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173B1 -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173B1
KR102189173B1 KR1020190005819A KR20190005819A KR102189173B1 KR 102189173 B1 KR102189173 B1 KR 102189173B1 KR 1020190005819 A KR1020190005819 A KR 1020190005819A KR 20190005819 A KR20190005819 A KR 20190005819A KR 102189173 B1 KR102189173 B1 KR 10218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connector
construc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128A (ko
Inventor
최호천
정진홍
Original Assignee
최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천 filed Critical 최호천
Priority to KR102019000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는,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의 양단부를 천공시켜 홀을 형성하는 타공기; 타공된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를 거치하고, 다수의 연결구가 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파이프와 연결구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가 형성된 연결구 용접부; 파이프의 양단부를 거치할 수 있고, 수평재가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거치부와, 상기 제1,2거치부를 동반 또는 각기 회전시켜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2거치부의 상부에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2거치부에 거치된 파이프와 수평재의 연결부위에 대해 용접시키는 제1,2용접기를 포함하는 수평재 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파이프 서포트를 구성하는 내관 또는 외관의 외측에 다수의 연결구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용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용접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Pipe Supports}
개시되는 내용은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받쳐 주기 위해 가설하거나, 건축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의 신축이나 개축시 가설하는 파이프 써포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설현장의 재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에서 사업 지속하고 있으나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의 재해발생은 답보 상태이고, 건설 산업은 3D 업종이라는 인식으로 인하여 숙련 근로자가 건설공사장을 이탈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인력부족과 근로자의 고령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미숙련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의 건설공사 재해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포트 파이프는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 탑 등의 공작물, 교량 등의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틀을 지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가설공사의 특성상 서포트 파이프의 설치 및 해체가 빈번하고, 부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안정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서포트 파이프의 파손에 의해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위험과 사망재해와 같은 중대재해로 직결되므로 안전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는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지며, 내,외관에 일렬로 다수의 높이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해 드릴 가공으로 내관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였으나 이러한 수작업은 숙련된 작업자에 의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낮고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파이프 서포트를 이용하여 가로 횡부재나, 대각선 부재를 서로 연결 가능토록 하여 구조체(입방체)를 구성가능토록 하며, 동시에 내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높이조절 수단을 갖는 연결구(20)가 외관의 외주면에 용접으로 부착된다.
종래에는 연결구를 외관에 끼우고 사람이 직접 용접하여 부착시켜왔다. 그러나 다수의 연결구를 외관에 수작업으로 용접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용접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하중에 의해 파이프 서포트가 전도 또는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서포트(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기 수평재(22,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수평재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 서포트(10)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구조의 방식이 적용되었다.
종래에는 수평재(22,32)를 파이프의 단부에 끼운 후 사람이 직접 용접하여 부착시켜왔으나 이는 대량 작업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고, 용접 품질이 양호한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10-2004-0086303호
개시되는 내용은, 파이프 서포트에 대한 홀가공을 동시에 동일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외부에 다수의 연결구를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가용접 및 본용접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으며, 건축물 시공에 사용되는 파이프 서포트용 파이프의 양단에 수평재(플랜지)를 동시에 용접할 수 있도록 용접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용접 품질의 향상과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의 양단부를 천공시켜 홀을 형성하는 타공기; 타공된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를 거치하고, 다수의 연결구가 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파이프와 연결구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가 형성된 연결구 용접부; 파이프의 양단부를 거치할 수 있고, 수평재가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거치부와, 상기 제1,2거치부를 동반 또는 각기 회전시켜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2거치부의 상부에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2거치부에 거치된 파이프와 수평재의 연결부위에 대해 용접시키는 제1,2용접기를 포함하는 수평재 용접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서포트를 구성하는 내관 또는 외관의 외측에 다수의 연결구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용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용접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서 '타공기(700)'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서 '연결구 용접부'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연결구 용접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용접기(3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용접 작동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써, (a)는 파이프의 외주면 우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파이프의 외주면 좌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서 연결구의 용접 후 연결구를 상승시키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 용접부'에 적용되는 용접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 용접부'에 적용되는 용접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 용접부'에 적용되는 용접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상기 도 12에서 '제1거치부(3)'를 나타낸 확대도,
도 16은 상기 도 12에서 '제1,2용접기(6,6')'를 나타낸 확대도,
도 17은 종래 파이프 서포트와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종래 파이프 서포트와 수평재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는,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900)의 양단부를 천공시켜 홀을 형성하는 타공기(700); 타공된 파이프 서포트용 파이프(900)를 거치하고, 다수의 연결구(92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100)가 구비되고, 거치대(100)를 다수의 회전시키는 회전부(2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파이프(900)와 연결구(9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300)가 형성된 연결구 용접부(A); 파이프(900)의 양단부를 거치할 수 있고, 수평재(903)가 파이프(90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거치부(3,4)와, 상기 제1,2거치부(3,4)를 동반 또는 각기 회전시켜 파이프(9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와, 상기 제1,2거치부(3,4)의 상부에 각기 형성되며, 제1,2거치부(3,4)에 거치된 파이프(900)와 수평재(903)의 연결부위에 대해 용접시키는 제1,2용접기(6,6')를 포함하는 수평재 용접부(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타공기, 연결구 용접부, 수평재 용접부에 대해 설명한다.
[타공기]
첨부된 도 3은 '타공기'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해보면, 타공기(700)는,
지면에 설치된 기대(702); 기대(702)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파이프(9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703);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703)에 각기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일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파이프(900)가 안착되는 파이프 인출기(710); 기대(702)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레일(721)과, 레일(721)에 결합되어 횡이동하는 바디(722)와, 상기 바디(722)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이프 인출기(710)를 통해 이동된 파이프(900)의 단부가 삽입되는 홀딩관(723)과, 홀딩관(723)의 양측을 관통하여 파이프(900)를 천공하는 천공비트(724)가 장착되며 홀딩관(723)의 양측에 배치되며 가이드 프레임(703)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725)로 구성된 천공부(720); 바디(722)를 이동시켜 레일(721)을 타고 횡이동하면서 파이프(900)의 단부가 홀딩관(723)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 인출기(710)는, 도 3을 참조해보면, 우측의 파이프를 한개 취출한 후 좌측으로 이동시켜 천공부(720)에 위치되도록 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파이프 인출기(710)는, 기대(702)의 상부 일측에 축핀(708)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로드(711);
가이드로드(711)의 일단에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는 로드를 갖는 제3실린더(713);를 포함하고, 제3실린더(713)의 로드가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로드(711)를 회전시켜 1개의 파이프(900)가 가이드로드(711)의 상면을 타고 굴러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가이드로드(711)는 일단에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파이프(900)가 걸려 고정될 수 있고, 제3실린더(713)가 작동하여 로드의 하강에 동반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일측이 하방으로 회전되면 파이프(900)가 가이드로드(711)의 상면을 타고 굴러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구 용접부1]
첨부된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서 '연결구 용접부'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연결구 용접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용접기(3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용접 작동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써, (a)는 파이프의 외주면 우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파이프의 외주면 좌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에서 연결구의 용접 후 연결구를 상승시키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용접부는, 파이프 서포트용 파이프(900)를 거치하고, 다수의 연결구(92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100)와, 거치대(100)를 다수의 회전시키는 회전부(2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파이프(900)와 연결구(9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300);를 포함한다.
용접기(300)는 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작업대(310);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310)의 상부에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용접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는, 파이프(900)의 길이 보다 길게 직육면체로 형성된 바디(120); 바디(120)의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작업대(310)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측판(140); 바디(120)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구(920)가 장착되는 연결구 장착대(150); 일측 측판(140)을 관통하여 삽입된 파이프(900)가 전진하면서 상기 연결구 장착대(150)에 거치된 다수개의 연결구(920)를 관통하여 이동되어 거치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판(140,140b)은 원형 판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샤프트(145)가 형성되어 작업대(310)에 힌지 결합된다.
일측의 측판(140b)에는 파이프(90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142)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구 장착대(150)는 연결구(920)의 양측이 끼워져 거치되도록 하는 홀더(152)가 구비된다.
연결구(920)는 원판 형상이면서 다수의 통공(9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파이프(900)가 관통하는 통공(921)이 형성된다.
연결구(920)를 작업자가 세워서 홀더(152)에 수납하게 되며, 다수의 연결구 장착대(150)가 1열로 배치되고, 각 연결구 장착대(150)에 연결구(920)가 수납되어 대략 5~8개가 한조를 구성하게 된다.
롤러(160)는 파이프(9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고, 파이프(900)가 이동하는 동안 회전됨으로써 파이프(900)를 직선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900)가 다수의 롤러(160)를 타고 직선방향으로 진입하면서, 다수의 연결구(92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후 다수의 용접노즐(430)이 동시에 연결구(920)와 파이프(900)의 접촉부위에 대해 용접(일명 '가접'이라 함)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연결구와 파이프의 용접은 스폿용접(가접) 후 연속용접(본접)을 하여 완성된다.
스폿용접은 소정의 회전각도로 거치대(100)를 회전시키면서 4~6개소에 실시된다.
이러한 스폿용접은 가접 작업이며, 연결구와 파이프의 접하는 부위 중 4~6개소에 대해 용접하는 것이다.
스폿용접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20)가 반시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파이프(900)의 외주면 우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하게 된다.
또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20)가 시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파이프(900)의 외주면 좌측 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스폿용접을 하게 된다.
전술한 정해진 각도는 30˚, 40˚, 50˚중 택일되는 각도로만 회전하면서 스폿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각도를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각도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용접유닛(400)은 작업대(31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410)과, 프레임(410)에 부착되는 패널(420)과, 패널(420)에 다수로 장착되며 다수개의 연결구(920)에 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용접노즐(430)로 구성되며, 용접노즐(430)을 상하로 승강시켜 파이프(900)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420)은 프레임(410)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대략 경사지게 형성된다.
용접노즐(430)은 패널(420)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 선단의 용접팁이 연결부 장착대(15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용접노즐(430)은 승강부(450)에 의해 승강작동하면서 용접 온(on) 작동과 오프(off) 작동이 제어된다.
즉, 하강하면서 용접 온(on)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승하면서 용접 오프(off) 작동되는 것이다.
승강부(450)는 패널(420)에 부착되되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실린더유닛(452)이며, 실린더유닛(452)의 로드(454)가 용접노즐(43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신호를 받아 실린더유닛(452)의 로드(454)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용접노즐(430)이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고, 용접의 온-오프 작동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폿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거치대(100)를 일정 간격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부(200)가 구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200)는 측판(14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회전바(210)와, 상기 회전바(2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20)가 구비되며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220)가 출몰작동되도록 하는 실린더유닛(230)을 포함하는 것이며, 실린더유닛(230)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로드(220)가 일정 길이로 인출되어 로드가 정해진 각도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로드(220)의 정해진 회전각도는 30~40˚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3~4개소에 스폿용접을 하도록 한다.
이렇게 스폿용접을 마친 연결구(920)가 고정된 파이프(900)를 배출수단(600)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바디(120)의 상면에는 연결구(920)가 용접된 파이프(900)를 배출하는 배출수단(600)이 포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출수단(600)은, 바디(120)에 관통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620)를 갖는 승강실린더(610)가 포함되고, 피스톤로드(220)의 단부에는 파이프(900)에 접촉되며 승강되는 브라켓(630)이 형성되고, 브라켓(630)이 상승되어 파이프(900)가 연결구 장착대(150)로부터 상승된 후 굴러서 이동되도록 트레이(650);이 일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접기]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 용접부는 연결구와 파이프의 접하는 부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용접하면서 틈이 없도록 용접(일명 '본접'이라 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결구 용접부(700)는, 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파이프(900)를 안착시키는 지그(708)가 형성된 작업대(702); 작업대(702)의 상부 양측에 대칭 형성되는 제1,2용접유닛(400a,400b); 작업대(702)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2용접유닛(400a,400b)에 대응되어 각기 형성되며, 지그(708)에 안착된 파이프(900)의 일단에 연결되고, 파이프(90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760);을 포함한다.
제1,2용접유닛(400a,400b) 각각은, 상기 작업대(310)의 상부에 형성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프레임(710,720)과, 상기 제1,2프레임(710,720)에 부착되는 제1,2패널(730,740)과, 상기 제1,2패널(730,740)에 다수로 장착되며 다수개의 연결구(920)에 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용접노즐(430a,430b)로 구성되며, 상기 용접노즐(430a,430b)을 상하로 승강시켜 파이프(900)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부(450a,4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패널(730,740)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지게 제1,2프레임(710,720)에 각기 결합된다.
용접노즐(430a,430b)은 패널(420)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 선단의 용접팁이 연결부 장착대(15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용접노즐(430a,430b)은 승강부(450a,450b)에 의해 승강작동하면서 용접 온(on) 작동과 오프(off) 작동이 제어된다.
즉 하강하면서 용접 온(on)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승하면서 용접 오프(off) 작동되는 것이다.
승강부(450a,450b)는 패널(420)에 부착되되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실린더유닛이며, 실린더유닛의 로드가 용접노즐(430a,430b)에 각기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신호를 받으면, 제1용접유닛(400a)의 용접노즐(430a)이 하강하여 스폿용접 된 연결구(920)와 파이프(900)가 접하는 부위에 대해 1차 용접한다.
이때 1차 용접은 파이프(900)의 원호길이의 절반에 대해서만 실시한다.
즉, 회전유닛(760)이 우측 180˚의 회전범위로만 회전되도록 하여 파이프(900)가 반바퀴만 회전하는 동안 용접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후 1차 용접을 마친 파이프(900)가 트레이(704)를 타고 굴러서 제2용접유닛(400b)에 위치한 후 제2용접유닛(400b)의 용접노즐(430b)이 하강하여 용접이 안된 부분에 대해 2차 용접을 실시하여 용접 공정이 완료된다.
즉, 회전유닛(760)이 좌측 180˚의 회전범위로만 회전되도록 하여 파이프(900)가 반대방향으로 반바퀴 회전하는 동안 나머지 부위에 대해 2차 용접이 실시되는 것이다.
용접이 완료된 파이프(900)는 트레이(704)를 통해 최종 배출된다.
실린더유닛(452)의 로드(454)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용접노즐(430)이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고, 용접의 온-오프 작동이 실시될 수 있다.
[수평재 용접부]
첨부된 도 12는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상기 도 1에서 '수평재 용접부(B)'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상기 도 12에서 '제1거치부(3)'를 나타낸 확대도, 도 16은 상기 도 12에서 '제1,2용접기(6,6')'를 나타낸 확대도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파이프 서포트의 수평재 용접부(B)는, 파이프 써포트용 파이프(900)의 양단부에 수평재(903)를 장착하도록 작동한다.
파이프(900)는 양단부에 수평재가 결합되며, 수평재(903)는 원형의 플랜지 타입이다. 물론 수평재(903)의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실시예에 따르는 파이프 서포트의 수평재 용접부(B)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2); 기대(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900)의 양단부를 거치할 수 있고, 수평재(903)가 파이프(90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거치부(3,4); 제1,2거치부(3,4)를 동반 또는 각기 회전시켜 파이프(9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 기대(2)에 장착되며, 상기 제1,2거치부(3,4)의 상부에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2거치부(3,4)에 거치된 파이프(900)와 수평재(903)의 연결부위에 대해 용접시키는 제1,2용접기(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대(2)는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21)와, 다리(21)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양측 수직빔(22)과, 양측 수직빔(22)을 연결하는 수평빔(24)으로 구성되며, 다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가 구비되어 수직빔(22)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제1거치부(3) 또는 제2거치부(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중복설명은 하지 않고 제1거치부(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거치부(3)는, 수평재(903)를 고정시키는 브라켓(31)이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기대(2)의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31)은 대략 'ㄴ'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회전축(32)에 결합되어 동반 회전될 수 있고, 수평재(903)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도 15 참조).
회전구동부(5)는, 상기 제1거치부(3)의 회전축(32)에 연결된 모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32)과 모터(52)의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4)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부재(54)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34)의 외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모터(52)가 결합된다.
연결부재(54)는 내부에 회전축(32)의 단부와 모터(52)의 축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커플링(55)이 구비된다.
커플링(55)을 분리함으로써 모터(52)를 분리하여 수리 보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거치부(4)의 회전축(32)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8)를 포함한다.
제2회전부(8)는 제2거치부(4)의 회전축(32)에 형성된 제3스프라킷(83)과, 기대(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모터(52)와, 상기 제2모터(52)의 축에 형성된 제4스프라킷(84)과, 제3,4스프라킷(83,84)을 연결하는 체인(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모터(52)가 온(on) 작동되면 체인(85)의 동력 전달에 의해 제3스프라킷(83)을 구동하여 제2거치부(4)의 회전축(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2거치부(4)의 회전축(32)이 회전됨에 따라 브라켓(31)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거치부(3)와 제2거치부(4)는 동일한 회전속도와 회전각도로 회전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제1거치부(3)의 회전축(32)의 외측에 결합된 제1스프라킷(81)과, 상기 제1스프라킷(81)과 연결된 체인(85) 및 체인(85)에 연결된 제2스프라킷(82)이 일측에 장착되고, 타측에는 제4스프라킷(84)이 장착된 연동축(9);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거치부(3) 및 회전구동부(5)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연동축(9)이 회전되고, 연동축(9)의 회전력이 제4스프라킷(84)에도 전달되어 회전구동부(5)와 제2회전부(8)의 회전속도가 균등해질 수 있도록 회전속도의 균등 배분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용접기(6,6') 각각은, 기대(2)의 상부에 부착된 패널(26)과, 상기 패널(26)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제1용접기(6)는 제1거치부(3)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제2용접기(6')는 제2거치부(4)에 대응되게 장착된다.
제1,2용접기(6,6') 각각은, 패널(26)에 부착되는 실린더(61)와, 상기 실린더(61)에 형성되어 출몰작동되는 로드(62)에 부착된 부착판(63)과, 상기 부착판(63)에 결합되는 용접노즐(64)로 구성된다.
한편 부착판(63)은 용접노즐(6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승강수단;이 포함된다.
승강수단은,패널(26)에는 장홈(262)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부착판(63)의 배면에는 장홈(262)에 결합되는 레일돌부(632)가 형성되며, 레일돌부(632)가 장홈(262)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패널(26)의 장홈(262)에는 조임구(635)가 결합되어 조임작동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패널(26)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각도조절부(67)가 포함된다.
각도조절부(67)는 패널(26)의 측면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형성되는 샤프트(671)와, 상기 샤프트(671)가 관통 결합되며 하우징(34)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판(672)과, 상기 샤프트(671)에 체결되어 조임력을 발휘하는 조임부재(6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조임부재(674)를 풀은 상태에서 패널(26)을 회전시켜 적정한 각도로 설정한 후 조임부재(674)를 조여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기대 3 : 제1거치부
4 : 제2거치부 5 : 회전구동부
6 : 제1용접기 6' : 제2용접기
32 : 회전축 34 : 하우징
52 : 모터 54 : 연결부재
55 : 커플링 61 : 실린더
63 : 부착판 64 : 용접노즐
67 : 각도조절부 85 : 체인
100 : 거치대 120 : 바디
140 : 측판 150 : 장착대
160 : 롤러 145 : 샤프트
200 : 회전부 300 : 용접기
400, 400a, 400b : 용접유닛 410 : 프레임
420 : 패널 430 : 용접노즐
450 : 승강부 600 : 배출수단
650 : 트레이 708 : 지그
760 : 회전유닛 900 : 파이프
920 : 연결구

Claims (12)

  1.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의 양단부를 천공시켜 홀을 형성하는 타공기;
    상기 타공된 파이프 써포트용 내관 또는 외관 파이프를 거치하고, 다수의 연결구가 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파이프와 연결구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가 형성된 연결구 용접부;
    상기 파이프의 양단부를 거치할 수 있고, 수평재가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2거치부와, 상기 제1,2거치부를 동반 또는 각기 회전시켜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2거치부의 상부에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2거치부에 거치된 파이프와 수평재의 연결부위에 대해 용접시키는 제1,2용접기를 포함하는 수평재 용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기는
    지면에 설치된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기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일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안착되는 파이프 인출기;
    상기 기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횡이동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인출기를 통해 이동된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홀딩관과, 상기 홀딩관의 양측을 관통하여 파이프를 천공하는 천공비트가 장착되며 홀딩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로 구성된 천공부;
    상기 바디를 이동시켜 레일을 타고 횡이동하면서 파이프의 단부가 홀딩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인출기는
    상기 기대의 상부 일측에 축핀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로드;
    상기 가이드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는 로드를 갖는 제3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가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로드를 회전시켜 1개의 파이프가 가이드로드의 상면을 타고 굴러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파이프가 걸려 고정될 수 있고,
    로드의 하강에 동반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일측이 하방으로 회전되면 파이프가 가이드로드의 상면을 타고 굴러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용접부는
    지면에 형성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파이프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작업대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측판;
    상기 바디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구가 장착되는 연결구 장착대;
    상기 측판을 관통하여 삽입된 파이프가 전진하면서 상기 연결구 장착대에 거치된 다수개의 연결구를 관통하여 이동되어 거치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연결구가 용접된 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배출수단은,
    바디에 관통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승강실린더가 포함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에는 파이프에 접촉되며 승강되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승되어 파이프가 연결구 장착대로부터 상승된 후 굴러서 이동되도록 트레이;가 일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다수로 장착되며 다수개의 연결구에 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용접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용접노즐을 상하로 승강시켜 파이프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노즐 및 승강부는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거치부 각각은,
    상기 수평재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이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기대의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거치부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과 모터의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하우징의 외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모터가 결합되며,
    내부에는 회전축의 단부와 모터의 축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커플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용접기 각각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부착된 패널에 이격되어 장착되며,
    제1용접기는 제1거치부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제2용접기는 제2거치부에 대응되게 장착되며,
    제1용접기 또는 제2용접기 각각은,
    상기 패널에 부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어 출몰작동되는 로드에 부착된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결합되는 용접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용접노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승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패널에는 장홈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의 배면에는 상기 장홈에 결합되는 레일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부가 장홈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KR1020190005819A 2019-01-16 2019-01-16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KR10218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9A KR102189173B1 (ko) 2019-01-16 2019-01-16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9A KR102189173B1 (ko) 2019-01-16 2019-01-16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28A KR20200089128A (ko) 2020-07-24
KR102189173B1 true KR102189173B1 (ko) 2020-12-09

Family

ID=7189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19A KR102189173B1 (ko) 2019-01-16 2019-01-16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854B (zh) * 2021-06-11 2022-06-03 东莞市联晟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板件焊接钻孔一体化加工设备
CN113305570B (zh) * 2021-06-11 2022-06-28 荏原机械淄博有限公司 一种基于cfd流体分析的立式泵导水管加工装置
CN114248061A (zh) * 2021-11-16 2022-03-29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大型导管架钢桩接长新工艺
CN115179049B (zh) * 2022-07-28 2024-03-15 厦门航天思尔特机器人系统股份公司 一种导体自动加工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44B1 (ko) 2014-07-11 2015-11-02 (유)성문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KR101895983B1 (ko) 2018-03-20 2018-09-06 조규현 시스템 비계 및 시스템 동바리용 수평재 용접 자동화 인라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0199A1 (en) 2002-01-29 2004-02-12 Maughon Robert R. Process for reducing alpha-haloketones to secondary alpha-haloalcohols
KR20120014624A (ko) * 2010-08-10 2012-02-20 김효관 비계파이프 용접장치
KR101567753B1 (ko) * 2014-01-10 2015-11-11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비계용 수직비계봉의 암수결합부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44B1 (ko) 2014-07-11 2015-11-02 (유)성문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KR101895983B1 (ko) 2018-03-20 2018-09-06 조규현 시스템 비계 및 시스템 동바리용 수평재 용접 자동화 인라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28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173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CN109434362B (zh) 一种h型钢自动焊接装置的工作方法
CN108890213B (zh) 一种h型钢自动焊接装置
KR100957682B1 (ko) 용접선 정렬이 용이한 해저 파이프라인 자동용접장치
KR100609940B1 (ko) 변압기용 방열기 자동용접장치
WO2006119595A1 (en) System for serial line for cutting and bending of steel bars, rods and coils for manufacture of stirrups and longitudinal girders as well as assembly of steel armatures for beams, pillars, base plates, blocks, stakes, drums and other structural elements of reinforced concrete
JP6266380B2 (ja) H形鋼の開先加工方法及び開先加工装置
KR100310246B1 (ko) 연직이동형 자동용접장치
JP2003326390A5 (ko)
CN113927228A (zh) 一种钢筋笼主筋焊接装置
KR102217840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KR20060074450A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CN110524145B (zh) 一种t型材组立点焊总成
CN110524247B (zh) 一种t型材生产线
KR200465016Y1 (ko) 티형강 제조를 위한 에이치형강 절단 장치
US9561553B2 (en) Transportable horizontal bandsaw assembly
CN114289961B (zh) 一种龙门焊接平台
CN214489314U (zh) 一种桁架焊接四通装置
JP5435569B2 (ja) 鉄塔支持型構造物の解体設備及びその解体方法
CN210451511U (zh) 一种t型材面、腹板组立装置
CN210614704U (zh) 一种t型材矫正装置
CN210475944U (zh) 一种t型材组立点焊总成
KR102127275B1 (ko) 파이프 서포트의 연결구 용접장치
KR100966922B1 (ko) 사다리 제조장치
JPH09300098A (ja) H形鋼材の配管溶接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