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27B1 -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9727B1 KR102219727B1 KR1020180159970A KR20180159970A KR102219727B1 KR 102219727 B1 KR102219727 B1 KR 102219727B1 KR 1020180159970 A KR1020180159970 A KR 1020180159970A KR 20180159970 A KR20180159970 A KR 20180159970A KR 102219727 B1 KR102219727 B1 KR 102219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ngsi
- hours
- prepare
- weight
- jocheo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40045184 Malt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4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FYGDTMLNYKFZSV-WFYNLLPO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3S,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H]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WFYNLLPO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2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BA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692 aminobuty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9077 beta-Amy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3945 gamma-Aminobuty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59 Abdominal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D-Mal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83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15 Lentinula edo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581 Luffa acutang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14 Luffa aegypt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47 Malus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3207 Nia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OUCADQQQSA-N Riboflavin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OUCADQQQ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79 Salivary Gland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8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80 healthy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2 immune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2 riboflav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1 riboflav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5—Starch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2 ~ 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S100); 상기 불린 멥쌀을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S200); 10 ~ 4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0 ~ 15중량부를 풀어 1 ~ 4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50 ~ 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400);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 상기 농축 당화액에 대하여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0 ~ 12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은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의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또한 조청 자체에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당도와 점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하여 인체에 해로운 설탕 사용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온에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전통 건강식품으로 홍시의 소비를 촉진하여 생산농가의 수익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은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의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또한 조청 자체에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당도와 점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하여 인체에 해로운 설탕 사용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온에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전통 건강식품으로 홍시의 소비를 촉진하여 생산농가의 수익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 및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하며, 조청의 당도와 점도를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한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청은 인공적인 꿀이라는 뜻에서 ‘조청(造淸)’이라 하며, 곡물에 들어있는 녹말을 맥아(엿기름)의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삭히고 건더기는 걸러내고 졸인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물엿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물엿은 옥수수나 기타 각종 식물을 분쇄하고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녹말을 이당류로 분해하여 얻어낸 것으로, 물과 잘 섞이고 마지막 과정에서 당분을 제외한 모든 불순물을 인공적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투명하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조청은 당분 외에 약간의 섬유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갈색을 띄는데, 쌀, 수수, 좁쌀, 옥수수 등과 같은 전분에 엿기름물을 넣고 졸이면 물엿이 되고 물엿을 조금 더 오래 졸이면 조청이 된다. 조청은 식혀도 엿처럼 잘 굳어지지 않으면서 불을 끄는 시각에 따라 굳기가 달라져 보이게 되고 졸여진 상태에 따라 묽은 조청, 된 조청으로 구별기도 한다.
옛날부터 조청은 단맛을 내는 재료로 사용되고 있고 각종 영양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지만 향미가 떨어지고 끈기가 너무 심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조청 자체는 인체에 필수적인 미량 영양성분이 부족하여 건강증진 효과가 요구되는 현대 소비자의 취향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이, 조청은 곡식을 엿기름으로 삭혀서 꿀처럼 만든 우리나라의 전통 감미료 중 하나로서, 최근 들어서는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도록 하여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이 추가되고 풍미를 높이기 위한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엿기름(맥아)의 원료인 보리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수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의 균형이 잘 잡혀있다. 수용성 식이섬유인 β-glucan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혈당 상승억제, 면역조절기능 등의 효과가 있다. 보리의 성분은 전분 55 ~ 65%, 단백질 11 ~ 17%, β-glucan 3 ~ 6% 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수분 6.5 ~ 8.5%, 기타 지방, 회분, 섬유소, 그리고 소량의 비타민 등 미량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엿기름은 보리에 물을 붓고 싹을 내어 말린 것으로, 엿과 식혜를 만드는데 쓰인다. 엿기름의 성분은 전분 50 ~ 55%, 단백질 11 ~ 12.5%, β-glucan 2 ~ 5%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20%는 수분, 지방, 회분, 섬유소, 그리고 소량의 비타민류 등 미량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에는 혈압 강하작용 등이 있는 GABA(Gamma amino butyric acid)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어 이들 영양성분이 함유된 엿기름(맥아)을 미세 입도로 분쇄하거나 식혜로 만들어 그 유용물질을 섭취하기도 한다.
또한, 감(persimmon)은 열량 50 ~ 70kcal/100g, 수분 80 ~ 85%, 단백질 0.2 ~ 0.6%, 지질 0 ~ 0.2%, 당질 13 ~ 18%, 회분 0.3 ~ 0.7% 정도를 함유하고 있으며, 홍시는 비타민 A가 1,304㎍RE/100g로 식물성 비타민A를 함유하는 과채류 중 매우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다. 비타민C는 가식부에 사과의 5 ~ 12배인 55㎎/100g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10 ~ 18㎎%, 칼륨 185 ~ 214㎎%, 티아민 0.02 ~ 0.07㎎%, 리보플라빈 0.02 ~ 0.07㎎%, 니아신 0.3 ~ 0.5㎎%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감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은 설사를 멈추게 하거나 배탈을 낫게 해주는 약리작용뿐만 아니라 심전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혈압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품으로는 물론 감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감은 단감, 홍시, 곶감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되어 가공되며, 특히 홍시는 다른 과실에 비해 저장이 어렵고 한정적인 가공으로 인해 다량으로 출하되는 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거나 저장하지 못하여 많은 양이 방치되거나 보관되었다가 버려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 및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조청의 당도와 점도를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함으로써 전통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킨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과 같은 홍시를 이용하여 한국의 전통식품인 조청의 영양과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1226894호(이민환)에서는 현미 10~20 Kg을 생수에 10-14시간동안 침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취반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1단계; 외피와 씨를 제거하여 준비한 홍시 5-10 Kg을 반죽기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홍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고두밥과 홍시액을 당화기에 투입하고, 엿기름 2~4 Kg과 생수 20~30 Kg을 더 투입하고, 가온하여 당화기 내부의 온도를 55~75℃로 7~9시간 유지시킴으로써 당화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얻어진 당화액으로부터 상층부의 맑은 당화액을 수득한 후, 상기 수득한 맑은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하여 농축시킨 후, 얻어진 농축액을 65~75℃로 냉각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를 함유하는 조청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현미 고두밥과 홍시액을 동시에 당화시킴에 따라 효소에 의한 발효효율이 떨어지고 당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홍시를 과다 사용함에 따르는 경제적인 문제점 및 점도가 너무 높은 단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9725호(영암군)는 쌀 15~30 Kg을 생수에 5~8시간 동안 침지하여 쌀을 불리는 단계와, 상기 불린 쌀의 물기를 제거하고 수증기가 오른 취반기에 취반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고두밥 25중량%에 대봉감의 외피와 씨를 제거하여 얻어진 대봉홍시 12중량%와 엿기름 3중량% 및 물 50중량%을 넣어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보온밥통에 투입하여 60~70℃에서 13~15시간 삭혀서 엿물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엿물액을 면보에 걸러 맥아즙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걸러낸 맥아즙을 용기에 담고 4~5시간 동안 100~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봉감 홍시를 함유한 대봉조청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서는 고두밥과 대봉홍시, 그리고 엿기름 및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삭혀서 당화액(엿물액)을 얻은 후 이 당화액(엿물액)으로 맥아즙을 만들고 농축함에 따라 발효효율과 당도가 떨어지게 됨은 물론이며, 그 외에도 호박, 밀감, 은행, 수세미, 표고, 배, 유자, 무, 밤, 오미자, 연근, 파뿌리 등과 같은 곡물류와 구근류를 이용하여 조청의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많은 시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발명은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또한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조청의 당도와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한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은,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2 ~ 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S100); 상기 불린 멥쌀을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S200); 10 ~ 4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0 ~ 15중량부를 풀어 1 ~ 4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50 ~ 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400);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 상기 농축 당화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0 ~ 12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는 25 ~ 3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당도 20 ~ 30Brix로 될 때까지 가열하고, 상기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는 홍시에 대해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 0.01 ~ 0.05중량%를 첨가하며, 또한 상기 홍시 당화액을 재농축하는 단계(700)는 당도 75 ~ 80Brix 이내로 증발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은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시킨 홍시 페이스트를 조청의 제조과정 중에 첨가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또한 조청 자체에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당도와 점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하여 인체에 해로운 설탕 사용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온에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전통 건강식품으로 홍시의 소비를 촉진하여 생산농가의 수익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은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2 ~ 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S100); 상기 불린 멥쌀을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S200); 10 ~ 4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0 ~ 15중량부를 풀어 1 ~ 4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50 ~ 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400);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25 ~ 3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당도 20 ~ 30Brix의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상기 홍시에 대해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 0.01 ~ 0.05중량%를 첨가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 상기 농축 당화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당도 75 ~ 80Brix 이내로 증발될 때까지 100 ~ 12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감(persimmon)은 중국의 중북부, 일본, 한국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감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서,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로 다른 과일에 비해서 수분은 적지만 당분은 주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약 13 ~ 18% 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감은 크게 떫은감과 단감으로 구분되며, 단감은 수확과 동시에 생식이 가능하지만 떫은감은 탄닌성분으로 인하여 가공을 거치지 않고는 생식이 불가능하다. 떫은감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을 불용화한 가공품으로는 연시(홍시), 반건시, 건시 등이 있으며, 떫은감의 껍질을 제거하고 자연건조에 의해 만들어진 건시는 충분한 기간의 연화, 숙성과정을 거쳐서 맛있는 곶감으로 생산된다.
「동의보감」에서는 목이 아프거나 갈증이 있을 때 홍시를 먹도록 하고 위가 약해서 소화가 잘 안되는 증세에도 곶감을 먹도록 하였다. 감이나 감잎은 건강에 매우 유익한 성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과일이나 감잎차 또는 죽으로 해서 자주 복용하면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이나 당뇨병 등 성인병의 예방 치료에 유용하고 노인의 건강식으로도 좋다고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감의 효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통 식품인 조청 제조과정 중에 전처리 공정을 거친 홍시 페이스트를 혼합하고 재농축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감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영양성분이 인체에 용이하게 흡수되게 하며, 또 가공방법을 최적의 조건으로 개선하여 조청의 당도와 점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운 설탕이나 식품첨가물 사용을 배제하여 소비자의 천연식품 선호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홍시 조청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2 ~ 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S100)는 고두밥을 제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이는 멥쌀 사용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고 현미나 찹쌀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발효효율이 좋은 멥쌀을 사용하여 불림과정을 거침으로써 분산성이 양호한 고두밥이 완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불림과정을 거친 멥쌀의 물기를 제거한 후에는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10 ~ 4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0 ~ 15중량부를 풀어 1 ~ 4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를 거치는바, 상기 엿기름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엿기름을 잘게 분쇄한 후 이 엿기름을 약 7~ 10배 정도의 따뜻한 정제수에 풀고 침지시켜서 얻어지는 적합한 농도의 엿기름 추출액이 별도의 설탕을 첨가하지 않아도 효소발효에 의한 당화액 제조에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기 분쇄된 엿기름이 분산된 상태로 얻어지는 추출액은 1차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2차 여과과정에 통해 침전되는 전분을 제거함으로써 맑고 식감이 좋은 엿기름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50 ~ 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400)는 장시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 당화시킴으로써 기존의 3 ~ 7시간 정도 발효시킨 당화액에 비해 더욱 깊고 부드러운 식감을 발휘하게 되며,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이 단계에서 다른 종류의 녹말성분이 첨가될 경우 발효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서 당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조청의 색상과 향미가 불량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기 당화액을 제조하는 과정은 엿기름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β-아밀라아제(amylase)의 효소작용으로 밥알이 발효되면 밥알이 떠오르는데, 이러한 가열과정을 거쳐 밥알이 발효되어 당화되는 공정은 통상적으로 1시간 정도마다 전체적으로 교반을 실시하는 것이 밥알이 균일하게 발효된 상태의 당화액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발효에 관련되는 아밀라아제(Amylase)는 녹말을 엿당, 소량의 덱스트린, 포도당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녹말분자의 결합을 분해하는 방식에 따라 알파(α)와 베타(β)의 두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생물체에 널리 존재하고 있고 사람과 여러 포유류의 소화계에서는 프티알린이라고 불리는 α-아밀라아제가 침샘에서 만들어진다. 한편, β-아밀라아제는 효모, 곰팡이, 세균, 식물들, 특히 씨에 존재하는데, 이는 녹말(다당류)을 가수분해하여 발효당으로 전환시키는데 사용하는 디아스타아제라는 혼합된 녹말효소의 기본요소이다.
다음은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로서, 이 가열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25 ~ 30중량% 정도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이때 생성되는 거품을 제거하면서 끓기 전에는 센불로 가열하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낮춰 가열하여 농축시킴으로써 당도를 대략 20 ~ 30Brix 정도로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으로,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는 홍시의 씨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 곱게 분쇄하는 과정으로서, 홍시는 감을 수확한 뒤 에틸렌 발생을 유도하는 에틸렌 발생제를 사용하여 쉽게 떫은감의 연화 및 탈삽을 유도할 수 있다. 에틸렌 발생제의 사용은 15㎏ 포장단위로 할 때, 10 ~ 15℃에서 탈지면(4*4㎝) 3개에 에틸렌 발생제 용액을 적셔 넣어 밀봉을 해 높으면 품종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보통 3 ~ 4일 정도면 홍시가 된다.
상기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는 홍시를 기준으로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 0.01 ~ 0.05중량%를 첨가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홍시는 다량의 자체 식이섬유 때문에 가공이 어려우므로 상기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섬유소의 일종인 펙틴을 분해하는 반응을 하여 식이섬유 조직을 잘게 분할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식이섬유의 흡수성을 증가시키고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에 있어 홍시에 대해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를 0.03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홍시 페이스트의 당도와 식이섬유, 그리고 항산화 효능(DPPH)을 평가한 시험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효소처리(시간) | 당도(°Brix) | 식이섬유(%) | DPPH(%) |
0시간 | 16.3 | 10.9 | 25.8 |
1시간 | 16.6 | 12.7 | 26.3 |
3시간 | 17.0 | 15.5 | 26.3 |
5시간 | 17.3 | 19.8 | 27.5 |
※ DPPH :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의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시험
마지막으로, 상기 농축 당화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0 ~ 12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는 단계(S700)를 거쳐 홍시 조청이 제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효를 거친 농축 당화액에 홍시 페이스트를 혼합하고 재농축함으로써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또한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당도와 점도를 조절하고 식감을 개선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농축 당화액의 당도는 20 ~ 30Brix 정도이고 홍시의 당도는 약 16Brix 내외임을 감안하여, 상기 농축 당화액에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100 ~ 120℃의 고온으로 끓여서 당도 75 ~ 80Brix 범위를 갖는 조청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 쌀 조청에 비해 당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고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점도가 낮아 상온에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엿처럼 굳어지지 않기 때문에 식품 첨가물이나, 음료, 기타 단맛을 내는 재료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유효한 영양성분이 부족하여 건강증진 효과가 요구되는 현대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양태로 음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당도 75 ~ 80Brix를 갖는 홍시 조청은 수많은 실험을 거쳐 완성되었으나, 이하에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3시간 동안 불린 후 수분을 제거하고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한 다음, 3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2중량부를 풀어 3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6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온도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상기 농축 당화액에 홍시 페이스트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0 ~ 120℃의 온도로 90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 따라 멥쌀 대비 홍시의 중량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각각의 홍시 조청에 대한 당도, 점도, 항산화 효능을 분석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중량비 (멥쌀 : 홍시) |
당도(°Brix) | 점도(cP) | DPPH(%) |
10 : 0 | 81.1 | 32,800 | 22.7 |
9.5 : 0.5 | 79.3 | 19,200 | 31.3 |
9 : 1 | 78.9 | 18,200 | 36.8 |
8 : 2 | 77.3 | 12,800 | 43.5 |
7 : 3 | 75.6 | 6,400 | 68.1 |
※ DPPH :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의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시험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 따라 멥쌀 대비 홍시의 중량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각각의 홍시 조청에 대하여 10세 이상 60세 이하의 관능검사 평가원 50인에 의해 5점 척도 기호도 검사(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결과에 대한 평균치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중량비 (멥쌀 : 홍시) |
색 | 향미 | 단맛 | 먹을 때 느낌 |
전반적인 기호도 |
10 : 0 | 4.1 | 3.8 | 4.8 | 3.8 | 4.1 |
9.5 : 0.5 | 4.6 | 4.1 | 4.6 | 4.3 | 4.4 |
9 : 1 | 4.8 | 4.3 | 4.4 | 4.5 | 4.5 |
8 : 2 | 4.9 | 4.7 | 4.3 | 4.9 | 4.7 |
7 : 3 | 4.4 | 4.7 | 4.1 | 4.8 | 4.5 |
상기 [표 2]와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홍시 조청은 조청 제조과정 중에 홍시 페이스트를 적절하게 첨가함으로써 일반 조청에 비해 당도는 다소 낮아지지만, 점도를 조절하기 용이하고 항산화 효능이 월등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를 거친 농축 당화액에 홍시 페이스트를 혼합하고 재농축함으로써 홍시의 색상과 고유한 향미를 부여하여 식감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되므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홍시 조청은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이나 부작용 없이 고영양분의 천연 건강식품을 섭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식품 첨가물이나 음료 등 다양한 용도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감의 소비를 촉진하여 생산농가의 수익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 멥쌀을 물로 세척하고 2 ~ 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S100);
상기 불린 멥쌀을 1시간 동안 스팀솥으로 쪄서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S200);
10 ~ 40℃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엿기름 10 ~ 15중량부를 풀어 1 ~ 4시간 동안 침지하고 여과과정을 거쳐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고두밥과 엿기름 추출액을 혼합하고 50 ~ 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400);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25 ~ 3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당도 20 ~ 30Brix의 농축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
홍시를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상기 홍시에 대해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 0.01 ~ 0.05중량%를 첨가하여 홍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600);
상기 농축 당화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시 페이스트 5 ~ 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당도 75 ~ 80Brix 이내로 증발될 때까지 100 ~ 12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재농축하는 단계(S7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당도 75 ~ 80Brix를 갖는 홍시 조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970A KR102219727B1 (ko) | 2018-12-12 | 2018-12-12 |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970A KR102219727B1 (ko) | 2018-12-12 | 2018-12-12 |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138A KR20200072138A (ko) | 2020-06-22 |
KR102219727B1 true KR102219727B1 (ko) | 2021-02-24 |
Family
ID=7114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9970A KR102219727B1 (ko) | 2018-12-12 | 2018-12-12 |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972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894B1 (ko) | 2010-07-21 | 2013-01-31 | 이민환 | 홍시를 함유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및 홍시를 함유하는 조청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9605B2 (ja) * | 1995-03-24 | 1997-10-29 | 寿製菓株式会社 | 柿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たゲル状食品 |
KR19990062369A (ko) * | 1997-12-31 | 1999-07-26 | 이교훈 | 과실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방법 |
KR20150089725A (ko) | 2014-01-28 | 2015-08-05 | 영암군 | 대봉감 홍시를 함유한 대봉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봉조청 |
-
2018
- 2018-12-12 KR KR1020180159970A patent/KR1022197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894B1 (ko) | 2010-07-21 | 2013-01-31 | 이민환 | 홍시를 함유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및 홍시를 함유하는 조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138A (ko) | 2020-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15414A (zh) | 一种藜麦饼干及其制备方法 | |
KR101552957B1 (ko) | 천연발효 블랙베리 식초의 제조방법 | |
KR20180052182A (ko) |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 |
KR20150105110A (ko) | 아마란스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2035939B1 (ko) | 감 식혜 제조방법 | |
CN102687826A (zh) | 高粱酒酿及制备方法 | |
KR100815198B1 (ko) | 순무 탁주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59074B1 (ko) | 고추식초의 제조방법 | |
KR102219727B1 (ko) |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 |
KR20160049184A (ko) | 과일 및 채소즙을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 |
KR20160018078A (ko) | 밤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조청 | |
CN104172385A (zh) | 香血糯型配方黑糙米饮料的加工方法 | |
CN111454802A (zh) | 一种藜麦米酒及其制备方法 | |
KR101094569B1 (ko) | 알토란을 함유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043602A (ko) | 수수 및 망개잎을 이용한 식혜 제조방법 | |
CN104719480B (zh) | 一种无糖型紫薯乳酸饮料及其生产方法 | |
KR102219735B1 (ko) | 안동마를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잼 | |
KR102390434B1 (ko) | 가을무를 이용한 식혜 | |
KR102084478B1 (ko) | 곡물 발효 기법이 적용된 김부각의 제조방법 | |
CN106399000A (zh) | 一种山楂火龙果酒 | |
KR102390431B1 (ko) | 순무를 이용한 식혜 | |
KR102402530B1 (ko) | 쌀발효액을 이용한 자연발효 뽕잎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뽕잎소스 | |
KR20180057158A (ko) | 오디 보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디 보리 고추장 | |
KR102326118B1 (ko) | 고추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
CN105918862A (zh) | 一种清热排毒促消化营养保健米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