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702B1 -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702B1
KR102261702B1 KR1020157036266A KR20157036266A KR102261702B1 KR 102261702 B1 KR102261702 B1 KR 102261702B1 KR 1020157036266 A KR1020157036266 A KR 1020157036266A KR 20157036266 A KR20157036266 A KR 20157036266A KR 102261702 B1 KR102261702 B1 KR 10226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s
dental implant
insertion tool
notches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578A (ko
Inventor
다니엘 귄터
스테빤 꾸르부아지에
미오들라그 라칙
토레 플로리안 달라
Original Assignee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filed Critical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16001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아 임플란트 (1) 에 관한 것으로, 치아 임플란트는 평행하거나 치아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고 부분적으로 경사진 외향 연장 노치들 (2) 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정팔각형 형상을 갖는 소켓 배열을 가지고, 경사는 치관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차단 및 외향 연장 리지들은 치아 임플란트 (1) 의 치근 방향으로 노치들 (2) 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접촉면들 (3) 은 지대주와 맞물려 회전 고정하도록 되어있고,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종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리지들 내에서 노치들 (2) 로부터 연장되고,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노치들 (2) 은 정팔각형의 변들 또는 모서리들에 위치결정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DENTAL IMPLANT SOCKET ARRANGE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대주를 지지하기 위해 턱뼈에 나사고정되도록 된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한편으로는 삽입 공구와 협동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대주와 협동작용하는 치아 임플란트의 개선된 소켓 배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의 소켓 배열과 맞물리도록 된 삽입 공구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대로, 적어도 하나의 지대주를 지지하기 위해 턱뼈에 나사고정되도록 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는 측방향 접촉면들과 상부 접촉면을 구비한 임의의 소켓 배열을 가져야 하고 상기 소켓 배열 위에서 지대주는 장기간 정해진 안정적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대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는 대략 150 Ncm 까지의 임의의 토크력을 이용해 턱뼈에 나사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런 나사고정 작동 중 예를 들어 소켓 배열의 일부로서 알렌 (Allen) 소켓과 맞물리는 알렌 렌치인 삽입 공구가 알렌 소켓의 각각의 측방향 접촉면들 내에서 재료 용접 또는 시프팅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필시 직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측방향 접촉면들이 지대주의 위치결정 및 삽입 공구와 맞물림에 사용된다면, 또는 다시 말해서 제 1 접촉면들이 제 2 접촉면들이라면, 소켓 내 변화로 인해 지대주가 정해진 위치에서 임플란트에 더이상 끼워맞추어지지 않는 위험이 존재한다.
EP 1 427 348 B1 은, 제 1 접촉면들이 지대주와 맞물려 있고 동일한 제 1 접촉면들이 삽입 공구와 맞물린 소켓 배열을 구비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EP 1128 778 B1 은, 제 1 접촉면들이 지대주와 맞물려 있고 제 2 접촉면들이 삽입 공구와 맞물린 소켓 배열을 구비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개시하고, 제 1 접촉면들은, 바람직하게,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의 외측부에 만들어지고 제 2 접촉면들은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의 내측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은 완전히 기하학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위에서 공지된 임플란트의 제조는, 한 번은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 외측에서 한 번은 내측에서, 소켓 배열의 2 개의 완전히 분리된 부분들을 밀링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어렵고 더 많은 비용이 든다. 하나는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 외측으로 다른 하나는 내측으로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을 기하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내부 제 2 접촉면들은 필연적으로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더 가까워지게 되고 그 결과 제 2 접촉면들이 더 긴 레버 아암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임플란트를 턱뼈에 나사고정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더 높은 접촉력이 발생한다. 더 높은 접촉력의 존재는, 소켓 재료의 용접 위험을 증가시키고 외부 제 1 접촉면들에 심지어 영향을 미치고 변형을 일으킬 수도 있다. 소켓 재료의 용접 또는 그것의 변형은 재밍 (ja㎜ing) 또는 그리핑 (gripping) 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삽입 공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보다 어려운 맞물림 해제를 유발할 수도 있고, 또는 임플란트와 지대주 사이에 더 불량하거나 심지어 불가능한 맞물림을 유발할 수도 있다.
EP 1 419 746 B1 은, 제 2 회전 방지 다각형 접촉면이 제 1 회전 방지 수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놓여있으므로, 제 1 회전 방지 수단, 예컨대 다각형 접촉면이 제 2 회전 방지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소켓 배열을 구비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하지만, 2 개의 종방향으로 분리된 회전 방지 수단을 가지는 것은 임플란트의 바람직하지 못한 깊은 소켓을 유발하고, 이것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총 가능 길이를 제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단어 "임플란트" 는 본원에서 치아 임플란트 또는,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나타낸다. 게다가, 본 발명과 관련해서 단어 "지대주" 는 본원에서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에 직접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의치들 또는 크라운들을 지지하거나 지지하도록 된 상부 구조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턱뼈에 임플란트를 나사고정하기 위해 삽입 공구와 협동작용하고 장기간 규정된 위치에서 지대주를 유지하도록 작용하여서,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소켓 배열의 제 1 부분은 삽입 공구 힘으로 맞물리기 위한 소켓 배열의 제 2 부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 소켓 배열을 구비한,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하기 설명으로부터 또한 분명하게 되는 추가 목적들은, 독립항 1 및 독립항 14 에서 각각 언급된,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특성들 및 삽입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 특성들 및 특징들은 종속항들에서 언급된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의 외경이 감소되지 않으므로, 지대주에 다른 외부 소켓을 제공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외부 치관 면이 밀링되거나 선반 가공되어야 하는 상황과 비교했을 때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턱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삽입 공구와 훨씬 더 긴 아암 레버들을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 사이 맞물림을 허용한다. 턱뼈에 임플란트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토크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 2 접촉면들을 통하여 필요한 힘을 전달하기 위한 더 긴 아암 레버들은 제 2 접촉면들에서 더 작은 힘을 유발한다. 특히 제 2 접촉면들이 그것에서 각각의 결과적으로 생성된 힘에 수직인 각도를 갖는다면, 더 작은 힘은, 다시, 제 2 접촉면들에서 더 적은 재료 변형을 유발한다. 대안적으로, 제 2 접촉면들은, 예를 들어,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어서, 제 2 접촉면들의 단면 형상으로서 결과적으로 생성된 노치들은 반경 방향으로 덜 연장된다. 따라서, 삽입 공구로부터 삽입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제 2 접촉면들 및 지대주와 장기간 맞물리기 위한 제 1 접촉면들 양자는, 더 작은 아암 레버들과 비교했을 때 더 양호한 힘 전달, 더 큰 각각의 접촉면들 및 각각의 접촉면들의 더 적은 용접 또는 변형을 유발하는 더 긴 아암 레버를 갖는다. 외부 치관 소켓이 제공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가 그것의 외경이 감소되지 않는다면 더 긴 아암 레버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높이를 규정하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지대주와 임플란트 넥 사이 치관 상부 접촉면은, 치관 측면이 밀링되거나 선반가공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거되는 종래 기술의 치관 상부 접촉면보다 훨씬 더 크다.
또, 종래 기술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치관 측면과 치관 내측 양자의 선반가공 또는 밀링을 회피하고, 대신에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 내측만 선반가공, 밀링 또는 기계가공함으로써, 기계,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접촉면들은 각각 임플란트와 삽입 공구 또는 지대주 사이에 더 긴 아암 레버들을 달성하도록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같은 높이에서 그리고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 가까이에 배열된다. 이것은 임플란트와 삽입 공구 사이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와 지대주 사이에서 밀접하고 양호한 힘 및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측방향 벽 두께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종방향 축선에 평행한 최소 전체 임플란트 길이가 제공되므로, 소켓으로 최소 진입을 허용한다.
제 1 접촉면들의 팔각형 단면 배열은, 팔각형의 외부면이 같은 높이와 원주를 갖는 육각형 면과 비교해 더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양태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8 개의 제 1 접촉면들을 구비한 팔각형 단면 소켓은 육각형 단면 소켓보다 지대주와 맞물리는 더 큰 접촉 면적을 가지고 임플란트 상의 지대주에 대해 여전히 만족스러운 회전 방지 저항을 갖는다. 더 큰 제 1 접촉면들에 의해 지대주와 임플란트 사이에 더 큰 측방향 힘이 임플란트를 변형하지 않고 인가될 수 있다. 지대주가 삽입 공구처럼 높은 토크를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접촉면들에 대하여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 둘레에서 토크력은 제 2 접촉면들에 대해서보다 훨씬 더 낮다. 삽입 공구를 위한 토크 전달면은, 노치들 및 각각의 치관 단면 노치들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제 2 접촉면들을 가지는 각각의 리지들 (ridges) 의 개수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또한, 최대 8 개의 노치들이, 임플란트에 나사고정하기 위해 토크에 따라 그리고/또는 제 1 및 제 2 접촉면들의 높이에서 임플란트의 나머지 치관 측방향 측벽의 재료 강도 및 두께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요 청구항들에서 설명되고 특징짓고,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하기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되지만 그것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 은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는 지대주와 맞물리기 위한 제 1 접촉면들 및 삽입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소켓 배열로 감소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1 실시형태의 단면 상면도로, 제 2 접촉면들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2b 는 더 적은 수의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2a 의 변형예이다.
도 2c 는 더 적은 수의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2a 의 변형예이다.
도 2d 는 도 2a 의 단면과 다른 단면을 가지는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2a 의 변형예이다.
도 3a 는 제 1 접촉면들 및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다른 소켓 배열로 감소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2 실시형태의 단면 상면도로, 제 2 접촉면들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3b 는 더 적은 수의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3a 의 변형예이다.
도 3c 는 더 적은 수의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3a 의 변형예이다.
도 3d 는 도 3a 의 단면과 다른 단면을 가지는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3a 의 변형예이다.
도 4a 는 제 1 접촉면들 및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다른 소켓 배열로 감소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3 실시형태의 단면 상면도로, 제 2 접촉면들은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8 개의 노치들 형태이다.
도 4b 는 제 1 접촉면들 및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다른 소켓 배열로 감소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단면 상면도로, 제 2 접촉면들은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6 개의 노치들 형태이다.
도 5a 는 제 1 접촉면들 및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다른 소켓 배열로 감소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4 실시형태의 단면 상면도로, 제 2 접촉면들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지는 6 개의 노치들 형태이다.
도 5b 는 더 적은 수의 제 2 접촉면들을 구비한 도 5a 의 변형예이다.
도 6 은 도 2c 의 실시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7 은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제 5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a, 도 7a 및 도 7e 는 종방향 축선 (L-L') 에 평행한 소켓 배열을 도시한, 도 7 의 실시형태의 측면도들이다.
도 7a, 도 7d 및 도 7e 는 도 7a, 도 7c 및 도 7e 에 제공된 종단면들의 배향을 부가적으로 도시한, 도 7 의 실시형태의 상면도들이다.
도 8 은 삽입된 삽입 공구와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측단면도로, 하부 접촉 플랫폼은 임플란트 내에 구현되고 대응하는 접촉면은 삽입 공구에 구현된다.
도 1 은 치관부와 맞물린 삽입 공구 또는 이동 피스 (11; 이하 단순화를 위해 단지 삽입 공구로 지정) 를 구비한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 (1) 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하기에 단지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들만 바람직한 실시형태들로서 도시되고 언급되지만, 본 발명은 비나사산 치아 임플란트들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임플란트 (1) 의 치근부의 외부는 수나사를 갖는다. 수나사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미도시된 뾰족한 리세스들 또는 그루브들로서 자체 절단 수단을 포함하여서, 임플란트 (1) 는 그것의 나사산을 턱뼈에서 절단할 수 있다. 턱뼈에 임플란트 (1) 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 공구 (11) 는 삽입을 위해 임플란트 (1) 와 일시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턱뼈는 임플란트 (1) 를 위한 알맞은 홀을 포함한다. 턱뼈에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동안, 삽입 공구 (11) 로부터 임플란트까지 전달되어야 하는 대략 150 Ncm 까지의 토크가 발생한다. 임플란트 (1) 가 턱뼈에 삽입된 후 그리고 이식 후, 미도시된 지대주는 임플란트 (1) 의 치관 단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지대주의 위치결정은 정확하게 정해진 높이에서 뿐만 아니라 규정된 회전 위치 또는 각도에서 가능해야 한다. 도 1 에 도시된 대로 삽입 공구 (11) 는 그 위에 장착되고 그것의 치관 단부 부분에 맞물리는 탄성 O 링 또는 분할된 C 링 (11a) 을 갖는다.
임플란트 (1) 는 소켓 배열의 적어도 높이 (1a) 내에서 각각의 기하학적 프로파일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섹션을 구비한 소켓 배열을 포함하고, 각각의 삽입 공구 (11) 또는 지대주를 회전 고정하기 위해 소켓 배열은 그것의 제 2 섹션에 의해 삽입 공구 (11) 와 협동작용하고 그것의 제 1 섹션에 의해 지대주와 협동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내부 개방 단부가 있는 축선방향 보어에서 임플란트의 치관부에 배열된다. 스크류에 의해 임플란트 (1) 에 지대주를 고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1) 는 바람직하게 치근 방향으로 소켓의 높이 (1a) 아래에서 나사산이 있는 섹션 (1b) 내에 암나사를 포함한다. 도시된 대로, 나사산이 있는 섹션 (1b) 은 바람직하게 또한 삽입 공구 (11) 를 위한 가이드 및 축선방향 안정화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삽입 공구 (11) 는, 언급한 대로, 작은 힘으로 임플란트와 맞물리기 위해 탄성 O 링 또는 분할된 C 링 (11a) 을 포함하여서, 뼈로 삽입한 후 삽입 공구 (11) 가 임플란트 (1) 로부터 쉽게 맞물림 해제될 수 있도록 작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자의 구강으로 운반되는 동안 임플란트 (1) 가 삽입 공구 (11) 에서 유지되고 떨어지지 않도록 강하다.
임플란트 (1) 에 대해 정해진 위치에 지대주를 고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1) 는,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지대주의 높이를 규정하도록 지대주가 가압되는 치관 상부 접촉면 (4) 을 임플란트의 상단부 또는 그 가까이에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d 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의 바닥에서 소켓 배열의 단면을 나타내도록 변화된, 도 1 의 A-A 선을 따라서 본 치아 임플란트들의 단면 상면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을 도시한다. 명료성을 위해 도 2a 내지 도 5b 는 종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임플란트 (1) 에서 절개된 단면 디스크들을 도시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소켓 배열의 제 1 섹션은 다각형 및 바람직하게 정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부분적으로 가지는 제 1 접촉면들 (3) 을 규정한다. 제 1 접촉면들 (3) 은 소켓의 높이 (1a) 를 따라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의 치근 방향으로 치관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고,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1 접촉면들 (3) 은 경사부들 또는 원뿔대 섹션들 (3b) 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도 있고, 원뿔대 섹션들 (3b) 은 소켓의 높이 (1a) 내에서 부분적으로 원뿔대를 형성한다. 하지만, 지대주와 접촉은, 경사부들 또는 원뿔대 섹션들 (3b) 이 아니라 치아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한 제 1 접촉면 (3) 의 섹션들에서 발생한다. 제 1 접촉면들 (3) 은 다각형의 변들로서 만들어진다. 다각형 형상의 제 1 접촉면들 (3) 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지들이 규정되는 외향 연장 노치들 (2) 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리지들은 제 2 접촉면들 (2a, 2b) 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d 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에서, 제 1 접촉면들 (3) 의 차단부들은 다각형의 모서리들 내에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노치들 (2) 은 리지들에 단면들로서 규정되고, 리지들은 치아 임플란트 (1) 의 종방향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다. 리지들은 제 2 접촉면들 (2a, 2b) 사이에 연장되는 측면 (2c) 을 포함한다. 제 1 접촉면들 (3) 은 지대주 (미도시) 의 대응하는 접촉면들과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리지들은 바람직하게 테이퍼진 섹션으로 절두된다. 제 1 접촉면들의 기계가공 또는 제조는 CNC 밀링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을 위해 밀링 작동보다 더 빠른, 치핑 또는 침식과 같은 냉간 성형 작동에 의한 제 1 접촉면들의 기계가공 또는 제조가 바람직하다.
제 1 접촉면들 (3) 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전이면을 구비한 제 2 접촉면들 (2a, 2b) 로 부분적으로 합쳐진다. 제 1 접촉면들 (3) 은 지대주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대응하는 소켓 배열의 면들이고,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삽입 공구 (11) 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대응하는 소켓 배열의 면들이다.
제 1 접촉면들 (3) 의 다각형 형상의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노치들 (2) 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도 2a 내지 도 2c 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이다. 따라서, 각각의 리지들은 동일한 식으로 형상화된다. 사실상, 본 발명과 관련해서 노치 (2) 의 임의의 형상이 설명될 때마다, 대응하는 리지는 그것의 단면이 일관되게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는 영역에서 각각의 노치 (2) 의 변들에 위치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그것이 삽입 공구 (11) 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의해 인가된 토크력에 수직으로 각을 이루도록, 위치결정되고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그것이 10 도 이하의 공차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삽입 공구 (11) 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의해 인가된 토크력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위치결정되고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상기 토크력을 인가하는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의 접촉면들에 평행하도록 되어있다.
제 1 접촉면들 (3) 의 다각형 형상의 모서리들에 각각 만들어진 노치들 (2) 및 리지들은, 제 1 접촉면들 (3) 의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고, 하나의 노치 (2) 와 대향한 노치 (2) 사이에 긴 대각선 거리를 갖는 접촉면들 (2a, 2b) 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은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각각의 제 1 접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각각의 직교 벡터를 가지고 대면하고, 상기 제 2 접촉면들 (2b) 은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각각의 제 2 접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각각의 직교 벡터를 가지고 대면한다.
대안적으로 노치들 (2) 은 도 2d 에 도시된 대로 측방향으로 약간 만곡된 노치들 (2) 로서 형상화되고, 측면 (2c) 은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사이에 포함되는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으로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은 원통형 또는 원뿔대 면의 세그먼트이어서,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 둘레 회전에 대해 상기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통하여 토크가 전달되지 않고, 토크는 실질적으로 단지 제 2 접촉면들 (2a, 2b) 에 의해서만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다각형은, 유리하게도 예를 들어 육각형과 같은 더 적은 모서리들을 갖는 다각형과 동일한 대각선을 갖는 더 긴 측벽들 또는 제 1 접촉면들 (3) 을 가지는 팔각형이다.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능한 전달가능한 토크도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제 1 접촉면들 (3) 의 팔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유리하게도, 제 2 접촉면들 (2a, 2b) 이 임플란트 (1) 와 지대주 또는 삽입 공구 (11) 사이에서 보다 높은 전달가능한 측방향 힘과 토크력을 허용하고 제 1 접촉면들 (3) 의 각각의 큰 접촉 면적들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최대 8 개의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이, 6 개 또는 4 개의 노치들보다 토크 전달 중 단일 노치 또는 리지에 대해 더 낮은 응력 집중과 이에 따라 더 양호한 토크 기능을 제공한다.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대로, 노치들 또는 리지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다각형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의해 인접해 있거나 이격될 수도 있는 다각형의 모서리들에서 노치들 또는 리지들의 위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경우에도, 추후에 안정적인 각도상 위치에 지대주를 위치결정하도록 충분한 면적을 허용하면서 토크 전달을 최적화하도록 노치들 또는 리지들의 개수 및 위치들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선택된다. 게다가, 예를 들어 각각 상부 및 하부 노치들/리지들에 인접하여 도 2c 의 측방향 노치들 또는 리지들을 배치시키는 것처럼, 노치들 또는 리지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면, 특히 노치들 또는 리지들이 냉간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면, 제조상 장점들이 달성된다. 동일한 변형들 및 고려사항들이 도 2d 에 도시된 노치들 또는 리지들에 적용된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2a 내지 도 2d 와 유사한, 소켓 배열의 디스크형 단면으로 도면에서 단순화시킨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의 단면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 의 제 1 실시형태와 도 3a 내지 도 3b 의 제 2 실시형태간 유일한 차이점은, 후자의 실시형태에서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이 제 1 접촉면들 (3) 의 다각형 형상의 각각의 변들의 중간에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그 외에는, 제 1 실시형태 (즉, 도 2a 내지 도 2b 의 제 1 실시형태들의 변형예들) 와 함께 기술한 모든 고려사항들이 완전히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에서, 접촉면들 (2a, 2b) 이 제 1 접촉면들 (3) 의 중간에 만들어짐에 따라, 노치들 (2)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에 따라 다각형의 모서리들에 위치결정되는 노치들 (2) 과 비교해 더 큰 반경방향 깊이 및 따라서 더 큰 접촉 면적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더 큰 표면적이 토크를 분배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b 는, 도 2a 내지 도 3d 와 유사한, 소켓 배열의 디스크형 단면으로 도면에서 단순화시킨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예들의 단면 상면도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들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접촉면들 (2a, 2b) 을 구비한 리지들의 단면들로서 노치들 (2) 에서 차이점을 갖는 선행 실시형태들에 대해서처럼 본원에서 적용된다. 또, 노치들 또는 리지들의 개수 및 위치는 선행 실시형태들에서 설명한 대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에서, 접촉면 (2a, 2b) 사이 모서리들에 예각이 존재하지 않도록 2 개의 면들에 브릿지를 형성하는 전이 섹션 (미도시) 에 의해 2 개의 접촉면들 (2a, 2b) 이 연결된다. 전이 섹션은 바람직하게 만곡되어 있다.
제 2 접촉면들 (2a, 2b) 의 이런 배열은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에 의해 인가된 힘에 대해 직사각형 노치들 (2) 과 비교했을 때 덜 유리하다. 토크의 힘 벡터는 접촉면들 (2a, 2b) 에 수직이 아니라, 더 작은 각도로 배향되고, 이것은 임플란트 삽입 중 삽입 공구의 재밍/용접에 대해 더욱 불리하다. 도 2a 내지 도 3d 에 나타낸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의 형상과 비교했을 때, 도 4a 내지 도 4b 의 실시형태들의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의 형상은, 초기 접촉면 (3) 으로부터 재료의 최소 제거를 보장한다. 따라서, 이 구조물의 보다 짧은 밀링 또는 냉간 성형 시간과 병행하여 임플란트의 보다 높은 안정성이 기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도 2a 내지 도 4b 와 유사한, 소켓 배열의 디스크형 단면으로 도면에서 변화시킨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예들의 단면 상면도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들이, 노치들 (2) 의 형상에서 차이점을 갖는 선행 실시형태들에 대해서처럼 본원에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후자의 실시형태는, 리지들의 단면이 사다리꼴의 변들을 형성하는 제 2 접촉면들 (2a, 2b) 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선행 실시형태들과 상이하다. 사다리꼴 형상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점점 가늘어진다. 제 2 접촉면들 (2a, 2b) 의 이런 배열은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에 의해 인가된 힘에 대해 직사각형 노치들 (2) 과 비교했을 때 덜 유리하고, 접촉면들 (2a, 2b) 에 대한 토크 벡터가 더 큰 각도로 놓이기 때문에 삼각형 형상보다 더 유리하다. 게다가 이 사다리꼴 형상은 냉간 압조 (heading) 작동에 적합하고, 따라서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밀링되어서는 안 된다.
도 5a 내지 도 5b 의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특성들과 유사한 특성들을 가지지만, 사다리꼴 형상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다른 변경된 실시형태 (미도시) 를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후자의 변형예는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로부터 인가된 힘 면에서 보다 양호한 수직 형상을 갖는다. 인가된 힘에 수직인 제 2 접촉면들 (2a, 2b) 을 구비한 안쪽으로 가늘어지는 노치들 (2) 을 구비한 실시형태는 접촉면들의 용접을 방지하는데,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높은 접선 성분으로 적용되면 접촉면들을 용접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5b 에 도시된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의 모든 기술한 버전들에서, 접촉면 (2a, 2b) 사이 각도는 30°~ 90°의 범위에 있을 수 있어서,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토크 전달 중 노치들 (2) 및 리지들의 용접 위험이 증가한다.
도 2a 내지 도 5b 는, 접촉면 (3) 의 변들 또는 접촉면의 모서리들에 위치한 4 개, 6 개 또는 8 개의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을 도시한다. 이 개수는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의 형상에 독립적일 수 있고 접촉면 (3) 에 대한 노치들 또는 리지들의 위치에 독립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치들의 임의의 위치들 (다각형의 모서리들 또는 변들에 있음) 및 전술한 노치들의 임의의 형상과 노치들의 임의의 개수 (다각형의 변들의 개수와 같거나 적음) 의 조합들이 예상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노치들 (2) 의 개수는 제 1 접촉면들 (3) 의 다각형의 모서리들의 개수보다 적다. 감소된 개수의 노치들은, 노치 (2) 가 만들어지지 않은 임플란트의 소켓 배열의 제 1 섹션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소켓의 높이 (1a) 내 임의의 측방향 각도상 섹션들에서 보다 높은 견고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동시에 밀링 시간이 감소된다.
도 6 은 도 2c 의 실시형태의 상면도이다. 도시된 대로 4 개의 노치들 (2) 이 팔각형인 제 1 접촉면들 (3) 의 다각형 형상 내에 90 도 각도상 배치로 만들어진다.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a) 레버의 긴 아암을 유발하는 대향한 노치들 (2) 의 큰 반경방향 직경 (대각선), 및 b) 제 1 접촉면들의 큰 면적 및 임플란트 (1) 의 높은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발하는 소켓 배열의 제 1 섹션의 보다 견고한 영역들 양자를 조합한다.
도 7 은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 (1) 를 갖는 도 6 또는 도 2c 의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2 개의 각각의 제 2 접촉면들 (2a, 2b) 사이 거리로서 노치 폭 (5) 을 가지는 2 개의 각각의 제 2 접촉면들 (2a, 2b), 정팔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 1 접촉면들 (3), 및 하부 접촉 플랫폼 (6) 을 도시한다. 전술한 대로, 제 1 접촉면들 (3) 은 평행한 접촉면들로서 만들어진다. 제 1 접촉면들 (3) 이 원뿔대 섹션들 (3b) 과 같이 약간 경사진 섹션들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섹션들은, 임플란트 (1) 에 지대주를 삽입하는 동안 지대주에 대한 임의의 자체 발견을 허용하도록, 각뿔대 형상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를 향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 원뿔대 섹션들 (3b) 은 제 1 접촉면들 (3) 의 치관부로부터 약간 절개되거나 침식되고, 원뿔대 섹션들 (3b) 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임의의 높이에 대해 제 1 접촉면들 (3) 의 대향측들 사이 내부 거리보다 약간 큰 대향측들의 직경을 갖는다. 대향측들 사이 원뿔대 섹션들 (3b) 의 직경은 정다각형의 가장자리들 사이 거리보다 작아서, 가장자리들은 유지되고 절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하부 접촉 플랫폼 (6) 은 삽입 공구 (11) 에 대한 접촉면으로서 역할을 하여서, 임플란트 (1) 와 삽입 공구 (11) 의 종방향으로 규정된 맞물림이 발생한다. 하부 접촉 플랫폼 (6) 은 노치들 (2) 또는 리지들로 삽입 공구 (11) 의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노치 폭 (5) 은 바람직하게 0.4 ~ 0.7 ㎜ 의 범위에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약 0.55 ㎜ 이다. 보다 넓은 노치 폭 (5) 은 제 2 접촉면들 (2a, 2b) 의 더 큰 면적을 유발하는데, 이것은 유리하고, 동시에 그것은 또한 지대주에 대해 보다 작은 제 1 접촉면들 (3) 을 유발하는데, 이것은 불리하다. 따라서, 0.4 ~ 0.7 ㎜ 범위에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약 0.55 ㎜ 의 바람직한 노치 폭 (5) 은 위의 상충되는 요건들에 대한 좋은 절충안이다. 보다 작은 노치 폭 (5) 은 또한 삽입 공구 (11) 의 덜 안정적인 리브들을 유발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대로, 치아 임플란트 (1) 는, 그것의 치관 단부에 그리고 치관 개구 다음에, 규정된 테이퍼를 가지는 상부 원뿔형 섹션 (7) 을 포함한다.
도 7a, 도 7c 및 도 7e 는 도 6 의 내부 임플란트 구성 (소켓) 의 상세 측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7b, 도 7d 및 도 7f 는 도 6 의 내부 임플란트 구성 (소켓) 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상면도에서 대응하는 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도 7a, 도 7c 및 도 7e 에 도시된 대로, 임플란트 쇼울더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상부 원뿔형 섹션 (7) 은 임플란트 (1) 의 종방향에 대해 테이퍼 (10°+/- 5°; 바람직하게 8°) 를 가지고, 짧은 원통형 섹션 (8) 이 뒤따르고, 제 1 리세스 (언더컷; 9) 가 뒤따르고, 실질적으로 수평인 하부 접촉 플랫폼 (6) 이 뒤따른다. 도 7a 및 도 7e 에서 하부 접촉 플랫폼 (6) 뒤에 제 1 접촉면들 (3) 을 형성하는 평행한 벽들이 있는 섹션들 (3') 이 뒤따르고, 반면에 도 7c 에서 하부 접촉 플랫폼 (6) 뒤에 상부 원뿔형 섹션 (7) 과 동일한 테이퍼를 가지고 평행한 벽들이 있는 섹션들 (3"') 로 통과하기 전 치근으로 연장하는 원뿔대 섹션들 (3b) 을 형성하는 테이퍼진 벽들이 있는 섹션 (3") 이 뒤따른다. 또한 도 7a, 도 7c 및 도 7e 의 모든 단면들에서 치근에서 제 2 리세스 (언더컷; 10) 는 내부 임플란트 소켓의 하부로 이어진다.
이 상부 원뿔형 섹션 (7) 은 삽입 공구 (11) 에 접촉하지 않고, 지대주를 향한 밀봉 섹션을 나타낸다. 제 1 리세스 (9) 는 두 가지 기능, 맨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조건 하에 삽입 공구 (11) 를 장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하부 접촉 플랫폼 (6) 은, 삽입 기기의 리지들과 맞물릴 수 있는 노치들 (2) 을 찾기 전 종단면을 따라 삽입 공구 (11) 를 회전시키는 것을 돕는다 (거의 무마찰). 둘째로 제 1 리세스 (9) 는, 두 부분이 운반 중 (로지스티컬) 그리고 환자의 구강으로 운반되는 동안 (언패킹 후) 확실히 견고히 연결되어 있도록 임플란트 (1) 를 향한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삽입 공구 (11) 의 C 링 또는 O 링과 맞물리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임플란트의 삽입 후 임플란트와 용이한 맞물림 해제를 허용할 정도록 유지력은 충분히 낮다.
도 7a 내지 도 7f 의 내부 임플란트 구성 (소켓) 의 특성들이 도 7 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특성들은 모두 동일하게 본원에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8 은 임플란트 (1) 및 그 안에 삽입된 삽입 공구 (11) 의 실시형태의 측단면도로, 삽입 공구 (11) 가 임플란트 (1) 의 하부 접촉 플랫폼 (6) 에 맞닿아 있고 삽입 공구 (11) 가 그것의 종방향 축선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서 노치들 (2) 과 맞물리기 위한 축선방향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바람직하게, 위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다각형 형상은 팔각형이다. 게다가, 위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바람직하게, 노치들 (2) 또는 리지들은 각각 임플란트 (1) 의 보다 용이한 기계가공 또는 제조를 허용하기 위해 모서리에서 약간 만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노치들 (2) 의 또는 리지들 내 제 2 접촉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 10 도의 공차를 가지고 또는 더욱더 바람직하게 5 도의 공차를 가지고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에 의해 인가된 힘에 수직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위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소켓 배열의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실질적으로 소켓 배열의 높이 (1a) 내에서 끝난다. 그러나, 제 1 및/또는 제 2 소켓 섹션의 높이는 높이 (1a) 에 의해 규정된 섹션 너머로 연장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해 제 1 및 제 2 소켓 섹션들간 적어도 50% 의 중첩이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위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소켓 배열은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중심에 만들어져서, 제 1 접촉면들 (3) 과 제 2 접촉면들 (2a, 2b) 양자는 종방향 축선에 축 대칭이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종방향 중심 축선에 수평으로 수직이고 소켓 배열의 제 2 섹션에 치관에서 인접하게 배열되는 하부 접촉 플랫폼 (6) 의 내경 및 외경은, 리브들이 각각 노치들 (2) 및 리지들과 같은 높이를 이룰 때까지 삽입 공구 (11) 의 리브들이 하부 접촉 플랫폼 (6) 에서 회전 활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삽입 공구 (11) 는, 특히 그것의 치근 힘 전달부에 관하여, 확실하고 용이하게 맞물림 해제되게 치아 임플란트 (1) 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삽입 공구 (11) 는 제 2 접촉면들 (2a, 2b) 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된 리브들을 포함하여서, 리브들의 접촉면들이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또는 2b) 에 대응한다. 삽입 공구 (11)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제 2 접촉면들 (2a) 은 삽입 공구 (11) 의 각각의 접촉면들과 맞물리고; 삽입 공구 (11) 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제 2 접촉면들 (2b) 은 삽입 공구 (11) 의 다른 각각의 접촉면들과 맞물린다. 임플란트 (1) 의 노치들 (2) 및 리지들은 턱뼈에 임플란트 (1) 의 삽입 토크력을 전달하기 위해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기 위한 제 2 회전 방지 수단이다. 리브들은 그것이 대향한 제 2 접촉면들 (2a, 2a) 사이에서 또는 임플란트 (1) 의 리지들의 대향한 반경방향 측면들 (2c) 사이에서 재밍되거나 압착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리브들은 재료 및 강도에서 전달되어야 하는 토크력에 맞추어진다. 리브들을 구비한 삽입 공구 (11) 의 치근 단부는 임플란트 (1) 의 제 1 접촉면들 (3) 에 대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있어서, 토크가 적용되고 전달되면 제 1 접촉면들 (3) 은 가압되지 않거나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 공구 (11) 는 임플란트의 내부 환형 리세스 (제 1 리세스 (9)) 와 맞물리도록 직경 및 강도가 적합화된 O 링을 포함하여서, 종방향으로 상기 임플란트 (1) 에 작용하는 유지력은 환자의 구강에 삽입 중 가해진다. O 링 또는 분할된 C 링은 또한 임플란트 (1) 를 이용한 상기 유지력이 작게 유지되도록 되어서, 유지력은 삽입 공구 (11) 를 맞물림 해제하는 동안 턱뼈에서 삽입된 임플란트 (1) 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O 링 또는 C 링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또는 예를 들어 티타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차단되거나 비차단된 링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삽입 공구 (11) 의 치근 힘 전달부는 하부 환형 섹션에 의해 치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환형 섹션은 치아 임플란트 (1) 의 나사산이 있는 섹션 (1b) 의 보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되어있어서, 틸팅에 대한 부가적 안정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삽입 공구 (11) 의 치근 힘 전달부는 그것의 기계적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대주를 지지하기 위해 턱뼈에 나사고정되도록 되어있고 각각의 기하학적 프로파일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섹션을 구비한 소켓 배열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가 제공되고, 소켓 배열은 한편으로는 정해진 위치에서 지대주를 회전 고정하기 위해 지대주와 협동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임플란트를 나사고정하기 위해 삽입 공구와 협동작용하도록 만들어지고, 소켓 배열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 방향으로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에 개구를 구비한 중앙 내부 소켓으로서 만들어지고, 소켓 배열의 제 1 섹션은 제 1 접촉면들을 규정하고 소켓 배열의 제 2 섹션은 제 2 접촉면들을 규정하고, 제 1 및 제 2 접촉면들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제 1 접촉면들은, 제 1 접촉면들의 치관 단부에서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서 본 직교 단면을 따라, 외향 연장 노치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된 정다각형을 함께 형성하고, 제 1 접촉면들은 평행하거나 임플란트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고 부분적으로 경사져 있고, 치관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경사는 이루어지고, 차단 및 외향 연장 리지들은 제 1 접촉면들에서 나오고, 리지들은 치아 임플란트의 치근 방향으로 노치들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접촉면들은 지대주와 맞물려 회전 고정하도록 되어있고, 제 2 접촉면들은 종방향 중심 축선 방향으로 리지들 내에서 노치들로부터 연장되고, 제 2 접촉면들은 삽입 공구와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노치들은 정다각형의 변들 또는 모서리들에 위치결정되고, 정다각형은 바람직하게 팔각형이다.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노치들은 바람직하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상화된다. 후자 실시형태의 추가 바람직한 양태에서, 노치들은 측방향으로 약간 만곡된 노치들로서 형상화되고 노치들에 형성된 각각의 리지들은 상기 제 2 접촉면들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은 상기 제 2 접촉면들 사이에서 원호들로서 형상화된다.
또한,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노치들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서 형상화될 수도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팔각형일 수도 있는 다각형은 4 개, 6 개 또는 8 개의 노치들에 의해 교차될 수 있다. 또한, 팔각형일 수도 있는 다각형은 6 개의 노치들에 의해 교차될 수 있고 노치들은 팔각형의 모서리들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노치들은 다각형 (또는 다각형이 팔각형으로 구현된다면 팔각형) 의 모서리들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노치들은 다각형 (또는 다각형이 팔각형으로 구현된다면 팔각형) 의 각각의 변들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접촉면들은 삽입 공구와 맞물리는 영역 내에 위치결정되고 턱뼈로 임플란트를 나사고정하는 프로세스 동안 삽입 공구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의해 인가된 토크력이 제 2 접촉면들에 수직이도록 제 2 접촉면들이 각을 이루거나;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접촉면들은 삽입 공구의 토크력에 수직으로 또는 45 도 이하의 공차를 가지고 수직으로 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정다각형 (또는 팔각형) 은 라운드형 모서리들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제 1 접촉면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리지들은 라운드형 모서리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에서 시작하여 치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면들은 리지들과 동일하게 연장되고 리지들과 같은 높이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종방향 중심 축선에 수평으로 수직이고 치관에서 소켓 배열의 제 2 섹션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하부 접촉 플랫폼의 내경 및 외경은, 리브들이 리지들과 같은 높이를 이룰 때까지 삽입 공구의 리브들이 하부 접촉 플랫폼에서 회전 활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리지들은 테이퍼진 섹션으로 절두된다.
후자의 바람직한 치아 임플란트는 삽입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삽입 공구는 치아 임플란트와 맞물릴 수 있는 치근 힘 전달부를 가지고, 삽입 공구는: 임플란트의 리지들의 제 2 접촉면들에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는 리브들을 가지고, 임플란트의 상기 리지들은 삽입 토크력을 전달하기 위해 삽입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제 2 회전 방지 수단을 제공하고; 임플란트의 제 1 접촉면들을 구비한 소켓 배열로의 형태 피팅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접촉면들은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회전 방지 수단을 제공하고, 삽입 공구의 상기 형태는 삽입 공구가 제 1 면들에 대해 거리를 유지하도록 또는 상기 제 1 접촉면들로 토크가 전달되지 않도록 삽입 공구가 제 1 접촉면들에 라운드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삽입 공구에서, 하단부는 O 링 또는 분할된 C 링을 가지고, O 링 또는 분할된 C 링이 임플란트의 소켓 배열과 맞물리도록, 종방향으로 상기 임플란트 상에 작용하는 유지력이 환자의 구강에 삽입 중 가해지도록, 그리고 삽입 공구의 맞물림 해제 중 임플란트의 위치에 유지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O 링 또는 분할된 C 링이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삽입 공구에서, 삽입 공구의 치근 힘 전달부는 하부 환형 섹션에 의해 치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환형 섹션은 치아 임플란트의 나사산이 있는 섹션의 보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되어있어서, 틸팅에 대한 부가적인 안정성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삽입 공구의 치근 힘 전달부는 그것의 기계적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다.
임의의 청구항에 언급된 기술적 특성부들 뒤에 도면부호들이 뒤따르는 경우, 그 도면부호들은 단지 청구항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포함되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도면부호들은 예로서 이러한 도면부호들에 의해 식별되는 각각의 요소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적 영향도 갖지 않는다.
1 치아 임플란트
1a 소켓의 높이
1b 암나사가 있는 섹션
2 노치
2a, 2b 제 2 접촉면
2c 측면
3 제 1 접촉면들
3b 원뿔대 섹션들
3', 3", 3"' 평행한 벽이 있는 섹션들
4 상부 접촉면
5 노치 폭
6 하부 접촉 플랫폼
7 상부 원뿔형 섹션
8 짧은 원통형 섹션
9 제 1 리세스 (언더컷)
10 제 2 리세스 (언더컷)
11 삽입 공구
11a 탄성 O 링 또는 분할된 C 링

Claims (15)

  1. 치아 임플란트 (1) 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는 적어도 하나의 지대주 (abutment) 를 지지하기 위해 턱뼈에 나사고정되도록 되어있고, 그리고 각각의 기하학적 프로파일들을 갖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구비한 소켓 배열 (socket arrangement) 을 가지고,
    상기 소켓 배열은 한편으로는 정해진 위치에 상기 지대주를 회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대주와 협동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를 나사고정하기 위해 삽입 공구 (11) 와 협동작용하도록 만들어지고,
    - 상기 소켓 배열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치관 단부에 그리고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중심 축선 방향으로 개구를 구비한 중앙 내부 소켓으로서 만들어지고, 상기 소켓 배열의 상기 제 1 섹션은 제 1 접촉면들 (3) 을 규정하고 상기 소켓 배열의 상기 제 2 섹션은 제 2 접촉면들 (2a, 2b) 을 규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들 (3, 2a, 2b) 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 (1a) 에 위치하고;
    -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은,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의 치관 단부에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에서 본 직교 단면을 따라, 외향 연장 노치들 (2) 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정다각형을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은 평행하거나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고 부분적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경사는 상기 제 1 접촉면들의 치관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차단 및 외향 연장 리지들 (ridges) 은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에서 나오고, 상기 리지들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치근 방향으로 상기 노치들 (2) 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은 상기 지대주와 맞물려 회전 고정하도록 되어있고;
    -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상기 리지들 내에서 상기 노치들 (2) 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상기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 상기 노치들 (2) 은 상기 정다각형의 변들 또는 모서리들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정다각형은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 (2) 은 직사각형들로서 형상화되는, 치아 임플란트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 (2) 은 측방향으로 약간 만곡된 노치들 (2) 로서 형상화되고, 상기 노치들에 형성된 각각의 리지들은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 (2c) 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측방향으로 만곡된 면 (2c) 은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사이에 원호들로서 형상화되고; 또는
    상기 노치들 (2) 은 삼각형들 또는 정사각형들 또는 사다리꼴들로서 형상화되는, 치아 임플란트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팔각형은 4 개, 6 개 또는 8 개의 노치들 (2) 에 의해 교차되는, 치아 임플란트 (1).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팔각형은 4 개 또는 6 개의 노치들 (2) 에 의해 교차되고, 상기 노치들은 상기 팔각형의 모서리들에 배열되는, 치아 임플란트 (1).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상기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는 영역 내에 위치결정되고 턱뼈로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를 나사고정하는 프로세스 동안 상기 삽입 공구 (11) 의 각각의 접촉면들에 의해 인가된 토크력이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에 수직이도록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각을 이루고; 또는
    상기 제 2 접촉면들 (2a, 2b) 은 상기 삽입 공구 (11) 의 토크력에 수직으로 또는 45 도 이하의 공차를 가지고 수직으로 각을 이루는, 치아 임플란트 (1).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팔각형은 라운드형 모서리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리지들은 라운드형 모서리들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1).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치관 단부에서 시작하여 치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은 상기 리지들과 동일하게 연장되고 상기 리지들과 같은 높이로 만들어지는, 치아 임플란트 (1).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에 수평으로 수직이고 상기 소켓 배열의 상기 제 2 섹션에 치관에서 인접하게 배열되는 하부 접촉 플랫폼 (6) 의 내경 및 외경은, 리브들이 상기 리지들과 같은 높이를 이룰 때까지 상기 삽입 공구 (11) 의 상기 리브들이 상기 하부 접촉 플랫폼 (6) 에서 회전 활주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치아 임플란트 (1).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들은 테이퍼진 섹션으로 절두되는, 치아 임플란트 (1).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 (2) 의 개수는 상기 팔각형의 상기 모서리들의 개수보다 적은, 치아 임플란트 (1).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1) 와 조합하는 삽입 공구 (11) 로서,
    상기 삽입 공구 (11) 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와 맞물릴 수 있는 치근 힘 전달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 공구 (11) 는:
    -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리지들의 제 2 접촉면들 (2a, 2b) 에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는 리브들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상기 리지들은 삽입 토크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삽입 공구 (11) 와 맞물리기 위한 제 2 회전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상기 리브들; 및
    -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제 1 접촉면들 (3) 을 구비한 소켓 배열로의 형태 피팅부로서,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에 지대주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회전 방지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 공구 (11) 의 형태는, 상기 삽입 공구가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에 대해 거리를 유지하도록 또는 상기 삽입 공구가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에 라운드부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제 1 접촉면들 (3) 에 토크가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상기 형태 피팅부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1) 와 조합하는 삽입 공구 (11).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단부는 O 링 또는 분할된 C 링을 지지하고, 상기 O 링 또는 상기 분할된 C 링이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상기 소켓 배열과 맞물리도록 상기 O 링 또는 상기 분할된 C 링은 외경을 가져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동안 종방향으로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상의 유지력이 가해지고, 상기 유지력은 상기 삽입 공구 (11) 를 맞물림 해제하는 동안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치아 임플란트 (1) 와 조합하는 삽입 공구 (11).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구 (11) 의 상기 치근 힘 전달부는 하부 환형 섹션에 의해 치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환형 섹션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 (1) 의 나사산이 있는 섹션 (1b) 의 보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되어있어서, 틸팅에 대해 부가적 안정성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삽입 공구 (11) 의 상기 치근 힘 전달부는 그것의 기계적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경질 재료로 만들어지는, 치아 임플란트 (1) 와 조합하는 삽입 공구 (11).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의 개수는 상기 제 2 접촉면들의 개수와 일치하는, 치아 임플란트 (1) 와 조합하는 삽입 공구 (11).

KR1020157036266A 2013-06-10 2014-06-09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KR102261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1311.7 2013-06-10
EP13171311 2013-06-10
PCT/EP2014/061939 WO2014198681A1 (en) 2013-06-10 2014-06-09 Dental implant socket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578A KR20160018578A (ko) 2016-02-17
KR102261702B1 true KR102261702B1 (ko) 2021-06-07

Family

ID=4857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266A KR102261702B1 (ko) 2013-06-10 2014-06-09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0312B2 (ko)
EP (1) EP3007644B1 (ko)
JP (1) JP6430493B2 (ko)
KR (1) KR102261702B1 (ko)
CN (1) CN105283147B (ko)
BR (1) BR112015030009B1 (ko)
WO (1) WO201419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6526B1 (es) * 2012-10-10 2013-12-26 Dentisel, S.L. Implante dental y sistema de aditamentos protéticos con conexión a dicho implante mediante un resorte mecánico sin atornillar
EP3231391B1 (en) * 2016-04-14 2018-12-26 Neoss Limited Screwdriver and screw for med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for dental applications
CN106109036A (zh) * 2016-08-30 2016-11-16 江苏创英医疗器械有限公司 牙种植体
KR101916210B1 (ko) * 2017-01-13 2019-01-30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임플란트
BR102017007318A2 (pt) * 2017-04-09 2018-10-30 Warie Ind implante dentário
EP3398553A1 (en) 2017-05-02 2018-11-07 Ophir Fromovich Improved dental implant system
US20200281696A1 (en) * 2017-08-23 2020-09-10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Dental tool, prosthetic component, and tool and component assembly
KR102096885B1 (ko) * 2017-12-04 2020-04-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N112449586B (zh) * 2018-06-04 2022-04-26 种植牙体2004有限公司 用于形成具有未预先确定长度的牙齿植入物的基牙的组件
KR102290876B1 (ko) * 2020-06-12 2021-08-19 (주)한국치과임플란트연구소(Kdi)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쳐
KR20220081547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680039B1 (ko) * 2021-12-30 2024-07-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069A (ja) 2004-06-25 2008-02-14 エイ ニズニック,ジェラルド 骨内歯科インプラント
US20120196247A1 (en) 2009-08-26 2012-08-02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and kit including said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9626B (en) * 1987-01-08 1991-09-04 Core Vent Corp Screw-type dental implant anchor
US5076788A (en) * 1988-10-05 1991-12-31 Core-Vent Corporation Grooved, cylindrical dental implant anchoring means
SE513111C2 (sv) 1998-11-11 2000-07-10 Nobel Biocare Ab Gängförsett implantat och anordning och metod vid ett sådant implantat
US6733291B1 (en) * 1999-09-27 2004-05-11 Nobel Biocare Usa, Inc.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GB0108551D0 (en) * 2001-04-05 2001-05-23 Osseobiotek Ltd Implant
SE520043C2 (sv) * 2001-09-06 2003-05-13 Nobel Biocare Ab Implantat och fastdragnings- och distansorgan för sådant implantat
IL190642A (en) * 2002-11-13 2011-06-30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US9095397B2 (en) * 2006-12-14 2015-08-04 Friadent Gmbh Arrangement for insertion of implants
PT2101676E (pt) * 2006-12-14 2015-07-02 Dentsply Implants Mfg Gmbh Disposição para a inserção de implantes
US8038442B2 (en) *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CN101357080A (zh) * 2008-09-08 2009-02-04 北京大学 一种螺纹状种植体
US20100209877A1 (en) * 2009-02-13 2010-08-19 Stephen Hogan Compon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EP2255746B1 (en) * 2009-05-30 2014-08-06 Young Ku Heo Implant fixture remover
CN201469440U (zh) * 2009-08-24 2010-05-19 威海威高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体装置
US20110143316A1 (en) * 2009-12-10 2011-06-16 Designed Dental Systems LLC Dental implant driver and carrier removal system
KR101216303B1 (ko) * 2011-05-11 2012-12-28 이도상 다각형 구조의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US10201405B2 (en) * 2011-06-28 2019-02-12 Biomet 3I, Llc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JP5512626B2 (ja) * 2011-10-03 2014-06-04 ワイ.エス.ハング ウィリアム 歯科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069A (ja) 2004-06-25 2008-02-14 エイ ニズニック,ジェラルド 骨内歯科インプラント
US20120196247A1 (en) 2009-08-26 2012-08-02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and kit including said dental implant
JP2013502959A (ja) 2009-08-26 2013-01-31 シュトラウマン・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歯科インプラントキット、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を挿入する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3708A1 (en) 2016-05-26
KR20160018578A (ko) 2016-02-17
EP3007644B1 (en) 2021-09-15
BR112015030009A2 (pt) 2017-07-25
CN105283147B (zh) 2019-10-15
JP6430493B2 (ja) 2018-11-28
CN105283147A (zh) 2016-01-27
JP2016523626A (ja) 2016-08-12
WO2014198681A1 (en) 2014-12-18
US9770312B2 (en) 2017-09-26
BR112015030009B1 (pt) 2021-08-03
EP3007644A1 (en)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702B1 (ko) 치아 임플란트 소켓 배열
EP1765214B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KR100921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8057229B2 (en)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JP6566955B2 (ja) エノスザールな単一義歯移植
US10350033B2 (en) Dental implant and kit including said dental implant
JP5969046B2 (ja) 骨内単一歯インプラント
US10531937B2 (en) Dental implant system with positive abutment screw locking and retrieval mechanism
US20180353269A1 (en) Interface element for dental prostheses
SE520043C2 (sv) Implantat och fastdragnings- och distansorgan för sådant implantat
US20060199150A1 (en) Externally-threaded, one-piece endosseous dental implant with angled abutment
KR20230104777A (ko) 임플란트 시스템
US20160113738A1 (en) Dental implant socket arrangement with annular recess
CN109310487B (zh) 用于医疗应用尤其是牙科应用的螺丝刀和螺钉
JP2020054901A (ja) 歯科用治具
EP3169267B1 (en) Overdenture retention implant
JP201920212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20140120498A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JP2019195617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20160008104A1 (en) Dental abutment, abutment and screw assembly, and dental implant system
WO2016185703A1 (ja) フィクスチャー
JP2020518380A (ja) 改善された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S1148559U (es) Conjunto de aditamento angular y tornillo para su fijación a un implante den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