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315B1 -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Google Patents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1315B1 KR102261315B1 KR1020200049150A KR20200049150A KR102261315B1 KR 102261315 B1 KR102261315 B1 KR 102261315B1 KR 1020200049150 A KR1020200049150 A KR 1020200049150A KR 20200049150 A KR20200049150 A KR 20200049150A KR 102261315 B1 KR102261315 B1 KR 1022613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
- closing
- handle
- couple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건물이나 공장 등과 같이 내부의 혼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자연스럽게 인입되게 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In general, ventilation window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ventilating indoor air by discharging turbid air from the inside, such as in a building or factory, to the outside and allow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to enter the room naturally.
이러한 환기창은 일반적으로 강제로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흡입하여 환기창을 구성하는 셔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셔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개폐 손잡이를 수동조작하여 사용하였다.In general, such a ventilation window forcibly sucks in the turbid air in the room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through a shutter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window.
상기와 같은 환기창은 환기가 필요할 때 개폐손잡이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환기구용 셔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 환기구용 셔터가 설치된 위치까지 직접 이동하여 개폐손잡이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Ventilation windows as described above are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y have to manually operate the opening/closing handle when ventilation is required. If the user is located far from the ventilation shutter, the user must move directly to the location where the ventilation shutter is installed and operate the opening/closing handle. There was discomfo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특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4509호(공개일 : 2020. 01. 14)에는 '복수 루버 연동식 자동개폐 환기창에서 실외기 바람온도에 의존한 형상기억스프링의 액츄에이터 장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patent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04509 (published date: January 14, 2020) states, 'In a multi-louver interlock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ventilation window, the shape memory spring dependent on the outdoor unit wind temperature is Actuator device method' is disclosed.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경우, 복수의 루버(22)에 형상기억스프링(2)과 바이어스스프링(3)을 조합하여 실외기의 바람 온도에 의해 루버(22)가 자동개폐됨에 따라,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a plurality of louvers 22 are combined with a shape memory spring 2 and a bias spring 3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louver 22 by the wind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and can save energy used.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경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형상기억스프링(2)이 끊어지거나 기설정된 온도에서 정해진 형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루버(22)를 정상 작동시키기 위해 형상기억합금스프링(2) 또는 환기창(1)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when the shape memory spring 2 is broken due to long-term use or is not deformed to a predetermined shape at a preset temperature,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2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ntilation window (1) itself needs to be replaced.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개폐부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리턴 스프링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셔터부를 자동 개폐할 수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파손시 수동개폐부를 통해 셔터부를 개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도조절홈에 회동손잡이를 삽입시켜 셔터부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거나 셔터부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the background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shutter unit based on a reference temperature preset by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return spring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unit through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unit in case of damage, as well as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hutter unit by inserting a rotating handle in the angle adjustment groove, 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shutter un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측에 구비된 복수의 회동축을 통해 사각틀의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로 형성된 슬릿 외측에 복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와, 일측이 상기 복수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시 상기 셔터부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타측에 결합하고 일부가 상기 각도조절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일정각도로 고정시키는 회동손잡이가 구비된 수동개폐부; 및 일측이 상기 복수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레버와, 각각의 단부가 상기 회동레버의 타측에 결합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되,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변형되어 상기 회동레버가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개방하고, 상기 기준온도 미만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레버가 타방향 회전하여 상기 셔터부를 폐쇄하는 자동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손잡이가 상기 각도조절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개폐부에 의해 상기 셔터부의 자동개폐시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손잡이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상기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수동개폐부를 통해 상기 셔터부의 수동개폐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utter units coupled to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and rotating in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nside the frame; A fixed guide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groove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lit formed vertically, one side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slit An operating lever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adjusts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s of the shutter unit when rotating, and the operating lever is rotatable from the frame as i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lever and a par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groove Manual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with a rotating handle for fixing or fixing at a certain angle; and a rotation lev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one or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nd each end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return spring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lever Including, but above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deformed to open the shutter unit as the rotation leve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rotation lever is moved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unit for rotating and closing the shutter unit, wherein the rotating handle rotates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when the shutter uni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angle adjustment groove. And, when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damaged or not deformed based on the reference temperature, it provides a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manual opening and clos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shutter part are possible through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개폐부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리턴 스프링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셔터부를 자동 개폐할 수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파손시 수동개폐부를 통해 셔터부를 개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도조절홈에 회동손잡이를 삽입시켜 셔터부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거나 셔터부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shutter unit based on the reference temperature preset by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the return spring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when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damaged, the shutter unit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unit. Not only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serting the rotation handle in the angle adjustment groove to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shutter unit or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shutter un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및 수동개폐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동개폐부에 의해 셔터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개폐부에 의해 셔터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회동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작동레버로부터 회동손잡이가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louver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and automatically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and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FIG. 1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handle of FIG. 7 .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handle is folded or unfolded from the operation lever of FIG. 7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및 수동개폐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동개폐부에 의해 셔터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개폐부에 의해 셔터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회동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작동레버로부터 회동손잡이가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louver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and automatically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and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FIG. 1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handle of FIG. 7 .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handle is folded or unfolded from the operation lever of FIG. 7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10)는, 양측에 구비된 복수의 회동축(201)을 통해 사각틀의 프레임(101)에 결합하여, 프레임(101)의 내측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부(103); 프레임(10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로 형성된 슬릿(203) 외측에 복수의 각도조절홈(205)이 형성된 고정가이드부(105)와, 일측이 복수의 회동축(201)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프레임(101)의 일측 및 슬릿(203)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시 셔터부(103)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작동레버(207)와, 작동레버(207)의 타측에 결합하고 일부가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101)으로부터 작동레버(207)를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일정각도로 고정시키는 회동손잡이(107)가 구비된 수동개폐부(109); 및 일측이 복수의 회동축(201)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프레임(101)의 타측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레버(111)와, 각각의 단부가 회동레버(111)의 타측에 결합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 및 리턴 스프링(115)을 포함하되,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에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변형되어 회동레버(111)가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셔터부(103)를 개방하고, 기준온도 미만에서 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레버(111)가 타방향 회전하여 셔터부(103)를 폐쇄하는 자동개폐부(117);를 포함하고, 회동손잡이(107)가 각도조절홈(20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자동개폐부(117)에 의해 셔터부(103)의 자동개폐시 회동축(201)을 기준으로 회동손잡이(107)가 함께 회전하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파손되거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수동개폐부(109)를 통해 셔터부(103)의 수동개폐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먼저, 프레임(101)은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복수의 셔터부(103)가 개폐되도록 셔터부(103)를 지지한다.First, the
이러한 프레임(10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레임(101)은 사각틀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209)와 프레임본체(209)의 내측에 구비되며 프레임본체(209)로부터 복수의 셔터부(10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211)를 포함한다.If the structure of the
프레임본체(209)는 복수의 셔터부(103)와 지지바(211)가 수용되도록 셔터부(103)를 향하는 내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13)이 형성되며, 일측에 작동레버(207)가 관통결합되는 절개슬릿(215)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동레버(111)가 관통결합되는 절개슬릿(미도시)이 형성된다.The
또한, 프레임본체(209)는 타측 상부에 리턴 스프링(115)의 단부가 결합되어 리턴 스프링(115)의 어느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9)가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의 단부가 결합되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의 어느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21)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지지바(211)는 프레임본체(209)의 수용공간(213)에 구비되고 프레임본체(209)에 고정결합되어 프레임본체(209)로부터 복수의 셔터부(103)가 회전되도록 복수의 셔터부(103)를 지지한다.The
이러한 지지바(211)는 셔터부(103)의 회동축(20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홀(217)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e
계속해서, 복수의 셔터부(103)는 양측에 구비된 복수의 회동축(201)을 통해 사각틀의 프레임(101)에 결합하며, 사각틀의 프레임(101)의 내측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한다.Subsequently, the plurality of
여기서, 각각의 셔터부(103)는 양측에 구비된 회동축(201)을 통해 프레임(101)의 지지바(2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회동축(201)은 지지바(211)의 축결합홀(2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Here, each
이때, 복수의 회동축(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동바(219)를 통해 서로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셔터부(103)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plurality of
계속해서, 수동개폐부(109)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파손되거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셔터부(103)를 수동 개폐하거나 수동 조작을 통해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Subsequently, the manual opening/
이러한 수동개폐부(109)는 고정가이드부(105)와 작동레버(207) 및 회동손잡이(107)를 포함한다.The manual opening/
먼저, 고정가이드부(105)는 프레임(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사각틀의 프레임(101)의 일측에 설치된다.First, the
이러한 고정가이드부(105)는 프레임(101)으로부터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폭방향 중앙에 슬릿(203)이 상하로 형성되고 슬릿(203)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슬릿(20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각도조절홈(205)이 등간격 형성된다.The
여기서, 고정가이드부(105)는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경우 상하로 형성된 슬릿(203)이 프레임(101)에 형성된 절개슬릿(215)과 연통된다.Here, when the
이어서, 작동레버(207)는 복수의 회동축(201)에 결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셔터부(103)를 개폐하거나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n, the
여기서, 작동레버(207)는 자동개폐부(117)에 의해 셔터부(103)가 자동 개폐되는 경우 자동개폐부(117)의 회동레버(111)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된다.Here, when the
이러한 작동레버(207)는 일측이 복수의 회동축(201)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프레임(101)의 절개슬릿(215)과 고정가이드부(105)의 슬릿(203)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One side of this
좀더 구체적으로, 작동레버(207)는 한쌍이 힌지결합되며 각각의 일측에 축결합홈(219)이 형성되는데, 한쌍의 작동레버(207)는 서로 상대 회전되어 각각의 축결합홈(219)이 회동축(201)의 외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일측이 회동축(201)에 고정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a pair of the operation levers 207 are hinged and a
이때, 작동레버(207)의 타측은 슬릿(203) 및 절개슬릿(215)을 따라 회전되며 각도조절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이어서, 회동손잡이(107)는 작동레버(207)의 타측에 결합되며 일부가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수동조작을 통해 셔터부(103)를 개폐하거나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Subsequently, the rotation handle 10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이러한 회동손잡이(107)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손잡이(107)는 작동레버(207)의 타측에 결합하며 어느 한쪽 단부가 개방된 이동공간(301)을 형성하는 손잡이본체(303); 및 이동공간(301)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손잡이본체(303)로부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어느 한쪽 단부가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작동레버(207)를 일정각도로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본체(305);를 포함한다.Whe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is rotation handle 107 in more detail, the rotation handle 10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손잡이본체(303)는 이동공간(301) 내측에서 돌출되어 각도조절본체(30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부(307)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손잡이본체(3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본체(303)는 파지가능하게 구비되며 어느 한쪽 단부가 개방된 이동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1손잡이본체(303a)와 제2손잡이본체(303b)를 포함한다. Whe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제1손잡이본체(303a)와 제2손잡이본체(303b)는 이동공간(301)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각도조절본체(305)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벽(309)과, 제1가이드벽(309)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이동공간(301)으로부터 각도조절본체(305)의 일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벽(311)이 각각 돌출형성된다.The first handle body (303a) and the second handle body (303b)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side to form a movement space (301), a first guide wall (309) for guiding the angle adjustment body (305) And, the
즉, 제1손잡이본체(303a)와 제2손잡이본체(303b)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제1가이드벽(309)이 상호결합되고, 복수의 제2가이드벽(311)이 상호결합되어 각도조절본체(305)가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이동공간(301)을 형성한다.That is, in the
이때, 제1손잡이본체(303a)와 제2손잡이본체(303b) 중 어느 한쪽 이상에는 각도조절본체(305)를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부(307)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제1손잡이본체(303a)에 가이드돌기부(307)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At this time, a
이어서, 각도조절본체(305)는 제1손잡이본체(303a)와 제2손잡이본체(303b)가 결합되어 형성된 이동공간(301)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Subsequently, the
또한, 각도조절본체(305)는 외측면에 함몰 또는 관통형성되어 이동시 손잡이본체(303)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각도조절본체(30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조절본체(305)는 이동공간(301)에 삽입되며, 가이드돌기부(307)와 결합되어 가이드돌기부(307)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된 본체(315); 본체(315)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이동공간(301) 내측에서 본체(315)가 이동됨에 따라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각도조절돌기(317); 및 본체(315)의 타측 단부로부터 본체(315)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제1가이드벽(309)과 제2가이드벽(3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손잡이본체(303)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돌기(319);를 포함한다.Whe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여기서, 파지돌기(319)는 손잡이본체(303) 외부로 노출되어, 수동조작을 통해 각도조절돌기(317)를 각도조절홈(205)에 삽입시키거나 각도조절홈(205)으로부터 각도조절돌기(317)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the
또한, 파지돌기(319)는 본체(315)가 이동공간(301) 내측에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가이드벽(311)에 밀착되고, 본체(315)가 이동공간(301) 내측에서 다른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가이드벽(309)의 단부에 밀착되어 각도조절본체(305)가 이동공간(3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된다.In addition, the
이처럼, 본발명의 일실시예는 별도의 수동개폐부(109)가 구비되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파손되거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수동개폐부(109)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폐할 수 있으며, 파지돌기(319)를 통해 각도조절돌기(317)를 각도조절홈(205)에 결합하거나 각도조절홈(205)으로부터 이탈시켜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manual opening/
계속해서, 자동개폐부(117)는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셔터부(103)를 자동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자동개폐부(117)는 기준온도 이상에서 셔터부(103)를 개방하고 기준온도 미만에서 셔터부(103)를 폐쇄한다.Subsequently, the automatic opening/
여기서, 기준온도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의 변형이 일어나도록 기준이되는 온도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preset by the user as a reference temperature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이러한 자동개폐부(117)는 회동레버(111)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 및 리턴 스프링(115)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opening and
먼저, 회동레버(111)는 일측이 복수의 회동축(201)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프레임(101)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슬릿(미도시)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First, one side of the
이러한 회동레버(111)는 타측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과 리턴 스프링(115)이 결합되는 결합홀(501)이 형성된다.The
즉, 회동레버(111)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 또는 리턴 스프링(115)에 의해 타측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일측이 회동축(201)과 함께 회전되면서 셔터부(103)를 자동개폐한다.That is, the
이때, 각도조절돌기(317)가 각도조절홈(20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회동손잡이(107)가 어느 하나의 회동축(201)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된다.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계속해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은 프레임(101)의 타측에 설치된다.Subsequently, the shape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은 어느 한쪽 단부가 회동레버(111)의 결합홀(501)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제2지지부(12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One end of the shape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온도 이상에서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수축되어 셔터부(103)가 개방되도록 회동레버(1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shape
그리고,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은 기준온도 이하에서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제공되는데, 이때 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다.And, the shape
이어서, 리턴 스프링(115)은 어느 한쪽 단부가 회동레버(111)의 결합홀(501)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제1지지부(119)에 결합되어 지지된다.Then, one end of the
이러한 리턴 스프링(115)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에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에 의해 팽창되며, 기준온도 이하에서 회동레버(11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이때,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은 팽창되며 셔터부(103)가 자동 개방된다.At this time, the shap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개폐부(117)는, 셔터부(103)가 개방되도록, 기준온도 이상에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수축되어 회동레버(1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셔터부(103)가 폐쇄되도록, 기준온도 미만에서 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팽창되면서 회동레버(11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automatic opening and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개폐부(117)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 및 리턴 스프링(115)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셔터부(103)를 자동 개폐할 수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의 파손시 수동개폐부(109)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지돌기(319)를 통해 각도조절돌기(317)를 각도조절홈(205)에 결합하거나 각도조절홈(205)으로부터 이탈시켜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20)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20)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각 구성요소의 형태 및 기능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작동레버(207)에 결합되는 회동손잡이(601)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르게 제공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handle 601 coupled to the
이러한 회동손잡이(60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손잡이(601)는 작동레버(207)의 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시 고정가이드부(105)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603)가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handle 601 in more detail, the rotation handle 601 is rotatably provi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회동손잡이(601)는 어느 한쪽 단부에 상,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결합돌기(605)가 작동레버(207)의 상하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 pair of
즉, 회동손잡이(601)는 작동레버(207)의 타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어느 한쪽면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603)가 각도조절홈(2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rotation handle 601 is rot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파손시 회동손잡이(601)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폐할 수 있으며, 회동손잡이(601)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회동손잡이(601)를 회전시키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셔터부(103)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거나 셔터부(103)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pe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30)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to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30)는 전술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각 구성요소의 형태 및 기능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작동레버(207)에 결합되는 회동손잡이(701)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다르게 제공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handle 701 coupled to the
이러한 회동손잡이(701)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손잡이(701)는 작동레버(207)에 결합되는 결합부재(703);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부재(703)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고정가이드부(105)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705)가 각도조절홈(20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707); 및 일측이 핸들(707)에 결합되고 타측이 결합부재(703)에 밀착됨으로써 작동레버(207)로부터 핸들(707)이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09);를 포함한다.Whe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handle 701 in detail, the rotation handle 701 includes a
결합부재(703)는 작동레버(207)와 결합되는데, 일예로 어느 한쪽면에 형성된 삽입홈(711)에 작동레버(207)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여기서, 결합부재(703)는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핸들(707)이 펼쳐진 상태에서 탄성부재(709)와 밀착되는 어느 한쪽면(703a)에 각도유지홈(713)이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Here, the
이어서, 핸들(707)은 어느 한쪽 단부에 상,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결합돌기(715)가 결합부재(703)의 상, 하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n, a pair of
즉, 핸들(707)은 상,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돌기(715)가 결합부재(7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결합부재(703)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고정돌기(705)가 각도조절홈(2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이때, 프레임(101)으로부터 작동레버(207) 및 셔터부(103)의 각도가 일정각도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탄성부재(709)는 일측이 핸들(707)에 결합되고 타측이 결합부재(703)에 분리가능하게 밀착된다.One side of the
좀더 구체적으로, 탄성부재(709)는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핸들(707)이 펼쳐진 상태에서 결합부재(703)의 어느 한쪽면(703a)에 밀착되고,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핸들(707)이 접혀진 상태에서 결합부재(703)의 다른 한쪽면(703b)에 밀착됨에 따라 핸들(707)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탄성부재(709)는 타측 어느 한쪽면에,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핸들(707)이 펼쳐진 상태에서 각도유지홈(713)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각도유지돌기(717)가 형성되는데, 이처럼 탄성부재(709)의 타측에 형성된 각도유지돌기(717)가 각도유지홈(713)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핸들(707)이 펼쳐진 상태에서 핸들(707)이 의도치않게 접히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113)이 파손시 회동손잡이(601)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폐할 수 있으며, 회동손잡이(701)를 통해 셔터부(103)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07)를 기준으로 회동손잡이(701)를 접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셔터부(103)의 개방각도 또는 셔터부(103)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동손잡이(701)가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탄성부재(709)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손잡이(701)가 의도치않게 접히거나 펼쳐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p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is not recommen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implementation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30 :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101 : 프레임
103 : 셔터부
105 : 고정가이드부
107 : 회동손잡이
109 : 수동개폐부
111 : 회동레버
113 :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115 : 리턴 스프링
117 : 자동개폐부
119 : 제1지지부
121 : 제2지지부
201 : 회동축
203 : 슬릿
205 : 각도조절홈
207 : 작동레버
209 : 프레임본체
211 : 지지바
213 : 수용공간
215 : 절개슬릿
217 : 축결합홀
219 : 연동바
221 : 축결합홈
301 : 이동공간
303 : 손잡이본체
303a : 제1손잡이본체
303b : 제2손잡이본체
305 : 각도조절본체
307 : 가이드돌기부
309 : 제1가이드벽
311 : 제2가이드벽
313 : 가이드부
315 : 본체
317 : 각도조절돌기
319 : 파지돌기
501 : 결합홀
601 : 회동손잡이
603 : 고정돌기
605 : 결합돌기
701 : 회동손잡이
703 : 결합부재
705 : 고정돌기
707 : 핸들
709 : 탄성부재
711 : 삽입홈
713 : 각도유지홈
715 : 결합돌기
717 : 각도유지돌기10, 20, 30: Louver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manually and automatically
101: frame
103: shutter unit
105: fixed guide part
107: rotation handle
109: manual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rotation lever
113: shape memory alloy spring
115: return spring
117: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t
119: first support part
121: second support part
201: rotation axis
203: slit
205: angle adjustment groove
207: operation lever
209: frame body
211: Jijibar
213: accommodation space
215: cut slit
217: shaft coupling hole
219: interlocking bar
221: shaft coupling groove
301: moving space
303: handle body
303a: first handle body
303b: second handle body
305: angle adjustment body
307: guide projection
309: first guide wall
311: second guide wall
313: guide unit
315: body
317: angle adjustment protrusion
319: phlegmon
501: coupling hole
601: rotation handle
603: fixing protrusion
605: coupling protrusion
701: rotation handle
703: coupling member
705: fixing protrusion
707 : handle
709: elastic member
711: insertion groove
713: angle maintenance groove
715: coupling protrusion
717: angle maintaining projection
Claims (5)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로 형성된 슬릿 외측에 복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와, 일측이 상기 복수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시 상기 셔터부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시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가 상기 각도조절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손잡이가 구비된 수동개폐부; 및
일측이 상기 복수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레버와, 각각의 단부가 상기 회동레버의 타측에 결합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되,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변형되어 상기 회동레버가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개방하고, 상기 기준온도 미만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레버가 타방향 회전하여 상기 셔터부를 폐쇄하는 자동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손잡이는,
상기 작동레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작동레버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시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각도조절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일측이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에 밀착되되 상기 작동레버를 기준으로 상기 핸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어느 한쪽면에 밀착되고, 상기 작동레버를 기준으로 상기 핸들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다른 한쪽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핸들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손잡이가 상기 각도조절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개폐부에 의해 상기 셔터부의 자동개폐시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손잡이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상기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우 수동개폐부를 통해 상기 셔터부의 수동개폐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A plurality of shutter units coupled to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and rotated in interlock with each other inside the frame;
A fixed guide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groove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lit formed vertically, one side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slit An operation lever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s of the shutter unit when rotating,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facing the fixing guide part during rotation, which is provided rotatab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lever, is the angle Manual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with a rotation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groove; and
A rotation lev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one or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nd a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a return spring each e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lever Including, but above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deformed to open the shutter unit as the rotation leve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rotation lev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unit for closing the shutter unit.
The rotating handl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peration lever;
The hand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based o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acing the fixing guide part during rota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ngle adjusting groove. ;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handle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ei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unfolded based on the operating lev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folded based on the operating lev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o that the handle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or a folded state, respectively, a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and
When the shutter par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angle adjustment groove, the rotation handle rotates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damaged or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set.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lou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shutter part is possible through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not deformed as a reference.
상기 자동개폐부는,
상기 셔터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기준온도 이상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회동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셔터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기준온도 미만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레버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contracted above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hutter part is opened,
A louver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and automa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leve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expan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so that the shutter unit is clo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150A KR102261315B1 (en) | 2020-04-23 | 2020-04-23 |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150A KR102261315B1 (en) | 2020-04-23 | 2020-04-23 |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1315B1 true KR102261315B1 (en) | 2021-06-07 |
Family
ID=7637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9150A KR102261315B1 (en) | 2020-04-23 | 2020-04-23 |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131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106B1 (en) * | 2021-08-18 | 2022-04-27 | 정정우 | Wing angle auto control device |
KR20230040035A (en) * | 2021-09-15 | 2023-03-22 | 조선태 | Thermo sensitivity automatic button unit and louver system us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390Y1 (en) * | 2004-09-23 | 2005-01-14 | 호 식 박 | Locking unit and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thereby |
KR100932797B1 (en) * | 2008-01-23 | 2009-12-21 | 호 식 박 | Folding locking device of ventilation window |
KR20110011561U (en) * | 2011-11-22 | 2011-12-14 | 서한호 | a window for ventilation |
KR20150068280A (en) * | 2013-12-11 | 2015-06-19 | 강철 | Combined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uver ventilation window |
KR20200004509A (en) * | 2018-07-04 | 2020-01-14 | 강철 | Method of actuator device of shape memory spring depending on wind temperature of outdoor unit in multi-louver-driv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
KR20200139860A (en) * | 2019-06-04 | 2020-12-15 | 김종오 | Lock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
-
2020
- 2020-04-23 KR KR1020200049150A patent/KR10226131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390Y1 (en) * | 2004-09-23 | 2005-01-14 | 호 식 박 | Locking unit and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thereby |
KR100932797B1 (en) * | 2008-01-23 | 2009-12-21 | 호 식 박 | Folding locking device of ventilation window |
KR20110011561U (en) * | 2011-11-22 | 2011-12-14 | 서한호 | a window for ventilation |
KR20150068280A (en) * | 2013-12-11 | 2015-06-19 | 강철 | Combined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uver ventilation window |
KR20200004509A (en) * | 2018-07-04 | 2020-01-14 | 강철 | Method of actuator device of shape memory spring depending on wind temperature of outdoor unit in multi-louver-driv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
KR20200139860A (en) * | 2019-06-04 | 2020-12-15 | 김종오 | Lock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106B1 (en) * | 2021-08-18 | 2022-04-27 | 정정우 | Wing angle auto control device |
KR20230040035A (en) * | 2021-09-15 | 2023-03-22 | 조선태 | Thermo sensitivity automatic button unit and louver system using the same |
KR102558402B1 (en) | 2021-09-15 | 2023-07-24 | 조선태 | Thermo sensitivity automatic button unit and louver system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1315B1 (en) | Louver device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
KR101871475B1 (en) | A Indoor interior room door for construction | |
US20070199663A1 (en) | Two-way elevation curtain structure | |
KR101226306B1 (en) | Automatic windows opening and closing devices | |
KR101982035B1 (en)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louver | |
KR102444253B1 (en) | Lock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 |
KR101720471B1 (en) | Electromotive louver system using expension type shutter | |
KR200372389Y1 (en) | Rotation unit of ventilation window and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thereby | |
KR101511144B1 (en) | Natural 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 | |
EP1404940B1 (en) | Window with ventilating aperture | |
KR101314780B1 (en) | Length changeable louver handle | |
JP4704200B2 (en) | Ventilation equipment | |
AU2011343291A1 (en) | Mechanism for rotating the slats of a roller shutter | |
KR200481687Y1 (en) | Anti-condensation device of shutter switchgear for ventilation windows | |
JP5926841B1 (en) | Window sash | |
KR101017581B1 (en) | Device for stopping lever of ventilation window | |
KR200492236Y1 (en) | Driving Handle for System Louver | |
JP2005273256A (en) | Ventilating device | |
WO2019130830A1 (en) | Door fitting | |
KR101464290B1 (en) | Natural ventilation window | |
KR102036146B1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louver | |
KR20230092308A (en) | Automatic switchgear for louver | |
KR102094102B1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louver | |
KR102588762B1 (en) | Rouver with shutter blade support having improved insulation perfomance | |
KR20230016912A (en) | Louver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