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04B1 - Foldable frame - Google Patents
Foldable fr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504B1 KR102200504B1 KR1020200067544A KR20200067544A KR102200504B1 KR 102200504 B1 KR102200504 B1 KR 102200504B1 KR 1020200067544 A KR1020200067544 A KR 1020200067544A KR 20200067544 A KR20200067544 A KR 20200067544A KR 102200504 B1 KR102200504 B1 KR 102200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s
- frame
- installation
- fixing member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55 vac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블 액자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icture frame,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며,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보관 및 유통이 편리하고, 책상이나 책장에 펼침상태로 전시되거나 벽에 걸어 고정할 수도 있어 사진이나 각종 표창장,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내장체 전시 특성과 고급감이 우수한 폴더블 액자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and unfolded around the hinge, and the folding angle is fixed by a fixing member for convenient storage and distribution, and can be displayed in an open state on a desk or bookcase, or can be fixed by hanging on a wall. It relates to a foldable picture frame that has excellent display characteristics and luxury for various interiors such as photographs, various commendations, insignia, decorations, medals, etc.
통상의 액자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19-0131895호(공개일자 2019년11월27일) [접이식 받침대가 구비된 액자]가 있는데,As a technology related to a conventional frame,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1895 (published on November 27, 2019) [Picture frame with folding bracket].
이는 상장, 증서, 사진, 훈장, 표장 등을 진열하며, 메인 프레임 후방의 결합 단턱부에 유리판, 진열 부재, 접이식 받침대가 결합된 마감 패널을 삽입하여 테두리의 걸림편을 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또는 지지 해제하도록 결합 사용하되, 특히 상기 걸림편이 축 결합되는 안쪽과 받침대가 접이된 상태에서 양 측방에 손가락을 약간 삽입할 수 있는 파지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걸림편의 축회전 조작이나 받침대의 펼침 조작을 간단히 수행하도록 하는 접이식 받침대가 구비된 액자가 개시되어 있다.It displays awards, certificates, photographs, decorations, marks, etc., and is supported or supported by axial rotation of the locking piece of the frame by inserting a finishing panel in which a glass plate, display member, and folding stand are combined in the coupling stepped portion at the rear of the main frame. It is used in combination to release the support, but in particular, by forming a gripping space in which a finger can be slightly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where the locking piece is axially coupled and the base is folded, the axial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ing piece or the expansion operation of the base is performed. There is disclosed a picture frame provided with a folding pedestal to perform simply.
다른 형태의 액자와 관련해서는 특허등록 제10-1950572호(등록일자 2019년02월14일) [영유아용 액자]가 있는데,Regarding other types of picture frames, there is Patent Registration No. 10-1950572 (registration date February 14, 2019) [Picture Frames for Infants and Toddlers].
이 등록특허는 영유아의 사진을 끼우고 태줄, 도장, 반지 등의 기념품을 수납할 수 있는 액자기능과, 기념일 및 예방접종일 등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볼 수 있는 기능과,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바,This registered patent has a frame function that can store souvenirs such as tabs, stamps, rings, etc. with pictures of infants and toddlers, a function that can input and view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niversaries and vaccination dates, and displays the date and time. It has the function of
투명덮개를 가진 지지몸체에 서랍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부의 정면에 영유아사진을 끼움과 동시에 액자부의 후면에 태줄, 도장, 반지 등의 기념품이 보이지 않게 수납하고, 지지몸체의 정면 일측에 액자부와 조화를 이루도록 영유아의 기념일 및 예방접종일 등의 신상 정보를 날짜별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일시표시부를 각각 배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fant photos are inserted in the front of the frame part,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in a drawer-type on the supporting body with a transparent cover, and at the same time, souvenirs such as tabs, seals, and rings are stored invisible at the back of the frame part. In order to harmonize, the display unit and the date and time display unit are arranged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niversaries and vaccination dates of infants can be viewed by date, so that not only can the product value be increased, but also a specific plan can be made according to time. It works.
또 특허공개 제10-2015-0119643호(공개일자 2015년10월26일) [절첩식 병풍형 액자 앨범]이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9643 (Publication date October 26, 2015) [Foldable folding screen type photo frame album].
이 공개특허는 방, 또는 거실에서 탁자나 테이블 또는 책장 위에 거치할 수 있으며 절첩이 가능한 병풍 형태로 구성되어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바, This published patent can be mounted on a table, table, or bookcase in a room or living room,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oldable folding screen to increase aesthetics and maximize space utilization,
이를 통하여 액자 앨범을 절첩 가능한 병풍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많은 사진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장식이 필요한 경우에는 펼쳐서 테이블 등의 거치대 위에 놓을 수 있으므로 실내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등 자유롭게 인테리어를 가꿀 수 있다.Through this, the framed album is composed of a foldable folding screen so that many photos can be accommodated at once, and when it is stored, it can be folded and stored, and when decoration is required, it can be opened and placed on a table, etc. You can freely decorate the interior, such as having it.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9-0079001호(공개일자 2019년07월05일) [병풍 겸용 액자]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9001 (published date July 5, 2019) [Frame for both folding screens].
이 공개특허는 병풍 겸용 액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액자몸체; 상기 둘 이상의 액자몸체의 일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힌지;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액자몸체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This patent discloses that a picture frame for a folding scree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picture frame body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One or more hinges rotatab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two or more frame bodies;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upports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two or more frame bodies,
액자를 병풍구조로 만들게 되어 보관 및 거치가 편하고, 이름표 및 장식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미관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frame is made in a folding screen structure, it is easy to store and mount, and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isplay a name tag and decoration, so that it can have an aesthetic advantage.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다양 액자는 폴더블 액자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가지며, 사진이나 표창장과 같은 평면의 박형 내장체 외에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입체 내장체의 수용도 가능하며 특히 폴딩 각도를 고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가 크다.However, such conventional various picture frames have a more convenient function in constructing a foldable picture frame shape, and in addition to flat thin interiors such as photographs and citations, various three-dimensional interiors such as insignia, decorations, medals, etc. can be accommodated. In particular, folding angles There i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fixing.
이에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며,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보관 및 유통이 편리하고, 책상이나 책장에 펼침상태로 전시되거나 벽에 걸어 고정할 수도 있어 사진이나 각종 표창장,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내장체 전시 특성과 고급감이 우수한 폴더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and unfolded around a hinge, and the folding angle is fixed by a fixing member for convenient storage and distribution, and can be displayed in an open state on a desk or bookcase or fixed by hanging on a wall.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foldable picture frame with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high-quality display of various interiors such as photos, various commendations, insignia, decorations, medals, etc.
또 본 발명은 사진이나 표창장과 같은 평면의 박형 내장체 외에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입체 내장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1 및 제2 수용부가 투시창용 제1설치부, 내장체용 제2설치부 및 커버용 제3설치부를 갖도록 구성한 폴더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accommodate various three-dimensional interiors such as insignia, medals, medals, etc. in addition to flat thin interiors such as photographs and citat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picture frame configured to have an installation part, a second installation part for an interior, and a third installation part for a cover.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접면에는 폴딩 상태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4설치부를 가져 내장체의 관찰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고정부재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폴더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picture frame that has a fourth installation part to which a folding stat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the fixing member without disturbing the observation of the interior body. do.
나아가 본 발명은 제4설치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3설치부와 연통되어 있어 후면 커버를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picture frame in which the fourth installation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third installation unit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so that the rear cover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a separate hand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는 제1수용부를 갖는 제1프레임;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rame hav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제2수용부를 갖는 제2프레임; 및A second frame having a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A hing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힌지에 의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이 폴딩되며, Consisting of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by the hinge,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ing angle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by a fixing member.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는 In addition, the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 제2 수용부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차례로 구비된 투시창용 제1설치부, 내장체용 제2설치부 및 커버용 제3설치부를 갖고,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each have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for a viewing window, a second installation portion for an interior body, and a third installation portion for a cover, which are sequentially provided from front to rear,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접면에는 폴딩 상태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4설치부가 구비되어 있고,A fourth installation part to which a folding state fixing member is coupled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상기 제4설치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3설치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installation portion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third installa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는 제1 및 제2 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며,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며, 또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1 및 제2 수용부가 투시창용 제1설치부, 내장체용 제2설치부 및 커버용 제3설치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사진이나 표창장과 같은 평면의 박형 내장체 외에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입체 내장체의 수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접면에는 폴딩 상태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4설치부를 가져 내장체의 관찰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고정부재의 도입을 용이하고, 나아가 제4설치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3설치부와 연통되어 있어 후면 커버를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결국 보관 및 유통이 편리하고, 책상이나 책장에 펼침상태로 전시되거나 벽에 걸어 고정할 수도 있어 사진이나 각종 표창장,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내장체 전시 특성과 고급감이 우수하다.In the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and unfolded around a hinge, the folding angle is fixed by a fixing member,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It is configured to have a first installation part for the interior, a second installation part for the interior, and a third installation part for the cover,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various three-dimensional interiors such as insignia, decorations, medals, in addition to the flat thin interiors such as photographs and award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have a fourth installation part to which the folding stat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facilitate introduction of the fixing member without disturbing the observation of the interior body, and furthermore, the fourth installation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Since it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third installation part, the rear cover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a separate handle, and in the end,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distribute, and it can be displayed in an open state on a desk or bookshelf, or it can be fixed by hanging it on the wall, so it is possible to obtain photos or various awards. It has excellent display characteristics and sense of quality for various interiors such as emblems, decorations, medals, et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에 대한 결합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에 대한 요부 분해도 및 결합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5는 고정부재와 관련된 기본 및 변형예에 대한 배면도.1 is a combined view of a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state diagram of a use of a foldabl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basic and modified example related to the fix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ens and ones, or the same number of tens, ones, and alphabet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ber can be identifi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 (or thick) or small (or thin) or simplified the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is limi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only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etc., and are not limited to superiority or inferiority or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claims The names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foldable picture fram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a rough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 [A]의 정면도에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the state as shown in the front view of Fig. 1 [A], the top and bottom,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are divided, and directions are specified and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ed to other drawings.
먼저 도 1 [A]의 정면 사시도, 도 1 [B]의 배면 사시도, First,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 1 [A],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B],
도 2 [A]의 커버(15) 분리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2 [B]의 결합단면도,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의 액자 진열상태 사시도,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display state of Figure 3,
도 4의 폴딩 상태의 사시도,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FIG. 4,
도 5의 고정부재(40)의 기본형 및 변형 모델과 관련된 배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 shown in the rear perspective view related to the basic type and the modified model of the fixing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액자(A)는 제1 및 제2 프레임(10,20)과, 이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30)를 포함하고,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된다.The foldable picture fram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은 도면에서 대칭형 구조이나 필요에 따라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또 제3프레임 등 추가 프레임이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은 제1 및 제2 수용부를 갖는데, 편의상 제1수용부(10S)를 위주로 설명한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 수용부, 즉 제1수용부(10S)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차례로 구비된 투시창(11)용 제1설치부(S1), 내장체(13)용 제2설치부(S2) 및 커버(15)용 제3설치부(S3)를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that is, the first
제1 내지 제3 설치부((S1,S2,S3)는 다단 구조를 가져 구획되어 있다.The first to third installation portions (S1, S2, S3) have a multistage structure and are divided.
투시창(11)은 유리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투광성 소재로 구성된다.The
내장체(13)는 개별 서브프레임(13A)으로 구성되어 이 자체가 독자적인 액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내장체(13)의 서브프레임(13A)에 구비된 진열체(13a,13b)는 사진이나 표창장과 같은 평면의 박형 내장체 외에 휘장, 훈장, 메달 등의 다양한 입체 내장체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이나 내장체(13)의 서브프레임(13A)은 필요에 따라 목재, 집성목, 금속, 합성수지, 재활용 수지 등 다양한 소재나 이들의 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The first and
도 3 및 도 4의 하부 일점쇄선 원 내에는 목재 등으로 프레임(10,20,13A)을 구성하며 조립형인 경우, 상하좌우 틀과 모서리 틀을 조립하여 제조하는 형태의 분해도면을 도시하고 있다.In the lower one-dot chain circle of FIGS. 3 and 4, frames 10, 20, and 13A are constructed of wood or the like, and in the case of an assembly type, an exploded view of a form of assembl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and corner frames is shown.
다음으로 상기 힌지(30)에 의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이 폴딩되는 경우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세팅되는데, Next, when the first and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접면에는 폴딩 상태 고정부재(40)가 결합되는 제4설치부(S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 fourth installation part S4 to which the folding
벽걸이가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 브라켓 타입의 고정부재(40)는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배면 상부 접면에 형성된 제4설치부(S4)에 볼트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힌지(30)는 통상의 경첩을 사용하며, 축설부(31)에 결합된 축핀(33)을 중심으로 폴딩되며, 날개(35)는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접면 측부에 요입된 제5설치부(S5)에 매립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The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완전 접힘 및 펼침시 두 프레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미감이 향상되며 고급감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and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완전 접힘 상태는 접힘시 맞닿는 전면부 마그넷(10m)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그넷(10m)은 둘 다 자석이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로 구성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ully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아울러 제1 내지 제3 설치부((S1,S2,S3)에 각각 투시창(11)(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제1설치부에 고정할 수 있다), 내장체(13), 커버(15)가 결합되는데,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installation parts (S1, S2, S3), respectively, the viewing window 11 (can be fixed to the first installation part through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the
커버는 통상의 액자와 같이 축핀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The cover can be fixed by a bracket that rotates by a shaft pin like a normal picture frame,
본 발명에서는 제3설치부(S3)와 커버(15)에 마그넷(17M,17m)을 매립하여 외형이 평판 그대로의 상태로 깔끔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설치부(S3)와 커버(15) 중 어느 하나만 자석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gnets (17M, 17m) are embedded in the third installation part (S3) and the cover (15) to maintain neat appearance with a flat plate. Only one of the third installation part S3 and the
나아가 상기 제4설치부(S4)는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각 제3설치부(S3)와 연통되어 있어 Furthermore, the fourth installation portion (S4)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third installation portion (S3)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0, 20)
내장체(13)를 제1 및 제2 수용부(즉 제2설치부(S2))에 투입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When inserting or replacing the
커버(15)의 모서리가 제4설치부(S4) 부위에서 돌출되게 되어 이 모서리를 파지하고 커버를 분리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rner of the
두 커버(15)의 제4수용부(S4)측 모서리는 절개되어 모따기부(15a)를 구성한다.The corners of the two covers 15 at the side of the fourth receiving part S4 are cut to form a
한편, 벽걸이가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 브라켓 타입의 고정부재(40)는 필요에 따라 도 5의 상부 좌측 일점쇄선 원 내의 변형 고정부재(40M)와 같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이 고정부재(40M)로 인하여 해당 소정 각도로 세팅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type bracket-
또 평판형 브라켓 타입의 고정부재(40)를 제4설치부(S4)에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 외에,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fixing the fixing
도 5의 상부 중앙 및 좌측 일점쇄선 원 내의 추가 변형 고정부재(40m)와 같이, Like the additional deformation fixing member (40m) in the upper center and left one-dot chain circle of Figure 5,
양 파지부(43)를 잡고 압력을 가하여 좁힘에 따라서 돌출 정도가 조정되는 후크(41)와A
이 후크가 삽입되는 제4설치부(S4)의 걸림홈(S4a)을 통하여Through the locking groove (S4a) of the fourth installation part (S4) into which this hook is inserted
볼트 없이 원터치 형태로 고정부재(40m)를 결합하고, 또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uple and separate the fixing member (40m) in a one-touch form without a bolt.
이상의 설명에서 액자의 제원이나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dimensions or dimensions of the picture frame are omitt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uess, infer, and reproduce them.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액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a fram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I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 액자 10,20: 프레임
10S: 수용부 S1,S2,S3,S4,S5: 설치부
11: 투시창 13: 내장체
15: 커버
30: 힌지 40: 고정부재A:
10S: receiving part S1,S2,S3,S4,S5: installation part
11: viewing window 13: internal body
15: cover
30: hinge 40: fixing member
Claims (4)
제2수용부를 갖는 제2프레임; 및
제1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힌지에 의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이 폴딩되며,
폴딩 각도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1 및 제2 수용부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차례로 구비된 투시창용 제1설치부, 내장체용 제2설치부 및 커버용 제3설치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접면에는 폴딩 상태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4설치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4설치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제3설치부와 연통되어 있어 내장체를 제2설치부에 투입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커버의 모서리가 제4설치부 부위에서 돌출되게 되어 이 모서리를 파지하고 커버를 분리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액자.A first frame hav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A second frame having a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A hing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Consisting of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by the hinge,
The folding angle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each have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for a viewing window, a second installation portion for an interior, and a third installation portion for a cover, which are sequentially provided from front to rear,
A fourth installation part to which a folding state fixing member is coupled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he fourth installation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third installa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so when inserting or replacing the interior body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portion, the edge of the cover protrudes from the portion of the fourth installation portion. Foldable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held and the cover removed.
상기 두 커버의 제4수용부측 모서리는 절개되어 모따기부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양 파지부를 잡고 압력을 가하여 좁힘에 따라서 돌출 정도가 조정되는 후크와, 이 후크가 삽입되는 제4설치부의 걸림홈을 통하여 볼트 없이 원터치 형태로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액자.The method of claim 1,
The corners on the side of the fourth receiving part of the two covers are cut to form a chamfer,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uple and separate in a one-touch form without bolts through a hook whose protrusion degre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arrowing by applying pressure by holding both gripping parts, and a locking groove of the fourth installation part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Folding picture frame.
상기 제1 제3 설치부는 다단 구조를 가져 구획되어 있고, 제1 및 제2 프레임의 완전 접힘 상태는 접힘시 맞닿는 전면부 마그넷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and third installation portions have a multi-stage structure and are di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ully folded and fixed by a front magnet that abuts when folded.
상기 내장체는 개별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이 자체가 독자적인 액자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제3설치부와 커버에 매립된 마그넷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terior body is composed of individual sub-frames, which itself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frame,
The cover is a foldable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hrough a third installation portion and a magnet embedded in the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544A KR102200504B1 (en) | 2020-06-04 | 2020-06-04 | Foldable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544A KR102200504B1 (en) | 2020-06-04 | 2020-06-04 | Foldable fr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0504B1 true KR102200504B1 (en) | 2021-01-08 |
Family
ID=7412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544A Active KR102200504B1 (en) | 2020-06-04 | 2020-06-04 | Foldable fr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50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16710A1 (en) * | 2002-07-03 | 2006-01-26 | Kosann Rod G | Folding photo case |
-
2020
- 2020-06-04 KR KR1020200067544A patent/KR1022005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16710A1 (en) * | 2002-07-03 | 2006-01-26 | Kosann Rod G | Folding photo ca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74896B1 (en) | Glass plate picture frame | |
US5619816A (en) | Free-standing display frame | |
US8146280B2 (en) | Decorative frame assembly and method | |
US20130160340A1 (en) | Device for and method of holding and displaying sheet articles | |
US20040040195A1 (en) |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 |
US6282828B1 (en) | Picture frame | |
US20070193096A1 (en) | Clear display item frame | |
US20070234621A1 (en) | Display apparatus | |
JP2015203780A (en) | Object posting tool | |
KR102200504B1 (en) | Foldable frame | |
US2006007028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ing Greeting Cards | |
US20180111408A1 (en) | Artistic dry-erase board | |
KR20120013855A (en) | Magnetic removable picture frame | |
CN203351176U (en) | Perspective floating projection cabinet | |
US20070193098A1 (en) | Lattice network display device | |
US6510638B1 (en) | Picture frame | |
CA2673695A1 (en) | Picture frame message board | |
US20070113456A1 (en) | Combination writable scroll picture frame display assembly | |
CN201328592Y (en) | Picture frame | |
JP3130329U (en) | Folding screen frame | |
US20080016741A1 (en) | Display panel | |
RU91271U1 (en) | INFORMATION MEDIA | |
US20120050959A1 (en) | Under counter utility board | |
EP3488735B1 (en) | Artistic dry-erase board | |
JPH0414785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