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45B1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6345B1 KR102206345B1 KR1020180173312A KR20180173312A KR102206345B1 KR 102206345 B1 KR102206345 B1 KR 102206345B1 KR 1020180173312 A KR1020180173312 A KR 1020180173312A KR 20180173312 A KR20180173312 A KR 20180173312A KR 102206345 B1 KR102206345 B1 KR 102206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peeling
- panel
- protective film
- functional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4
- 206010040844 Skin exfol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47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411 Van der Waals for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DBEF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2038/1891—Using a robot for handling the layer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는,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지지바디와, 로봇 지지바디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을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 본체; 및 패널 및 기능성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로봇 박리헤드를 포함한다.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is disclosed.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ic support body suppor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n articulated robot body having an articulated arm connected to the robotic support body and having at least three different axes. ; And a robotic peeling hea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ticulated arm, comprising an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tha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functional film.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종래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ecause it has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ot print, as well as speed control, position control, curve motion control, etc. The control of the peeling error (Error) and film stripping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equipment for secondary peeling or collection of the peeled protective film is not necessary or can be simplified than before. It relates to a 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최근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역시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in recent years, the flat panel display (FPD) also continues to develop.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평판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특히, OLED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뉜다.Among flat panel displays, in particular, OLED is divided into passive type PMOLED and active type AMOL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AMOLED는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이 아닌 얇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 등에 적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AMOLED is a self-luminous display, which has the advantage of faster response speed than conventional displays, natural color sense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when AMOLED is applied to a flexible panel that can be easily bent and thin rather than a glass panel, the technology of a flexible display can be implemented.
이러한 OLED 제조 시 여러 종류의 기능성 필름, 예컨대 편광필름(polarizer film)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은 대상체인 패널(panel)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manufacture of such OLEDs, various types of functional films, for example, functional films such as polarizer films may be used. A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is attached to a panel, which is an object, and serves to polarize light.
한편, 종전에는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대상체인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세트 테이블(Set Table)을 적용한 롤 투 스테이지(Roll to Stage) 방식 또는 드럼(Drum)을 적용한 드럼 투 스테이지(Drum to Stage) 방식이 일반적이었다.Meanwhile, in the past, as a technology for attaching a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to a panel as an object, a roll to stage method with a set table or a drum to stage with a drum Stage) method was common.
전자의 롤 투 스테이지 방식은 세트 테이블 상에 대상체인 패널이 배치되고, 어태치 롤러부(Attach Roller)가 회전하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필름의 오버행(Overhang) 현상으로 인한 오차로 고(高)부착 정도 구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former roll-to-stage method, a panel, which is an object, is placed on a set table and a functional film is attached to the panel while the attach roller rotates. This method is due to the overhang of the fil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degree of attachment due to the error.
참고로, 롤 투 스테이지 방식 방식은 그 특성상 어태치 롤러부에 기능성 필름이 제대로 흡착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높고, 이로 인해 패널과의 얼라인(Align)이 틀어질 수밖에 없어 부착에 오차가 발생되는데, 이를 오버행 현상이라 한다.For referen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roll-to-stage method is highly susceptible to sagging without properly adsorbing the functional film to the attach roller part, which inevitably leads to misalignment with the panel, resulting in errors in attachment. Occurs, which is called an overhang phenomenon.
이에 반해, 후자의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은 드럼의 표면에 기능성 필름을 흡착시켜 드럼의 회전 동작에 따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최초 기능성 필름과 패널의 컨택 시 넓은 압축 면적으로 패널의 일측 패드(Pad)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드럼의 진공 영역(Vacuum Area)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패널 사이즈(Panel Size) 변경에 제약이 다른 문제점이 있다.In contrast, the latter drum-to-stage method adsorbs the functional film on the surface of the drum and attaches the functional film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When the functional film and the panel are first contacted, one side of the panel has a large compression area. Damage due to contact with the pad may be caused, and there is another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changing various panel size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vacuum area of the drum.
이와 같이, 현재까지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롤 투 스테이지 방식과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각 방식들은 전술한 것처럼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점착 시트(sheet)를 사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업체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until now, the roll-to-stage method and the drum-to-stage method have been mainstream as methods of attaching a functional film to a panel, but each method has sever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is being proposed as an alternative, and several companies are currently developing it.
이 방식은 약한 점성을 갖는 점착 시트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미리 점착시킨 후,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배치한 다음, 점착 시트를 가압해서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 시트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다.In this method, a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is previously adhered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weak viscosity, and then a functional film is placed on the panel, and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pressed so that the functional film is attached to the panel. After the functional film is attached to the panel, the adhesive sheet is peeled off the functional film.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어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미리 박리시켜야 한다.In order to attach the functional film in this manner, the protective film tha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anel or the functional film and protects the surface of the panel or the functional film must be peeled in advance.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장치로서 단축 직교로봇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즉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데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As a device that peels a protective film from the surface of a panel or a functional film, the application of a uniaxial orthogonal robot can be considered. That is, several single-axis orthogonal robots can be combined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to be applied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surface of a panel or functional film, and it may be common to apply such a method.
하지만, 이처럼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한 후,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a device for peeling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surface of a panel or functional film after combining several single-axis orthogonal robots into the X-axis, Y-axis, and Z-axis,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첫째,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넒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풋 프린트(foot print)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First, since several single-axis orthogonal robots must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X-axis, Y-axis, and Z-axis,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foot print.
둘째, 보호 필름의 박리 시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에 대한 X축, Y축, Z축 구동을 소위, 보간 제어기술로 운영해야 하는데, 이 경우 부드러운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어려워 박리 에러(Error)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자 할 때는 패널의 특성 상 탈막 현상이 발생되어 박리 에러(Error)가 더더욱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탈막 현상이란 OLED 소자에 증착된 수 마이크론(micron)의 고체 금속막이 보호 필름 박리 시 함께 벗겨져서 제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Second,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the X-axis, Y-axis, and Z-axis drive of several single-axis orthogonal robots must be operated with so-called interpolation control technology. In this case, controls such as smooth speed control, position control, and curve motion control are required. I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peeling error occurs frequently. In particular, when peeling the protective film from a flexible pa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ilm stripping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causing more and more peeling errors. For reference, the film stripping phenomenon means that the solid metal film of several microns deposited on the OLED device is peeled off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thereby damaging the product.
셋째,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하더라도 박리된 보호 필름의 필름 수거위치까지 이송시키거나 혹은 로딩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장비가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ird, even if several single-axis orthogonal robot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X-axis, Y-axis and Z-axis,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equipment for transferring or loading the peeled protective film to the film collection position is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를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다관절 로봇 핸드(Hand)가 떨리면 과도한 힘이 보호 필름과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에 눌려져서 보호 필름과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이 같이 들고 일어나 박리 에러(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when the articulated robot hand shakes, excessive force is pressed against the protective film and the flexible panel. Since the flexible panel can be lifted together, a peeling error may occur, this should be considered.
또한 현재 박리 롤러(Roller)에 점착 테이프(Tape)를 수작업으로 붙혀서 사용함으로 개인차에 따른 부착 표준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attachment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because the adhesive tape is manually attached to the current peeling roller, and thus improvement i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종래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has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so that the foot print can be reduced, as well as control such as speed control, position control, and curve motion control, etc. It is to provide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cidence rate and film stripping phenomenon, and does not require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equipment for secondary peeling or collection of the peeled protective film, or that can be simplified than befor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지지바디와, 상기 로봇 지지바디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을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 본체; 및 패널 및 기능성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로봇 박리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rticulated robot body including a robot support body suppor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n articulated arm connected to the robot support body and having at least three different axes; And an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a film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in order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functional film, and a robot peeling hea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ticulated arm.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ay be provided.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본체; 및 상기 롤러지지본체가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박리헤드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includes a roller support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the film;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eeling head body to which the roller support body is relatively movably coupled.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미리 결정된 힘으로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도록, 상기 롤러지지본체와 상기 박리헤드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가해지는 힘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eeling head body so that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contacts the protective film with a predetermined force and applied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that provides a buffer to the force.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롤러지지본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리헤드본체에 결합되는 인장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may include a tensile elastic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eeling head body.
상기 박리헤드본체는, 상기 롤러지지본체의 하강을 제한하는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eling head body may include a roller lowering limiting stopper that restricts the lowering of the roller support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롤러지지본체가 상기 박리헤드본체를 상대 이동할 때 구름 마찰이 되도록 상기 롤러지지본체와 상기 박리헤드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may further include a rolling ball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eeling head body such that rolling friction occurs when the roller support body moves relative to the peeling head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필름 클램프를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클램프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a film clamp clamping th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lamp actuator for driving the film clamp to approach or spaced apart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상기 필름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필름 클램프 본체; 및 상기 필름 클램프 본체에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필름 클램프 본체가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로 접근한 때에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여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접촉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m clamp may include a film clamp body connected to the clamp actuator; And a contact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lm clamp body, but when the film clamp body approaches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t contacts the protective film to clamp th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t may include a clamping part.
상기 접촉 클램핑부는, 상기 필림 클램프 본체로부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필름 클램핑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clamp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lm clamping fingers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lm clamp body toward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필름 클램프 핑거의 단부에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urved portion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ilm clamp finger.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를 구비하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may further include an adsorption unit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pads for adsorbing the panel or the functional film in a vacuum.
상기 다관절 아암은 서로 다른 6축을 갖는 6축 다관절 아암일 수 있다.The articulated arm may be a 6-axis articulated arm having 6 different axes.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는, 회전롤러본체; 및 상기 회전롤러본체 표면에 코팅된 점착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the film, a rotary roller body; And an adhesive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필름 클램프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필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peeling head may further include a film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detecting whether the protective film is clamped by the film clamp.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종래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ot print, as well as control such as speed control, position control, and curve motion control, and thus the incidence of peeling errors and film stripping can be reduced.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pplication of a separate additional equipment for secondary peeling or collection of the peeled protective film is not required or may be simplified than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미리 결정된 힘으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보호 필름에 접촉하도록, 롤러지지본체와 박리헤드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가해지는 힘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함으로써 떨림 및 위치 편차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unit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eeling head body so that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with a predetermined force to provide buffer against the force applied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s provided. By further including 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and position deviation than before.
또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회전롤러본체와, 회전롤러본체 표면에 코팅된 점착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박리 필름 두께 편차 및 위치 편차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ncludes a rotary roller body and an adhesive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body, deviations in thickness and position of the release film can be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되 물류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로봇 박리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박리헤드본체와 롤러지지본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박리헤드본체와 롤러지지본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보호 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점착 시트와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unctional film attachment system in which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FIG. 1 but showing a distribution line.
3 is a block diagram of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obot peeling head of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of FIG. 3.
5 is a view illustrating FIG. 4 from a different angle.
6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paration head body and a roller support body.
8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paration head body and a roller support body.
9 to 12 are views showing step by step a process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film attachment device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14 is a side view of FIG. 13.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4.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hesive sheet and first and second sheet clamps.
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6.
18 to 21 are diagrams showing step by step a process of attaching a functional film to a pane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기능성 필름이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필름(polarizer film) 등이 될 수 있고,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을 비롯하여 터치패널(TSP), 윈도우(Window) 등이 될 수 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compared to the drawings, the functional film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order to transmit and polarize light under optimal conditions. Various types of optical films (or sheets) that can be applied to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EMI film, prism film, protective film, diffusion film, reflective film, DBEF, PVA, TAC, OCA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ilm) , Release film, compensation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er film, etc., and the panel is any selected from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It can be a flat panel display panel, a touch panel (TSP), a window,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되 물류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로봇 박리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박리헤드본체와 롤러지지본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박리헤드본체와 롤러지지본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보호 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3은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6은 점착 시트와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8 내지 도 21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unctional film attachment system in which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FIG. 1 but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line,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obotic peeling head of the multi-join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of FIG. 3. FIG. 4 is a view showing a different angle,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eeling head body and the roller support body, and FIG. 8 is It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upport body, FIGS. 9 to 12 are diagrams showing stepwise a process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film attaching device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 FIG. 14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taken along line AA,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hesive sheet and first and second sheet clamps, and FIG. 17 is a line BB of FIG.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is, and FIGS. 18 to 21 are diagrams showing stepwise a process of attaching a functional film to a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에서,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가 2개 마련되어 동일 라인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부착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도 2개 마련되어 동일 라인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부착위치에 각각 배치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같은 구성은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unctional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은, 하나의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으로 개별 기능성 필름(Film)을 부착하는 공정과 복수의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의 시스템 레이아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1 to 21, the functional
도 1 및 도 2를 먼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은,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와,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과,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과,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과,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과.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와,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과,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first to Figures 1 and 2, the functional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은 제1 패널이 이동되는 물류 라인이다. 이러한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을 따라 제1 패널이 제1 부착위치로 공급된다. 제1 부착위치는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위치이다.The first panel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은 기능성 필름이 이동되는 물류 라인이다. 이러한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을 통하여 기능성 필름이 제1 부착위치 또는 제2 부착위치로 공급된다. The film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은, 기능성 필름이 제1 부착위치로 이동되는 제1 필름 이동 경로라인(910)과, 기능성 필름이 제2 부착위치로 이동되는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포함한다. The film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은, 우선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킨 후 이어서 제2 패널을 부착시키는 공정, 예를 들어 터치패널(TSP)에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를 부착시키고 이어서 여기에 OLED패널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제2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 예를 들어 OLED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시스템이다.In more detail, the functional
따라서, 터치패널(TSP) +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 + OLED패널 부착 공정 시에 기능성 필름(OCA)는 제1 필름 이동 경로라인(910)을 통해 제1 부착위치로 이동되고, 편광필름 + OLED패널 부착 공정 시에 기능성 필름(편광필름)은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통하여 제2 부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touch panel (TSP) + OCA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ilm) + OLED panel, the functional film (OCA) is moved to the first attachment position through the first film
즉 본 실시 예에서 제1 패널은 터치패널(TSP)이며, 제2 패널은 OLED패널이며, 제1 필름 이동 경로라인(910)을 따라 이동되는 기능성 필름은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이며,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이동되는 기능성 필름은 편광필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nel is a touch panel (TSP), the second panel is an OLED panel, and the functional film moving along the first film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은 제2 패널이 이동되는 물류 라인이다. 이러한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을 따라 제2 패널이 제2 부착위치로 공급된다. 제2 부착위치는,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을 따라 공급되는,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을 따라 공급되는 제2 패널에 부착하는 위치이나, 때로는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공급되는 기능성 필름을 제2 패널에 부착하는 위치일 수 있다. The second panel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은 제1 부착위치에서 제2 부착위치로 제1 패널을 이송시키는 물류 라인이다. 이때의 제1 패널에는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의하여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을 따라 공급되는 제2 패널에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제1 부착위치에서 제2 부착위치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이송시키는 물류 라인이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OCA가 부착된 터치패널(TSP)을 제2 부착위치로 이송시키는 물류라인이다.The film attachment panel
한편,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은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서 제1 패널이 부착된 제2 패널을 언로딩시키는 물류 라인이나 때로는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공급되는 기능성 필름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서 부착된 제2 패널을 언로딩시키는 물류 라인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터치패널(TSP) +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 + OLED패널 부착 공정 시에는 터치패널(TSP) +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 + OLED패널 상태로 언로딩시키고, 편광필름 + OLED패널 부착 공정 시에는 편광필름 + OLED패널 상태로 언로딩시키는 물류라인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mmon
이와 같이 하나의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으로 개별 기능성 필름(Film)을 부착하는 공정과 복수의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각 개별 공정의 전용설비 구성에 따른 고가의 설비 투자비를 종래보다 절감할 수 있고 운영인력을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 개별공정의 전용설비 구성에 따른 대면적의 풋프린트(Foot Print)를 종래보다 감소시킴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s such, it is possible to perform both the process of attaching individual functional films and the process of attach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films with one functional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제1 부착위치에 배치되어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한다. The first functional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는, 제2 부착위치에 배치되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을 따라 공급되는 제2 패널에 부착하거나, 때로는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공급되는 기능성 필름을 제2 패널에 부착한다. The second functional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 및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 및 필름 이동 경로라인(900)에 각각 마련되어 제1 패널, 제2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본 실시 예에서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에 마련되어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을 따라 이송되는, 제1 패널이 부착된 기능성 필름의 표면의 보호 필름도 박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패널 슬라이더(191, 19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필름은 필름 슬라이더(19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may be moved by the
패널 슬라이더(191, 193)는 제1 패널을 이동시키는 제1 패널 슬라이더(191)와, 제2 패널을 이동시키는 제2 패널 슬라이더(193)를 포함한다. 제1 패널 슬라이더(191)는 제1 패널을 제1 부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 패널 슬라이더(193)는 제2 패널을 제2 부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필름 슬라이더(195)는 기능성 필름을 제1 부착위치 또는 제2 부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패널 슬라이더(191, 193)와 필름 슬라이더(19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장치를 통해 해당 이동 경로라인을 통해 이동되면서 제1 패널, 제2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원하는 위치로 공급할 수 있다.These
패널 슬라이더(191, 193)에는 슬라이더 얼라인부(192, 194)가 각각 결합된다. 슬라이더 얼라인부(192, 194)는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패널 슬라이더(191, 193)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기능성 필름에 대한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슬라이더 얼라인부(192, 19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슬라이더 얼라인부(192, 194)는 실린더, 모터 및 볼 스크루의 조합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패널 슬라이더(191, 193)의 위치를 얼라인시킴으로써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수 있게끔 한다. 물론, 필름 슬라이더(195)에도 동일한 형태의 얼라인부가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Although the
기능성 필름이 제1 필름 이동 경로라인(910)을 따라 제1 부착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1 패널 즉 터치패널(TSP)에 기능성 필름 즉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를 부착하고 이어서 여기에 제2 패널 즉 OLED패널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A movement trajectory when the functional film moves to the first attachment position along the first film
이 경우에는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가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고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은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제2 부착위치로 이동시키며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가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을 제2 패널에 부착시킨다. In this case, the first functional
제1 패널은 도 2의 ①번에서 ③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은 ①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②번 위치에 도달되어 플라즈마 이온 처리된 다음,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촬영된다. 촬영된 얼라인 마크 영상정보는 컨트롤러로 전송된다.The first panel may be finally supplied to the first functional
그리고 기능성 필름은 적재 장소에서 제1 필름 이동 경로라인(910)을 따라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⑤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되고 촬영된 에지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되며, ⑥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이 먼저 이동되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 후,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고 이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하여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⑥번 위치와 ④번 위치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⑥번 위치와 ④번 위치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film is moved along the first film
이어, 제1 패널 슬라이더(191)에 의해 패널이 이동되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되며, 이후에 도 20 및 도 21처럼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작업이 완료된다. Subsequently, the panel is moved by the
이때, 제1 패널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되는 중에 제1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즉 기능성 필름은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미리 도달되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의 에지 정보를 토대로 슬라이더 얼라인부(192)가 제1 패널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켜 상대 위치를 맞춘 후, 제1 패널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도달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1 패널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하는 도중에 제1 패널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경우, 얼라인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시키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In this case, while the first panel is moved to the first functional
이어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은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을 따라 이동되다가 ⑦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되며, ⑧번 위치에 도달되어 제1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이 먼저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 후,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고 이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하여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⑧번 위치와 ⑨번 위치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⑧번 위치와 ⑨번 위치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필름이 제2 패널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점착 시트(110)에 제1 패널이 직접 점착되고 기능성 필름은 제2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된다.Subsequently, the first panel to which the functional film is attached is moved along the film attachment panel
이어, 제2 패널 슬라이더(193)에 의해 제2 패널이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되어 ⑨번 위치에 도달하게 되며, 이후에 도 20 및 도 21처럼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이 제2 패널에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이 완료된 제품은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을 따라 언로딩(unloading, 도 1 및 도 2 참조)된다.Subsequently, the second panel is moved by the
다음으로, 기능성 필름이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제2 부착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2 패널 즉 OLED패널에 기능성 필름 즉 편광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가 제2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고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은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2 패널을 언로딩시킨다.Next, a movement trajectory when the functional film moves to the second attachment position along the second film
제2 패널은 도 2의 ⑩번, ⑪번, ⑫번으로 순차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⑨번 위치에 도달하여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 패널은 ⑩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⑪번 위치에 도달되어 플라즈마 이온 처리된 다음, ⑫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촬영된다. 촬영된 얼라인 마크 영상정보는 컨트롤러로 전송된다.The second panel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functional
그리고 기능성 필름은 적재 위치에서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⑨번의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⑦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되고 촬영된 에지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되며, ⑧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이 먼저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 후,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고 이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하여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⑧번 위치와 ⑨번 위치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⑧번 위치와 ⑨번 위치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And the functional film is finally supplied to the second functional
이어, 제2 패널 슬라이더(193)에 의해 제2 패널이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되며, 이후에 도 20 및 도 21처럼 제2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이 완료된다. Subsequently, the second panel is moved by the
이때에도, 제2 패널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로 이동되는 중에 제2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of course, while the second panel is being moved to the second function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해당 이동 경로라인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보호 필름을 박리(제거)하는데, 이러한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본 실시 예에서 해당 이동 경로라인에 개별적으로 마련에 마련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의 구조와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 로봇 본체(210)와, 로봇 박리헤드(240)를 포함한다.The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다관절 로봇 본체(210)는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지지바디(220)와, 로봇 지지바디(220)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230)을 구비한다.The articulated
본 실시예의 경우, 다관절 아암(230)은 서로 다른 6축을 갖는 6축 다관절 아암(230)이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다관절 아암(230)의 서로 다른 6축 동작에 의해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이 적용되면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해 왔던 종래와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종래보다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6축 다관절 아암(230)이 적용되고 있으나 3축 이상이면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When such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한편, 로봇 박리헤드(240)는 다관절 아암(230)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로봇 박리헤드(240)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롤러지지본체(248)와, 박리헤드본체(247)와, 완충유닛(243)과, 구름볼(249)과, 필름 클램프(242)와, 클램프 액추에이터(244)와, 흡착 유닛(246)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는 제1 패널, 제2 패널 및 기능성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된다.The adhesive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는 로봇 박리헤드(240)의 일측에 마련되는 롤러로서 도 9에서 도 10처럼 보호 필름의 제일 끝단을 패널(혹은 기능성 필름)에서 일부 벗겨내는 역할을 한다.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표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의 끝단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 도 9에서 도 10처럼 보호 필름의 일부분이 약간 말리면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붙어 박리될 수 있다.The adhesive
이러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는, 회전롤러본체(241a)와, 회전롤러본체(241a) 표면에 코팅된 점착코팅층(241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식 회전롤러에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점착코팅층(241b)을 구비함으로써 박리 필름 두께 편차 및 위치 편차를 제거할 수 있다.The adhesive
한편, 롤러지지본체(248)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롤러지지본체(248)는 박리헤드본체(247)에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의 끝단에 접촉될 때 떨림 발생되거나 이나 과도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가해지는 힘이 완충되면서 롤러지지본체(248)가 박리헤드본체(247)에 미약하지만 상대이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롤러지지본체(248)와 박리헤드본체(247)의 완충을 위해서 롤러지지본체(248)와 박리헤드본체(247) 사이에는 완충유닛(243)이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유닛(243)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가해지는 힘에 완충을 제공하여 일정한 힘으로 접촉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유닛(243)은, 롤러지지본체(248)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박리헤드본체(247)에 결합되는 탄성 인장스프링(243)을 포함하는데, 통상 떨림이나 보호 필름의 두께 편차에 의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움직임은 수십미크론 단위이기 때문에 탄성 인장스프링의 힘의 변화는 거의 없어 일정한 힘으로 접촉한다고 할 수 있다.A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관절 아암(230) 등에 상하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 박리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떨림에 따른 미세위치 및 압력변화에도 이 완충유닛(243)이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상하 떨림에 의한 박리 에러를 종래보다 감소시키도록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접촉하는 보호 필름의 두께가 위치가 각 보호 필름마다 다를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박리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보호 필름의 두께 편차나 위치 편차에 있어서도 이 완충유닛(243)이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보호 필름의 두께 편차나 위치 편차에 의한 박리 에러를 종래보다 감소시키도록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에 접촉하도록 한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vertical shaking of the
그리고 박리헤드본체(247)는, 롤러지지본체(248)의 하강을 제한하는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247a)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243)의 일단이 롤러지지본체(248)에 결합되고 타단이 박리헤드본체(247)에 결합되는데, 이에 의하여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243)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를 보호 필름 측으로 탄성 가압하되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247a)에 하강이 제한되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And the peeling
이 상태에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에 접촉하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힘이 전달되고 만약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243)의 탄성력을 이기고 롤러지지본체(248)가 수십미크론 단위로 이동하였다가 미리결정된 힘으로 보호 필름에 접촉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adhesive
한편, 롤러지지본체(248)가 박리헤드본체(247)를 상대 이동할 때 구름 마찰이 되도록 롤러지지본체(248)와 박리헤드본체(247) 사이에는 구름볼(249)이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롤러지지본체(248)가 박리헤드본체(247)를 상대 이동할 때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Meanwhile, a rolling
한편, 로봇 박리헤드(240)에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름 클램프(242)와 클램프 액추에이터(244)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필름 클램프(242)는 로봇 박리헤드(240)에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함께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The
필름 클램프(242)는, 클램프 액추에이터(244)에 연결되는 필름 클램프 본체(242a)와, 필름 클램프 본체(242a)에 일체로 마련되되 필름 클램프 본체(242a)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로 접근한 때에 보호 필름에 접촉하여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함께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접촉 클램핑부(242b)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 예에서, 접촉 클램핑부(242b)는, 필림 클램프 본체로부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필름 클램핑 핑거(242b)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필름 클램핑 핑거(242b)의 단부에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242c)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리되는 보호 필름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핑 핑거(242b)의 곡면부(242c) 사이에서 에러 없이 클램핑될 수 있다.Further, at the end of the
클램프 액추에이터(244)는 필름 클램프(242)를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 액추에이터(244)는 모터 또는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The
이에, 도 9에서 도 10처럼 보호 필름의 일부분이 약간 말리면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붙어 박리되고 나면 도 11처럼 클램프 액추에이터(244)가 동작되어 필름 클램프(242)의 곡면부(242c)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외면에 접촉 가압되도록 한다. 그러면 일부 박리된 보호 필름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프(242)의 곡면부(242c)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12처럼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동작됨으로써 보호 필름이 패널 혹은 기능성 필름에서 완전히 박리될 수 있다.Accordingly, in FIG. 9, a part of the protective film as shown in FIG. 10 is slightly curled and adhered to the adhesive
로봇 박리헤드(240)에는 보호 필름이 필름 클램프(242)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필름 감지센서(245)가 마련된다. 필름 감지센서(245)가 보호 필름이 있다고 감지한 이후에 도 12처럼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이 동작되어 보호 필름을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또는 기능성 필름)에서 완전히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프(242) 사이에 보호 필름이 클램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 12처럼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이 동작되는 에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들, 즉 보호 필름을 박리해서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들 외에도 로봇 박리헤드(240)에는 흡착 유닛(246)이 더 갖춰진다. 흡착 유닛(246)은 로봇 박리헤드(240)의 일측에 마련되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246a)를 포함한다. 흡착 유닛(246)은 패널이나 기능성 필름, 혹은 기타의 부자재를 흡착시켜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o such configurations, that is, configurations for peeling and clamping the protective film,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은 점착력 향상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점착력 향상장치(300)는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 및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을 따라 도 1 및 도 2에서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보호 필름이 박리된 패널의 박리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다시 말해, 점착력 향상장치(300)는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600) 및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700) 상에서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의 후공정에 배치되며, 보호 필름이 박리된 패널의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해서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면에 대해 플라즈마 이온처리가 되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보다 잘 부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은 얼라인 카메라(40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al
얼라인 카메라(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 또는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제1 패널, 제2 패널, 기능성 필름 및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에 대한 얼라인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얼라인 카메라(400)는 해당 이동 경로라인 상에 위치 고정되게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한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와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는 구조와 기능이 다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와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의 구조와 기능은 모두 동일하므로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first functional
도 13 내지 도 2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장치 본체(120)와,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점착 시트(110)를 이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13 to 21, the first functional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점착 시트(110)를 장치 본체(120)에 탑재시키는 시트 탑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슬라이더(191)는 장치 본체(12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장소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unctional
장치 본체(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장치 본체(120)에는 점착 시트(110)를 비롯해서 시트 탑재부(130),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 등의 구조들이 위치별로 탑재된다.The device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는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된다. 본체 구동부(121)는 장치 본체(120) 전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치 본체(120)는 패널 슬라이더(191, 193)의 상부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간격 조절을 위해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A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그대로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점착 시트(110)를 사용해서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킨다. 따라서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의 설명에 앞서 점착 시트(11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al film is not attached to the first panel as it is, but the functional film is attached to the first panel using the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매개체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기능성 필름을 제1 패널에 그대로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18내지 도 21처럼 기능성 필름을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시킨 후, 기능성 필름과 제1 패널을 상호 얼라인시킨 다음, 점착 시트(110)를 가압함으로써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pressure-
이처럼 점착 시트(110)를 매개로 해서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킬 경우, 종전의 세트 테이블(Set Table)을 적용한 롤 투 스테이지(Roll to Stage) 방식 또는 드럼(Drum)을 적용한 드럼 투 스테이지(Drum to Stage) 방식과 달리 부착 효율과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attaching the functional film to the first panel through the
다만, 점착 시트(110)를 적용함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을 단순히 적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연신율로 인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하고, 수명이 짧으며, 높은 러닝 코스트(Running Cost)와, 잦은 교체 주기로 인해 다운 타임(Down Time)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혁신적인 구조의 점착 시트(110)를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111), 보강층(114),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층(112) 및 접착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처럼 점착층(111), 쿠션층(112), 접착층(113) 및 보강층(114)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is problem is solved by presenting the
점착층(111)은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기초한 점착력을 통해 패널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과 점착되는 부분이다.The
참고로, 반데르발스 힘이란 부대(不對) 전자를 갖지 않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을 가리킨다. 특히 비교적 원거리에서 작용하는 인력을 말한다. 반데르발스 힘은 분산력의 결과로 생기며, 희가스 원자 간에 작용하는 힘, 벤젠 등 탄화수소의 분자결정이 형성되는 요인 등을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반데르발스 힘은 액체의 응집, 접착을 비롯해서 본 실시예와 같은 물리흡착 등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본질적인 힘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the Van der Waals force refers to the force acting between electrically neutral molecules that do not have negative electrons. In particular, it refers to the attractive force acting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The van der Waals force is a result of the dispersing force, and the forces acting between rare gas atoms and the factors that form molecular crystals of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can be explained by the van der Waals force. In addition, the van der Waals force refers to an intrinsic force required to explain the phenomena such as agglomeration and adhesion of liquids and physical adsorption as in this embodiment.
다시 요약하면, 반데르발스 힘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사이에서 극히 근거리에서만 작용하는 극히 약한 정전기적 인력이며, 공유 결합성 분자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기적인 힘을 통칭한다.In summary, Van der Waals force is an extremely weak electrostatic attraction that acts only at very close distances between electrically neutral molecules, and collectively refers to the electrical forces acting between covalently bonded molecules.
특히, 이온의 힘을 통해 별도의 전력 없이도 물리적인 점착이 가능하게 하는데, 점착층(111)이 이러한 반데르발스 힘에 근간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고, 또한 박리될 수 있다. 즉 점착층(111)에 약한 점성이 형성되기 때문에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에 점착될 수 있으며,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층(111)에서 기능성 필름이 용이하게 박리, 즉 이탈될 수 있다.In particular, physical adhesion is possible without separate power through the power of ions. Since the
한편, 이와 같은 점착층(111)을 적용함에 있어서 단지 점착층(111)만을 시트로 적용하게 되면 초기에는 원하는 공정을 잘 수행할 수 있으나 반복 사용 시 높은 부착 압력으로 인해 점착층(111)이 늘어날 수 있는데, 점착층(111)이 늘어나게 되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해질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in applying such an
이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에는 보강층(114)이 마련된다. 보강층(114)은 점착층(111)과 연결되되 점착층(111)의 연신율이 증가되지 않게 점착층(11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층(114)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박판으로 적용되며, 도 16처럼 점착층(111)보다 넓은 면적으로 점착층(111)을 지지하면서 보강한다. 보강층(114)이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연신율을 맞추기에 유리하다.Accordingly, a reinforcing
이처럼 보강층(114)이 더 적용되어 점착 시트(110)로 적용되는 경우,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reinforcing
쿠션층(112)은 점착층(111)과 접착층(113) 사이에 개재되는 층이다. 이러한 쿠션층(112)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때, 완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후술할 부착 롤러(151)로 점착 시트(110)를 가압하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중에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접착층(113)은 쿠션층(112)과 보강층(114)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 점착층(111)에는 약한 점성이 있어서 쿠션층(112)과의 잘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접착층(113)은 쿠션층(112)과 보강층(114)에만 개재시키면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점착층(111)과 쿠션층(112) 사이에도 접착층(113)을 재재시킬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The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점착층(111), 보강층(114),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층(112) 및 접착층(11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접착층(113)과 쿠션층(112)의 두께와 보강층(114)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으며, 점착층(111)의 두께가 보강층(114)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예컨대, 점착층(111)의 두께가 300㎛인 경우라면 보강층(114)의 두께는 50㎛일 수 있고, 쿠션층(112)의 두께와 보강층(114)의 두께의 합이 50㎛일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부분이 점착층(111)이기 때문에 두꺼운 것이 유리하고, 보강층(114)은 얇아야만 플렉시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전술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근거한 점착 시트(11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통상의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 시트(미도시)를 사용하더라도 관계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한편, 점착 시트(110)가 장치 본체(120)의 해당 위치에 탑재될 수 있도록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에는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를 매개로 해서 시트 탑재부(130)에 점착 시트(110)가 탑재될 수 있다.Meanwhile, first and second sheet clamps 116 and 117 supporting both ends of the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점착 시트(110)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전술한 것처럼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시트 탑재부(130)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점착 시트(11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시트 클램프(116)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장치 본체(120)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2 시트 클램프(117)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처럼 점착 시트(1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시트 클램프(116)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탑재되고, 점착 시트(11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시트 클램프(117)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에 탑재되는 형태로 점착 시트(11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서 늘어지는 점착 시트(110)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가 마련된다.As such, the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 배치되며, 점착 시트(1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측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모두가 무동력 자유 회전롤러로 적용된다.The plurality of sheet
이와 같은 시트 아이들 롤러(134)들의 작용으로 점착 시트(110)가 가이드되기는 하지만 기능성 필름의 부착 시 점착 시트(110)가 패널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다 보면 점착 시트(110)의 초기 장력이 틀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마련된다.Although the pressure-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1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 측에 마련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heet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41)과, 슬라이딩 레일(141)에 레일 맞물림되는 레일 블록(143)을 구비하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지지대 서포트(142)와, 지지대 서포트(142)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장력 실린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장력 실린더(144)가 정해진 가압력으로 지지대 서포트(142)를 가압하거나 당기기 때문에 초기 세팅된 값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The sea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가 갖춰진다.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시트 탑재부(130)에 이웃되게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점착되도록 한 후, 점착 시트(110)를 이용해서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first functional
다시 말해,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도 18 내지 도 21처럼 기능성 필름을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시킨 후,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제1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시킨 다음, 점착 시트(110)를 가압함으로써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기능성 필름이 제1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 시트(110)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된다.In other words, the functional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연결되는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주행시키는 모듈 주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부착 롤러(151)는 도 18에서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도 20에서 도 21처럼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점착 시트(110) 상에서 가압 이동되는 롤러이다.
다시 말해, 부착 롤러(151)는 점착 시트(110) 상의 보강층(114)에서 회전 이동되면서 점착 시트(1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 18에서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또한 도 20에서 도 21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에 외접되며, 부착 롤러(151)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이다.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백업 롤러(152)의 작용으로 인해 부착 롤러(151)가 도 18에서 도 17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도 20에서 도 21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이 잘 진행될 수 있게끔 한다.The
시트 이탈 롤러(153)는 도 21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때 기능성 필름에서 점착 시트(110)가 이탈되도록 하는 기능의 롤러이다. 이러한 시트 이탈 롤러(153)는 부착 롤러(151)보다 높은 위치에서 점착 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처럼 시트 이탈 롤러(153)가 점착 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이탈 롤러(153)를 업(up)시키면 점착 시트(110)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될 수 있다.The
이상 설명한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지지된다. 따라서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up)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업(up)될 수 있고, 롤러 지지모듈(155)을 다운(down)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다운(down)될 수 있다.The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저마찰 실린더(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마찰 실린더(161)에는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10)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 셀(162)이 마련된다. 로드 셀(162)의 정보에 의해 컨트롤러(미도시)가 저마찰 실린더(161)의 힘을 컨트롤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으로 점착 시트(11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dule up/down driving
모듈 주행부(17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롤러 지지모듈(155) 및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며, 도 19 및 도 21처럼 롤러 지지모듈(155)이 패널 슬라이더(191, 193) 상에서 왕복 구동되도록 주행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 주행부(17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1)와, 모터(171)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볼 스크루(172)와, 볼 스크루(17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일측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는 스크루 너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모터(171)가 구동되어 볼 스크루(172)가 회전되면 볼 스크루(172) 상에서 이동되는 스크루 너트(173)의 작용으로 인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를 비롯해서 롤러 지지모듈(155) 전체가 패널 슬라이더(191, 193) 상에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조건에 기초하여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모듈 주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5,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10)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우선, 제1 패널 즉 터치패널(TSP)에 기능성 필름 즉 OCA(광학용투명접착필름)를 부착하고 이어서 여기에 제2 패널 즉 OLED패널을 부착시키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 process of attaching a functional film, that is, an OCA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ilm), to a first panel, that is, a touch panel (TSP), and then a second panel, that is, an OLED panel, will be described.
필름 슬라이더(195)에 로딩된 기능성 필름은 도 2의 적재 위치에 ⑤번, ⑥번, ④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⑤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된다. 촬영된 영상 정보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된다. 그리고 ⑥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해 박리된다. The functional film loaded on the
보호 필름이 박리된 기능성 필름은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 후, 점착 시트(110)에 점착된다. 이에 대해 살펴본다. 즉 도 18처럼 패널 슬라이더(191, 193) 상에 기능성 필름이 로딩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운(down)된다. 이어 도 19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반데르발스 힘에 기초한 점착력을 통해 점착된다.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업(up)된다.The functional film from which the protective film has been peeled off is supplied to the first functional
이와 같이 기능성 필름이 점착 시트(110)에 점착되는 중에 다른 한편에서 제1 패널은 도 2의 ①번에서 ④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unctional film is adhered to the
제1 패널은 ①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해 도 9 내지 도 12의 과정으로 박리되고, ②번 위치에 도달되어 점착력 향상장치(300)에 의해 플라즈마 이온 처리된 다음,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촬영된다. 촬영된 영상 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된다.The first panel reaches
그리고 ④번의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이미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의 점착 시트(110)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제1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하기 위해 제1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은 제1 패널이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되는 중에 진행될 수 있다. And it is supplied to the first functional
얼라인 완료된 제1 패널이 부착위치에 도달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다운(down)된다. 이어, 도 20처럼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더 다운(down)되어 부착 롤러(151)의 작용으로 기능성 필름이 제1 패널에 접촉되도록 한다.When the aligned first panel reaches the attachment position, the
그런 다음, 도 21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10)를 가압하는 힘으로 인해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게끔 한다. 제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업(up)되며, 이의 작용으로 인해 점착 시트가 기능성 필름에서 이탈된다.Then, as shown in FIG. 21, the
이어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은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800)을 따라 이동되다가 ⑦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된다. 이후 ⑧번 위치에 도달되어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된다.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은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 후,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어 대기한다. 이어, 제2 패널 슬라이더(193)에 의해 제2 패널이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되며, 이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0 및 도 21처럼 제2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제1 패널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이 완료된 제품은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을 따라 언로딩(unloading, 도 1 및 도 2 참조)된다.Subsequently, the first panel to which the functional film is attached is moved along the film attachment panel
다음으로, 제2 패널 즉 OLED패널에 기능성 필름 즉 편광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process of attaching a functional film, that is, a polarizing film, to the second panel, that is, the OLED panel will be described.
기능성 필름은 적재 위치에서 제2 필름 이동 경로라인(9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⑨번의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⑦번 위치에 도달되어 얼라인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되고 촬영된 에지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되며, ⑧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된다. The functional film may be finally supplied to the second functional
그리고 필름 슬라이더(195)에 의해 기능성 필름이 먼저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 후, 도 19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어 대기하고, 이어, 제2 패널 슬라이더(193)에 의해 제2 패널이 이동되어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 공급된다. And after the functional film is first moved by the
이어서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50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0 및 도 21처럼 제2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부착이 완료된 제품은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950)을 따라 언로딩(unloading, 도 1 및 도 2 참조)된다.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functional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하나의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으로 개별 기능성 필름(Film)을 부착하는 공정과 복수의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다양한 시스템에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110 : 점착 시트
120 : 장치 본체 130 : 시트 탑재부
140 : 시트 장력 유지부 150 : 기능성 필름 부착부
160 : 모듈 업/다운 구동부 170 : 모듈 주행부
91 : 제1 패널 슬라이더 193 : 제2 패널 슬라이더
192, 194 : 슬라이더 얼라인부 195 : 필름 슬라이더
200 :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210 : 다관절 로봇본체
220 : 로봇 지지바디 230 : 다관절 아암
240 : 로봇 박리헤드 241 :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
242 : 필름 클램프 242c : 곡면부
244 : 클램프 액추에이터 245 : 필름 감지센서
246 : 흡착 유닛 246a : 흡착 패드
300 : 점착력 향상장치 400 : 얼라인 카메라
500 : 제2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600 : 제1 패널 이동 경로라인
700 : 제2 패널 이동 경로라인 800 : 필름부착패널 이동 경로라인
900 : 필름 이동 경로라인 950 : 공용 패널 언로딩 라인100: first functional film attachment device 110: adhesive sheet
120: device body 130: seat mounting portion
140: sheet tension maintenance unit 150: functional film attachment portion
160: module up/down driving unit 170: module driving unit
91: first panel slider 193: second panel slider
192, 194: slider alignment unit 195: film slider
200: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210: articulated robot body
220: robot support body 230: multi-joint arm
240: robot peeling head 241: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242:
244: clamp actuator 245: film detection sensor
246:
300: adhesion improving device 400: alignment camera
500: second functional film attachment device 600: first panel movement path line
700: second panel movement path line 800: film attached panel movement path line
900: film moving path line 950: common panel unloading line
Claims (14)
패널 및 기능성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로봇 박리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본체; 및
상기 롤러지지본체가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박리헤드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리헤드본체는,
상기 롤러지지본체의 하강을 제한하는 롤러하강제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An articulated robot body including a robot support body suppor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n articulated arm connected to the robot support body and having at least three different axes; And
In order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functional film, it includes a film peeling adhesive rotary roll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nd a robot peeling hea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ticulated arm And
The robot peeling head,
A roller support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the film; And
The roller support body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head body to which the relative movement is possible,
The peeling head body,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ompris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lowering of the roller support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미리 결정된 힘으로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도록, 상기 롤러지지본체와 상기 박리헤드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가해지는 힘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peeling head,
It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eeling head body so that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with a predetermined force to provide a buffer against the force applied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ffer unit.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롤러지지본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리헤드본체에 결합되는 인장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buffer unit,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comprising a tensile elastic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eeling head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롤러지지본체가 상기 박리헤드본체를 상대 이동할 때 구름 마찰이 되도록 상기 롤러지지본체와 상기 박리헤드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peeling head,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rolling ball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eeling head body so that rolling friction occurs when the roller support body moves relative to the peeling head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필름 클램프를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클램프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peeling head,
A film clamp disposed adjacent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clamping th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lamp actuator for approaching or driving the film clamp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part.
상기 필름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필름 클램프 본체; 및
상기 필름 클램프 본체에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필름 클램프 본체가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로 접근한 때에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여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접촉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film clamp,
A film clamp body connected to the clamp actuator; And
Contact clamping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lm clamp body, but when the film clamp body approaches the film peeling adhesive rotary roller, it contacts the protective film and clamps th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omprising a part.
상기 접촉 클램핑부는,
상기 필름 클램프 본체로부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필름 클램핑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ct clamping part,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film clamping fingers which are protruded from the film clamp body toward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필름 클램프 핑거의 단부에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9,
An articulated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portion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lm clamp finger.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를 구비하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peeling head,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dsorption unit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the film and hav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pads for adsorbing the panel or the functional film in a vacuum.
상기 다관절 아암은 서로 다른 6축을 갖는 6축 다관절 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joint arm is a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x-axis multi-joint arm having six different axes.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는,
회전롤러본체; 및
상기 회전롤러본체 표면에 코팅된 점착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peeling the film,
Rotary roller body; And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comprising an adhesive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body.
상기 로봇 박리헤드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필름 클램프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필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peeling head,
The multi-joint robotic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lm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adhesive rotary roller for film peeling, and detecting whether the protective film is clamped by the film clam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312A KR102206345B1 (en) | 2018-12-31 | 2018-12-31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312A KR102206345B1 (en) | 2018-12-31 | 2018-12-31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2589A KR20200082589A (en) | 2020-07-08 |
KR102206345B1 true KR102206345B1 (en) | 2021-01-22 |
Family
ID=7160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3312A Active KR102206345B1 (en) | 2018-12-31 | 2018-12-31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63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72297A (en) * | 2020-09-29 | 2021-01-05 | 苏州朗坤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 Flexible OLED cover plate attaching and assembling equipment |
WO2022088109A1 (en) * | 2020-10-30 | 2022-05-05 |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 Attaching device |
CN112520150A (en) * | 2020-12-17 | 2021-03-19 | 江苏科瑞恩自动化科技有限公司 | Stripping mechanism of product surface annular protection film |
KR102692146B1 (en) * | 2021-02-04 | 2024-08-06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Apparatus for detaching a masking ta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4813A (en) | 2001-12-04 | 2003-06-10 | Ricoh Co Ltd | Stripping tool and stripping device |
KR101911691B1 (en) * | 2017-12-21 | 2018-10-25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Plasma apparatus for a panel and film attaching system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97321B (en) * | 2006-03-16 | 2008-06-01 | Wei Ming Huang | Film peeling apparatus |
KR20080071337A (en) * | 2007-01-30 | 2008-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
KR100880554B1 (en) * | 2007-07-13 | 2009-01-30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Polarizer Attachment Device |
KR101818473B1 (en) * | 2011-11-30 | 2018-01-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on film |
KR20130084111A (en) | 2012-01-16 | 2013-07-24 | 주식회사대지정밀 | A film removal method for dfsr |
KR20140007553A (en) * | 2012-07-09 | 2014-01-20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protection film |
-
2018
- 2018-12-31 KR KR1020180173312A patent/KR1022063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4813A (en) | 2001-12-04 | 2003-06-10 | Ricoh Co Ltd | Stripping tool and stripping device |
KR101911691B1 (en) * | 2017-12-21 | 2018-10-25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Plasma apparatus for a panel and film attaching system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2589A (en) | 202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6345B1 (en)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
EP3800135B1 (en) | Film adhering method and film adhering apparatus thereof | |
US10449755B2 (en) | Device for delaminating laminate, delamina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 |
KR102149193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100665577B1 (en) | Automatic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of film on glass | |
US9808937B2 (en) | Film suction mechanism | |
CN101298204B (en) | Device for stripping protective film from polarizer | |
KR101972341B1 (en) | Film attaching system | |
KR102035027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102092017B1 (en) | System for attaching functional film | |
KR10072105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icking polarizer to substrate | |
KR102010247B1 (en) |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nd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having the same | |
KR101588979B1 (en) | Detaching apparatus and detaching method | |
KR20140104113A (en) | System for attaching functional film using porous belt | |
KR101972781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20190053371A (en) |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JP3813434B2 (en) | Substrate peeling apparatus and substrate peeling method | |
KR102148674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101972342B1 (en) | Film attaching system | |
KR102093654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102102136B1 (en) |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 |
KR101911691B1 (en) | Plasma apparatus for a panel and film attach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2252623B1 (en) | Articulated robot type protective film peeling apparatus | |
KR20190075500A (en) | Apparatus for cleaning film and film attach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190075498A (en) |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to panel and film attaching system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