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64B1 -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64B1
KR102196564B1 KR1020200080769A KR20200080769A KR102196564B1 KR 102196564 B1 KR102196564 B1 KR 102196564B1 KR 1020200080769 A KR1020200080769 A KR 1020200080769A KR 20200080769 A KR20200080769 A KR 20200080769A KR 102196564 B1 KR102196564 B1 KR 10219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oving
vibration
vibrating roller
vib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102020008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41Apparatus having both rolling tools and ramming, tamping, or vibra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6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self-propelled or fitted to road vehicles
    • E01C19/264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self-propelled or fitted to road vehicles with attachments for work other than rolling, e.g. grading, scarif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roller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combined with tamping, vibrating, pressing or smoothing consolidation or fini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개량할 지면 또는 기초의 바탕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와, 전처리가 완료된 바탕면에 진동롤러를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바탕면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진동롤러를 가동시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바탕면에 진동을 가하여 다지는 제3단계와, 다져진 바탕면의 일측으로 상기 진동롤러를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4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면의 다짐을 완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ivil and building structures using vibration rollers}
본 발명은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 공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지면 또는 기초를 다져 평탄하게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지면 또는 기초를 다져 평탄하게 하기 위해 지면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토사 입자 사이의 공극을 줄여줌으로써 지반을 강화하고 안정화시키는 롤러 다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 다짐장치는 무거운 중량을 갖는 롤러를 다지고자 하는 지면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무거운 중량의 롤러에 의해 지면이 압착되어 다져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해 다짐판이 지면을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지면에 타격을 가함에 따라 지면을 다지는 진동 다짐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짐장치들은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좌우방향으로는 기계적으로 움직일 수 없어 작업자가 무거운 중량의 장치를 힘으로 이동시키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4031호(2007.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적으로 좌우이동 및 회전할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개량할 지면 또는 기초의 바탕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와, 전처리가 완료된 바탕면에 진동롤러를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바탕면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진동롤러를 가동시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바탕면에 진동을 가하여 다지는 제3단계와, 다져진 바탕면의 일측으로 상기 진동롤러를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4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면의 다짐을 완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는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진동롤러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상의 선을 바탕면에 표시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에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한 쌍의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노출되어 바탕면에 가상의 선을 표시하는 레이저빔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롤러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가상의 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확인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에 위치하여 바탕면을 상기 진동롤러의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좌우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와,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롤러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롤러에는 상기 진동롤러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으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거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구동장치가 내장되는 타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옆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바탕면과 접촉하여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일측으로 쓸어내는 다수의 브러시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 하단에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에는 이동장치를 하강시켜 상기 진동롤러의 롤러장치를 바탕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단계와, 하강 된 상기 이동장치를 통해 상기 진동롤러를 바탕면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하강한 상기 이동장치를 승강시켜 상기 롤러장치를 바탕면에 접촉시키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진동롤러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어 유압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수의 피스톤과, 상기 다수의 피스톤과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에 의해 하강 또는 승강하는 직육면체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장치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형성하는 회전방향을 갖는 다수의 회전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체는 상기 이동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회전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롤러를 기계적으로 좌우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의 진동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롤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롤러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체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의 진동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개량할 지면 또는 기초의 바탕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S110), 전처리가 완료된 바탕면에 진동롤러(10)를 위치시키는 제2단계(S120), 바탕면의 일측에 위치한 진동롤러(10)를 가동시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바탕면에 진동을 가하여 다지는 제3단계(S130), 다져진 바탕면의 일측으로 진동롤러(10)를 이동시키는 제4단계(S140), 제3단계(S130) 및 제4단계(S140)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면의 다짐을 완료하는 제5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롤러(10)는 바디(11), 롤러장치(12), 엔진(13) 및 핸들(14)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11)에는 엔진(13)이 안착하고, 핸들(14)이 연결되며, 하면에 롤러장치(12)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장치(12)는 바탕면을 자중으로 누르고 진동을 가하여 바탕면을 실질적으로 다지는 역할을 하고, 엔진(13)은 롤러장치(1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바탕면을 이동하면서 다지도록 할 수 있다.
핸들(14)에는 제어장치(미부호)가 구비되어 롤러장치(12)의 전진, 후진 및 진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핸들(14)을 통해 진동롤러(10)를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진동롤러(10)는 작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표시장치(100), 확인장치(200), 제거장치(300) 및 이동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10)의 표시장치(100), 확인장치(200), 제거장치(300) 및 이동장치(400)와 표시장치(100), 확인장치(200), 제거장치(300) 및 이동장치(400)가 구비된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의 진동롤러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롤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개량할 지면 또는 기초의 바탕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S110), 전처리가 완료된 바탕면에 진동롤러(10)를 위치시키는 제2단계(S120), 바탕면의 일측에 위치한 진동롤러(10)를 가동시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바탕면에 진동을 가하여 다지는 제3단계(S130), 다져진 바탕면의 일측으로 진동롤러(10)를 이동시키는 제4단계(S140), 제3단계(S130) 및 제4단계(S140)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면의 다짐을 완료하는 제5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단계(S130)에는 표시장치(100)를 통해 진동롤러(1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성의 선을 바탕면에 표시하는 단계(S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100)는 케이스(110), 배터리(120) 및 레이저빔(130)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한 쌍을 이루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진동롤러(10)의 전면(11a)에 고정되며,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는 각각 배터리(120)가 구비되어 레이저빔(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레이저빔(130)은 배터리(120)와 연결되고 케이스(110)의 전방에 노출되며 바탕면 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바탕면에 한 쌍의 가상의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레이저빔(130)을 통해 바탕면에 표시된 한 쌍의 가상의 선은 진동롤러(10)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진동롤러(10)의 진행경로를 가이드함에 따라 진동롤러(10)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롤러(10)를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진동롤러(10)에는 확인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확인장치(200)는 표시장치(100)를 통해 표시된 가상의 선을 따라 이동하는 진동롤러(10)의 전방상황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상황에 따라 진동롤러(10)를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인장치(200)는 반사체(210), 각도조절기(220) 및 고정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체(210)는 거울 등과 같이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진동롤러(10)의 전방상황을 진동롤러(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비추는 역할을 하고, 각도조절기(220)는 반사체(210)의 좌우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의 신장이나 확인하고자 하는 면적 또는 위치에 따라 반사체(210)의 반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대(230)는 일단이 각도조절기(2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진동롤러(10)의 전면(11a)에 고정되어 반사체(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대(230)는 다단의 봉 형태로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되거나 관절부재를 구비하여 고정대(230)가 구부러지도록 하여 확인장치(2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인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중 진동롤러(10)의 전방상황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방상황에 따라 진동롤러(10)의 신속한 컨트롤이 가능해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진동롤러(10)에는 제거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거장치(300)는 진동롤러(10)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롤러장치(12)가 지나가기 전에 진동롤러(10)의 전방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거장치(300)는 몸체(310), 벨트(320), 브러시(330) 및 지지대(3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310)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구동장치(미도시)가 내장되고, 진동롤러(10)의 전면(11a) 하단에 구비되어 몸체(3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대(340)를 통해 진동롤러(1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벨트(320)는 몸체(310)의 옆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장치(미도시)의 구동력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브러시(330)는 다수가 벨트(320)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며 바탕면과 접촉하여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벨트(320)의 회전력에 의해 일측으로 쓸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단계(S110)를 통해 제거되지 않은 돌 등과 같은 이물질이나 제1단계(S110)를 통해 전처리한 후 예상치 못한 이물질이 바탕면에 잔존하더라도 다짐 전에 제거장치(300)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짐 전에 제거장치(300)를 통해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로 인해 다짐작업을 재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4단계(S140)에는 이동장치(400)를 하강시켜 진동롤러(10)의 롤러장치(12)를 바탕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단계(S141), 하강 된 이동장치(400)를 통해 진동롤러(10)를 바탕면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42) 및 하강한 이동장치(400)를 승강시켜 롤러장치(12)를 바탕면에 접촉시키는 단계(S1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장치(400)는 베이스(410), 피스톤(420), 이동체(430), 회전체(440) 및 커버(45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41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진동롤러(10)의 좌우 측면(11b)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롤러(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420)은 다수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베이스(410)의 하면에 구비되어 유압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동체(430)는 베이스(410)와 마찬가지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다수의 피스톤(420)과 결합하여 피스톤(420)의 상하방향 움직임에 따라 하강 또는 승강할 수 있으며, 회전체(440)는 다수가 이동체(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450)는 이동체(430)의 상면에 피스톤(42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피스톤(420)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피스톤(4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440)는 바퀴 등과 같은 구조로 구비되어 이동체(43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롤러장치(12)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즉, 진동롤러(10)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420)을 통해 이동체(430)를 베이스(410)로부터 하강하여 회전체(440)가 바탕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롤러장치(12)를 바탕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진동롤러(10)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440)를 통해 진동롤러(10)를 바탕면의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시 피스톤(420)을 통해 이동체(430)를 승강시켜 회전체(440)를 바탕면으로부터 이격함으로써 롤러장치(12)를 바탕면에 접촉시켜 다짐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바탕면에 진동롤러(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롤러(10)를 다음 작업할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회전체(440)는 이동체(43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회전부(441), 한 쌍의 제1 회전부(441)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 회전부(442), 제1 회전부(441) 및 제2 회전부(442)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4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43)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회전부(441)와 한 쌍의 제2 회전부(442)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진동롤러(10)를 바탕면의 일측 즉, 다짐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바탕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롤러(10)를 다짐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바탕면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회전부(442)는 회전하지 않고, 한 쌍의 제1 회전부(441)만 회전되도록 하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진동롤러(10)를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롤러(10)를 후진하여 다짐 작업을 할 때보다 작업자의 진행방향 시야 확보가 용이해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진동롤러 11: 바디
11a: 전면 11b: 측면
12: 롤러장치 13: 엔진
14: 핸들 100: 표시장치
110: 케이스 120: 배터리
130: 레이저빔 200: 확인장치
210: 반사체 220: 각도조절기
230: 고정대 300: 제거장치
310: 몸체 320: 벨트
330: 브러시 340: 지지대
400: 이동장치 410: 베이스
420: 피스톤 430: 이동체
440: 회전체 441: 제1 회전부
442: 제2 회전부 443: 제어부
450: 커버

Claims (3)

  1. 개량할 지면 또는 기초의 바탕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와,
    전처리가 완료된 바탕면에 진동롤러를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바탕면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진동롤러를 가동시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바탕면에 진동을 가하여 다지는 제3단계와,
    다져진 바탕면의 일측으로 상기 진동롤러를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4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바탕면의 다짐을 완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3단계에는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진동롤러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상의 선을 바탕면에 표시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에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한 쌍의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노출되어 바탕면에 가상의 선을 표시하는 레이저빔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롤러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가상의 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확인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에 위치하여 바탕면을 상기 진동롤러의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좌우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와,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롤러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롤러에는 상기 진동롤러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상기 진동롤러의 전방으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거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구동장치가 내장되는 타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옆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바탕면과 접촉하여 바탕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일측으로 쓸어내는 다수의 브러시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진동롤러의 전면 하단에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는 이동장치를 하강시켜 상기 진동롤러의 롤러장치를 바탕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단계와,
    하강 된 상기 이동장치를 통해 상기 진동롤러를 바탕면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하강한 상기 이동장치를 승강시켜 상기 롤러장치를 바탕면에 접촉시키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진동롤러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진동롤러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어 유압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수의 피스톤과, 상기 다수의 피스톤과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에 의해 하강 또는 승강하는 직육면체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장치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형성하는 회전방향을 갖는 다수의 회전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체는 상기 이동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회전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00080769A 2020-07-01 2020-07-01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Active KR10219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69A KR102196564B1 (ko) 2020-07-01 2020-07-01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69A KR102196564B1 (ko) 2020-07-01 2020-07-01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64B1 true KR102196564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69A Active KR102196564B1 (ko) 2020-07-01 2020-07-01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180A (zh) * 2022-09-29 2022-11-25 安徽义泽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道路施工用压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15A (ja) * 1998-07-07 2000-01-25 Taikyoku:Kk 手動操舵式ハンドガイドローラ
KR100784031B1 (ko) 2007-06-28 2007-12-07 여용석 미끄럼방지용 다짐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15A (ja) * 1998-07-07 2000-01-25 Taikyoku:Kk 手動操舵式ハンドガイドローラ
KR100784031B1 (ko) 2007-06-28 2007-12-07 여용석 미끄럼방지용 다짐롤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180A (zh) * 2022-09-29 2022-11-25 安徽义泽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道路施工用压路装置
CN115387180B (zh) * 2022-09-29 2024-04-16 安徽义泽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道路施工用压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564B1 (ko) 진동롤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1007547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지그장치
KR102194969B1 (ko) 콘크리트 평탄화 다짐기
CN112832100B (zh) 水泥混凝土路面修补机
US200802236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Hole in Ground
KR101660446B1 (ko) Tbm의 운용조건 결정 장치
JP5877438B2 (ja) 柱状物立設機及び自走式柱状物立設装置
CN116551381A (zh) 一种用于重型装配式钢梁的加工装置及方法
CA2795895C (en) Anchor cribber
JP6432857B2 (ja) 溝切削装置
JP6169739B1 (ja) 傾斜修復器具
JP2023074455A (ja) 作業システム
KR101500576B1 (ko) 회전형 굴착기의 최적 운용조건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20093308A (ja) コンクリート斫り装置
CN212426646U (zh) 一种市政工程用凹陷路面修补用摊平装置
CN110552392B (zh) 切割臂的框架、切割臂、开槽装置和开槽方法
CN210341877U (zh) 一种土建用打夯机
CN210151707U (zh) 一种建筑施工用夯实机
CN219794564U (zh) 一种地面整平装置
CN114482620A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机械拆除装置及拆除方法
CN106014256A (zh) 一种电力施工用多功能钻孔装置
JP2005127809A (ja) 加振装置及び加振試験方法
KR100955508B1 (ko) 공시체 소성변형 시험장치
CN105604060A (zh) 一种堤坝溃口射桩机及其射桩方法
CN215629867U (zh) 一种路基边坡骨架基槽底打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