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55B1 -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 Google Patents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9755B1 KR102219755B1 KR1020200070963A KR20200070963A KR102219755B1 KR 102219755 B1 KR102219755 B1 KR 102219755B1 KR 1020200070963 A KR1020200070963 A KR 1020200070963A KR 20200070963 A KR20200070963 A KR 20200070963A KR 102219755 B1 KR102219755 B1 KR 102219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main body
- upstream
- frame
- downstre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3 down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의 처리공간을 가변적으로 분할하도록 유수벽(25)과 월류벽(27)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류측 처리공간에 침전틀(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류모듈(30); 상기 본체(10)의 하류측 처리공간에 여과틀(4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류모듈(40); 및 상기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가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로가 포장된 지역에서 다양한 기능별 모듈을 기반으로 집합적으로 설치되어 노면 배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caused by rainwater, comprising: a main body 10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flowing wall 25 and the overflow wall 27 so as to variably divide the treatment space of the rainwater; An upstream module 30 accommodating the settling frame 31 in an upstream process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 downstream module 40 accommodating the filtering frame 41 in a processing spac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upstream module 30 and the downstream module 40.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water that is collectively installed on the basis of modules for various functions in the area where the road is paved, and flows through the road drainage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의 저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강우시 노면 배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that treats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a road drainage during an initial rainfall.
수질개선을 위하여 다량의 오ㆍ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수질오염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처리가 선행되어야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도로가 포장된 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높아 홍수가 유발되는 것은 물론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증가시키므로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노면의 비점오염물질에는 유기물질, 박테리아, 독성물질 등이 포함되어 생물생태계 파괴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facilities to treat large amounts of wastewater are installed and operated, but the effectiveness can be improved only when non-point pollutants, which occupy a significant proportion of water pollution, are treated first. In the case of paved roads, the impermeability is high, causing flooding, as well as increasing the leakage of non-point pollutants, which requires intensive management. Non-point pollutants on the road surface include organic substances, bacteria, and toxic substances, which are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of the biological ecosystem and water pollution.
특히 인구가 집중된 도시 지역의 경우 부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공간 효율적 측면에서 모듈식 비점오염 시스템이 선호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ensely populated urban area, it is not easy to secure a site, so a modular non-point pollution system is preferred in terms of space efficiency.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1398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89907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As prior art documents that can be reference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following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113989 (priority document 1)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889907 (priority document 2) are known.
선행문헌 1은 여과모듈이 원형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이 여과모듈의 측면 둘레를 따라 사방에서 유입되므로 막힘이 적고, 여과모듈이 모듈식이어서 막힘이 심한 최하단의 여과모듈만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원하는 여과모듈만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한다.Prior Document 1 shows that the filtration module is formed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 and contaminants flow in from all directions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filtration module, so clogging is small, and because the filtration module is modular,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replace only the filtration module at the bottom of which the blockage is seve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reduce maintenance costs by selectively replacing only the desired filtration module without replacing the whole.
선행문헌 2는 비점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공간에 여과재가 수용되어 유입되는 비점오염수가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몸체; 및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의 제작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단가가 현저하게 저감되는 효과를 기대한다.Prior Document 2 includes a body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space into which non-point contaminated water can be introduced, and a filter medium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o treat the introduced non-point contaminated water;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are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일부 여과모듈에 대한 교체만 가능하여 실질적 효과를 높이기 어렵고, 선행문헌 2는 동일한 기능의 여과장치만 중복되므로 다양한 오염원에 대응하기 미흡하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practical effect since Prior Document 1 can only replace some filtration modules, and Prior Document 2 is insufficient to cope with various pollutants because only filtration devices of the same function are overlapp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가 포장된 지역에서 다양한 기능별 모듈을 기반으로 집합적으로 설치되어 노면 배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treat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water that is collectively installed on the basis of various functional modules in a road-paved area, It is to provide a modula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의 처리공간을 가변적으로 분할하도록 유수벽과 월류벽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류측 처리공간에 침전틀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류모듈; 상기 본체의 하류측 처리공간에 여과틀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류모듈; 및 상기 상류모듈과 하류모듈의 가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caused by rainwater, comprising: a main body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running wall and the overflow wall so as to variably divide the treatment space of the rainwater; An upstream module accommodating a settling frame in an upstream processing sp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move up and down; A downstream module for accommodating a filter frame in a processing space on a downstream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ng states of the upstream module and the downstream modul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H빔을 이용하여 유수벽과 월류벽을 지지하고,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상류모듈과 하류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flowing wall and the overflow wall by using an H beam, and supports the upstream module and the downstream module by using a guide rail.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류모듈은 침전틀 상에 협잡물과 침사물 제거를 위한 여과판을 수용하고, 침전틀의 외면에 안내휠과 러그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ccommodates a filter plate for removing impurities and sediment on the settling frame, and includes a guide wheel and a lu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ttling fram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류모듈은 여과틀 상에 잔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통을 수용하고, 여과틀의 외면에 안내휠과 러그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wnstream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ccommodates a filter tube for removing residual foreign matter on the filter frame, and includes a guide wheel and a lu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세척을 위해 수압과 공압의 인가가 가능한 세척기, 우수에서 기름의 분리가 가능한 유수분리기, 상류모듈과 하류모듈의 상하운동 유발이 가능한 구동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at least one of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applying water pressure and pneumatic pressure for washing, an oil-water separator capable of separating oil from rain, and a drive capable of inducing vertical motion of the upstream module and the downstream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가 포장된 지역에서 다양한 기능별 모듈을 기반으로 집합적으로 설치되어 노면 배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economy of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road surface drainage by being collectively installed based on modules for various functions in a paved area.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2의 상류모듈의 설치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도 2의 하류모듈의 설치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회로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lan view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pstream module of Figure 2 in cross sec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ownstream module of Figure 2 in cross sec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use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제안한다. 초기 강우시 노면 배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by rain.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road drainage during initial rainfall is targe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우수의 처리공간을 가변적으로 분할하도록 유수벽(25)과 월류벽(27)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체(10)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본체(10)의 처리공간은 유수구(26)를 지닌 격벽(13)에 의해 저류조(11)와 처리조(12)로 분할된다. 처리조(12)는 다시 2개 이상의 처리공간으로 가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유수벽(25)과 월류벽(27)은 처리공간의 분할을 위해 본체(1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도 1은 유수벽(25)과 월류벽(27)에 의하여 본체(10)의 처리조(12)를 6개의 처리공간으로 분할한 상태를 예시한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유수벽(25)은 적어도 일부에 유수구(26)를 구비하는 구조이고, 월류벽(27)은 별다른 유수구(26)를 갖추지 않으나 유수벽(25)보다 높이가 낮은 구조이다. 유수구(26)는 상호 다른 높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우수 흐름을 단속하는 도어(도시 생략)를 갖출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lowing
미설명 부호 23은 유수벽(25) 또는 월류벽(27)의 하단에 착탈 가능한 유수구 형태의 중공틀이다. 중공틀(23)은 후술하는 여과판(35)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H빔(21)을 이용하여 유수벽(25)과 월류벽(27)을 지지하고, 가이드레일(22)을 이용하여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처리조(12)에 H빔(21)과 가이드레일(2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기본적 골격 상태를 나타낸다. H빔(21)은 본체(10)에 대한 시공이 용이하고 유수벽(25)과 월류벽(27)의 지지강도 및 슬라이딩에 적합하다. 유수벽(25)과 월류벽(27)은 H빔(21)과 연계하여 높은 수밀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가이드레일(22)은 H빔(21)과 마찬가지로 본체(10) 및 H빔(21) 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후술하는 상류모듈(30) 및 하류모듈(40)은 각각의 가이드레일(22)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1 and 2, it shows a basic skeleton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류모듈(30)이 상기 본체(10)의 상류측 처리공간에 침전틀(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류모듈(30)은 저류조(11)에서 송출되는 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하류측으로 보낸다. 상류모듈(30)은 본체(10)에서 출입 가능한 침전틀(31)을 기반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류모듈(30)은 침전틀(31) 상에 협잡물과 침사물 제거를 위한 여과판(35)을 수용하고, 침전틀(31)의 외면에 안내휠(32)과 러그(33)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류모듈(30)을 구성하는 침전틀(31), 여과판(35), 안내휠(32), 러그(33) 등이 나타난다. 침전틀(31)은 적어도 4개소에 배치된 가이드레일(22)에 균등하게 접촉된다. 침전틀(31)의 대략 중심에는 협잡물과 침사물의 차단이 가능한 망목을 갖춘 조목 스크린 구조의 여과판(35)이 설치된다. 안내휠(32)은 침전틀(31)의 외면에 가이드레일(22)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러그(33)는 침전틀(31)의 상면에 후크 형태로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settling
이와 같은 상류모듈(30)은 계절별 우수량을 비롯한 현장의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의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Such 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류모듈(40)이 상기 본체(10)의 하류측 처리공간에 여과틀(4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류모듈(40)은 상류모듈(30)에서 송출되는 우수를 2차적으로 여과하여 하류측으로 보낸다. 하류모듈(40)은 본체(10)에서 출입 가능한 여과틀(41)을 기반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류모듈(40)은 여과틀(41) 상에 잔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통(45)을 수용하고, 여과틀(41)의 외면에 안내휠(42)과 러그(43)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를 참조하면, 하류모듈(40)을 구성하는 여과틀(41), 여과통(45), 안내휠(42), 러그(43) 등이 나타난다. 여과틀(41)은 적어도 4개소에 배치된 가이드레일(22)에 균등하게 접촉된다. 여과틀(41)은 상면 또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이고 외면에는 여과판(35)에서 여과되지 않은 잔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세목 스크린 구조의 여과통(45)이 설치된다. 여과통(45)은 상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여과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안내휠(42)은 여과틀(41)의 외면에 가이드레일(22)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러그(43)는 여과틀(41)의 상면에 후크 형태로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a
이때, 본체(10), 상류모듈(30), 하류모듈(40)에서 우수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UV코팅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코팅은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변형 방지를 통하여 내구성을 증대한다. UV코팅이 적용되는 부분은 저류조(11), 처리조(12), 격벽(13), 덮개(15), H빔(21), 가이드레일(22), 중공틀(23), 유수벽(25), 월류벽(27), 침전틀(31), 여과틀(41) 등을 포함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dd UV coating to the parts of the
도 1 및 도 4는 여과틀(41)의 개구를 하방향으로 배치한 상향식 여과를 나타내지만 개구를 반대로 배치한 하향식 여과도 병용할 수 있다.1 and 4 show bottom-up filtra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체(10)에서 하류모듈(40)의 하류측에는 소독기, 살균기 등을 배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sterilizer, a sterilizer, etc. may b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의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본체(10)의 처리공간을 다르게 변동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2개의 상류모듈(30) 및 2개의 하류모듈(40)을 갖출 수 있지만 설치 수량의 증감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rocessing sp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이 상기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가동 상태를 제어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어수단(50)은 제어기(52)를 기반으로 하지만 제어기(52)와 별도의 수동 작동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 제어기(52)는 검출기(54)를 통한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모니터링이 필수적이고 여타의 기능은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제어기(52)는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검출기(54)는 본체(10)의 처리공간에서 우수의 수위, 탁도, 부유물 등을 검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50 has a structure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세척을 위해 수압과 공압의 인가가 가능한 세척기(37), 우수에서 기름의 분리가 가능한 유수분리기(47),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상하운동 유발이 가능한 구동기(5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50 includes a
세척기(37)는 세척용 펌프와 공압기를 동력원으로 하고 노즐을 갖춘 배관을 구비한다. 배관과 세척노즐(38)은 세척기(37)에서 본체(10), H빔(21), 유수벽(25), 월류벽(27) 등을 통하여 설치된다. 세척기(37)는 저류조(11)에 설치되는 오물 배출 펌프도 포함한다. 유수분리기(47)는 공지의 부력-흡착 방식이나 약품-기포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유수분리기(47)는 침전틀(31) 또는 여과틀(41)과 같은 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다. 구동기(56)는 수중 작동이 가능한 유압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류모듈(30) 또는 하류모듈(40)을 설정된 높이로 승강시킨다. 세척기(37), 유수분리기(47), 구동기(56)는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체(10)는 하류측 처리공간에서 저류조(11)를 비롯한 상류측 처리공간으로 우수, 협잡물, 침사물, 잔류물 중의 적어도 일부를 보내기 위한 별도의 배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배관은 본체(10)의 외부를 통하여 세척기(37)와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15)를 개방하고, 세척기(37)를 사용하여 하류모듈(40)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크레인을 사용하여 러그(33)에 결속한 와이어로프를 여과틀(41)을 들어올리거나 구동기(56)로 여과틀(41)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세척기(37)를 사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면서 우수로 여과통(45)에서 잔류물 등을 제거한다. 제거된 잔류물은 저류조(11)로 보낸 후에 수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한편, 제어수단(50)은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기포발생기(5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포발생기(58)는 세척기(37)의 급기 기능 이용하여 상류모듈(30) 및 하류모듈(4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포를 인가한다. 기포는 여과판(35) 및 여과통(35)에 부착되는 각종 이물질을 분리하여 침착을 방지하여 여재의 유효수명을 크게 연장시켜 유지관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내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방류할 수 있다. 평상시 세척노즐(38)과 기포발생기(58)를 수시로 가동하면 도 6과 같은 작업의 빈도와 강도를 완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ans 50 may further include a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저류조
12: 처리조 13: 격벽
15: 덮개 21: H빔
22: 가이드레일 23: 중공틀
25: 유수벽 26: 유수구
27: 월류벽 30: 상류모듈
31: 침전틀 32: 안내휠
33, 43: 러그 35: 여과판
37: 세척기 38: 세척노즐
40: 하류모듈 41: 여과틀
42: 안내휠 45: 여과통
47: 유수분리기 50: 제어수단
52: 제어기 54: 검출기
56: 구동기 58: 기포발생기10: main body 11: storage tank
12: treatment tank 13: bulkhead
15: cover 21: H beam
22: guide rail 23: hollow frame
25: running wall 26: running gutter
27: overflow wall 30: upstream module
31: settling frame 32: guide wheel
33, 43: lug 35: filter plate
37: washing machine 38: washing nozzle
40: downstream module 41: filter frame
42: guide wheel 45: filter container
47: oil-water separator 50: control means
52: controller 54: detector
56: actuator 58: bubble generator
Claims (5)
우수의 처리공간을 가변적으로 분할하도록 유수벽(25)과 월류벽(27)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류측 처리공간에 침전틀(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류모듈(30);
상기 본체(10)의 하류측 처리공간에 여과틀(4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류모듈(40); 및
상기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가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크기가 다른 처리공간으로 분할되고, 적어도 일부의 처리공간 상으로 우수의 지그재그 유동을 유발하며,
상기 본체(10)는 H빔(21)을 이용하여 유수벽(25)과 월류벽(27)을 지지하고, 가이드레일(22)을 이용하여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을 지지하며,
상기 상류모듈(30)은 침전틀(31) 상에 협잡물과 침사물 제거를 위한 여과판(35)을 수용하고, 침전틀(31)의 외면에 안내휠(32)과 러그(33)를 갖추며,
상기 하류모듈(40)은 여과틀(41) 상에 잔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통(45)을 수용하고, 여과틀(41)의 외면에 안내휠(42)과 러그(43)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In a system that reduces non-point pollution by storm water in paved areas:
A main body 10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flowing wall 25 and the overflow wall 27 so as to variably divide the treatment space of rainwater;
An upstream module 30 accommodating the settling frame 31 in an upstream process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 downstream module 40 accommodating the filtering frame 41 in a processing spac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Consists of including;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stream module 30 and the downstream module 40,
The main body 10 is divided into processing spaces of different sizes, and causes excellent zigzag flow over at least some processing spaces,
The main body 10 supports the flowing wall 25 and the overflow wall 27 using the H beam 21, and supports the upstream module 30 and the downstream module 40 using a guide rail 22. And
The upstream module 30 accommodates a filter plate 35 for removing impurities and sediment on the settling frame 31, and has a guide wheel 32 and a lug 3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ttling frame 31,
The downstream modul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ccommodates a filter tube 45 for removing residual foreign matter on the filter frame 41, and includes a guide wheel 42 and a lug 4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41. Modula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상기 제어수단(50)은 세척을 위해 수압과 공압의 인가가 가능한 세척기(37), 우수에서 기름의 분리가 가능한 유수분리기(47), 상류모듈(30)과 하류모듈(40)의 상하운동 유발이 가능한 구동기(5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ans 50 is a washing machine 37 capable of applying water pressure and pneumatic pressure for washing, an oil-water separator 47 capable of separating oil from rainwater, and inducing vertical movement of the upstream module 30 and the downstream module 40 Modula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possible actuators (5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963A KR102219755B1 (en) | 2020-06-11 | 2020-06-11 |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963A KR102219755B1 (en) | 2020-06-11 | 2020-06-11 |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9755B1 true KR102219755B1 (en) | 2021-02-24 |
Family
ID=746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963A Active KR102219755B1 (en) | 2020-06-11 | 2020-06-11 |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975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7277A (en) | 2023-01-25 | 2024-08-01 | 주식회사 투린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with eco-friendly filter medi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5827B1 (en) * | 2009-12-23 | 2010-10-11 | 최민기 | Removal apparatus of adulteration |
KR101113989B1 (en) | 2010-06-18 | 2012-03-05 | 이문기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using module form side filtering type |
KR101331600B1 (en) * | 2011-08-24 | 2013-11-21 | 이승영 | Sedimentation tank for multi-filtering |
KR101876279B1 (en) * | 2017-12-20 | 2018-07-09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manhole |
KR101889907B1 (en) | 2017-12-15 | 2018-08-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having a modular filter apparatus |
-
2020
- 2020-06-11 KR KR1020200070963A patent/KR1022197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5827B1 (en) * | 2009-12-23 | 2010-10-11 | 최민기 | Removal apparatus of adulteration |
KR101113989B1 (en) | 2010-06-18 | 2012-03-05 | 이문기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using module form side filtering type |
KR101331600B1 (en) * | 2011-08-24 | 2013-11-21 | 이승영 | Sedimentation tank for multi-filtering |
KR101889907B1 (en) | 2017-12-15 | 2018-08-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having a modular filter apparatus |
KR101876279B1 (en) * | 2017-12-20 | 2018-07-09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manho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7277A (en) | 2023-01-25 | 2024-08-01 | 주식회사 투린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ystem with eco-friendly filter medi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2275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 |
KR100911819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KR100905693B1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2203152B1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 |
KR102199644B1 (en) | System for disposal nonpoint pollution having a consolidation and relaxation technology | |
KR102687298B1 (en) | Nonpoint source pollution decrease and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637562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 water | |
KR102009847B1 (en) | System for reducing non point source pollution and monitering non point source pollution | |
KR102684805B1 (en) |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0791422B1 (en) | Non-point pollutant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 |
KR101736743B1 (en) |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 |
KR20230065482A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with Terraced Screens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244122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 |
KR10184265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2488107B1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 |
KR102219755B1 (en) | Module type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 |
KR100939325B1 (en) | Natural harmonious first rainfall treatment apparatus | |
KR10179951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0927631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using biofilm media | |
KR10225359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having inproved backwash performance | |
KR101208694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
KR20170048747A (en) |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764398B1 (en) |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 |
KR101151908B1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treating early rainwater and polluted river at the same ti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