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145B1 -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145B1
KR102231145B1 KR1020200006898A KR20200006898A KR102231145B1 KR 102231145 B1 KR102231145 B1 KR 102231145B1 KR 1020200006898 A KR1020200006898 A KR 1020200006898A KR 20200006898 A KR20200006898 A KR 20200006898A KR 102231145 B1 KR102231145 B1 KR 10223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crane
conveying member
steel
fil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113A (ko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최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훈 filed Critical 최성훈
Priority to KR102020000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1Devices for applying linings on banks or the water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 구조물 시공에 적합한 기중기와 이를 이용한 돌망태 시공방법과 이를 적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중기는: 일측 단부가 상기 기중기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형태의 운반부재; 돌망태가 걸리는 형상으로서 상기 운반부재의 둘레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걸림부; 및 상기 운반부재의 둘레에서 적어도 상기 걸림부(18)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매끈한 슬라이드면;을 포함한다. 기중기는 상기 운반부재를,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돌망태 운반시에는 걸림부가 상부를 향하여 돌망태가 운반부재에 걸리게 하고, 돌망태 투하 시에는 운반부재의 슬라이드면이 상부를 향하게 운반부재를 회전시켜 돌망태가 슬라이드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돌망태를 제 위치에 정확히 안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Cran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rane}
본 발명은 돌망태 구조물 시공에 적합한 기중기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과 이를 적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산지가 국토의 70%를 차지하여 평지가 협소한데, 서해의 경우 해안선이 복잡하고 수심이 낮으며 조수 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해안에 제방을 만들어 그 안에 있는 물을 배수하고 토사를 매립하여 육지로 만드는 노력을 해왔다.
제방을 축조하는 시공방법을 보면 먼저 직경이 큰 돌을 해저에 깔고 그 상부에 그보다 직경이 작은 돌을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제방을 축조하는데, 과거에는 돌을 이용하여서만 제방을 축조하였기 때문에 매립지로 흘러든 물이 제방의 돌과 돌 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외해로 나가면서 물과 함께 매립토가 유실되는 문제가 있어, 입자가 작은 율석, 자갈, 모래로 그 틈을 메웠다.
1980년대 이후 일반적으로 해안에 안벽시설을 시설함에 있어서 외해에서의 파랑의 내습뿐 아니라 매립지의 토사가 외해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안시설의 내측에 필터석과 필터매트를 포설하였다. 그러나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해안의 내·외측에 수위 차가 발생하게 되어 포설된 필터매트에 수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필터매트가 부양되어 매트 손상뿐 아니라 향후에는 토사의 유출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필터매트의 부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다짐이 잘 되는 배면 토사나 배면 사석 등을 일차적으로 포설하여 필터매트가 부양하지 않도록 가 고정한 후, 본격적으로 매립하거나, 장기적으로 준설토 등을 투기하여 매립하였다.
그러나 서해안과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의 경우 일차 포설된 배면토사(배면사석)조차 수압에 견디지 못하고 유실되거나 저면으로 흘러내림이 발생하여 필터매트가 부양하거나 손상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특히 실제로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군산항 등의 호안축조 시 상기와 같은 실패를 여러 차례 경험하고 필터매트가 제대로 포설되지 않거나 손상을 입어 장기적으로 배면의 토사가 유출되면서 매립지가 침하되어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해안의 안벽시설 배면에 부지를 조성하고자 할 때 배면 매립토가 외해 측으로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매트의 설치 시 해안시설의 내·외측간의 수위 차에 따라 필터매트에 수압이 작용하여 필터매트가 부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돌망태(망태에 담는 채움용 석재는 망목을 빠져나가지 않고 돌망태의 형상을 형성함을 저해하지 않는 크기)를 일련의 과정으로 필터매트 위에 운반 및 포설하여 필터매트가 부양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수대기에 의한 작업가능시간이 짧은 해상공사의 특성에 대응하여, 사전에 돌망태를 충분히 제작하고, 제작된 돌망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운반 적재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종래보다 빠르게 필터매트의 배면에 포설 가능하도록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필터매트의 부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매트에 작용하는 수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배면토사(또는 배면사석)를 보강 시공할 경우 안정성을 위해 경사를 완만히 하여야 하므로 보강단면이 커져 공사물량이 증가하여 공사비가 비싸지고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점,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배면토사가 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유실되면서 필터매트를 밑으로 잡아당겨 손상시키는 점 등을 감안하여, 보강단면을 축소하면서도 안정성이 증대되고 공사비의 절감, 공기단축을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된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방이 설치될 바닥면에 사석을 쌓아 올려 제체(1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체(100)의 바다에 대면하는 비탈면을 따라 상기 비탈면 보호를 위하여 피복석(104)을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체(100)의 매립지에 대면하는 비탈면을 따라 매립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석(108)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방을 축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한된 간조시간 내에 시공을 마칠 수 있도록 필터매트(112)를 설치하기 전에 사전작업으로 상기 필터석(108)보다 큰 입자로 구성된 여러 개의 채움용 석재를 금속이나 섬유로 만든 그물망에 넣어 만든 돌망태(120)를 상기 제체(100) 상단에 배치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터석(108)이 포설된 경사면에 필터매트(112)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매트(112)가 바닷물에 부양하지 않고 상기 필터석(108)이 포설된 경사면에 정착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에 상기 제체(100) 상단에 준비된 상기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석(108)은 100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돌들을 혼합한 형태로 마련되며, 이들의 혼합을 통해 공극을 최소화하여 내해 측에 매립되는 토사가 필터매트와 필터석에 의해 걸려 외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돌망태(120)에 채워지는 채움용 석재는 75mm 이상 200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돌들을 혼합한 형태로 마련되며, 최대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해 측에서 내해 측으로 해수가 유입될 때 내해 쪽으로 발생하는 수압이 돌망태(120)에 최대한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돌망태(120)가 해수의 수압에 의해 움직이지 않으면서 필터매트(112)를 잘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체(100) 상단에 준비된 상기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단계는: 필터매트가 포설되기 전에 기중기(1)가 상기 돌망태(120)가 배치된 상기 제체(100)의 천단면에서 대기하는 단계; 필터매트를 포설하고 나면 상기 기중기(1)로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단계;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 상기 기중기(1)가 상기 제체(100) 상단의 투하장소 부근까지 상기 돌망태(120)를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돌망태(120)를 운반한 상기 기중기(1)가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상기 돌망태(120)를 투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중기(1)는 상기 기중기(1)에 설치된 제1스틸암(5)과, 상기 제1스틸암(5)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스틸암(7)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틸암(7)은 제1스틸암(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스틸암(7)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스틸암(7)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망태(120)를 걸 수 있는 돌기 또는 요홈 형태의 걸림부(18)가 구비되고, 상기 기중기(1)로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단계는, 상기 제2스틸암(7)을 상기 돌망태(120)의 망목이나 인양로프로 관통시켜 돌망태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걸림부(18)가 상방을 향하도록 제2스틸암(7)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틸암(7)을 연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걸림부(18)에 상기 돌망태(120)의 그물망 상부 또는 인양로프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돌망태(120)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중기(1)가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망태(120)를 투하하는 단계는, 상기 제2스틸암(7)에 걸린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상의 투하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선단부가 하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하지점에서 상기 제2스틸암(7)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18)가 아래를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돌망태(120)가 상기 제2스틸암(7)의 매끈한 상부면을 타고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제2스틸암(7)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체(100) 상단에 준비된 상기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단계는: 상기 제2스틸암(7)에 걸린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포설할 때 상기 기중기(1)의 전복을 고려하여 상기 기중기(1)가 고정된 지점 및 상기 돌망태(120)를 투하할 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수개의 상기 돌망태(120)를 차등적으로 포설하되, 상기 기중기(1)에 가까운 위치에 포설할수록 더 많은 돌망태(120)를 한번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틸암(7)은: 단면이 원형인 봉의 형태로 구비되며; 외면의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망태(120)를 걸 수 있는 양각의 돌기 또는 음각의 홈 형태로 구비된 걸림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체(100) 상단에 준비된 상기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단계는: 필터매트가 포설되기 전에 기중기(1)가 상기 돌망태(120)가 배치된 상기 제체(100)의 천단면에서 대기하는 단계; 필터매트를 포설하고 나면 상기 기중기(1)로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단계;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 상기 기중기(1)가 상기 제체(100) 상단의 투하장소 부근까지 상기 돌망태(120)를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돌망태(120)를 운반한 상기 기중기(1)가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상기 돌망태(120)를 투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중기(1)는 상기 기중기(1)에 체결되어 체결되는 지점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구비하는 스틸붐(40)을 포함하고, 상기 스틸붐(40)의 아우터부재(46)는 한쪽 면으로 망태를 걸 수 있도록 돌기 형태의 걸림부(18)를 포함하며, 상기 기중기(1)가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단계는, 상기 스틸붐(40)을 상기 돌망태(120)의 망목이나 인양로프로 관통시켜 상기 돌망태(120)로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돌망태(120)로 관통된 상기 스틸붐(40)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18)가 위를 향하도록 하며 상기 스틸붐(40)을 연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걸림부(18)에 상기 돌망태(120)를 걸어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중기(1)가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망태(120)를 투하하는 단계는, 상기 스틸붐(40)을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나란히 신장하여 상기 스틸붐(40)의 단부를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하단 부근의 지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스틸붐(40)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18)가 아래를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돌망태(120)가 상기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나란히 신장된 상기 스틸붐(40)의 매끈한 상부면을 타고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리도록 하여 투하지점에 안착되는 단계; 및 상기 스틸붐(40)을 길이방향으로 단축시켜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스틸붐(4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틸붐(40)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틸붐(40)은, 상기 스틸붐(40)의 상기 아우터부재(46)만 독립적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아우터부재(46) 한쪽 면에 구비된 상기 걸림부(18)가 향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에 의하면, 사전에 준비된 돌망태를 제방으로 운반하고 필터매트 위에 포설하는 과정은 기존의 사석을 운반, 포설하는 과정보다 용이하고 간편하며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돌망태를 운반 및 포설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함으로써 짧은 간조시간에 맞춰 시공할 수 있어 기존의 공법보다 경제적으로 제방을 축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는 제방이 설치될 바닥면에 사석을 쌓아 올려 제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제방의 외측 경사면에 피복석을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c는 제방의 내측 경사면에 필터석을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필터석을 포설한 경사면에 필터매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필터매트를 설치한 경사면에 토사나 사석을 포설하여 필터매트를 일차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필터매트를 설치한 경사면을 따라 돌망태를 장방향이 해저면에 나란하게 포설하여 필터매트를 일차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d는 필터매트를 설치한 경사면을 따라 돌망태를 장방향이 경사면에 나란하게 포설하여 필터매트를 일차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돌망태의 일실시예로 섬유재질로 만든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돌망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만조 때 돌망태를 제체 상단에 배치하여 준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간조 때 필터석을 포설한 경사면에 필터매트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도 4b의 경사면에 돌망태를 포설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일실시예로 돌망태를 포설하는데 이용되는 기중기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5a의 기중기의 양각 형상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c는 도 5a의 기중기의 음각 형상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d는 도 5a의 기중기를 이용하여 도 4b의 경사면에 돌망태를 포설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일실시예로 돌망태를 포설하는데 이용되는 기중기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6a의 기중기의 양각 형상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c는 도 6a의 기중기를 이용하여 도 4b의 경사면에 돌망태를 포설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난 구성, 크기, 형태 등이 실제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해안의 안벽시설의 배면에 부지를 조성하고자 할 때,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을 따라 제방을 쌓고 바닷물의 출입을 막는다. 제방은 설치할 바닥에 입자가 큰 사석을 깔고 그 상부에 그보다 입자가 작은 사석을 쌓아 올려 축조하는데, 축조된 제방으로 바닷물을 막고 내측의 물을 배수한 뒤 토사를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하게 된다.
축조된 제방을 살펴보면, 제방을 구성하는 사석들 사이로 틈이 형성되는데, 그 틈을 통하여 제방 내측과 외측의 물이 통과된다. 토사를 매립하여 형성된 매립지에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물이 모이게 되면 모인 물은 제방을 통하여 제방 외측으로 흘러가고, 흘러가는 물과 함께 매립지를 구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토사도 제방 외측으로 유실된다. 장기간에 걸쳐 계속하여 매립지를 구성하는 토사가 제방 외측으로 유실되면 매립지에는 포트홀(공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지의 지반이 침하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제방을 축조할 때 매립지에 대면되는 제방의 비탈면에서 물은 통과 시키지만 토사의 이출입을 막는 필터의 설치가 요구된다. 과거에는 돌을 이용하여 제방을 축조하였기 때문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의 축조에 이용한 사석 사이의 공극보다 입자가 작은 사석으로 그 틈을 메웠고, 1980년대 이후부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매트를 이용하여 제방의 틈을 막아 미세한 크기의 토사의 이출입을 막게 되었다.
토목섬유는 보강재로서의 성능이 우수하며 토목섬유 자체의 공학적 특성으로 인한 수밀성 증대, 침투수의 차단기능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필터매트로 주로 토목섬유가 사용되며 그 소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등이다. 다만 이러한 소재의 토목섬유는 물보다 밀도가 낮아 준설 매립지역에서의 필터매트 설치공사 시 부력에 의해 필터매트가 물에 부양되므로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이 잘되는 배면토사나 배면사석 등을 필터매트가 설치된 경사면에 일차적으로 포설하여 필터매트가 부양하지 않도록 우선 고정한 후에 본격적으로 토사를 매립한다. 하지만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의 경우 일차 포설된 배면토사(배면사석)조차 수압에 견디지 못하고 유실되거나 저면으로 흘러내림이 발생하여 필터매트가 부양되거나 손상된다. 뿐만 아니라 필터매트의 부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매트에 작용하는 수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배면토사(또는 배면사석)를 보강 시공할 경우 안정성을 위해 배면토사(또는 배면사석)가 이루는 경사를 완만히 하여야 하므로 보강단면이 커져 공사물량이 증가하여 공사비가 비싸지고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매트를 설치하는 공사를 빠르게 마치기 위하여 미리 제작된 돌망태(120)를 이용하여 필터매트를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돌망태(120)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그물망 내부에 망목을 빠져나가지 않고 돌망태(120)의 형상을 저해하지 않는 크기의 채움용 석재를 채워 넣은 부재로서 플렉시블하고 투수가 가능하면서도 하나의 큰 바위 역할을 할 수 있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돌망태(120)는 필터매트 설치와 별도로 사전제작 될 수 있고 돌망태(120)가 하나의 큰 바위 역할을 함으로써 필터매트를 설치할 장소에 미리 적재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사전작업을 통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적재나 거치 과정에서 돌망태의 플렉시블한 특성으로 인해 적재된 돌망태 간에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다. 또한 돌망태(120)를 구성하는 채움용 석재는 그물망 내부에 구속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거동하기 때문에 물속에 유실될 염려도 없고, 아울러 투수를 허용하기 때문에 공극률이 큰 경우 수압의 저항도 그만큼 덜 받게 된다.
[제방의 축조]
해안의 안벽시설 배면에 부지를 조성하고자 할 때 해안을 따라 제방을 축조하고 제방의 내측으로 토사를 투하하여 매립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방을 축조하는 과정을 살피면, 먼저 바위와 같은 크기의 큰 제체사석을 투하하여 방조제의 기초를 마련한다. 이때 제방이 시공되는 해저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토목섬유매트를 먼저 포설하여 지반을 다짐한 뒤 제체사석을 투하할 수 있다. 제방의 기초가 마련되면 제방의 기초를 형성하는데 사용한 제체사석보다 크기가 작은 사석을 적층시켜 방조제의 뼈대를 만든다. 제방은 아랫부분의 단면적이 윗부분의 단면적보다 넓은 구조를 하고 있어야 안정성이 있고 제체사석은 파도나 유속의 영향을 받는 외부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큰 사석을 쓰고 내부에는 외부와 비교하여 작은 사석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방의 외측 경사면은 바다를 대면하고 있고, 내측 경사면은 매립지를 대면하게 되는데, 내측 경사면은 파도에 의한 침식이 크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보호를 위해 피복석(104)을 경사면에 옷을 입히듯 깔아 설치한다. 피복석(104)으로 사용되는 돌은 크고 면이 확실하며, 특히 해안가의 피복석(104)은 파도의 힘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크기도 커야 할뿐더러 마치 쐐기를 박듯이 세워서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경사면은 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투하된 토사와 맞닿기 때문에 경사면의 공극을 통하여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면을 따라 필터매트를 설치하는데, 제체사석은 일반적으로 발파석으로 크기가 크며 형상이 거칠고 날카로워 배면에 토사가 매립되면 하중의 작용으로 필터매트가 손상되기 쉽다. 또한 필터매트만으로 내해 측 매립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모두 부담하도록 하는 것은 유실 방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이에 따라 필터매트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내해 측에 매립되는 매립토의 유실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매트의 저면부에 필터석(108)을 설치한다.
필터석(108)으로서는 입자의 크기가 100mm 이하인 사석들이 혼합 포설되는데, 이는 필터석층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포설된 필터석이 내해의 토사가 외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은 통과시키는 필터의 기능을 하도록 함은 물론, 작은 크기의 혼합된 필터석들이 포설된 표면이 평탄화됨으로써 필터석 층 상에 포설되는 필터매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준다. 필터석(108) 층은 이처럼 제체사석보다 입자가 작은 사석으로 공극이 작게 되도록 구성하여 필터의 역할을 하도록 함은 물론 필터석(108)을 설치한 경사면이 고르도록 하여 필터매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필터 배면부에 필터매트(112)를 설치하고 이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을 살핀다. 토사를 투하하여 형성된 매립지는 외해측의 조석에 따라 지속해서 수위가 상하로 변동하게 되고 제방내외의 수위 차에 의한 물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면 미세한 크기의 토사는 물의 흐름과 함께 제방의 공극 사이로도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도 2a와 같이 필터석(108)을 포설함은 물론 그 상면에 필터매트(112)를 설치하여 미세한 크기의 토사의 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 반입된 필터매트(112)는 시공 전에 수분이 흡수되지 않도록 밑면을 각목 등으로 괴어 놓고 방수천 등으로 덮어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필터매트(112)를 운반할 때에는 필터매트(112)가 찍히거나 찢어지는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고, 필터매트(112) 설치 전 필터석(108) 상면은 평탄한 면이 되도록 정리한 후 필터매트(112)가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필터매트(112)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인 토목섬유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재질의 특성상 물보다 밀도가 작아 물에 부양되므로 도 2b와 같이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다짐이 잘되는 토사나 사석 등을 일차적으로 포설하여 우선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토사나 사석은 제체(100) 상단에 많이 쌓아둘 수가 없어 필터매트(112) 공사시 별도의 운반작업이 필요하고 필터매트(112) 위에 포설한 뒤에도 조수에 의하여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매트(112)의 부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매트(112)에 작용하는 수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토사나 사석을 보강 시공할 경우 안정성을 위해 경사를 완만히 하여야 하므로 보강단면이 커져 공사물량이 증가하여 공사비가 비싸지고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조수간만의 차가 큰 해안에서 제방에 설치한 필터매트(112)를 고정하기 위하여 토사나 사석을 포설하는 대신 사전에 충분히 제작된 구조 유닛인 돌망태(120)를 포설함으로써 종래의 방법보다 빠르게 공사를 마칠 수 있다. 이때 돌망태(120)는 플렉시블한 특성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으로 포설할 수 있는데, 가령 도 2c와 같이 포설되는 돌망태(120) 사이를 긴밀하게 밀착시켜 필터매트(112)를 설치한 경사면을 따라 돌망태(120)의 장방향이 해저면에 나란하게 돌망태(120)를 포설하거나, 도 2d와 같이 돌망태(120)를 경사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필터매트(112)를 설치한 경사면을 따라 돌망태(120)의 장방향이 경사면에 나란하게 돌망태(120)를 포설할 수 있다.도 3을 참조하여 필터배면부에서 필터매트(112)를 임시 고정하는 돌망태(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돌망태(120)는 채움용 석재를 금속이나 섬유로 만든 그물망에 넣어 큰 바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돌망태(120)는 제작이 쉽고모양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에 알맞게 변형된 형태로 포설할 수 있다. 또한 큰 바위는 공극이 없어 물의 저항을 많이 받는 반면, 돌망태(120)는 바닥에 납작하게 달라붙고 투수가 가능하여 물의 저항을 덜 받기 때문에 투하하여 착지하면 같은 무게의 바위보다 잘 떠내려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돌망태(120)를 이루는 그물망은 상황에 맞춰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가령 금속 재질의 돌망태(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작 당시의 형상대로 포설할 수 있으며, 섬유 재질의 돌망태(120)는 제작비가 저렴하고 포설 장소에 따라 유동적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돌망태(120) 내부는 망목으로 빠져 나오지 않을 크기의 입자의 채움용 사석으로 채울 수 있으나 만조 때 바다에서 제방을 통해 들어오는 조류에 의한 수압을 덜 받기 위해서 필터석(108)보다 입자가 큰 사석으로 돌망태(120) 내부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매트(112)를 설치한 뒤 해안시설의 내·외측간의 수위 차에 따라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필터매트(112)가 부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망태(120)를 필터매트(112) 위에 포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터매트(112) 위에 포설된 돌망태(120)는 해안시설의 내·외측간의 수위 차에 따라 작용하는 수압이 잘 걸리지 않도록 하여 제자리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망태(120)를 구성하는 채움용 석재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돌망태(120)의 투수율이 향상되는데, 돌망태(120)의 투수율이 좋을수록 돌망태(120)에 더 작은 수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돌망태(120)는 채움용 석재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필터매트(112)를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반면 돌망태에 채워지는 채움석의 직경이 너무 크면, 날카로운 면에 의해 필터매트가 손상될 여지가 있다. 즉 돌망태(120)는 필터매트(112) 위에서 자중에 의하여 필터매트(112)를 고정하기 때문에 돌망태(120)를 구성하는 채움용 석재의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필터매트(112)와 접촉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고 돌망태(120)의 하중이 그 부분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필터매트(112)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돌망태(120) 구성하는 채움용 석재의 입자의 크기는 75mm 내지 200mm 의 범위의 사석을 혼합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망태의 채움용 석재가 7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공극이 줄어들어 조석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이 많이 작용하게 되고, 채움용 석재가 200mm보다 크면 필터매트가 손상될 여지가 있다. 또한 사석들의 입자가 모두 균일한 크기(가령 모두 75mm 급이거나 모두 200mm 급인 경우)인 경우에는 공극이 작아지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필터매트를 손상시킬 수 있다.
서해안은 평균조차가 8M에 이르는데 세계적으로도 매우 큰 조차가 나타나는 곳 중 하나이기 때문에 서해안에서 제방을 축조하는 공사, 특히 필터매트(112)를 필터석(108) 상면에 설치하는 작업은 해수면이 낮아지는 간조 시간에 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 하지만 바닷물의 간만은 1주야에 2회 되풀이 되므로 실제 작업에 착수 할 수 있는 시간은 길지 않기 때문에 조수대기 시간을 활용하여 공기단축, 공사비의 절감을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돌망태(120)를 이용하여 필터 배면부 시공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필터매트(112)를 설치하기 전에 사전작업으로 필터석(108)보다 큰 입자로 구성된 여러 개의 채움용 석재를 금속이나 섬유로 만든 망태에 넣어 만든 돌망태(120)를 미리 제작하여 상기 제체(100) 상단에 배치하여 준비한다. 돌망태(120)의 경우 채움용 석재가 금속이나 섬유로 만든 망태에 담겨 있기 때문에 사석더미와 달리 운반과 적재가 용이하다.
간조시간에 맞춰 바닷물이 빠지게 되면 필터석(108) 상면에 필터매트(112)를 설치하고, 필터매트(112)가 바닷물에 부양하지 않고 제체(100)의 경사면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필터매트(112) 상면에 제체(100) 상단에 준비된 상기 돌망태(120)를 포설한다.
[돌망태를 포설하는 실시예]
구조 유닛인 돌망태(120)를 경사면에 포설하여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가령 바지선을 이용하여 수면에서 돌망태(120)를 포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투하시킬 있다. 하지만 바지선을 이용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바닷물이 제방 내측으로 들어오는 만조시간에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상의 제약도 따른다. 또한 바지선에서 투하된 돌망태(120)는 조류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실될 염려도 있다.
반면 기중기(1)를 이용하여 돌망태(120)를 포설하게 되면 바지선 운용보다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간조시간에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 및 시간상의 큰 이점이 있다. 또한 돌망태(120)를 포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투하할 수 있고, 필터매트 경사면 하단에서 별도의 수작업 없이 시공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기중기(1)를 이용하여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기중기(1)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일실시예로 돌망태(120)를 포설하는데 이용되는 기중기(1)는 기중기(1)에 체결된 제1스틸암(5)과 제1스틸암(5)의 단부에 연결된 제2스틸암(7)을 포함한다. 운반부재인 제2스틸암(7)은 제1스틸암(5)과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제2스틸암(7)의 일측면에는 돌망태(120)를 걸 수 있는 걸림부(18)가 형성되는데, 걸림부(18)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2스틸암(7)이 수평을 유지 않은 상태에서도 돌망태(120)가 제2스틸암(7)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걸림부(18)에 돌망태(120)를 걸 수 있다. 걸림부(18)의 형상은 가령 양각의 돌기로 이루어져서 돌기 부분에 그물망이 걸리도록 하거나 음각의 홈으로 이루어져서 홈에 그물망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틸암(7)은 단면이 원형인 봉의 형태로 구비되면 제2스틸암(7)을 돌망태(120)의 망목으로 관통시키고 빼는데 유리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제2스틸암(7)의 선단부는 라운드지게 볼록할 수 있다.
필터매트가 포설되기 전에 기중기(1)가 미리 제작된 돌망태(120)가 배치된 제체(100) 상단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필터매트를 포설하고 나면 기중기(1)로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다.
기중기(1)로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스틸암(7) 의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여 위치할 때 제2스틸암(7)을 돌망태(120)의 망목으로 관통시켜 돌망태(120)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므로 제2스틸암(7)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도록 제2스틸암(7)을 회전시키고 돌망태(120)의 망목으로 관통시켜 돌망태(120) 내부로 삽입한다. 돌망태(120)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2스틸암(7)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하여 걸림부(18)가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걸림부(18)에 돌망태(120)를 걸리게 한 상태로 돌망태(120)를 연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제2스틸암(7)의 선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하더라도 돌망태(120)는 걸림부(18)에 걸려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제2스틸암(7)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 기중기(1)는 제체(100) 상단에서 돌망태(120)를 투하시킬 장소 부근까지 돌망태(120)를 운반한다.
그리고 제방 내측에 바닷물이 빠진 상태에서 필터석(108)이 포설된 경사면을 따라 설치된 필터매트(112) 경사면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기중기(1)에 의하여 운반된 돌망태(120)를 투하 시킨다.
돌망태(120)를 운반한 기중기(1)가 돌망태(120)를 투하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스틸암(7)에 걸린 돌망태(120)를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상의 투하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선단부가 하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한 후 투하 지점에서 제2스틸암(7)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게 한다.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게 하면 돌망태(120)가 제2스틸암(7) 매끈한 상부면(81; 슬라이드면)을 타고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려오면서 돌망태(120)가 제2스틸암(7)에서 이탈되어 투하지점에 착지하게 된다.
제2스틸암(7)에 돌망태(120)를 걸 때 제2스틸암(7)의 길이에 따라 수개의 돌망태(120)를 한번에 걸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데, 기중기(1)가 고정된 지점과 돌망태(120)의 투하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기중기(1)에 더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기중기(1)가 감당할 수 없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중기(1)가 전복될 우려가 있으므로 기중기(1)가 고정된 지점과 돌망태(120)의 투하지점 사이의 거리 및 제2스틸암(7)에 걸린 돌망태(1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돌망태(120)를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중기(1)가 고정된 지점 및 돌망태(120)를 투하할 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수개의 돌망태(120)를 차등적으로 포설하되, 기중기(1)에 가까운 위치에 포설할수록 더 많은 돌망태(120)를 한번에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일실시예로 돌망태(120)를 포설하는데 이용되는 기중기(1)는 기중기(1)에 체결된 스틸붐(40)을 포함하는데, 스틸붐(40)은 기중기(1)에 체결되는 지점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스틸붐(40)이 회전할 때 스틸붐(40) 자체가 회전하거나 스틸붐(40)의 구성하는 제일 바깥 부분을 구성하는 아우터부재(46)만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운반부재인 아우터부재(46)만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스틸붐(40)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보다 적은 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구비된 스틸붐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또한 운반부재인 아우터부재(46) 일측면에는 돌망태(120)를 걸 수 있도록 돌기 형태의 걸림부(18)가 형성된다. 스틸붐(40)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의 형태로 구비되면 스틸붐(40)을 돌망태(120)의 망목으로 관통시키거나 빼는데 유리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우터부재(46)만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매트가 포설되기 전에 기중기(1)가 미리 제작된 돌망태(120)가 배치된 제체(100) 상단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필터매트를 포설하고 나면 기중기(1)로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다.
기중기(1)로 돌망태(120)를 걸어 올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스틸붐(40) 한쪽 면으로 형성된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도록 스틸붐(40)(아우터부재(46)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우 아우터부재(46))을 회전시키고 스틸붐(40)을 돌망태(120)의 망목으로 관통시켜 돌망태(12) 내부로 삽입시킨다. 돌망태(120)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스틸붐(40)(아우터부재(46)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우 아우터부재(46))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하여 걸림부(18)가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걸림부(18)에 돌망태(120)를 걸리게 한 상태로 돌망태(120)를 연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돌망태(120)를 걸어 올린 기중기(1)는 제체(100) 상단에서 돌망태(120)를 투하시킬 장소 부근까지 돌망태(120)를 운반한다.
그리고 제방 내측에 바닷물이 빠진 상태에서 필터석(108)이 포설된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돌망태(120)를 운반한 기중기(1)가 돌망태(120)를 투하시킨다.
돌망태(120)를 운반한 기중기(1)가 돌망태(120)를 투하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스틸붐(40)을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나란히 신장하여 상기 스틸붐(40)의 단부를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하단 부근의 지반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틸붐(40)(아우터부재(46)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우 아우터부재(46))을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걸림부(18)가 하방을 향하게 하면 걸림부(18)에 걸려있던 돌망태(120)는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나란히 신장된 스틸붐(40)의 매끈한 상부면(81: 슬라이드면)을 타고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려와 투하지점에 안착된다. 그 다음 스틸붐(40)을 길이방향으로 단축시켜 돌망태(120)의 망목에서 스틸붐(40)을 이탈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돌망태(120)를 포설한다.
스틸붐(4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스틸붐의 내부를 구성하는 이너부재가 기중기(1)에서 멀어지게 되는데 스틸붐(40)이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을 따라 나란히 신장되는 동안 돌망태(120)는 아우터부재(46)의 걸림부(18)가 형성된 면에 걸려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너부재 단부가 필터매트(112)가 설치된 경사면 하단 부근의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망태(120)가 스틸붐(40)의 매끈한 상부면을 타고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려가게 되므로 기중기(1)가 고정된 지점과 돌망태(120)의 투하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기중기(1)가 전복될 염려가 적다. 따라서 돌망태(120)의 투하지점에 관계없이 수개의 돌망태(120)를 한번에 포설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기중기
5: 제1스틸암
7: 제2스틸암
18: 걸림부
40: 스틸붐
46: 아우터부재
81: 슬라이드면
100: 제체
104: 피복석
108: 필터석
112: 필터매트
120: 돌망태

Claims (5)

  1. 채움용 석재를 금속이나 섬유로 만든 그물망에 넣어 만든 돌망태(120)를 운반하여 투하하는 기중기(1)로서,
    일측 단부가 상기 기중기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일측 단부를 지나고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운반부재(7, 46);
    상기 돌망태를 걸어 상기 돌망태가 상기 운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운반부재의 둘레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부(18); 및
    상기 운반부재에 끼워진 돌망태(120)가 운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운반부재의 둘레에서 적어도 상기 걸림부(18)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매끈한 슬라이드면(81);을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18)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운반부재(7, 46)를 그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돌망태(120)가 상기 걸림부(18)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부재(7, 46)를 이동시켜 돌망태(120)를 투하지점 부근으로 운반한 후, 상기 슬라이드면(81)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운반부재(7, 46)를 그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돌망태(120)를 투하지점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기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1)는 상기 기중기(1)에 설치된 제1스틸암(5)과, 상기 제1스틸암(5)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스틸암(7)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틸암(7)이 상기 운반부재를 이루고, 상기 제2스틸암(7)은 제1스틸암(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스틸암(7)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기중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1)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구비하는 스틸붐(40)을 포함하고, 상기 스틸붐(40)의 아우터부재(46)가 상기 운반부재를 이루고, 상기 아우터부재는 상기 기중기(1)에 연결되는 지점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기중기.
  4. 청구항 1의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 방법으로서,
    재치되어 있는 구조 유닛으로 상기 운반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운반부재를 구조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걸림부(18)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운반부재를 회전하고 상기 운반부재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걸림부(18)에 상기 구조 유닛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구조 유닛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운반부재에 상기 구조 유닛이 양중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부재를 투하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운반부재의 타측단부가 하향하도록 상기 운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운반부재의 타측단부가 설치개소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조 유닛이 상기 운반부재의 슬라이드면을 타고 상기 운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운반부재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투하지점에 안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조 유닛은 돌망태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200006898A 2020-01-17 2020-01-17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3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98A KR102231145B1 (ko) 2020-01-17 2020-01-17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98A KR102231145B1 (ko) 2020-01-17 2020-01-17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68A Division KR102069885B1 (ko) 2017-05-02 2017-05-02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13A KR20200009113A (ko) 2020-01-29
KR102231145B1 true KR102231145B1 (ko) 2021-03-22

Family

ID=6932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898A KR102231145B1 (ko) 2020-01-17 2020-01-17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2197B (zh) * 2021-03-25 2022-05-17 重庆建工第十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膨润土防水毯铺设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60B1 (ko) * 2007-01-12 2007-04-09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호안 및 방조제 시공장치
US20100276386A1 (en) * 2009-05-01 2010-11-04 William Schneider Truck mounted telescopic boom structure including a stowable jib boom with a stowable personnel basket
KR101666626B1 (ko) * 2016-05-12 2016-10-14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60B1 (ko) * 2007-01-12 2007-04-09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호안 및 방조제 시공장치
US20100276386A1 (en) * 2009-05-01 2010-11-04 William Schneider Truck mounted telescopic boom structure including a stowable jib boom with a stowable personnel basket
KR101666626B1 (ko) * 2016-05-12 2016-10-14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13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1131A (en) Lightweight semi-flexible dike
JP2012528259A (ja) 防潮堤内の干拓地造成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施設構造
CN110644427B (zh) 一种不良地质条件下河道岸坡生态防护结构及清淤方法
KR102231145B1 (ko) 기중기 및 상기 기중기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387407Y1 (ko) 부유체와 앵커로프가 부착된 토목섬유 보강매트의 저면,사면 보강에 의해 축조되는 해상 토석구조물
CN111778922A (zh) 一种河道流域防汛堤坝的施工方法
KR101459703B1 (ko)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수 건조 및 표층 보강 공법
KR102069885B1 (ko) 돌망태를 이용한 필터 배면부 시공방법
KR20110046209A (ko)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20024136A (ko) 해안침식방지용 구조물과 그 구조물의 제방축조시공방법
KR100418268B1 (ko) 교각의 기초 시공용 분할형 우물통과 그 시공방법
KR20100122435A (ko) 튜브구조체를 이용한 호안구조물을 위한 간척방법
CN115341561A (zh) 一种水域围堰施工方法
RU81505U1 (ru) Подвод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туннельная система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KR100774551B1 (ko) 침식방지용 튜브형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침식방지 공법
CN212052139U (zh) 一种山岭重丘区钢筋笼石笋桩
Heerten Geotextiles in coastal engineering—25 years experience
KR100704460B1 (ko) 항만 호안 및 방조제 시공장치
KR100429370B1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제체 축조를 위한 수중과 지상단위 재하재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KR200316779Y1 (ko) 해안의 연약지반에 준설토와 모래를 이용하여 지지력이강화된 매립지
CN214460086U (zh) 一种长运距双轨双斗桁架式筑堤机
Karnati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 reuse and retain dredged sediment for erosion control using geotextile containers in ecosystem restoration
CN212582577U (zh) 压载反滤排体结构
CN110042859A (zh) 挡土墙反滤体及其施工方法
KR100261407B1 (ko) 부직포를 피착시킨 중공보드드레인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