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17B1 -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 Google Patents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17B1
KR102191717B1 KR1020197021395A KR20197021395A KR102191717B1 KR 102191717 B1 KR102191717 B1 KR 102191717B1 KR 1020197021395 A KR1020197021395 A KR 1020197021395A KR 20197021395 A KR20197021395 A KR 20197021395A KR 102191717 B1 KR102191717 B1 KR 10219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cell
circuit board
metal case
proof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238A (ko
Inventor
다셍 친
진쳉 리우
바오빙 장
무지안 리
유메이 첸
Original Assignee
이브 에너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브 에너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이브 에너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9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2/105
    • H01M2/124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3Fireproof; Explosion-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1M50/287Fixing of circuit boards to 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서 개시한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는, 전지 상단부에 설치된 보호 회로판 및 전지 베이스부에 설치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셀은 전지롤 및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셀과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 회로판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셀의 케이스를 직접 전지의 케이스로 하고, 전지의 외부에 별도로 케이스를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지의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장착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셀과 전지 케이스를 일체로 하는 기술방안을 사용하여, 셀의 용량을 20-50% 정도 증가하고, 자재 비용을 대폭 감소하며, 이와 동시에 보호 회로판을 직접 셀에 용접하고, 조립 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단 보호 회로판과 셀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본 출원은 전지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방폭 구조, 셀 조립 구조,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일상용품으로서, 각종 기기에 광범위하게 응용되며, 예를 들어 장난감, 키보드 마우스, 리모컨, 카메라, 모형 비행기(model airplane), 손전등, 전자 도어락(door lock), 전자 시계 등 각 유형의 제품에 응용된다. 시중의 전지는 주로 일회용인 탄성 전지(carbon-zinc battery), 알칼리 전지(alkaline battery) 및 충전 가능한 니켈 망간 전지, 니켈 크롬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이 있다. 리튬 전지 기술이 나날이 성숙되고, 동시에 리튬 전지가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이 빠르며, 친환경적이고 기억 효과가 없는 등 장점을 구비하므로, 시중에서는 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가 점차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보급될 기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리튬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방전 특성을 구비하므로, 사용과정에서 내부의 양극, 음극이 단락되어 발열, 연소 심지어 폭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전 위험을 가져다 준다.
현재 리튬 전지 셀은 플렉시블 패키지(flexible package) 및 금속 케이스(스틸 케이스, 알루미늄 케이스 등) 두 종류의 패키징 형식을 구비하며, 플렉시블 패키지 셀은 내부 발열 시 기체를 생성하여 셀 케이스의 팽창을 일으켜, 제품 케이스를 변형시켜 일정한 압력을 방출하므로, 일반적으로 폭발할 확률이 비교적 낮다. 하지만, 금속 케이스에 의해 패키징된 셀은 셀 케이스의 변형을 통해 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셀에 이상이 있을 경우, 셀 내부의 압력은 점점 커져 최종적으로 폭발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속 케이스 셀에 있어서, 내부 압력이 일정한 정도에 도달하였을 경우, 반드시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셀의 압력을 방출하여야만 안전한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는 주로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하나는 USB 충전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일체형 USB 전지이고, 다른 하나는 전지 및 충전기가 분리된 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이다. 후자는 별도의 어댑터(adapter)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가져다 준다.
종래의 USB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구비(내장)하는 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의 구조는 셀, 보호 및 전압 변환 회로판, 케이스 등 부재로 구성된다. 셀은 플렉시블 패키지 또는 금속 케이스에 의해 패키징되고, 보호 및 전압 변환 회로판은 리튬 전지 보호 회로, 전압 변환 회로, 충전 관리 회로로 구성된다. 충전 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지를 충전하고, 방전은 전지 양극 캡을 통해 변환 후의 전압, 예컨대 1.5V를 출력하며, 기타 전지, 예컨대 9V 사각형 전지는 +9V 전압을 출력하며, 음극은 전지 케이스이다.
종래의 USB 전지는 "전지 보호, 충전 관리, 전압 변환 회로, USB 인터페이스"를 집적하였으므로, 전지 자체의 공간을 대량으로 차지하여, 전지 용량이 극히 큰 제한을 받는다.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이라면, 셀을 단독적으로 설계함으로 인하여 공간 이용률이 추가로 감소되므로, 전체 전지 용량이 대폭 감소된다. 현재 시중에서 AA 사이즈 전지(AA size battery)는 1000mAH 정도까지 만들 수 있고, AAA 사이즈 전지는 400mAH 정도까지 만들 수 있다. 또한, 셀을 단독적으로 설계할 경우, 전지 조립 또한 비교적 복잡하며, 특히 전지 양극 음극 용접 및 접지 용접 조작에 있어서 난이도가 아주 높다. 이외, 셀을 단독적으로 설계하고 스틸 케이스 내에 내장할 경우, 셀이 압력 방출 설계를 구비하더라도, 외부 스틸 케이스가 압력 방출 경로를 구비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전지 폭발을 쉽게 일으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시중에는 다른 유형의 제품 형태가 나타났으며, 이는 "전지 관리 회로 및 전압 변환 회로"를 전지 내부에 집적하고, 충전 관리 회로를 단독적인 충전기로 설계한 것이며, 상기 충전기는 교류 어댑터 또는 USB 인터페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셀은 여전히 단독적으로 설계되며, 전지는 셀, 보호 및 변환 회로, 외부 케이스 세 부분으로 조성된다. 양극 캡은 변환 후의 전압을 출력하며, 예컨대 AA 사이즈 전지, AAA 사이즈 전지는 +1.5V 전압을 출력하고, 9V 전지는 +9V 전압을 출력하며, 음극은 케이스이다. 종래 기술에 비해, USB 인터페이스가 외장되면, 대량의 공간을 절약하고, 전지 용량은 확대될 수 있다.
USB를 외장하는 방안은, 전지 자체의 공간을 절약하였지만, 외장에 의해 비용이 상승하고, 전지 사용의 휴대성 및 편리성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셀은 여전히 단독적인 설계를 사용하므로, 용량은 여전히 제한되고, 방폭 문제도 해결되지 못했으며, 조립 또한 여전히 복잡하다.
종래의 USB 인터페이스를 자체로 구비(내장)하는 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의 구조는 셀, 보호 및 전압 변환 회로판(보호 회로판으로 통칭함), 케이스 등 부재로 구성된다. 셀은 플렉시블 패키지 또는 금속 케이스에 의해 패키징되고, 보호 회로판은 리튬 전지 보호 회로, 전압 변환 회로, 충전 관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셀과 보호 회로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모두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생산 제조에 아주 큰 어려움을 초래하며, 생산능력이 낮으며, 비용이 높고, 용접 불량 및 단락 등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방폭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셀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채택한다: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며, 상기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는 전지 상단부에 설치된 보호 회로판 및 전지 베이스부에 설치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셀은 전지롤 및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셀과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 회로판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방폭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방폭 구조는 셀을 장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셀을 금속 케이스에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는 고정 연결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을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금속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된다.
USB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며, 상기 USB 충전 가능한 전지는 상술한 방폭 구조를 사용한다.
셀 조립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셀 조립 구조는 양극 어셈블리, 보호 회로판 및 셀을 포함하며, 상기 셀은 강성 전극 핀(electrode pin)을 사용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전극 핀과 매칭되는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과 상기 삽입홀은 긴밀하게 매칭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양극 어셈블리는 양극 캡 및 보호판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된다.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며, 상기 USB 충전 가능한 전지는 금속 케이스, 양극 어셈블리, 보호 회로판, 셀 및 상기 금속 케이스 중에 상기 셀을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전지롤, 양극 전극 핀, 음극 전극 핀 및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은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고, 상기 셀과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 회로판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방폭 구조, 셀 조립 구조 및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plug)의 분해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전지 구조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전지의 다른 시각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I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전지의 분해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의 분해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II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방폭 플러그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방폭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 3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의 분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따른 전지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 3에 따른 전지의 다른 시각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III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따른 전지의 분해 상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의 분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전지의 다른 시각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8에서의 IV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8b는 도 18에서의 V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셀, 금속 케이스 및 방폭 플러그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19a는 도 19에서의 VI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방폭 플러그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방폭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 4에 따른 전지의 분해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사용한 기술방안 및 얻게 된 기술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추가로 상세한 서술을 진행한다. 분명할 것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얻은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서술에 있어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접속", "연결", "고정"은 광범위한 뜻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들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분야 통상의 기술자들은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과 제 2 특징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특징과 제 2 특징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이들 사이의 기타 특징을 통해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상부", "상방" 및 "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바로 위쪽 및 사선 윗방향에 있거나, 단지 제 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 2 특징보다 높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하부", "하방" 및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바로 아래쪽 및 사선 아래방향에 있거나, 단지 제 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 2 특징보다 낮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는 전지 상단부에 설치된 보호 회로판(11) 및 전지 베이스부에 설치된 셀(12)를 포함하고, 상기 셀(12)는 전지롤(121) 및 금속 케이스(122)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12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보호 회로판(11)은 보호판 지지 구조(13)에 설치되며, 상기 셀(12)와 상기 보호 회로판(11)은 상기 보호 회로판(11)에 설치된 소켓(1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11)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15)가 설치된다.
본 방안에서는 일체화 셀(12), 즉 셀(12)의 케이스를 직접 전지의 케이스로 하고, 전지의 외부에 별도로 케이스를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지의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장착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셀(12)과 전지 케이스를 일체로 하는 기술방안은, 셀(12)의 용량을 20-50% 정도 증가하고, 자재 비용을 대폭 감소하며, 이와 동시에 보호 회로판(11)을 직접 셀(12)에 용접하고, 조립 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단 보호 회로판(11)과 셀(12)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케이스(122)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금속 케이스(122)의 개구단에서 방폭 플러그(16)를 통해 상기 셀(12)을 패키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폭 플러그(16)는 방폭 플러그(16)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16)의 본체에는 상기 셀(12)의 양극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 및 상기 셀(12)의 음극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셀(12)의 양극과 음극은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모두 강성 구조로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을 쉽게 관통하고, 상기 소켓(14)과 삽입 연결되며, 상기 양극 핀홀과 상기 양극은 억지 끼워맞춤되고, 상기 음극 핀홀과 음극은 억지 끼워맞춤된다. 억지 끼워맞춤은 전해액이 상기 위치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확보하여, 전지의 밀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기술방안으로서, 본 실시예의 상기 방폭 플러그(16)는 상기 보호 회로판(11)의 일부가 상기 금속 케이스(122)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 케이스(12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122)에서 상기 방폭 플러그(16)가 설치된 위치에는 요입홈(1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17)은 상기 금속 케이스(122)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16)는 상기 요입홈(17)에 설치되면서 상기 요입홈(17)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12)이 밀폐되도록 한다. 본 방안에서의 셀(12) 케이스는 전통적인 셀(12)의 케이스의 구조와 상이하며, 셀(12)은 케이스에 장착되어도 단지 일부 공간만 차지하고, 나머지 공간은 방폭 플러그(16), 보호 회로판(11)의 장착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폭 플러그(16)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122)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18)이다.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압력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압력 방출부는 압력을 방출하여,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크므로 인해 전지가 폭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 방출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압력이 압력 방출부에서 방출될 경우, 추가적인 압력 배출 공간이 필요하며, 본 방안 실시예에서는 압력 방출 영역(18)을 제공하여 압력 배출을 진행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방출 영역(18)은 상기 보호 회로판(11) 외부에 슬리빙되는 양극 캡(110)의 내부이며, 양극 캡(110)의 내부는 소자에 의해 충진되지 않은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므로, 셀(12) 내부의 압력을 상기 공간에 방출함으로써 압력 방출을 진행할 수 있다.
양극 캡(110) 내부의 공간은 제한되므로, 추가적인 바람직한 기술방안으로서,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방출 영역(18)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상기 양극 캡(110)의 내부와 연통된 전지 외부일 수도 있다. 상기 방안을 통해 전지 내부의 압력을 한꺼번에 전지의 외부 공간에 배출하여, 전지 폭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판(11)에는 상기 금속 케이스(122)와 맞닿을 수 있는 음극 접지편(1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19)은 메탈 돔(metal dome)으로 제조된다. 상기 요입홈(17)은 롤링 방식에 의해 상기 금속 케이스(122)의 롤링홈에 형성된다.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11)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11)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12)의 전극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terminal post)에 연결된다.
상기 양극 캡(positive electrode cap)(110)은 상기 보호 회로판(11)의 외부에 슬리빙되고, 상기 양극 캡(110)의 외주면과 상기 금속 케이스(122)의 외주면의 사이즈는 대응되고, 상기 양극 캡(110)과 상기 금속 케이스(122) 사이는 상대적인 절연을 이룬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양극 캡(110)의 설치는 본 방안의 필수 요소에 속하지 않으며, 기타 실시예에서 직접 보호판 지지 구조를 사용하여 충전 가능한 전지의 상단부 케이스로 할 수도 있고, 그 외관 사이즈는 금속 케이스의 사이즈와 대응되어, 필요한 전지 모델을 형성한다.
실시예 2:
도 6~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폭 구조는 셀(21)을 장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22) 및 상기 셀(21)을 금속 케이스(22)에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22)는 고정 연결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23)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압력 방출부(231)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22)의 내부 및 상기 금속 케이스(22)의 외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폭 플러그 본체(23)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231)를 설치함으로써,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클 경우, 압력 방출부(231)가 압력의 작용을 받아 먼저 파괴되고, 압력이 압력 방출부(231)에서 방출되므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방안을 실시하는 중점은, 압력 방출부(231)의 강도가 금속 케이스(22)의 강도 및 방폭 플러그 본체(23)와 금속 케이스(22)의 연결 위치의 강도보다 약하며, 즉 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가 발생하였을 시, 압력 방출부(231)가 기타 위치에 비해 먼저 파괴되도록 확보하며, 압력을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여 압력 배출이 제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폭발의 발생을 방지하고, 의외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에는 상기 셀(21)의 양극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232) 및 상기 셀(21)의 음극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23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 방출부(231)는 상기 양극 핀홀(232) 및 상기 음극 핀홀(2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양극 핀홀(232) 및 음극 핀홀(233)의 설치 방향은 방폭 플러그 본체(23)의 두께 방향이고, 방폭 플러그 본체(23)의 원주부와 금속 케이스(22)의 내벽은 서로 맞닿는다.
여러 가지 실현 방식으로 압력 방출부(231)의 강도를 방폭 플러그 본체(23)의 강도보다 약하게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 방출부(231)를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에 설치한 비통홀 구조 형식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방출부(231)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2311); 및 상기 압력 방출홀(2311)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2312)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러그(2312)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는 일체적인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플러그(2312)와 방폭 플러그 본체(23)를 일체적인 구조로 설치하며, 즉 방폭 플러그 본체(23)에 카운터 보어(counter bore) 구조를 형성하고, 카운터 보어 베이스부를 압력 방출부(231)로 하고, 카운터 보어 베이스부의 벽 두께에 따라 압력 방출부가 견딜 수 있은 압력 범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통홀 구조의 가공 방식은 방폭 플러그의 가공 과정에서 방폭 플러그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고, 기타 실시예에서는 방폭 플러그 본체(23)에서 절삭 가공을 통해 일부분 재료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폭 플러그 본체(23)는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자재이고, 압력 방출부(231)도 마찬가지로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재료이며, 기타 실시예에서는 방폭 플러그 본체(23)는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재료이고, 압력 방출부(231)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설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231)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2311); 및 상기 압력 방출홀(2311)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2312)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러그(2312)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23)는 분리형 구조이고, 상기 압력 플러그(2312)와 상기 압력 방출홀(2311)은 억지 끼워맞춤된다. 억지 끼워맞춤 방식을 통해 압력 플러그(2312)를 형성한 구조는 마찰력의 크기를 통해 압력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며, 내부 압력이 마찰력의 크기를 초과하였을 경우, 압력 방출부(231)는 외부로 밀려 점차적으로 압력 방출홀(2311)에서 이탈되어 내부 압력의 방출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케이스(22)는 원형 구조이고,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22)의 외관은 서로 대응된다. 상기 방폭 플러그에는 두 개의 압력 방출홀(2311)이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압력 방출홀(2311)의 형상은 원형이다.
압력 방출홀(2311)의 수량 및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서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실시예에서 압력 방출홀(2311)은 수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압력 방출홀(2311)의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케이스(22)는 원주부를 따라 롤링홈(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롤링홈(24)은 상기 금속 케이스(22)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롤링홈(24)에 설치되어 상기 롤링홈(24)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21)이 밀폐되도록 한다.
롤링홈(24) 구조를 설치하여 방폭 플러그와 맞닿는 것을 통해 방폭 플러그가 충분히 끼워지도록 하므로, 내부 압력의 작용하에 방폭 플러그 본체(23)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고, 압력 방출부(231)가 효력을 잃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방안에서 방폭 플러그와 금속 케이스(22) 사이의 상호 작용력은 압력 방출부(231)가 받을 수 있는 한계 압력보다 크며, 압력 방출부(231)가 힘을 받아 파괴될 경우에도 방폭 플러그는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방폭 구조를 사용한 USB 충전 가능한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금속 케이스(22)는 셀(21)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부 장착 공간(26); 및 USB 충전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상단부 장착 공간(25)을 구비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베이스부 장착 공간(26)과 상기 상단부 장착공간(2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금속 케이스에서 상기 상단부 장착 공간(25)과 멀리하는 단부에는 음극 플랫폼(27)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11~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서술한 셀 조립 구조는 양극 어셈블리(31), 보호 회로판(32) 및 셀(33)를 포함하며, 상기 셀(33)는 강성 전극 핀(34)을 사용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32)에는 소켓(3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35)에는 상기 전극 핀(34)과 매칭되는 삽입홀(39)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34)과 상기 삽입홀(39)은 긴밀하게 매칭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33)와 상기 소켓(35)이 전기적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양극 어셈블리(31)는 양극 캡 및 보호판 지지 구조(36)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32)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36)에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보호 회로판(32)의 생산 테스트가 완료된 후, 보호 회로판(32)을 셀(33)에 직접 삽입하면 조립을 완성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생산 자동화를 실현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방안은 전지의 셀(33)과 보호 회로판(32) 및 금속 케이스의 연결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의 비용 및 인공 용접으로 인한 불안전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보호 회로판(32) 설치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본 방안 실시예에서는 보호판 지지 구조(36)의 보호 회로판(32)에 대한 지지 방식, 보호판 지지 구조(36)와 보호 회로판(32) 사이의 연결 방식을 제공하고 그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여러가지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36)와 상기 보호 회로판(32)은 탈착 가능한 연결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36)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37)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37)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32)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32)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33)의 전극 핀(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에 연결된다.
본 방안에서 금속 케이스(313)는 셀(33)의 음극과 연결되어 전지 음극을 형성하고, 보호 회로판(32)에는 양극 포스트가 설치되고, 양극 포스트와 셀(33)의 양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 양극을 구성한다. 보호 회로판(32)의 양극 포스트는 상기 지지 본체(37)의 통홀을 관통하고, 지지 본체(37)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소켓(35)은 소켓 본체(38)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38)에는 상기 셀(33)의 단부를 향해 상기 삽입홀(3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 본체(38)에서 상기 삽입홀(39)을 멀리하는 단부에는 리드선(3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34)은 상기 삽입홀(39)과 긴밀하게 매칭된 후 상기 리드선(310)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방안에서 보호 회로판(32)에는 소켓(35)이 설치되어 셀(33)의 양극과 음극을 소켓(35)과 삽입 연결되는 방식을 통해 보호 회로판(32)과 전기적 연결하므로, 용접된 구조에 비해 작업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하고, 제품 합격률을 더욱 잘 확보하고, 생산 비용을 낮춘다.
상기 보호 회로판(32)에는 음극 접지편(3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311)은 메탈 돔으로 제조되며, 상기 음극 접지편(311)은 상기 보호 회로판(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편 제1단 및 상기 보호 회로판(32)과 멀리하는 접지편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회로판(32)이 금속 케이스(313)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접지편 제2단과 상기 금속 케이스(13)는 맞닿게 된다.
본 방안에서 메탈 돔에 의해 지지된 음극 접지판(311)을 설치하여 금속 케이스(313)와 맞닿음으로써 접지를 실현하므로, 접촉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접촉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본체(37)의 외부에는 링형 보스(312)가 설치되어 있고, 조립상태에서 상기 링형 보스(312)는 상기 양극 캡과 금속 케이스(3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 캡과 상기 금속 케이스(313)가 상대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셀(33)을 장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3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313)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금속 케이스(313)의 개구단은 방폭 플러그(314)를 통해 상기 셀(33)을 패키징한다. 상기 방폭 플러그(314)와 상기 금속 케이스(313)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314)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강도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313)의 내부 및 상기 금속 케이스(313)의 외부와 연통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 캡과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36)는 일체적인 구조일 수도 있고, 금형 내 사출을 통해 일체로 가공 성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는 셀 조립 구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셀 조립 구조는 양극 어셈블리, 보호 회로판 및 셀을 포함하며, 상기 셀은 강성 전극 핀을 사용하고, 상기 양극 어셈블리는 양극 캡 및 보호판 지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 핀은 용접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셀 조립 구조를 사용하여 셀(33) 조립을 진행한 USB 충전 가능한 전지를 더 제공한다.
실시예 4:
도 16~2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서술한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는, 금속 케이스(44), 양극 어셈블리(423), 보호 회로판(41), 셀(42) 및 상기 셀(42)을 상기 금속 케이스(44)에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48)를 포함한다.
상기 셀(42)은 전지롤(43), 양극 전극 핀(424), 음극 전극 핀(424) 및 금속 케이스(4)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44)에 의해 구성되며; 본 방안에서는 일체화 셀(42), 즉 셀(42)의 케이스를 직접 전지의 케이스로 하고, 전지의 외부에 별도로 케이스를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지의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장착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셀(42)과 전지 케이스를 일체로 하는 기술방안은, 셀(42)의 용량을 20-50% 정도 증가하고, 자재 비용을 대폭 감소하며, 이와 동시에 보호 회로판(41)을 직접 셀(42)에 용접하고, 조립 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단 보호 회로판(41)과 셀(42)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판(41)은 보호판 지지 구조(45)에 설치되고, 상기 셀(42)과 상기 보호 회로판(1)은 상기 보호 회로판(41)에 설치된 소켓(4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41)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47)가 설치되고, 소켓(46)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보호 회로판(41)의 생산 테스트가 완료된 후, 보호 회로판(32)을 셀(42)에 직접 삽입하면 조립을 완성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생산 자동화를 실현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전지의 셀(42)과 보호 회로판(41) 및 금속 케이스의 연결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의 비용 및 인공 용접으로 인한 불안전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방안에서 제공한 USB 전지는 더욱 좋은 사용 성능을 구비한다.
상기 방폭 플러그(48)는 방폭 플러그 본체(413)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414)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4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410)과 연통된다. 방폭 플러그 본체(413)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414)를 설치함으로써,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클 경우, 압력 방출부(414)는 압력의 작용을 받아 먼저 파괴되고, 압력은 압력 방출부(414)에서 방출되므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케이스(44)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개구단은 방폭 플러그(48)를 통해 상기 셀(42)을 패키징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48)는 방폭 플러그 본체(413)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는 상기 셀(42)의 양극 전극 핀(424)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417) 및 상기 셀(42)의 음극 전극 핀(424)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4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셀(42)의 양극 전극 핀(424)과 음극 전극 핀(424)은 각각 상기 양극 핀홀(417) 및 상기 음극 핀홀(418)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414)는 상기 양극 핀홀(417) 및 상기 음극 핀홀(4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케이스(44)는 원형 구조이고, 상기 방폭 플러그(48)와 상기 금속 케이스(4)의 외관은 서로 대응되며; 기타 실시예에서 금속 케이스(44)의 외관은 기타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방폭 플러그(48)와 금속 케이스(44)의 외관이 대응되도록 확보하여, 밀폐성을 확보할 수만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케이스(44)는 셀(42)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부 장착 공간(421); 및 USB 충전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상단부 장착 공간(420)을 구비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48)는 상기 베이스부 장착 공간(421)과 상기 상단부 장착공간(4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41)의 일부가 상기 금속 케이스(44)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금속 케이스(44)에서 상기 방폭 플러그(48)가 설치된 위치에는 요입홈(4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49)은 상기 금속 케이스(44)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48)는 상기 요입홈(49)에 설치되어 상기 요입홈(49)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42)이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요입홈(49)은 롤링 방식에 의해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롤링홈(419)에 형성된다.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414)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4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41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방출부(414)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 설치된 비통홀 구조이다.
상기 압력 방출부(414)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415); 및 상기 압력 방출홀(415)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4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플러그(416)와 방폭 플러그 본체(413)를 일체적인 구조로 설치하며, 즉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 카운터 보어(counter bore) 구조를 형성하고, 카운터 보어 베이스부를 압력 방출부(414)로 하고, 카운터 보어 베이스부의 벽 두께에 따라 압력 방출부가 견딜 수 있은 압력 범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통홀 구조의 가공 방식은 방폭 플러그(48)의 가공 과정에서 방폭 플러그(48)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고, 기타 실시예에서는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서 절삭 가공을 통해 일부분 재료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폭 플러그 본체(413)는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재료이고, 압력 방출부(414)도 마찬가지로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재료이며, 기타 실시예에서는 방폭 플러그 본체(413)는 고무 재료 또는 기타 탄성 재료이고, 압력 방출부(414)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설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414)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415); 및 상기 압력 방출홀(415)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416)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러그(416)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413)는 분리형 구조이고, 상기 압력 플러그(416)와 상기 압력 방출홀(415)은 억지 끼워맞춤된다. 억지 끼워맞춤 방식을 통해 압력 플러그(416)를 형성한 구조는 마찰력의 크기를 통해 압력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며, 내부 압력이 마찰력의 크기를 초과하였을 경우, 압력 방출부(414)는 외부로 밀려 점차적으로 압력 방출홀(415)에서 이탈되어 내부 압력의 방출을 실현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소켓(46)에는 상기 양극 전극 핀(424) 및 음극 전극 핀(424)과 매칭되는 삽입홀(4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전극 핀(424) 및 음극 전극 핀(424)은 상기 삽입홀(427)과 긴밀하게 매칭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42)와 상기 소켓(4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양극 어셈블리(423)는 양극 캡(412) 및 보호판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41)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된다.
상기 양극 캡(412)은 상기 보호 회로판(41)의 외부에 슬리빙되고, 상기 양극 캡(412)의 외주면과 상기 금속 케이스(44)의 외주면의 사이즈는 대응되고, 상기 양극 캡(412)과 상기 금속 케이스(44) 사이는 상대적인 절연을 이룬다. 상기 지지 본체(425)의 외부에는 링형 보스(429)가 설치되어 있고, 조립상태에서 상기 링형 보스(429)는 상기 양극 캡(412)과 금속 케이스(4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 캡(412)과 상기 금속 케이스(44)가 상대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상기 양극 캡(412)과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일체적인 구조로서, 금형 내 사출을 통해 일체로 가공 성형될 수 있다.
보호 회로판(41) 설치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본 방안 실시예에서는 보호판 지지 구조의 보호 회로판(41)에 대한 지지 방식, 보호판 지지 구조와 보호 회로판(41) 사이의 연결 방식을 제공하고 그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여러가지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와 상기 보호 회로판(41)은 탈착 가능한 연결을 이룬다.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와 상기 보호 회로판(41)의 연결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서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 핀(424) 및 음극 전극 핀(424)은 용접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42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425)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41)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41)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42)의 전극 핀(424)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에 연결된다.
본 방안에서 금속 케이스(44)는 셀(42)의 음극과 연결되어 전지 음극을 형성하고, 보호 회로판(41)에는 양극 포스트가 설치되고, 양극 포스트와 셀(42)의 양극은 전기적 연결되어 전지 양극을 구성한다. 보호 회로판(41)의 양극 포스트는 상기 지지 본체(425)의 통홀을 관통하고, 지지 본체(425)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금속 케이스에서 상기 상단부 장착 공간(420)과 멀리하는 단부에는 음극 플랫폼(4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46)은 소켓 본체(426)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426)에는 상기 셀(42)의 단부를 향해 상기 삽입홀(4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 본체(426)에서 상기 삽입홀(427)을 멀리하는 단부에는 리드선(4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424)은 상기 삽입홀(427)과 긴밀하게 매칭된 후 상기 리드선(428)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 방출 영역(410)은 상기 보호 회로판(41) 외부에 슬리빙되는 양극 캡(412)의 내부이고, 또는 상기 압력 방출 영역(41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47)를 통해 상기 양극 캡(412)의 내부와 연통된 전지 외부이다. 압력 방출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압력이 압력 방출부(414)에서 방출될 경우, 추가적인 압력 방출 공간이 필요하며, 본 방안 실시예에서는 압력 방출 영역(410)을 제공하여 압력 방출을 진행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방출 영역(410)은 상기 보호 회로판(41) 외부에 슬리빙되는 양극 캡(412)의 내부이며, 양극 캡(412)의 내부는 소자에 의해 충진되지 않은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므로, 셀(42) 내부의 압력을 상기 공간에 배출함으로써 압력 방출을 진행할 수 있다.
양극 캡(412) 내부의 공간은 제한되므로, 추가적인 바람직한 기술방안으로서,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방출 영역(41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47)를 통해 상기 양극 캡(412)의 내부와 연통된 전지 외부일 수도 있다. 상기 방안을 통해 전지 내부의 압력을 한꺼번에 전지의 외부 공간에 배출하여, 전지 폭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판(41)에는 음극 접지편(4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411)은 메탈 돔으로 제조되며, 상기 음극 접지편(411)은 상기 보호 회로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편 제1단 및 상기 보호 회로판(41)과 멀리하는 접지편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회로판(41)이 금속 케이스(44)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접지편 제2단과 상기 금속 케이스(4)는 맞닿게 된다.
본 방안에서 메탈 돔에 의해 지지된 음극 접지편(411)을 설치하여 금속 케이스(44)와 맞닿음으로써 접지를 실현하므로, 접촉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접촉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서술에서 알아야 할 것은, 용어 "상", "하", "오른쪽" 등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따른 것이며, 단지 쉽게 서술하고 조작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구체적인 특정된 방위를 구비하거나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서술 시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별한 의미가 없다.
본 명세서의 서술에 있어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예시" 등 서술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서술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 중에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하여야 할 것은, 비록 본 명세서는 실시형태에 따라 서술하였지만, 하나의 실시형태가 단 하나의 독립적인 기술방안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명세서의 이러한 서술방식은 단지 소자를 분명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분야 통상의 기술자는 응당 명세서를 하나의 총체로 보아야 하며, 각 실시예에서의 기술방안을 적당히 조합하여 본 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기타 실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원리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서술은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한다고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해석에 기반하여, 본 분야 기술자가 진보성 노동에 기반하지 않고 직접 생각해낼 수 있는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1: 보호 회로판 12: 셀
121: 전지롤 122: 금속 케이스
13: 보호판 지지 구조 14: 소켓(socket)
15: USB 인터페이스 16: 방폭 플러그
17: 요입홈 18: 압력 방출 영역
19: 음극 접지편 110: 양극 캡
21: 셀 22: 금속 케이스
23: 방폭 플러그 본체 231: 압력 방출부
2311: 압력 방출홀 2312: 압력 플러그
232: 양극 핀홀 233: 음극 핀홀
24: 롤링홈 25: 상단부 장착 공간
26: 베이스부 장착 공간 27: 음극 플랫폼
31: 양극 어셈블리 32: 보호 회로판
33: 셀 34: 전극 핀
35: 소켓 36: 보호판 지지 구조
37: 지지 본체 38: 소켓 본체
39: 삽입홀 310: 리드선(lead wire)
311: 음극 접지편 312: 원형 보스
313: 금속 케이스 314: 방폭 플러그
41: 보호 회로판 42: 셀
43: 전지롤 44: 금속 케이스
45: 보호판 지지 구조 46: 소켓
47: USB 인터페이스 48: 방폭 플러그
49: 요입홈 410: 방출 압력 영역
411: 음극 접지편 412: 양극 캡
413: 방폭 플러그 본체 414: 압력 방출부
415: 압력 방출홀 417: 양극 핀홀
418: 음극 핀홀 419: 롤링홈
420: 상단부 장착 공간 421: 베이스부 장착 공간
422: 음극 플랫폼 423: 양극 어셈블리
424: 전극 핀 425: 지지 본체
426: 소켓 본체 427: 삽입홀
428: 리드선 429: 링형 보스(ring-shaped boss)

Claims (40)

  1. 전지의 상단부에 설치된 보호 회로판 및 전지의 베이스부에 설치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셀은 전지롤 및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셀과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 회로판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 케이스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단은 방폭 플러그를 통해 상기 셀을 패키징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의 본체에는 상기 셀의 양극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 및 상기 셀의 음극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셀의 양극과 음극은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보호 회로판의 일부가 상기 금속 케이스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서 상기 방폭 플러그가 설치된 위치에는 요입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은 상기 금속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요입홈에 설치되면서 상기 요입홈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영역은 상기 보호 회로판 외부에 슬리빙되는 양극 캡의 내부이고, 또는 상기 압력 방출 영역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양극 캡의 내부와 연통된 전지 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금속 케이스와 맞닿을 수 있는 음극 접지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은 메탈 돔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은 롤링 방식에 의해 상기 금속 케이스의 롤링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의 전극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캡은 상기 보호 회로판의 외부에 슬리빙되고, 상기 양극 캡의 외주면과 상기 금속 케이스의 외주면의 사이즈는 대응되고, 상기 양극 캡과 상기 금속 케이스 사이는 상대적인 절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셀을 구비하는 충전 가능한 전지.
  11. 셀을 장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셀을 금속 케이스에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는 고정 연결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을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금속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셀의 양극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 및 상기 셀의 음극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비통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 및 상기 압력 방출홀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는 일체적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 및 상기 압력 방출홀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는 분리형 구조이며,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압력 방출홀은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이고,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의 외관은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원주부를 따라 롤링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롤링홈은 상기 금속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롤링홈에 설치되어 상기 롤링홈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구조.
  18.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폭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 가능한 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셀을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부 장착 공간; 및 USB 충전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상단부 장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베이스부 장착 공간과 상기 상단부 장착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 가능한 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에서 상기 상단부 장착 공간과 멀리하는 단부에는 음극 플랫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 가능한 전지.
  21. 양극 어셈블리, 보호 회로판 및 셀을 포함하며, 상기 셀은 강성 전극 핀을 사용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전극 핀과 매칭되는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과 상기 삽입홀은 긴밀하게 매칭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양극 어셈블리는 양극 캡 및 보호판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며,
    셀을 금속 케이스에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의 본체에는 상기 셀의 양극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 및 상기 셀의 음극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셀의 양극과 음극은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의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와 상기 보호 회로판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의 전극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에는 상기 셀의 단부를 향해 상기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 본체에서 상기 삽입홀을 멀리하는 단부에는 리드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은 상기 삽입홀과 긴밀하게 매칭된 후 상기 리드선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음극 접지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은 메탈 돔으로 제조되며, 상기 음극 접지편은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편 제1단 및 상기 보호 회로판과 멀리하는 접지편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회로판이 금속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접지편 제2단과 상기 금속 케이스는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의 외부에는 링형 보스가 설치되어 있고, 조립상태에서 상기 링형 보스는 상기 양극 캡과 금속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 캡과 상기 금속 케이스가 상대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6. 제21항에 있어서,
    셀을 장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단은 상기 방폭 플러그를 통해 상기 셀을 패키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플러그와 상기 금속 케이스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강도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금속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캡과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일체적인 구조로서, 금형 내 사출을 통해 일체로 가공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조립 구조.
  29. 삭제
  30. 제21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셀 조립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1. 금속 케이스, 양극 어셈블리, 보호 회로판, 셀 및 상기 금속 케이스 중에 상기 셀을 밀폐하기 위한 방폭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전지롤, 양극 전극 핀, 음극 전극 핀 및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케이스는 상기 금속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은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고, 상기 셀과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 회로판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상기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과 연통되며,
    상기 금속 케이스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단은 방폭 플러그를 통해 상기 셀을 패키징하며, 상기 방폭 플러그는 방폭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셀의 양극 전극 핀이 관통되는 양극 핀홀 및 상기 셀의 음극 전극 핀이 관통되는 음극 핀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셀의 양극 전극 핀과 음극 전극 핀은 각각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양극 핀홀 및 상기 음극 핀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2. 삭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보호 회로판의 일부가 상기 금속 케이스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서 상기 방폭 플러그가 설치된 위치에는 요입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은 상기 금속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방폭 플러그는 상기 요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요입홈의 내벽에 맞닿아 상기 셀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보다 강도가 약한 압력 방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방출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금속 케이스의 내부 및 압력 방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비통홀 구조이며;
    상기 압력 방출부는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압력 방출홀 및 상기 압력 방출홀에 설치된 압력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는 일체적인 구조이거나,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방폭 플러그 본체는 분리형 구조로서, 상기 압력 플러그와 상기 압력 방출홀은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상기 양극 전극 핀 및 음극 전극 핀과 매칭되는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전극 핀 및 음극 전극 핀은 상기 삽입홀과 긴밀하게 매칭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양극 어셈블리는 양극 캡 및 보호판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와 상기 보호 회로판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구조는 원주형 구조의 지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 회로판을 장착하기 위한 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회로판에서 상기 통홀을 관통한 일단은 상기 셀의 전극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극 포스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에는 상기 셀의 단부를 향해 상기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 본체에서 상기 삽입홀을 멀리하는 단부에는 리드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핀은 상기 삽입홀과 긴밀하게 매칭된 후 상기 리드선을 통해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영역은 상기 보호 회로판 외부에 슬리빙되는 양극 캡의 내부이며, 또는 상기 압력 방출 영역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양극 캡의 내부와 연통된 전지 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판에는 음극 접지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 접지편은 메탈 돔으로 제조되며, 상기 음극 접지편은 상기 보호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편 제1단 및 상기 보호 회로판과 멀리하는 접지편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회로판이 금속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접지편 제2단과 상기 금속 케이스는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KR1020197021395A 2017-11-06 2017-11-06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KR102191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9592 WO2019084973A1 (zh) 2017-11-06 2017-11-06 一种安全高能的usb可充电电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238A KR20190097238A (ko) 2019-08-20
KR102191717B1 true KR102191717B1 (ko) 2020-12-16

Family

ID=6633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395A KR102191717B1 (ko) 2017-11-06 2017-11-06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61713A1 (ko)
EP (1) EP3716391A4 (ko)
JP (1) JP6821026B2 (ko)
KR (1) KR102191717B1 (ko)
WO (1) WO2019084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2113B (zh) * 2020-01-15 2021-03-23 深圳先进储能材料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KR102269644B1 (ko) * 2020-05-08 2021-06-25 주식회사 바스맨테크놀러지 Usb 충전식 건전지
US11367912B1 (en) * 2021-08-30 2022-06-21 Shenzhen Oriental Willing New Energy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pparatus with cylindrical battery
US11699816B1 (en) * 2022-12-14 2023-07-11 Shenzhen Hotchip Technology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0105A (zh) 2012-11-20 2014-06-04 叶小平 一种高效锂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9601B2 (ja) * 1994-10-14 2002-11-2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防爆形密閉電池
JPH10241733A (ja) * 1997-02-24 1998-09-11 Hitachi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3690A (ja) * 1997-06-12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4972B2 (ja) * 2001-02-23 2008-07-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WO2006056744A1 (en) * 2004-11-25 2006-06-01 Moixa Energy Holdings Limited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JP4961113B2 (ja) * 2005-04-22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JP5007048B2 (ja) * 2005-06-16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円筒形電池の製造方法及び円筒形電池の溝入れ加工装置
KR101574082B1 (ko) * 2008-12-12 2015-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2738480B (zh) * 2011-04-14 2014-06-18 广州市虎头电池集团有限公司 发光电池
KR20130104489A (ko) * 2012-03-14 2013-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3490099B (zh) * 2013-09-23 2015-09-30 李松 采用锂离子电池构成的通用型充电电池及控制方法
TWI601329B (zh) * 2015-05-13 2017-10-01 王沛綸 可充電電池
WO2016197568A1 (zh) * 2015-06-12 2016-12-15 福建南平南孚电池有限公司 一种内置有充电电路的电化学二次电池
CN205016605U (zh) * 2015-07-04 2016-02-03 江门市力源电子有限公司 一种针状式聚合物锂离子电池
CN205960150U (zh) * 2016-08-30 2017-02-15 廖志冰 一种带USB输出及MicroUSB输入接口的锂电池
CN107681088A (zh) * 2017-11-06 2018-02-09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结构及使用该防爆结构的usb充电电池
CN107681068A (zh) * 2017-11-06 2018-02-09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具有一体化电芯的可充电电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0105A (zh) 2012-11-20 2014-06-04 叶小平 一种高效锂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1713A1 (en) 2020-05-21
EP3716391A4 (en) 2022-02-23
EP3716391A1 (en) 2020-09-30
WO2019084973A1 (zh) 2019-05-09
KR20190097238A (ko) 2019-08-20
JP2020514956A (ja) 2020-05-21
JP6821026B2 (ja)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717B1 (ko) 안전하고 고에너지인 usb 충전 가능한 전지
KR101438439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CN203826493U (zh) 一种锂离子电池及其电连接端子
CN207233791U (zh) 二次电池的顶盖组件以及二次电池
US20150104672A1 (en) Safety device of lithium-ion battery
JP3188012U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安全装置
CN203826457U (zh) 一种具有高散热功能和安全装置的高电压镍氢电池
CN214043801U (zh) 一种具有防爆结构的极柱
KR101370144B1 (ko) 각형 리튬형 전지
CN114039175A (zh) 一种电芯及用电装置
KR101422656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KR20160015778A (ko)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
CN206758598U (zh) 一种太阳能电动汽车用蓄电池
CN201789004U (zh) 电池用封口板及具有该封口板的电池
CN110931665B (zh) 一种电池
CN102340019A (zh) 电池用封口板及具有该封口板的电池
KR20140099846A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CN204668369U (zh) 一种用于碱性电池的密封结构
CN107170920A (zh) 一种锂电池防爆盖
CN211376774U (zh) 具有泄压功能的电池
CN216597857U (zh) 一种电池装置
CN210156434U (zh) 椭圆形电池结构
CN207719253U (zh) 一种钢壳一体式包覆电池
CN210628398U (zh) 一种防止短路的电芯连接结构
CN216597872U (zh) 一种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