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 차속이 0일 경우, 브레이크의 On 상태로 기설정 된 시간동안 유지되는 지, 기어의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 및 앞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전방상태 검출단계; 및
상기 전방상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 진입을 허용하는 오토홀드 진입단계;를 포함하는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에서, 기어의 위치는 N단 또는 D단을 만족할 경우, 전방상태 검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차량상태 검출단계를 되풀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상태 검출단계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의 유지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신호등 정보 검출단계; 및
차량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 정보는, 해당 신호등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등의 색상 정보가 적색이고,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일 경우, 오토홀드 진입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4 미터를 초과할 경우, 차량 전방에 차량 또는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토홀드 진입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은 또한,
차량의 상태가 오토홀드 진입상태에서, 스로틀 상태 정보, 기어 상태 정보, 전방 신호등 상태 정보 및 앞 차와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은,
상기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 해제하는 오토홀드 해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는 오토홀드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차속, 브레이크 상태, 스로틀 상태, 기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오토홀드 제어부에 전달하는 차량상태 검출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오토홀드 제어부에 전달하는 전방상태 검출부; 및
상기 차량상태 검출부 및 전방상태 검출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토홀드 진입 또는 오토홀드 해제 동작을 제어하는 오토홀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는 또한,
상기 오토홀드 제어부에 의해 오토홀드가 해제될 경우, 탑승자에게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통보하는 해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는,
상기 오토홀드 제어부의 작동을 운전자에 의해 켜거나 끌 수 있는 오토홀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 전방상태 검출단계, 오토홀드 진입단계 및 오토홀드 해제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신호변경에 따른 차량 주행 시 차량이 울컥이는 충격없이 안락한 차량 출발을 구현할 수 있는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상태 검출부(110), 전방상태 검출부(120) 및 오토홀드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상태 검출부(110)는, 차량의 차속, 브레이크 상태, 스로틀 상태, 기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오토홀드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방상태 검출부(12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오토홀드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오토홀드 제어부(130)는, 차량상태 검출부(110) 및 전방상태 검출부(12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토홀드 진입 또는 오토홀드 해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100)는, 해제 알림부(140) 및 오토홀드 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제 알림부(140)는, 오토홀드 제어부(130)에 의해 오토홀드가 해제될 경우, 탑승자에게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오토홀드 스위치(15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기 쉬운 운전자석과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오토홀드 제어부(130)의 작동을 운전자에 의해 켜거나 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오토홀드를 제어하는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S10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 및 오토홀드 진입단계(S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는, 현재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 차속이 0일 경우, 브레이크의 On 상태로 기설정 된 시간동안 유지되는 지, 기어의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검출한다.
이때,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기어의 위치는 N단 또는 D단을 만족할 경우(도 2 및 도 3의 S115),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를 수행하게 된다.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에서는,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 및 앞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를 되풀이하여 수행함이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의 S115)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는, 신호등 정보 검출단계 및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를 포함한다. 신호등 정보 검출단계에서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의 유지시간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또한,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에서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를 거리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 정보는, 해당 신호등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전방에 위치하는 신호등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영상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상 악화로 인해 전방 촬영이 불가한 경우를 고려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신호등의 상태 정보는 해당 신호등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신호등의 송신장치에서 차량에 신호등의 교통 지시 상태를 무선으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신호로 변경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을 바탕으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등 또는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은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하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도 2 및 도 3의 S125), 오토홀드 진입을 허용한다.(S130)
구체적으로,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에서 검출된 신호등의 색상 정보가 적색이고,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일 경우, 오토홀드 진입단계(S13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4 미터를 초과할 경우, 차량 전방에 차량 또는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토홀드 진입단계(S13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기준 거리 4미터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S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S140) 및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S140)에서는, 차량의 상태가 오토홀드 진입상태에서, 스로틀 상태 정보, 기어 상태 정보, 전방 신호등 상태 정보 및 앞 차와의 거리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이 장착된 차량의 스로틀이 0%로 유지되고 있고, 기어 상태가 N단 또는 D단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전방 신호등 상태가 적색으로 유지되고 있을 경우, 차량의 오토홀드 진입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면, 차량의 스로틀이 0%를 초과하여 변화되거나, 차속이 시속 4km를 초과되거나, 앞 차와의 거리가 1 미터 미만으로 감소할 경우,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과의 거리가 1 미터 미만으로 줄어들 경우,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엔진이 장착된 차량을 전제로 하여, 스로틀 상태를 조건으로 반영한 것이나, 본 발명은 스로틀 기구의 채택이 없는 전기 자동차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즉, 전기 자동차인 경우에는 스로틀 상태는 조건으로 반영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에서는,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S14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 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오토홀드 스위치(150) 조작으로 오토홀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해제 알림부(140)를 이용하여 탑승자에게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토홀드 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상태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정체구간에서 수시로 정차하는 구간에서 운전자의 의지와 다르게 오토홀드에 빈번하게 진입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오토홀드 진입상태에서 엑셀 페달 신호로 인한 오토홀드 해제 시 울컥거리는 충격과 함께 차량이 출발하여 주행의 안락감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 전방상태 검출단계, 오토홀드 진입단계 및 오토홀드 해제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신호변경에 따른 차량 주행 시 차량이 울컥이는 충격없이 안락한 차량 출발을 구현할 수 있는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오토홀드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장치
110: 차량상태 검출부
120: 전방상태 검출부
130: 오토홀드 제어부
140: 해제 알림부
150: 오토홀드 스위치
S100: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S110: 차량상태 검출단계
S115: 검출 데이터가 시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S120: 전방상태 검출단계
S121: 신호등 정보 검출단계
S122: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
S125: 검출 데이터가 시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S130: 오토홀드 진입단계
S140: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
S150: 오토홀드 해제단계

Claims (9)

  1. 차량에 탑재되는 오토홀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 차속이 0일 경우, 브레이크의 On 상태로 기설정 된 시간동안 유지되는지, 기어의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 및 앞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 및
    상기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 진입을 허용하는 오토홀드 진입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의 유지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신호등 정보 검출단계; 및
    차량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의 색상 정보 및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 정보는, 해당 신호등 제어장치와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하고,
    상기 신호등의 색상 정보가 적색이고, 현 신호등 색상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일 경우, 그리고, 상기 앞 차와의 거리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4 미터를 초과할 경우, 차량 전방에 차량 또는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토홀드 진입단계(S130)를 수행하며,
    차량의 상태가 오토홀드 진입상태에서, 스로틀 상태 정보, 기어 상태 정보, 전방 신호등 상태 정보 및 앞 차와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S140);와
    상기 오토홀드 중 차량상태 검출단계(S14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오토홀드를 해제하는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를 더 포함하되,
    차량의 스로틀이 0%를 초과하여 변화되거나, 차속이 시속 4km를 초과하거나, 앞 차와의 거리가 1 미터 미만으로 감소할 경우나,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과의 거리가 1 미터 미만으로 줄어들 경우, 상기 오토홀드 해제단계(S15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기어의 위치는 N단 또는 D단을 만족할 경우, 전방상태 검출단계(S12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차량상태 검출단계(S110)를 되풀이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58359A 2019-12-02 2019-12-02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226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59A KR102263127B1 (ko) 2019-12-02 2019-12-02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59A KR102263127B1 (ko) 2019-12-02 2019-12-02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27B1 true KR102263127B1 (ko) 2021-06-11

Family

ID=7637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59A KR102263127B1 (ko) 2019-12-02 2019-12-02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429A (ja) * 1995-08-30 1997-03-04 Mitsubishi Motors Corp 坂道発進補助装置
JP2006151369A (ja) * 2004-11-04 2006-06-15 Honda Motor Co Ltd 走行制御装置
JP2014040173A (ja) * 2012-08-22 2014-03-06 Advics Co Ltd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745249B1 (ko) 2016-03-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 제어 방법
JP2019059416A (ja) * 2017-09-27 2019-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429A (ja) * 1995-08-30 1997-03-04 Mitsubishi Motors Corp 坂道発進補助装置
JP2006151369A (ja) * 2004-11-04 2006-06-15 Honda Motor Co Ltd 走行制御装置
JP2014040173A (ja) * 2012-08-22 2014-03-06 Advics Co Ltd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745249B1 (ko) 2016-03-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 제어 방법
JP2019059416A (ja) * 2017-09-27 2019-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61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US10399567B2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apparatus
US10272926B2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apparatus
JP2012111263A (ja) 自動制御装置
CN105599766B (zh) 驾驶辅助装置
JP2014227877A (ja) 急発進防止装置
WO2017021602A1 (fr) Procédé de fonctionnement d'un système automatisé d'assistance à la conduite d'un véhicule automobile
JP2018049601A (ja) 運転席と少なくとも一つの乗員席とを備える車両、及び、交代運転者及び又は少なくとも一人の同乗者に現在経験されている運転状況についての情報を提供する方法
KR102263127B1 (ko) 전방신호에 따른 오토홀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20220297643A1 (en) Automatic braking system and method and vehicle
JP533117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JP4363142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5081963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7131143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4400236B2 (ja) 車両用制動灯制御装置
JP3855730B2 (ja) 運転支援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5217265B2 (ja) 車両走行制御手段
JP4333305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5081964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3054392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H08133030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US20110259679A1 (en)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to a driver of a vehicle during a starting process
JPH07101322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453484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60076057A (ko) 차량의 isg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