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97B1 -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97B1
KR102259597B1 KR1020197023450A KR20197023450A KR102259597B1 KR 102259597 B1 KR102259597 B1 KR 102259597B1 KR 1020197023450 A KR1020197023450 A KR 1020197023450A KR 20197023450 A KR20197023450 A KR 20197023450A KR 102259597 B1 KR102259597 B1 KR 10225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rolling
steel sheet
stands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070A (ko
Inventor
다케시 도요다
리키 오카모토
나츠코 스기우라
데츠야 히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충돌 특성이 우수하고 인성이 양호하며, 또한 이방성이 작은 열간 압연 강판을 제공한다. 질량%로, C: 0.10% 이상, 0.50% 이하, Si: 0.10% 이상, 3.00% 이하, Mn: 0.5% 이상, 3.0% 이하, P: 0.100% 이하, S: 0.010% 이하, Al: 1.00% 이하, 및 N: 0.01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금속 조직이,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하고,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Description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열간 압연 강판(이하, 열연 강판이라고도 한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성의 이방성이 우수한 인장 강도 1180MPa 이상의 열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자동차의 연비의 향상 및 충돌 안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고강도 강판의 적용에 의한 차체 경량화에 대한 대처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강판을 고강도화하면, 일반적으로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고강도 강판의 개발에 있어서, 인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자동차 부재에 적용되는 고강도 강판에 있어서는, 충돌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여기서,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압연하고,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로 높은 누적 변형을 부여함으로써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에서는, 오스테나이트가 미재결정 영역으로 되는 860 내지 960℃에서의 압하율과 평균 변형 속도를 적정 범위로 함으로써,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변태하는 조직의 체적률을 증가시켜, 열간 압연으로 만들어 넣은 세립 조직에 의해 냉연 강판의 인성을 향상시킨 냉연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에서의 압하율을 증가시키면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높아져, 인성의 이방성은 강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마무리 온도를 고온화하고, 1000℃ 이하의 압하율을 높게 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촉진시켜, 압연 후의 냉각까지의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이방성을 저감시킨 열연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1000℃ 이하의 압하율을 높여서, 재결정을 촉진시키고 있지만, 고온에서 마무리 압연을 행하기 때문에, 스탠드 간에서의 재결정이 촉진되어,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을 높게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재결정한 구오스테나이트 입자는 조대한 것밖에 형성되지 않아, 인성이 열위로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상기에 비해서 840℃ 초과의 누적 압하율을 30% 이상으로 하고, 840℃ 이하의 압하율을 30% 이상, 75% 이하로 함으로써,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를 억제하고, 결정 입경을 10㎛ 이상, 60㎛ 이하로 하는 열연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840℃ 이하에서 압연을 하고 있을 시에는 재결정은 일어나지 않고, 도입한 변형에 의한 입자 성장이 일어나기 때문에, 결정립은 조대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제3858146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68688호 공보 일본 특허 제5556948호 공보
근년, 자동차의 한층 더한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고속 변형 시의 흡수 에너지가 높고, 자동차 부품으로서 충돌 특성이 양호한, 인성의 이방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종래, 강의 인성 향상을 위해서,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높이고, 조직을 미세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의 압하율을 높이면, 조직의 이방성이 강하여,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균열이 전파되는 경우의 인성이 열위인 것에 착안하여,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높은 변형을 가한 후에 재결정을 시킨다는, 종래 피하고 있던 재결정 현상에 다시 착안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열연 강판에 있어서, 이방성을 개선하여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구체적으로는, 연속되는 4개 이상의 복수의 열간 압연 스탠드에 있어서,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의 압하율을 적정화하고,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 재결정 가능한 온도와 변형 속도로 제어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가 미세하게 재결정되고, 조직의 이방성이 없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 0.10% 이상, 0.50% 이하,
Si: 0.10% 이상, 3.00% 이하,
Mn: 0.5% 이상, 3.0% 이하,
P: 0.100% 이하,
S: 0.010% 이하,
Al: 1.00% 이하, 및
N: 0.010% 이하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금속 조직이,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하고,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2) 질량%로,
Ti: 0.02% 이상, 0.20% 이하,
Nb: 0.00% 이상, 0.10% 이하,
Ca: 0.0000% 이상, 0.0060% 이하,
Mo: 0.00% 이상, 0.50% 이하, 및
Cr: 0.0% 이상, 1.0%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열간 압연 강판.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공정 (a) 내지 (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a)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성분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
(b) 상기 가열 후의 슬래브를,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여 압연하는 압연 공정이며, 상기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가 18m 이하이고,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전후에서의 판 두께 감소가 하기의 식 1을 만족시키는 공정
1.2≤ln(t0/t)≤3.0 (식 1)
여기서, t0은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판 두께이며, t는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 나간 직후의 판 두께이다;
(c)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와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 온도가, 하기의 식 2 및 식 3을 만족시키는 공정
11.0≤log(v×exp(33000/(273+T))≤15.0 (식 2)
T≥Ar3점 (식 3)
여기서, v는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s)이며, T는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출측 온도(℃)이다;
(d) 상기 압연 종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750℃까지의 온도 범위를 10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e) 상기 냉각 공정 후, 권취를 행하는 권취 공정.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르면, 고속 변형 시의 흡수 에너지가 높고, 자동차 부품으로서 충돌 특성이 양호한, 인성의 이방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열연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열연 강판에 따르면, 자동차 등의 차체의 경량화, 부품의 일체 성형화, 및 가공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고, 연비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공업적 가치가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은, 열간 마무리 압연 중의 재결정과 입성장 거동을 제어한다. 연속되는 스탠드에서 변형량을 조정하고, 최종 스탠드에서 재결정에 필요한 임계 변형에 도달시킴으로써, 미세한 재결정립을 형성하고, 미세하고 또한 결정립의 형상이 폴리고날화된 이방성이 없는 조직을 만들어 넣을 수 있다. 재결정된 후에도, 냉각 개시 시간까지의 시간을 극력 짧게 함으로써, 재결정립의 입성장을 억제한다. 미세하고 폴리고날화된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열간 압연 공정으로 만들어 넣음으로써, 인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연 강판을 더 가공한 냉연 강판 또는 열처리용 강판도, 인성이 우수한 강판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은, 소정의 화학 조성 및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고, 금속 조직이,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개개의 구성 요건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화학 조성(화학 성분)의 한정 이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성분 함유량에 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 0.10% 이상, 0.60% 이하>
C는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원소이다. 목적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C 함유량을 0.1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다. 그러나, C 함유량이 0.60% 초과이면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C 함유량을 0.60% 이하로 한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이다.
<Si: 0.10% 이상, 3.00% 이하>
Si는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 Si 함유량을 0.10% 이상으로 한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이다. 한편, Si 함유량이 3.00% 초과이면,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Si 함유량을 3.00% 이하로 한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이다.
<Mn: 0.5% 이상, 3.0% 이하>
Mn은 ??칭성의 향상 및 고용 강화에 의해,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 Mn 함유량을 0.5% 이상으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한편, Mn 함유량이 3.0% 초과가 되면 인성의 등방성에 유해한 MnS가 생성된다. 그 때문에, Mn 함유량을 3.0% 이하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P: 0.100% 이하>
P는 불순물이며, P 함유량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즉, P 함유량이 0.100% 초과가 되면 가공성이나 용접성의 저하가 현저해지는 데다가, 피로 특성도 저하된다. 그 때문에 P 함유량을, 0.100% 이하로 제한한다. P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0% 이하이다.]
<S: 0.010% 이하>
S는 불순물이며, S 함유량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즉, S 함유량이, 0.010%를 초과하면 인성의 등방성에 유해한 MnS 등의 개재물의 생성이 현저해진다. 그 때문에, S 함유량을, 0.010% 이하로 제한한다. 특별히 엄격한 저온 인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S 함유량을 0.0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1.00% 이하>
Al은 제강 프로세스에서 탈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1.00%를 초과하면, 클러스터상으로 석출된 알루미나가 생성되어,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Al 함유량을 1.0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이다.
<N: 0.010% 이하>
N은 불순물이다. N 함유량이 0.010% 초과이면, 고온에서 조대한 Ti 질화물이 형성되어,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N 함유량을 0.010% 이하로 한다. 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은, 상기의 화학 성분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필수 원소는 아니지만, 제조 변동을 저감시키거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때문에, Ti, Nb, Ca, Mo, 및 C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하기의 범위로 더 함유시켜도 된다. 단, Nb, Ca, Mo, 및 Cr은 어느 것도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필수는 아니므로, 그 함유량의 하한은 0%이다. 여기서, 불순물이란, 강재를 공업적으로 제조할 때, 광석, 스크랩 등의 원료, 그 밖의 요인에 의해 혼입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Nb, Ca, Mo, 및 Cr의 함유량이, 하기에 나타낸 함유량의 하한 미만이면 불순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효과에 실질적인 영향이 없다.
<Ti: 0.02% 이상, 0.20% 이하>
Ti는 스탠드 간(패스 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원소이다. 스탠드 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억제함으로써, 변형을 보다 축적시킬 수 있다. Ti를 0.02% 이상 첨가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이다. 한편, Ti 함유량이 0.20% 초과이면, TiN을 기인으로 한 개재물이 생성되어,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Ti의 함유량을 0.20% 이하로 한다. T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6% 이하이다.
<Nb: 0.00% 이상, 0.10% 이하>
Nb는 스탠드 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원소이다. 스탠드 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억제함으로써, 변형을 보다 축적시킬 수 있다. 스탠드 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의 억제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Nb 함유량을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Nb 함유량이 0.10% 초과에서는 그 효과는 포화된다. 그 때문에, Nb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Nb 함유량의 상한을 0.10%로 한다. Nb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6% 이하이다.
<Ca: 0.0000% 이상, 0.0060% 이하>
Ca는 용강의 탈산 시에 미세한 산화물을 다수 분산시켜, 강판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또한, Ca는, 강 중의 S를 구형의 CaS로 하여 고정하고, MnS 등의 연신 개재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인성의 이방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이들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Ca 함유량을 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a 함유량이 0.0060%를 초과해도 그 효과는 포화된다. 그 때문에, Ca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Ca의 함유량의 상한을 0.0060%로 한다. Ca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040%이다.
<Mo: 0.00% 이상, 0.50% 이하>
Mo는 페라이트의 석출 강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Mo 함유량을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이다. 한편, Mo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슬래브의 균열 감수성이 높아져 슬래브의 취급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Mo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Mo 함유량의 상한을 0.50%로 한다. Mo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30%이다.
<Cr: 0.0% 이상, 1.0% 이하>
Cr은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Cr 함유량을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한편, Cr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연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Cr 함유량의 상한을 1.0%로 한다. Cr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8%이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조직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은, 구오스테나이트 입자가 미세하게 재결정된 조직을 갖는다. 인장 강도가 1180MPa급 이상이면,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인성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변태한 조직, 즉 강판 조직에 관해서는 묻지 않는다. 인성의 절댓값과 이방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단상이 바람직하고, 고강도강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단상이 종종 사용된다.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구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미세하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수단으로서,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의 누적 압하율을 높여, 편평 조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동차용 강판의 충돌 특성과 같이 복잡한 변형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일방향의 인성이 높은 것만으로는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는 없어서, 압연 방향에 대한 이방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행하여, 인성의 균열 전파 특성은 구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형상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방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로 재결정시켜, 폴리고날화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도 알아냈다. 게다가, 재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열간 압연 온도를 고온화하면,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열간 압연의 최종 스탠드에서 변형 속도와 압연 온도를 적정 범위로 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이 방법에 의해, 최종 스탠드에서만 재결정을 발현시켜서, 세립의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조직을 얻을 수 있고,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고 또한 우수한 인성을 구비한 강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입경의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이고,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하는 금속 조직>
본 실시 형태의 강판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금속 조직은,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는, 압연 방향의 평균 결정 입경을 두께 방향의 평균 결정 입경으로 제산한 비이다. L 단면이란, 판 두께 방향과 압연 방향에 평행하게 강판의 중심축을 지나도록 절단한 면을 말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초과에서는, 인성의 이방성이 생겨, 압연 방향에 평행한 균열 전파 특성이 열위로 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는, 축적 변형이 불충분한 것, 압연 온도가 저온인 것, 또는 그 양쪽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율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경우에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방성을 보다 작게 또는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는,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이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원 상당 직경의 평균값이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0.1㎛ 미만이면, 강판의 가공 경화 특성이 상실되기 때문에, 열간 압연 후에 코일로 할 때나, 다음 공정에서 코일을 풀 때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3.0㎛을 초과하면, 고강도화된 강판에서는 저온 인성이 열위로 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2.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3㎛ 이하이다.
변동 계수는,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 「표준 편차」/「평균 입경」으로 산출된다. 열간 압연 중에 높은 변형이 가해져서 재결정이 발현하면, 재결정 직후의 결정립과 재결정 후에 성장한 결정립이 혼재한다. 그 때문에,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 표준 편차가 커지고, 변동 계수가 커진다. 세립 영역에 의해 균열의 전파가 억제되기 때문에, 세립 및 변동 계수가 높을수록 강판의 인성은 향상된다. 변동 계수가 0.40 이상으로 우수한 인성이 얻어진다. 변동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이다. 변동 계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80로 해도 된다.
강판의 L 단면이며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를 경면 연마한 후에, 3% 나이탈(3% 질산-에탄올 용액)로 부식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마이크로 조직을 관찰하여,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 평균 입경,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시야에 결정립이 약 10000개 관찰되는 범위를 SEM 관찰에 의해 촬상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WinROOF)를 이용하여 화상 해석을 행하여,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 애스펙트비의 평균값,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강판의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금속 조직은 또한,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회절 강도비(이하, X선 랜덤 강도비라고도 한다)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한다.
압연면에 수직으로 압연 방향과 평행한 {001}<110> 방위의 X선 랜덤 강도비가 클수록, 압연 방향 및 그 수직 방향의 인성에 주는 결정 방위의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에, L 방향 및 C 방향의 이방성이 저감된다.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랜덤 강도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X선 랜덤 강도비는,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랜덤한 방위 분포를 갖는 분말 시료의 X선 강도에 대한, 측정 대상인 열연 강판 시료의 X선 강도의 강도비이며, 적절한 X선 관구를 사용한 디프랙토미터법을 이용하여 α {002}면의 X선 회절 강도 측정을 행하고, 랜덤 샘플의 회절 강도와의 비교에 의해 측정된다.
X선 회절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EBSD(Electron Back Scattering Diffraction Pattern)법을 이용하여, 픽셀의 측정 간격이 평균 입경의 1/5 이하이고, 결정립을 5000개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영역에서 측정하고, 극점도 또는 ODF(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의 분포로부터 X선 랜덤 강도비를 측정해도 된다.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은, 자동차 등의 충돌 안전성의 향상 또는 차체 경량화에 대한 적용을 상정하여, 인장 강도를 1180MPa 이상으로 한다. 인장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마련하지 않지만, 인성의 평가를 행한 20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a) 내지 (e)의 공정을 포함한다:
(a) 상술한 성분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
(b) 가열 후의 슬래브를,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여 압연하는 압연 공정이며,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가 18m 이하이고,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전후에서의 판 두께 감소가 하기의 식 1을 만족시키는 공정
1.2≤ln(t0/t)≤3.0 (식 1)
여기서, t0은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판 두께이며, t는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 나간 직후의 판 두께이다;
(c)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와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 온도가, 하기의 식 2 및 식 3을 만족시키는 공정
11.0≤log(v×exp(33000/(273+T))≤15.0 (식 2)
T≥Ar3점 (식 3)
여기서, v는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s)이며, T는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출측 온도(℃)이다;
(d) 압연 종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750℃까지의 온도 범위를 10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e) 냉각 공정 후, 권취를 행하는 권취 공정.
이하, 각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열 공정>
열연(열간 압연) 전에, 슬래브에 대해서 가열을 행한다. 연속 주조 등에 의해 얻어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과 같은 화학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가열할 때, 가열의 온도가, 1100℃ 미만에서는, 슬래브의 균질화가 불충분해진다. 이 경우, 얻어지는 강판의 강도나 가공성이 저하된다. 한편, 가열 온도가 1350℃ 이상이 되면, 초기의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커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3.0㎛ 이하가 되도록 강판의 조직을 만들어 넣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가열 온도를, 1100℃ 이상, 1350℃ 미만으로 한다.
<압연 공정>
압연 공정에서는,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강판을 압연하는 탠덤 압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총 거리와, 상기 4개의 스탠드에서 압연하는 누적 변형(판 두께 감소)과,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 온도 및 변형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연기는 탠덤 압연으로 되기 때문에, 후단의 4개가 연속되는 압연 스탠드에서의 변형이 적정 범위라면 변형은 누적된다. 또한, 최종 스탠드에서는, 변형 속도와 압연 온도를 적정화함으로써, 누적된 변형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에서 재결정시킬 수 있다. 통상, 열간 압연의 마무리 스탠드는 6단 또는 7단이 주류이다. 물론, 이러한 단수로 제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복수의 스탠드 중, 마지막 4단의 압연을 제어하여 변형량이나 변형 속도를 적정 범위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를,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가 18m 이하이도록 배치한다. 강판은 연결된 탠덤 압연되기 때문에, 상기 4개 이상의 스탠드 중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가 적정화되어 있으면,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사이의 패스 간 시간(3개)을, 변형을 누적할 수 있는 압연 속도와 압하율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최종 스탠드출측의 압연 속도 및 압하율이 결정되면, 그 전의 스탠드의 압연 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최종 1개 전의 스탠드의 압연 속도=최종 스탠드의 압연 속도×(1-최종 스탠드의 압하율)이다. 또한, 패스 간 시간=패스 간 거리/최종 1개 전의 스탠드의 압연 속도이다. 따라서, 패스 간 거리와 누적되는 진 변형(판 두께 감소)으로부터, 모든 스탠드의 패스 간 시간과 변형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가 18m 초과에서는 패스 간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재결정에 필요한 변형을 누적할 수 없고,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는 커져, X선 랜덤 강도비는 작아진다.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의 하한값은, 패스 간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m 이상이다.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는, 하기 식 1의 변형을 부여한다.
1.2≤ln(t0/t)≤3.0 (식 1)
여기서, ln(t0/t)은 판 두께 감소를 누적하는 진 변형(대수 변형)을 나타내고, t0은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판 두께, t는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 나간 직후의 판 두께이다. ln(t0/t)의 값이 1.2 미만에서는, 최종 스탠드에서 재결정에 필요한 변형이 부여되지 않고, 구오스테나이트의 애스펙트비가 커진다. ln(t0/t)의 값이 3.0 초과에서는, 판 두께 감소가 지나치게 커서 패스 간 시간이 길어져 버리기 때문에, 최종 스탠드에서 충분한 변형이 부여되지 않고, 재결정될 수 없어져, 구오스테나이트의 애스펙트비가 커진다.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는,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시키는 변형 속도와 압연 온도에서 압연을 행한다.
11.0≤log(v×exp(33000/(273+T))≤15.0 (식 2)
T≥Ar3점 (식 3)
여기서, v는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s)이며, T는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출측 온도(℃)이다. 식 2는, 변형 속도와 온도의 함수인 Zener-Hollomon 인자(Z 인자):
Z=εexp(Q/RT)
(ε: 변형 속도, T: 온도, Q: 겉보기의 활성화 에너지, R: 기체 상수)
에 기초하여 도출하였다. log(v×exp(33000/(273+T))의 값이 11.0 미만에서는, 변형 속도가 느리거나 압연 온도가 높거나 또는 그 양쪽 때문에, 얻어지는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조대화된다. log(v×exp(33000/(273+T))의 값이 15.0 초과에서는, 변형 속도가 빠르거나 압연 온도가 낮거나 또는 그 양쪽 때문에, 오스테나이트를 재결정할 수 없고, 애스펙트비가 커지고, X선 랜덤 강도비는 작아진다. 또한, 변형 속도는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립의 성장 시간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변형 속도가 느릴수록 재결정 입경의 표준 편차는 커진다. 한편, 변형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열간 마무리 압연 중의 재결정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재결정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변형 속도와 압연 온도의 관계는 상기 식 2를 만족시키고 있으면, 각각의 값에 제약은 없다. 단,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의 애스펙트비를 소정의 범위에 넣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재결정시킬 필요가 있다. 페라이트가 압연 중에 발생하면, 페라이트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이 억제되고, 결정 입경이 편평해지기 때문에, 압연출측은 오스테나이트 단상에서 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는, 식 2를 만족시키고, 또한 식 3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T는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출측 온도이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T가 Ar3점 이상임으로써,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있다. Ar3점은 이하의 식:
Ar3=901-325×C+33×Si-92×Mn+287×P
에 의해 산출된다.
<냉각 공정>
압연 종료 후에는, 압연에 의해 만들어 넣은 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미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750℃까지의 온도 범위를 10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한다. 냉각 개시 시간이 1.0초 초과에서는, 재결정이 발현하고 나서 냉각 개시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오스트발트 성장에 의해 세립 영역이 조대 입자에 흡수되어서 구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커지고, 변동 계수가 작아져, 인성이 저하된다. 냉각 속도가 100℃/s 미만에서는, 냉각 중에도 오스테나이트의 입성장이 일어나고,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조대화되고, 변동 계수는 작아진다. 750℃ 미만의 냉각 속도는, 오스테나이트 입경에 대한 영향이 작기 때문에, 목적한 열연 조직을 얻기 위한 냉각 속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냉각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설비 제약 등을 고려하고, 또한, 판 두께 방향의 조직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600℃/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정지 온도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을 세립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550℃ 이하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공정>
냉각 공정에서 만들어 넣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부터 변태된 조직에는 제약이 없다. 열간 압연한 채 열연 강판을 제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550℃ 미만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공정에서 냉간 압연을 행하는 경우에는, 냉간 압연 시의 부하를 낮추기 위해서 550℃ 이상, 750℃ 미만으로 권취하고, 연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공정)
본 실시 형태의 열연 강판은, 산세, 냉연, 및 그 후의 가공은 필수는 아니지만, 제작한 열연 강판을, 산세, 냉연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열연 강판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서, 산세 처리를 실시하고, 냉연 공정을 실시하여 강판의 판 두께를 조정해도 된다. 냉연 공정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공성, 판 두께 정밀도의 관점에서, 냉간 압연율이 3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냉간 압연율을 80% 이하로 함으로써 강판 에지의 균열이나, 가공 경화에 의한 과도한 강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냉연 강판을 어닐링해도 된다. 열간 압연에서 만들어 넣은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조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어닐링의 최고 온도는 9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재결정에 의한 압연 조직의 만들어 넣음에 장시간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5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후에, 형상 교정이나 표면 조도 조정을 목적으로 한 조질 압연을 실시해도 된다. 조질 압연에서는, 압연 가공 조직을 남기지 않도록, 압하율을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연 강판은, 표면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서, 전기 도금, 용융 도금 또는 합금화 용융 도금을 실시해도 된다. 도금 공정에 있어서, 열을 부여할 경우에는, 열연 공정에서 만들어 넣은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조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9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 후에는 형상 교정이나 조도 조정을 목적으로 한 조질 압연을 더 실시해도 된다. 조질 압연 공정에서는, 압연 가공 조직을 남기지 않도록, 압하율을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연 강판을 냉연했을 경우, 냉연 강판에, 상기의 전기 도금, 용융 도금, 또는 합금화 용융 도금, 및 조질 압연을 행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열연 강판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실시예에서의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채용한 일 조건예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조건을 채용할 수 있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포함된다.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 및 Ar3점을 갖는 강을 전로에서 용제하고, 연속 주조에서 두께 230mm의 슬래브로 하였다. 그 후, 슬래브를 1200℃ 내지 1250℃의 온도로 가열하고, 조압연을 행한 후, 표 2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마무리 온도, 냉각 속도, 및 권취 온도에서, 가열, 마무리 압연, 냉각, 및 권취를 행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표 2에는 또한, 사용한 강종 성분, 마무리 압연 조건 및 강판의 판 두께를 나타낸다. 표 2에 있어서, 「변형 속도」는 연속되는 마무리 압연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 「입후」는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가 연속되는 마무리 압연기에 있어서,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입측 두께, 「출후」는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 나간 직후의 출측 두께, 「스탠드 길이」는,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 「개시 시간」은 최종 스탠드의 마무리 압연 종료에서 냉각 개시까지의 시간, 「냉각 속도」는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75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 및 「권취 온도」는 냉각 종료 후의 권취 온도이다.
Figure 112019081683718-pct00001
Figure 112019081683718-pct00002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강판에 관하여, 강판의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4의 위치를 경면 연마한 후에, 3% 나이탈(3% 질산-에탄올 용액)로 부식되고, 1 시야에 결정립이 약 10000개 관찰되는 범위를 SEM 관찰에 의해 촬상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WinROOF)를 이용하여 화상 해석을 행하여,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및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를 평균 입경으로 제산하여 변동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강판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EBSD(Electron Back Scattering Diffraction Pattern)법을 이용하여, 픽셀의 측정 간격이 평균 입경의 1/5 이하이고, 결정립을 5000개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영역에서, 극점도 또는 ODF(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의 분포로부터, {001}<110> 방위의 X선 랜덤 강도비를 측정하였다.
강판의 인장 시험에 관해서는, 강판의 압연 폭 방향(C 방향)으로 JIS5호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Z2241에 준하여, 인장 강도: TS(MPa)를 평가하였다.
강판의 인성 평가로서 연성 취성 천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연성 취성 천이 온도의 측정은, JISZ2242에서 규정하는 2.5mm 서브 사이즈의 V 노치 시험편으로, C 방향 노치의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하여, 취성 파면율이 50%로 되는 온도를 연성 취성 천이 온도라 하였다. 또한, 강판의 최종 판 두께가 2.5mm 미만의 것에 관해서는 전체 두께로 측정하였다. 연성 취성 천이 온도가 -50℃ 이하이면 합격으로 하였다. 이방성에 관해서는, C 방향 노치와 L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를 -60℃에서 측정하고, 그 비(L 방향/C 방향)를 산출하여, 0.6 이상, 1.0 이하이면 이방성이 우수하다고 하였다.
표 2에, 구오스테나이트 입경(구γ 입경),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변동 계수, 구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 {001}<110> 방위의 X선 랜덤 강도비, 인장 강도, 연성 취성 천이 온도 및 이방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예는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이고, 천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비해, 시험 번호 6에서는 식 1의 값이 1.2 미만으로 되고,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의 누계 변형이 부족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를 재결정할 수 없어, 애스펙트비가 2.0 초과로 되었다. 그 때문에,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시험 번호 15에서는, 식 1의 값이 3.0 초과로 되고,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의 판 두께 감소가 지나치게 커서, 패스 간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에, 재결정에 필요한 변형을 부여할 수 없어, 애스펙트비가 2.0 초과로 높고,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시험 번호 17에서는, 압연 마무리 온도가 조금 낮고 식 2의 값이 15.0을 초과하고 있고, 오스테나이트를 재결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애스펙트비가 높고 X선 랜덤 강도비가 작고(집합 조직의 집적도가 낮고),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시험 번호 24에서는, 압연 마무리 온도가 높고 변형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식 2의 값이 11.0 미만으로 되어 있고,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조대화되었기 때문에, 천이 온도가 -50℃ 초과이고, 인성이 열위이다.
시험 번호 28에서는, 냉각 개시 시간이 1.0초 초과로 길고, 재결정이 발현하고 나서 냉각 개시까지 시간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오스트발트 성장에 의해 세립 영역이 조대 입자에 흡수되어서 구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커지고, 변동 계수도 작기 때문에, 인성이 열위이다.
시험 번호 32에서는, 최후의 4개의 스탠드 스탠드 길이가 18m 초과이고, 패스 간 시간이 길고, 재결정에 필요한 변형을 축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애스펙트비가 크고 X선 랜덤 강도비가 작아(집합 조직의 집적도가 낮아),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시험 번호 34에서는, 마무리 온도가 표 1에 기재된 Ar3점을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낮아졌다. 나아가,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의 누계 변형이 작아 식 1의 값이 1.2 미만이고, 게다가 압연 마무리 온도가 낮아 식 2의 값이 15.0을 초과하고 있고, 애스펙트비가 크고 X선 랜덤 강도비가 작아(집합 조직의 집적도가 낮아),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시험 번호 35에서는,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의 누계 변형이 작아 식 1의 값이 1.2 미만이고, 게다가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스탠드 길이가 18m를 초과하고 있고, 애스펙트비가 크고 X선 랜덤 강도비가 작아(집합 조직의 집적도가 낮아)졌다. 그 때문에, 이방성이 0.6 미만으로 되어 있다.

Claims (3)

  1. 질량%로,
    C: 0.10% 이상, 0.50% 이하,
    Si: 0.10% 이상, 3.00% 이하,
    Mn: 0.5% 이상, 3.0% 이하,
    P: 0.100% 이하,
    S: 0.010% 이하,
    Al: 1.00% 이하,
    N: 0.010% 이하, 및
    잔부: Fe 및 불순물
    로 이루어지고,
    L 단면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1/4 위치에서의 금속 조직이, 애스펙트비의 평균값이 2.0 이하, 평균 입경이 0.1㎛ 이상, 3.0㎛ 이하, 및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인 변동 계수가 0.40 이상인 구오스테나이트 입자, 그리고 랜덤 시료에 대한 {001}<110> 방위의 X선 회절 강도비가 2.0 이상인 집합 조직을 포함하고,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Ti: 0.02% 이상, 0.20% 이하,
    Nb: 0.00% 이상, 0.10% 이하,
    Ca: 0.0000% 이상, 0.0060% 이하,
    Mo: 0.00% 이상, 0.50% 이하, 및
    Cr: 0.0% 이상, 1.0%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공정 (a) 내지 (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a)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성분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
    (b) 상기 가열 후의 슬래브를, 4개 이상의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여 압연하는 압연 공정이며, 상기 복수의 스탠드 중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합계 길이가 18m 이하이고,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전후에서의 판 두께 감소가 하기의 식 1을 만족시키는 공정
    1.2≤ln(t0/t)≤3.0 (식 1)
    여기서, t0은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판 두께이며, t는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에서 나간 직후의 판 두께이다;
    (c) 상기 최후의 4개의 스탠드의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와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 온도가, 하기의 식 2 및 식 3을 만족시키는 공정
    11.0≤log(v×exp(33000/(273+T))≤15.0 (식 2)
    T≥Ar3점 (식 3)
    여기서, v는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변형 속도(/s)이며, T는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의 압연출측 온도(℃)이다;
    (d) 상기 압연 종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750℃까지의 온도 범위를 10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e) 상기 냉각 공정 후, 권취를 행하는 권취 공정.
KR1020197023450A 2017-02-16 2018-02-16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59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7043 2017-02-16
JP2017027043 2017-02-16
PCT/JP2018/005570 WO2018151273A1 (ja) 2017-02-16 2018-02-16 熱間圧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70A KR20190107070A (ko) 2019-09-18
KR102259597B1 true KR102259597B1 (ko) 2021-06-02

Family

ID=6316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50A KR102259597B1 (ko) 2017-02-16 2018-02-16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74355B2 (ko)
EP (1) EP3584346B1 (ko)
JP (1) JP6760407B2 (ko)
KR (1) KR102259597B1 (ko)
CN (1) CN110168126B (ko)
BR (1) BR112019014902A2 (ko)
MX (1) MX2019009529A (ko)
TW (1) TWI643963B (ko)
WO (1) WO2018151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8018B1 (ja) * 2018-04-17 2020-01-08 日本製鉄株式会社 熱延鋼板
JP7115628B2 (ja) * 2019-02-18 2022-08-09 日本製鉄株式会社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804716B (zh) * 2019-12-06 2020-09-22 唐山市德龙钢铁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拉片用热轧带钢及其制备方法
TWI731672B (zh) * 2020-05-08 2021-06-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低碳鋼片及其製造方法
JP7417169B2 (ja) * 2020-09-11 2024-01-18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299769A1 (en) * 2021-05-13 2024-01-03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hot stamping and hot stamped molded body
JPWO2023132342A1 (ko) * 2022-01-07 2023-07-13
WO2023132351A1 (ja) * 2022-01-07 2023-07-13 日本製鉄株式会社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7933A1 (ja) * 2015-07-27 2017-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146B2 (ja) 2002-01-29 2006-12-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CA2531616A1 (en) 2004-12-28 2006-06-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having high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ing property and high workability
JP4684003B2 (ja) 2004-12-28 2011-05-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及び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薄鋼板
JP5068688B2 (ja) 2008-04-24 2012-11-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広げ性に優れた熱延鋼板
JP5609383B2 (ja) 2009-08-06 2014-10-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89673B1 (en) * 2010-06-30 2017-08-0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FI20115702L (fi) * 2011-07-01 2013-01-02 Rautaruukki Oyj Menetelmä suurlujuuksisen rakenneteräksen valmistamiseksi ja suurlujuuksinen rakenneteräs
WO2013065346A1 (ja) * 2011-11-01 2013-05-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曲げ特性と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05555A1 (ja) * 2012-01-13 2013-07-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808413B1 (en) 2012-01-26 2017-04-26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888181B2 (ja) * 2012-08-20 2016-03-1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
EP2998414B1 (en) 2013-05-14 2019-04-2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3107010A1 (de) * 2013-07-03 2015-01-22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Anlage und Verfahren zum Warmwalzen von Stahlband
JP5556948B1 (ja) 2013-10-28 2014-07-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60198B2 (ja) * 2013-10-29 2018-01-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伸びと穴拡げ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27282B2 (ja) * 2015-05-12 2018-05-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718044B2 (en) * 2016-07-15 2020-07-21 Nippon Steel Corporatio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JP6465266B1 (ja) * 2017-07-07 2019-02-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7933A1 (ja) * 2015-07-27 2017-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273A1 (ja) 2018-08-23
EP3584346A1 (en) 2019-12-25
EP3584346A4 (en) 2020-08-05
US11274355B2 (en) 2022-03-15
JPWO2018151273A1 (ja) 2019-11-07
CN110168126B (zh) 2021-07-13
EP3584346B1 (en) 2023-12-20
US20190390294A1 (en) 2019-12-26
JP6760407B2 (ja) 2020-09-23
CN110168126A (zh) 2019-08-23
TW201835347A (zh) 2018-10-01
KR20190107070A (ko) 2019-09-18
BR112019014902A2 (pt) 2020-03-03
TWI643963B (zh) 2018-12-11
MX2019009529A (es)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597B1 (ko)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02737B1 (ko) 고강도 강판용 소재, 고강도 강판용 열연재, 고강도 강판용 열연 소둔재, 고강도 강판, 고강도 용융 도금 강판 및 고강도 전기 도금 강판과, 이들의 제조 방법
TWI441928B (zh) 均勻伸長和鍍覆性優異之高強度熔融鍍鋅鋼板及其製造方法
JP5884714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1861B2 (ja) 外観に優れ、伸びと穴拡げ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21198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WO2017168962A1 (ja) 薄鋼板およびめっき鋼板、並びに、熱延鋼板の製造方法、冷延フルハード鋼板の製造方法、薄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2433938B1 (ko)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도금강판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WO2013160928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4848B1 (ko)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3227415B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CN113302322A (zh) 钢板及其制造方法
JP6443555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651786A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CN112739840B (zh) 合金化热浸镀锌钢板
JP2004197119A (ja) 材質均一性に優れた熱延鋼板および溶融めっき鋼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412013B1 (ko) 열연 강판
JP7541653B1 (ja) 鋼板および部材、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30040349A (ko) 열연 강판
CN117677725A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CN116670308A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CN117413083A (zh)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