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177B1 -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177B1
KR102197177B1 KR1020170008988A KR20170008988A KR102197177B1 KR 102197177 B1 KR102197177 B1 KR 102197177B1 KR 1020170008988 A KR1020170008988 A KR 1020170008988A KR 20170008988 A KR20170008988 A KR 20170008988A KR 102197177 B1 KR102197177 B1 KR 10219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
power
grid
distributed power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453A (ko
Inventor
이충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7000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177B1/ko
Priority to PCT/KR2017/008590 priority patent/WO2018135716A1/ko
Publication of KR2018008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의 전력을 관리하며, DC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PCS(Power Condition System); 및 DC 링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PCS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은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시간대 및 계절별 변동이 큰 전기부하를 평준화시켜 전반적인 부하율을 향상시킬 경우,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전력설비 증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 등을 절감할 수 있어서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 비상 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 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 압축 공기 저장, 플라이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고,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한편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 시스템, 특히,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은 불안정한 출력으로 인해 전력 흐름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 시스템(즉, 분산 전원 시스템)이 여러 지역에 분포된 경우, 각각의 전원 시스템 근방에는 전원 시스템의 정출력을 보조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너지 저장 장치(E1, E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PCS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너지 저장 장치(E1, E2)는 각각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은 제1 PCS(Power Condition System)(60a)에 의해 전력 상태가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에서 생산된 전력은 제1 배터리(70a)에 저장되거나 계통(GRID) 또는 제1 부하(L1)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1 PCS(60a)는 제1 배터리(70a)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GRID) 또는 제1 부하(L1)로 전달할 수 있고, 계통(GRID)에서 공급된 전력을 제1 배터리(70a)에 저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제2 PCS(60b)에 의해 전력 상태가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서 생산된 전력은 제2 배터리(70b)에 저장되거나 계통(GRID) 또는 제2 부하(L2)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2 PCS(60b)는 제2 배터리(70b)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GRID) 또는 제2 부하(L2)로 전달할 수 있고, 계통(GRID)에서 공급된 전력을 제2 배터리(70b)에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PCS(제1 PCS(60a) 또는 제2 PCS(60b)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즉, PCS는 상위 제어기(5; 예를 들어, PMS(Power Management System) 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전달받은 유효전력 지령값(P_ref*)과 실제 측정된 유효전력값(P_pcs)을 토대로 유효 전력 제어기(20) 및 적분기(25)를 이용하여 q축 전류 지령치(Iq_ref)를 생성한다.
또한 PCS는 상위 제어기(5)로부터 전달받은 무효전력 지령값(Q_ref*)와 실제 측정된 무효전력값(Q_pcs)을 토대로 무효 전력 제어기(10) 및 적분기(15)를 이용하여 d축 전류 지령치(Id_ref)를 생성한다.
또한 PCS는 실제 측정된 3상 전압(Va, Vb, Vc)을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35)에 입력하여 얻은 위상 각(θ)과 실제 측정된 3상 전류(Ia, Ib, Ic)를 좌표축 변환부(40)에 입력하여 정상분(Idq_pcs)을 추출한다.
이후 PCS는 q축 전류 지령치(Iq_ref*), d축 전류 지령치(Id_ref*), 정상분(Idq_pcs)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기(30)를 통해 최종 전압 지령값(Vd_ref*, Vq_ref*)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최종 전압 지령값(Vd_ref*, Vq_ref*)은 좌표축 역변환부(45)를 통해 3상 전압 지령값(Va_ref*, Vb_ref*, Vc_ref*)이 추출되고, 추출된 3상 전압 지령값(Va_ref*, Vb_ref*, Vc_ref*)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생성기(50)로 제공되어 최종 출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PCS에서 생성된 최종 출력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방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계통(GRID)에서 사고(예를 들어, 정전)가 발생한 경우,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차단되고,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제1 PCS(60a), 제2 PCS(60b)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설령,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이 동작한다 하더라도,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의 전력 공급은 불안정해지게 된다.
즉,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차단되는 경우,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1 배터리(70a) 중 하나 이상이 제1 부하(L1)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및 제2 배터리(70b) 중 하나 이상이 제2 부하(L2)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평상시보다 전력 공급량이 많아지게 되어 전력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중 어느 하나에 전력 수급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분산 전원 시스템과 연결된 배터리의 전력도 부족하다면, 해당 분산 전원 시스템의 전력 수급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계통(GRID)이 단절되는 경우, 계통(GRID)을 통해 지나가던 외부 장치의 전력이 송전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PCS도 기존의 제어 방식으로는 계통(GRID) 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계통과 PCS 간 연결이 차단된 경우, PCS가 독립적으로 전압원으로 작동함으로써 분산 전원 시스템의 전력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이 단절된 경우, 계통을 통해 지나가는 외부 장치의 전력이 DC 링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PCS를 통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의 전력을 관리하며, DC(Direct Current)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PCS(Power Condition System); 및 DC 링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PCS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PCS는 제1 PCS 및 제2 PCS를 포함하고, 제1 PCS는, 일단이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DC링크를 통해 제2 PCS와 연결되며, 제2 PCS는, 일단이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DC링크를 통해 제1 PCS와 연결된다.
상기 계통과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복수의 PCS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에 제공한다.
상기 계통과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복수의 PCS는 상위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계통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을 토대로 구동된다.
일 지점에서 계통을 거쳐서 타 지점으로 제공되는 외부 장치의 전력은, 계통이 단절되는 경우, 일 지점에서 복수의 PCS를 거쳐서 타 지점으로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 계통에 연결되고,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의 전력을 관리하고, DC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PCS(Power Condition System) 및 DC 링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PCS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은 제1 분산 전원 시스템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을 포함하고, 복수의 PCS는 제1 PCS 및 제2 PCS를 포함하고, 제1 PCS는, 일단이 제1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타단이 DC링크를 통해 제2 PCS와 연결되며, 제2 PCS는, 일단이 제2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타단이 DC링크를 통해 제1 PCS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BMS로부터 제공받은 배터리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PCS를 제어하는 PMS(Power Management System); 및 PMS로부터 제공받은 배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PMS를 통해 BMS에 제공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PCS는 계통 및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계통과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복수의 PCS는 PMS 또는 EMS로부터 제공받은 계통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를 토대로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계통 사고시 PCS가 독립적으로 전압원으로 구동되어 분산 전원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송전선 역할을 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계통 사고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PCS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도 3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구동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도 3의 PCS가 제어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도 3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구동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도 3의 PCS가 제어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00)는 복수의 PCS(PCS1, PCS2) 및 배터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에너지 저장 장치(100)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 및 계통(GRID)에 연결된다.
복수의 PCS(101a, 101b)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 및 계통(GRID)의 전력을 관리하며, DC(Direct Current) 링크(103)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PCS(101a, 101b)는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S(101a)는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에서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104)에 저장하거나 계통(GRID), 제1 부하(L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PCS(101a)는 배터리(104)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GRID) 또는 제1 부하(L1)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PCS(101a)는 계통(GRID)에서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1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PCS(101a)는 배터리(104)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이하 “SOC 레벨”이라 한다)를 기초로 배터리(104)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고, DC 링크(103)를 통해 제2 PCS(101b)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PCS(101a)는, 일단이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에 연결되고, 타단이 DC 링크(103)를 통해 제2 PCS(101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PCS(101a)는 전력 시장의 전력 가격,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의 발전 계획, 발전량 및 계통(GRID)의 전력 수요 등을 기초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예를 들어, 도 7의 200)의 동작에 대한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PCS(101b)는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서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104)에 저장하거나 계통(GRID), 제2 부하(L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PCS(101b)는 배터리(104)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GRID) 또는 제2 부하(L2)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PCS(101b)는 계통(GRID)에서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1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PCS(101b)는 배터리(104)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이하 “SOC 레벨”이라 한다)를 기초로 배터리(104)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고, DC 링크(103)를 통해 제1 PCS(101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PCS(101b)는, 일단이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 연결되고, 타단이 DC 링크(103)를 통해 제1 PCS(101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PCS(101b)는 전력 시장의 전력 가격,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의 발전 계획, 발전량 및 계통(GRID)의 전력 수요 등을 기초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예를 들어, 도 7의 200)의 동작에 대한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배터리(104)는 DC 링크(103)에 연결되고, 복수의 PCS(101a, 101b)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04)는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계통(GRID)의 전력 중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전력을 계통(GRID), 제1 부하(L1), 제2 부하(L2) 중 하나 이상에 공급할 수 있다. 물론 배터리(104)에 저장된 전력은 계통(GRID) 사고시,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또는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터리(10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은 복수의 베어셀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계통(GRID)에 연결되고,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서로 이격된 전원 시스템이다. 즉,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과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서로 별개의 장소에 위치한 전원 시스템이지만 다른 나머지 분산 전원 시스템보다 서로 근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화석 연료, 원자력 연료, 신재생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조력 발전 시스템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 발전 시스템일 수 있다.
계통(GRID)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통(GRID)은 정상 상태일 때, 제1 PCS(101a), 제2 PCS(101b), 제1 부하(L1), 제2 부하(L2)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1 PCS(101a) 또는 제2 PCS(101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반면에, 계통(GRID)은 비정상 상태일 때, 제1 PCS(101a), 제2 PCS(101b), 제1 부하(L1), 제2 부하(L2)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워지고, 제1 PCS(101a) 또는 제2 PCS(101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
제1 부하(L1)는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배터리(104), 계통(GRI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소비한다. 또한 제2 부하(L2)는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배터리(104), 계통(GRI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소비한다.
예를 들어, 제1 부하(L1) 및 제2 부하(L2)는 가정, 대형 건물, 공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여 계통(GRID)과 복수의 PCS(101a, 101b)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는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여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 동작(즉, 차단)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차단되고,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제1 PCS(101a), 제2 PCS(101b)의 동작이 정지하였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 차질, 비용 손실 등의 문제 역시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100)에서는,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여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차단되는 경우,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가 도 6에 도시된 제어 알고리즘(방식)을 통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 제1 부하(L1), 제2 부하(L2)는 계통(GRID)이 기존과 같이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게 되어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는 각각 전압원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는 상위 제어 장치(예를 들어, PMS(Power Management System) 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제공받은 계통(GRID)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을 토대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는 정격 범위 내에서 정상적으로 배터리(104)의 충전 또는 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에도,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제1 PCS(101a)가 독립 운전을 통해 배터리(104)에 저장된 전력을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에 제공하고, 제2 PCS(101b)가 독립 운전을 통해 배터리(104)에 저장된 전력을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 제공하는 것이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계통(GRID)이 단절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계통(GRID)이 단절되는 경우,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는 도 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어 알고리즘(방식)을 통해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각각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계통(GRID)이 단절되는 경우, 기존에 계통(GRID)을 통해 지나갔던 외부 장치(미도시)의 전력은 복수의 PCS(101a, 101b)를 통해 계통(GRID)을 우회하여 지나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지점에서 계통(GRID)을 거쳐서 타 지점으로 제공되는 외부 장치(미도시)의 전력은, 계통(GRID)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일 지점에서 복수의 PCS(101a, 101b)를 거쳐서 상기 타 지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을 참조하면,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거나 계통(GRID)이 단절되는 경우,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가 제어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PCS(101a)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제2 PCS(101b)도 제1 PCS(101a)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제1 PCS(101a)가 전압원으로 동작하는 경우, 계통(GRID)의 전압과 주파수에 대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므로, 제1 PCS(101a)는 상위 제어기(105; 예를 들어, PMS 또는 EMS)로부터 계통(GRID)의 전압 지령값(Vac_ref*)과 실제 측정된 전압값(Vac_inv)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PCS(101a)는 전달받은 계통(GRID)의 전압 지령값(Vac_ref*)과 실제 측정된 전압 값(Vac_inv)을 토대로 제2 제어기(120) 및 적분기(125)를 이용하여 q축 전류 지령치(Iq_ref*)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PCS(101a)는 상위 제어기(105)로부터 계통(GRID)의 주파수 지령값(F_ref*)과 실제 측정된 주파수 값(F)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PCS(101a)는 전달받은 계통(GRID)의 주파수 지령값(F_ref*)과 실제 측정된 주파수 값(F)을 토대로 제1 제어기(110) 및 적분기(115)를 이용하여 d축 전류 지령치(Id_ref*)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위 제어기(105)에서는 계통(GRID) 사고를 대비하여 계통(GRID)의 전압(예를 들어, 정격 전압) 및 주파수(예를 들어, 정격 주파수)를 미리 산정하여 제1 PCS(101a)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PCS(101a)는 실제 측정된 3상 전압(Va_inv, Vb_inv, Vc_inv)을 위상 고정 루프(135)에 입력하여 얻은 위상 각(θ)과 실제 측정된 3상 전류(Ia_inv, Ib_inv, Ic_inv)를 좌표축 변환부(140)에 입력하여 정상분(Idq_inv)을 추출한다. 이후 제1 PCS(101a)는 q축 전류 지령치(Iq_ref*), d축 전류 지령치(Id_ref*), 정상분(Idq_inv)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기(130)를 통해 최종 전압 지령값(Vd_ref*, Vq_ref*)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최종 전압 지령값(Vd_ref*, Vq_ref*)은 좌표축 역변환부(145)를 통해 3상 전압 지령값(Va_ref*, Vb_ref*, Vc_ref*)이 추출되고, 추출된 3상 전압 지령값(Va_ref*, Vb_ref*, Vc_ref*)은 PWM 생성기(150)로 제공되어 최종 출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제1 PCS(101a)는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전압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는 계통 사고시 DC 링크(103)를 통해 연결된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가 독립적으로 전압원으로 구동되어 제1 분산 전원 시스템(DG1)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DG2)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거나 송전선 역할을 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계통 사고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는 하나의 상위 제어기(예를 들어, PMS 또는 EMS)에 의해 동시에 관리되기 때문에 시스템 단위에서도 간편하게 전력 흐름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는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가 DC 링크(103)를 통해 연결되어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분산 전원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전력 수급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다른 분산 전원 시스템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100)를 포함하는바, 에너지 저장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은 계통(GRID),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 에너지 저장 장치(100),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1 부하(L1), 제2 부하(L2), BMS(Battery Management System)(160), PMS(Power Management System)(170), EMS(Energy Management System)(180)를 포함할 수 있다.
계통(GRID),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 에너지 저장 장치(100),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1 부하(L1), 제2 부하(L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바, 생략하도록 한다.
BMS(160)는 배터리(10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104)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BMS(160)는 배터리(104)의 충전 상태인 SOC 레벨을 포함한 배터리(104)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모니터링된 배터리(104)의 상태(예를 들어, 전압, 전류, 온도, 잔여 전력량, 수명, 충전 상태 등) 정보를 제1 PCS(101a) 및 제2 PCS(101b)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MS(160)는 배터리(10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MS(160)는 배터리(104)에 대한 과충전 보호 기능, 과방전 보호 기능, 과전류 보호 기능, 과전압 보호 기능, 과열 보호 기능, 셀 밸런싱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BMS(160)는 배터리(104)의 SOC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MS(160)는 제1 PCS(101a) 또는 제2 PCS(101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배터리(104)의 SOC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PMS(170)는 BMS(160)로부터 제공받은 배터리(104)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PCS(101a, 101b)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MS(170)는 배터리(10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PCS(101a, 101b)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PMS(170)는 BMS(160)로부터 수신한 배터리(104)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PCS(101a, 101b)를 각각의 효율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PMS(170)는 BMS(160)를 통해 배터리(10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수집한 배터리(104) 관련 데이터를 EMS(180)에 제공할 수 있다.
EMS(180)는 PMS(170)로부터 제공받은 배터리(104)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04)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터리(104)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PMS(170)를 통해 BMS(1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계통(GRID) 및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DG1, DG2)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계통(GRID)에 사고가 발생하여 계통(GRID)과 복수의 PCS(101a, 101b)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복수의 PCS(101a, 101b)는 PMS(170) 또는 EMS(180)로부터 제공받은 계통(GRID)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을 토대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를 포함하는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에는 도 7과 같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병렬적으로 2개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에너지 저장 장치(400), 제2 BMS(460), 제3 부하(L3), 제4 부하(L4), 제3 스위치(SW3), 제4 스위치(SW4), 제3 분산 전원 시스템(DG3), 제4 분산 전원 시스템(DG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2개의 병렬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GRID), PMS(570), EMS(580)가 공통으로 1개만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계통(GRID), PMS(570), EMS(580)가 공통적으로 1개만 존재함으로써 각각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 대비 더 넓은 지역에 분포된 분산 전원 시스템(DG1~DG4)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및 관리가 가능하다.
물론, PMS(570), EMS(580), 계통(GRID)이 각각 복수개일 수 있고, 도 7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같은 구성이 단순히 병렬적으로 2개 존재하는 구성 또는 1개의 계통(GRID)에 복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병렬적으로 연결된 구성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계통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상기 계통의 전력을 관리하며, DC(Direct Current)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PCS(Power Condition System); 및
    상기 DC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PCS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PCS는 제1 PCS 및 제2 PC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CS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DC링크를 통해 상기 제2 PCS와 연결되며,
    상기 제2 PCS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DC링크를 통해 상기 제1 PCS와 연결되고,
    상기 계통과 상기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PCS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계통과 상기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PCS는 상위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계통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을 토대로 구동되고,
    일 지점에서 상기 계통을 거쳐서 타 지점으로 제공되는 외부 장치의 전력은, 상기 계통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일 지점에서 상기 복수의 PCS를 거쳐서 상기 타 지점으로 제공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계통;
    상기 계통에 연결되고,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 및 상기 계통의 전력을 관리하고, DC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PCS(Power Condition System); 및
    상기 DC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PCS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은 제1 분산 전원 시스템 및 제2 분산 전원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PCS는 제1 PCS 및 제2 PC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CS는, 일단이 상기 제1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DC링크를 통해 상기 제2 PCS와 연결되며,
    상기 제2 PCS는, 일단이 상기 제2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DC링크를 통해 상기 제1 PCS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BMS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PCS를 제어하는 PMS(Power Management System); 및
    상기 PMS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PMS를 통해 상기 BMS에 제공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PCS는 상기 계통 및 상기 복수의 분산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계통과 상기 복수의 PCS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PCS는 상기 PMS 또는 상기 EMS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계통의 전압 기준값과 주파수 기준값을 토대로 구동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08988A 2017-01-19 2017-01-1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19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88A KR102197177B1 (ko) 2017-01-19 2017-01-1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CT/KR2017/008590 WO2018135716A1 (ko) 2017-01-19 2017-08-0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88A KR102197177B1 (ko) 2017-01-19 2017-01-1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53A KR20180085453A (ko) 2018-07-27
KR102197177B1 true KR102197177B1 (ko) 2020-12-31

Family

ID=6290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88A KR102197177B1 (ko) 2017-01-19 2017-01-1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7177B1 (ko)
WO (1) WO2018135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8513B (zh) * 2019-02-28 2023-08-18 深圳市科陆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梯次利用车用动力电池储能系统
KR102213831B1 (ko) 2019-10-04 2021-02-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Ems에 의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보호 방법
KR102256434B1 (ko) * 2020-08-14 2021-05-25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분산 에너지저장시스템 통합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6336A (ja) * 2014-05-26 2015-12-14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装置
KR101626911B1 (ko) 2015-02-26 2016-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60B1 (ko) * 2009-12-15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443027B1 (ko) * 2013-02-20 2014-09-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 전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8767A (ko) * 2013-07-15 2015-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211363B1 (ko) * 2014-02-11 2021-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KR101689075B1 (ko) * 2015-03-13 2016-1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6336A (ja) * 2014-05-26 2015-12-14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装置
KR101626911B1 (ko) 2015-02-26 2016-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716A1 (ko) 2018-07-26
KR20180085453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47274B (zh) 一种用于可并网和离网运行的微电网系统的能量控制方法
CN104022527B (zh) 直流微网系统
CN102916481A (zh) 一种直流微网系统及其能量管理方法
JP2003339118A (ja) 分散電源システム
US11139675B2 (en)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KR101785825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충전 상태 기반의 드룹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90067986A1 (en)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s
KR10219717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40137545A (ko) 에너지 저장 모듈을 구비한 지능형 배전반 시스템
US20200169089A1 (en) Energy storage system
KR202200270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비상발전기 대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70074631A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분전 시스템
KR20190062812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5981632B1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6142011A (zh) 储能充电系统以及电流配电控制方法
Phayomhom et al.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 in MEA Building
KR20200145802A (ko) 무순단 전원 공급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80090599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구동 방법
CN105186553A (zh) 一种基于智能微网的风力发电系统
KR101336043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갖는 비상 전원 시스템의 스위칭 제어회로
KR10230332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90061498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Barragan-Villarejo et al. Improving the controllability of microgrids through DC links
KR102303342B1 (ko) 돌입 전류에 의한 릴레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