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27B1 -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 Google Patents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27B1
KR102179727B1 KR1020180166269A KR20180166269A KR102179727B1 KR 102179727 B1 KR102179727 B1 KR 102179727B1 KR 1020180166269 A KR1020180166269 A KR 1020180166269A KR 20180166269 A KR20180166269 A KR 20180166269A KR 102179727 B1 KR102179727 B1 KR 10217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asphalt
discharge
as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89A (ko
Inventor
양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to KR102018016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2Apparatus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and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4Devices for guiding or controlling the machin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가 손상된 부위를 보수하는 모든 기기가 하나의 차체에 탑재된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체(10)와, 물탱크(70)와, 상부 기구부(30)와, 전방 기구부(20)와,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아스콘이 내장된 아스콘 공급부(40)와, 파쇄물 수집부(50) 및, 몸체(11)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을 위해 정차중임을 도로 주행 차량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로 파손 부위의 파쇄, 유화제 주입, 아스콘 도포, 다짐 및, 파쇄물의 수집까지의 전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아스콘이 경화되지 않으면서도 유동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서로 모순되는 요청이 모두 달성 가능하며, 포트 홀에서 발생되는 파쇄물이 전량 분리 처리 가능한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All-in-one road pothole repair car}
본 발명은 포트 홀 보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트 홀 보수의 전 공정이 하나의 차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트 홀 보수에 필요한 모든 장비가 콤팩트 하게 설치된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포장의 대부분은 아스콘을 사용하여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격경쟁력 대비 아스콘의 물성을 대신할 수 있는 도로 포장은 미미한 수준이다.
포장 도로는 시공과 함께 물이나 수분 등의 기후적인 영향과, 교통량에 따른 하중 및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노후화가 시작되고 파손이 발생되어 적절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아스콘 포장도로는 시공시의 전압 부족, 혼합물의 품질 부량 외에 배수 구조불량, 또는 자연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포장 표면에 국부적인 작은 구멍(이하, "포트 홀"이라 함)이 발생된다.
이러한 포트 홀은 도로를 주행하게 되는 차량의 안전 주행에 큰 위협이 되며, 한해 포트 홀로 인한 교통사고도 연간 1000건 안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포트 홀 보수 작업은 불량 개소의 패칭(patching)과 국부 재포장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포트 홀 주변을 일단 크기로 절단, 파쇄하고 파쇄물을 제거한 후에 유제(아스팔트)를 포트 홀에 살포하며, 그 다음으로 포트 홀 내에 아스콘을 도포한 후에 평탄작업과 다짐을 하여 포트 홀 보수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수 작업은 아스콘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 포장도로 노면의 오염물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차량, 포트 홀에 유제를 살포하기 위한 살포차량, 평탄작업과 다짐을 위한 다짐기 등과 같은 많은 개별 장비가 함께 이동하여 작업이 이루어져 하며, 각 작업 과정에서도 많은 인력과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660577호(공고일자: 2006.12.22.)는 노후 된 아스콘 포장도로를 보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도로 보수 작업에 따라서 별도의 설비와 장치가 사용되어 그에 따른 많은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부 도로 보수 시에 파쇄 홀만을 청소한 후에 아스콘을 재포장하는 임시 복구만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임시 복구 작업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지속적인 훼손이 발생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작업 인력과 작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로 보수에 필요한 장비를 이동차량에 장착하여 작업 인원과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안이 있으며,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334516호(공고일자: 2013.11.28)는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 훼손 부위에 아스콘을 포설하고 포설된 아스콘에 경화제를 분사하며, 도로 노면 훼손부위를 청소하고 포설된 아스콘을 다져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로면 훼손부위 보수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여전히 아스콘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운반차량을 필요로 하며 파쇄물의 청소는 여전히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60577호(공고일자: 2006.12.22)
등록특허공보 제10-1334516호(공고일자: 2013.11.28)
이에 본 발명은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포트 홀 주변의 절단, 파쇄, 파쇄물 제거, 유제(아스팔트)의 포트 홀 살포, 포트 홀 내 아스콘 도포 및, 평탄작업 다짐 작업이 모두 하나의 차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아스콘이 경화되지 않으면서도 유동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서로 모순되는 요청이 모두 달성 가능하며, 포트 홀에서 발생되는 파쇄물이 전량 분리 처리 가능한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은 상부에는 기기가 탑재되고 하부에는 엔진과 차륜이 설치된 몸체(11)와, 상기 엔진 및 차륜을 제어시키는 운전대가 마련된 캐빈(12)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1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7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직립 회전 암(31)과, 직립 회전 암(31)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신장되는 복수개의 붐과, 복수개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현수 암(35)과,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아스콘 도포기(38)와,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다짐 롤러(37) 및, 다짐 롤러(37)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아스콘이 적재되는 바스켓(39)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기구부(30)와, 상기 캐빈(12) 정면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파쇄 드럼(221)과, 파쇄 드럼(221)을 상기 이동체(10)의 정면에 설치되는 수평 가변기구(21)와, 파쇄 드럼(221)으로 파쇄된 아스팔트 파쇄물을 흡입하는 흡입 기구 및, 수평 가변 기구(21)를 캐빈(12) 정면과 고정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25)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기구부(2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아스콘이 내장된 아스콘 공급부(4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기구(23)로 집진된 파쇄물을 이송 받아 포집하는 포집탱크(51)와, 포집탱크 하부에 설치되는 덤프 액추에이터(52)를 포함하는 파쇄물 수집부(50) 및,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을 위해 정차중임을 도로 주행 차량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로 구성되되, 상기 아스콘 공급부(40)는 아스콘의 유동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44)가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아스콘 공급부(40)의 외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아스콘을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42)이 상기 바스켓(39) 수직 상부 위치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스콘 공급부(40) 내부에는 아스콘을 상기 토출 유닛(42)으로 이동시키는 토출 스크루(46)가 내장되되, 아스콘 공급부(40) 내부 공간은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인해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아스콘 슬립 판(43)은 중심 또는 주변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의 하단에 토출 스크루(46)가 설치됨으로써,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에 저장되는 아스콘은 토출 스크루(46)로 쏠리면서 토출 스크루(4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한 쪽으로 전량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토출 스크루(46)의 일단은 바람직하게는 토출 유닛(42) 내부로 인입되어, 토출 스크루(46)가 회전됨으로써 이동되는 아스콘은 토출 유닛(42) 내부로 진입된다.
또한 상기 토출 스크루(46)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아스콘의 유동성을 유지시켜 주는 히터(44)가 설치되되, 히터(44)는 히터(44)와 히터(44) 주변을 둘러싸는 아스콘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주는 간격 유지 함체(443)로 둘러싸이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토출 스크루(46)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양 방향 회전 가능한 양 방향 구동 모터(47)이고, 토출 스크루(46)의 타단 부위에는 아스콘을 인출시킨 다음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로 토출시키는 순환 유닛이 마련되어, 아스콘이 장시간 히터(44) 주변에 머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열 경화가 방지된다.
특히 상기 순환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토출 스크루(46) 타단과 연결되며 아스콘 슬립 판(43)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아스콘을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자중 낙하관과, 자중 낙하관 하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아스콘을 상승시키는 상승 스크루(454)가 내장되어 자중 낙하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아스콘을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 공간으로 상승시키는 상승관 및, 상승관 상단에 형성되는 창으로서 상승관 상단까지 상승한 아스콘을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토출시켜 다시 아스콘을 토출 스크루(46) 방향으로 흘려 보내는 순환 토출구(455)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자중 낙하관과 토출 스크루(46)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관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설치되어, 상기 양 방향 구동모터가 아스콘을 토출 유닛(42)의 반대 방향인 자중 낙하관 방향을 향하여 아스콘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토출 스크루(46)를 회전시키면, 상기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작동되어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관 사이가 개방되면서 아스콘의 순환이 시작된다.
한편, 상기 파쇄물 수집부(50)는 바람직하게는 파쇄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배출 시키는 사이클론(57)이 내장되고, 여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창(59)이 형성되어, 사이클론(57) 상부로 분리 배출되는 미세 입자는 사이클론(57)과 공기 배출 창(59)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필터(582)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 창(59)을 따라 배출되고, 사이클론(57) 하단에는 집진 수조(573)가 설치되어, 사이클론(57) 하부로 분리된 입자들은 집진 수조(573) 내부로 낙하되어 집진 수조(573)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 관(57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포집 탱크(51)와 사이클론(57)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56)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 기구부(20)에 설치된 흡입 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파쇄물은 포집 탱크(51)로 연결되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며,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는 파쇄물 중 스크린(56)을 통과하는 입자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를 거친 후 스크린(56)을 통과하여 사이클론(57)으로 이송되고, 스크린(56)을 통과 하지 못하는 큰 입자의 파쇄물은 포집 탱크(51) 내부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53)과 포집 탱크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강 탄성 재질의 완충 플렌지가 흡입관(53)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신장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 전체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면서 포집 탱크(51) 내부의 파쇄물 입자를 쏟아 낸 후에 다시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수축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가 수평하게 원상회복 될 때 흡입관(53) 상단과 파쇄물 수집부(50) 저면과의 충돌 시 완충 플렌지의 완충 작용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파쇄물 수집부(50)의 자중으로 인하여 완충 플렌지와 포집 탱크(51) 간에는 다시 수밀하게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평 가변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캐빈(12)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며 캐빈(12)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레일(212)과, 수평 레일(212)을 따라 캐빈(12)의 좌우로 가변되는 좌우 횡단 암(211)과, 좌우 횡단 암(211)의 전단에 힌지 축(214)으로 연결되며 구경이 큰 외부 붐대(216) 내부에 구경이 작은 내부 붐대(217)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되는 전방 붐대(216,2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 함체(229)는 내부 붐대(217)의 단부에 결합되며 파쇄 드럼(221)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 기구는 단부가 드럼 함체(229)의 측면 또는 정면에 삽입되게 연결됨으로써, 파쇄 드럼(22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이동체(10)의 폭 방향으로 유지되면서 드럼 함체(229)가 수평 종 방향 및 수평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포트 홀 보수 한편 상기 전방 붐대(216,217)의 소정 위치와 좌우 횡단 암(211)의 소정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힌지 액추에이터(215)로 연결됨으로써, 힌지 액추에이터(215)가 신장되면 힌지 축(214)을 중심으로 전방 붐대(216,217)가 펼쳐지면서 이동체(10)의 길이 방향을 향하고, 힌지 액추에이터(215)가 수축되면 힌지 축(214)을 중심으로 전방 붐대(216,217)가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접힘으로써, 이동체(10)의 운전 상황에서 전방 기구부(20)의 점유 공간이 최소화 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구(23)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붐대(216,217) 측면에 전방 붐대(216,217)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관(231)과, 고정 관(231)의 일단과 드럼 함체(229)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1벨로우즈 관과, 고정 관(231)의 타단과 고정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2벨로우즈 관(235)으로 이루어지되, 제2벨로우즈 관(235)과 고정 관(231)의 타단이 접속되는 지점에는, 플렌지(238)와 제2벨로우즈 관(235)의 자유 회전을 허용시키는 링크 베어링(232)이 설치되고, 링크 베어링(232)의 외주면에는 방사 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의 막대 스토퍼(233)이 부착되며, 막대 스토퍼(233)의 끝단은 플렌지(238) 고정을 위해 플렌지(238)에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트 헤드(234)에 접촉되면서 정지됨으로써, 막대 스토퍼(233)과 함께 회전되는 링크 베어링(232)과 제2벨로우즈 관(235)의 타단도 회전이 정지되어, 제2벨로우즈 관(235)의 일정 범위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시키면서도 제2벨로우즈 관(235)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제2벨로우즈 관(235)의 꼬임이 방지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관(231)의 타단과 제1벨로우즈 관의 연결은 고정 관(231) 타단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내부 이송 관(239)의 단부와 제1벨로우즈 관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방 기구부(20)의 하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대(241)와 지지대(241) 하단에 연결되는 발판(243)과, 지지대(241)와 발판(243)을 접속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242) 및, 유니버설 조인트(242)가 중심에 설치되는 발판(243)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24)이 복수 개소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41)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하부를 향해 가변되는 지지용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전방 기구부(20)에는 수평계가 설치되며, 수평계의 측정치에 따라 복수 개소에 설치된 지지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전방 기구부(2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드럼 함체(229)의 배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드럼 함체(229)가 아스팔트 바닥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또는 상승될 수 있게 레일이 양 측에 설치된 승강 프레임(222)이 결합되고, 드럼 함체(229)와 상기 내부 붐대 단부의 결합은 내부 붐대 단부가 승강 프레임(222)의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럼 함체(229) 상부에는 아스콘 유화용 유화제가 저장된 유화제 탱크(223)가 결합되어 드럼 함체(229)와 유화제 탱크(223)는 함께 상기 승강 프레임(222)을 타고 하강 또는 상승한다.
이 경우 상기 유화제 탱크(223)의 상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승강 프레임(222)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228)이 설치되고, 커버 프레임(228)에는 커버 프레임(228)을 관통하며 하단이 유화제 탱크(223)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승강 액추에이터(2281)가 설치되어, 승강 액추에이터(2281)의 동작에 따라 유화제 탱크(223)와 드럼 함체(229)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222)의 배면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공급관 세척용 경유가 저장되는 경유 탱크(224)가 설치되고, 경유 탱크(224)와 유화제 탱크(223)는 삼방 밸브로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함체(229) 하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드럼 함체(229)와 단면 형상은 동일하면서 드럼 함체(229) 보다 더 크게 제작되어 드럼 함체(229)의 외면을 감싸거나, 또는 드럼 함체(229)와 단면 형상은 동일하면서 드럼 함체(229)보다 더 작게 제작되어 드럼 함체(229)의 내면과 면접되면서 드럼 함체(229) 하부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용 쿠션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밀폐 함체(226)는 바람직하게는 드럼 함체(229) 하부에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되, 드럼 함체(229)에 설치되는 스프링(2261)의 탄성력으로 인출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2261)은 바람직하게는 드럼 함체(229)에 설치되는 수직 실린더(2264)에 내장되고, 밀폐 함체(226)에는 수직 실린더(2264)에 상단이 삽입되어 스프링(2261)을 압박하는 피스톤 암(2262)이 고정 설치되며, 피스톤 암(2262)은 드럼 함체(229) 측면을 관통하되, 드럼 함체(229) 측면에는 피스톤 암(2262)이 상하로 가변 가능하도록 수직 장공(2263)이 형성됨으로써, 드럼 함체(229)가 레일을 따라 지면을 향하여 하강되면, 밀폐 함체(226) 하단의 밀폐용 쿠션이 지면을 압박하면서 드럼 함체(229)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밀폐시킨다.
한편 상기 수평 레일(212)의 양 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토퍼(218) 부재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218) 중 어느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좌우 횡단 암(211)의 접촉을 감지하여 좌우 횡단 암(211)의 수평 이동 동력을 차단시키는 리미트 스위치(218-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은 포트 홀 주변의 절단, 파쇄, 파쇄물 제거, 유제(아스팔트)의 포트 홀 살포, 포트 홀 내 아스콘 도포 및, 평탄작업 다짐 작업이 모두 하나의 차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아스콘이 경화되지 않으면서도 유동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서로 모순되는 요청이 모두 달성 가능하며, 포트 홀에서 발생되는 파쇄물이 전량 분리 처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 차량의 전방 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 차량의 후방 측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부 기구부의 사시도,
도 4a는 도 1에서 아스콘 공급부의 외부 사시도,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내부 사시도,
도 5a는 파쇄물 수집부의 외부 정면도,
도 5b는 파쇄물 수집부의 투시 정면도,
도 5c는 도 5b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1에서 전방 기구부의 확대도,
도 7a는 전방 기구부의 일측 사시도,
도 7b는 전방 기구부의 타측 사시도,
도 7c는 도 7b의 부분 확대도,
도 7d는 전방 기구부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전방 붐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8에서 드럼 함체 부위를 확대한 사시도,
도 9b는 드럼 함체 부위의 측면도,
도 9c는 드럼 함체의 확대 사시도,
도 9d는 드럼 함체와 밀폐 함체의 정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은 통상의 짐차와 동일하게 운전석이 내부에 형성된 캐빈(12)과 몸체(11)로 구성되는 이동체(10)와, 물탱크(70)와, 상부 기구부(30)와, 전방 기구부(20)와, 아스콘 공급부(40)와, 파쇄물 수집부(50)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부 기구부(30)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직립 회전 암(31)과, 직립 회전 암(31)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며 차례로 신장되는 복수개의 붐대와, 붐대 타단에 설치되는 현수 암(35)과,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아스콘 도포기(38) 및,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다짐 롤러(37)로 이루어진다.
도 4에는 복수개의 붐대가 가장 내경이 큰 제1 수평 붐(32)과, 제1 수평 붐(32)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수평 붐(33)과, 제2 수평 붐(33) 보다 내경이 작은 제3 수평 붐(미도시)가 차례로 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붐대의 개수 및 형태는 도 4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제3 수평 붐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3 수평 붐은 제2 수평 붐(33)에 내장된 상태이다.
직립 회전 암(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0)의 몸체(11) 폭 방향의 중심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기구부(30)의 하중으로 인해 이동체의 주행 중 코너링 상황에서 이동체(10)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트 홀 보수 작업 상황에서 포트 홀로 인한 손상부위가 이동체(10)의 정면 중심에 오도록 이동체(10)를 배치할 경우 파쇄부터 마지막 다짐 공정이 모두 이동체(10)의 위치 조정 없이도 가능하여 작업 배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며, 작업시 무게중심이 이동체(10)의 중심에 항상 위치하므로 작업의 안정성도 좋아진다.
특히 파쇄 드럼(221)이 설치된 전방 기구부(20)의 위치가 이동체(10)의 몸체(11)가 아니라 전방에 배치되면서 전방 기구부(20)와 상부 기구부(30)가 서로 전혀 간섭 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번갈아 작업이 가능하므로 이동체(10)의 위치 조정 없이도 파쇄와 도포 및 다짐 작업 방향이 모두 도로 방향에 일치될 수 있게 작업될 수 있다.
아스콘 공급부(40)는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아스콘이 내장되어, 상부 기구부(30)로 아스콘을 전달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공급부(40)의 외부에는 아스콘을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42)이 상기 바스켓(39) 수직 상부 위치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공급부(40) 내부에는 아스콘을 토출 유닛(42)으로 이동시키는 토출 스크루(46)가 내장된다.
이때 아스콘 공급부(40) 내부 공간은 도 4c를 참조하면,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인해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아스콘 슬립 판(43)은 중심 또는 주변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의 하단에 토출 스크루(46)가 설치됨으로써,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에 저장되는 아스콘은 토출 스크루(46)로 쏠리면서 토출 스크루(4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한 쪽으로 전량 이동이 가능하다.
즉 아스콘 공급부(40)의 몸체를 이루는 것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호퍼 함체(41)(41)이고, 아스콘 호퍼 함체(41)(41)는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인해 내부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되, 아스콘은 상부 공간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아스콘 슬립 판(43)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진 아스콘 슬립 판(43)의 하단에 토출 스크루(46)가 설치됨으로써, 아스콘은 모두 토출 스크루(46)로 모이게 되며, 따라서 토출 스크루(46)가 과도하게 크게 제작되지 않더라도 아스콘 호퍼 함체(41) 상부 공간에 저장된 아스콘의 전량 모두 토출 스크루(46)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토출 스크루(46)는 중심 위치에 이동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아스콘 슬립 판(43)은 토출 스크루(46)를 향하여 중심이 가장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도 4c 처럼 중심이 낮을 필요는 없고 가장자리가 가장 낮도록 경사지게 아스콘 슬립 판(43)이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토출 스크루(46)의 일단은 토출 유닛(42) 내부로 인입되어, 토출 스크루(46)가 회전됨으로써 아스콘은 토출 유닛(42) 내부로 진입된다.
따라서 아스콘을 바스켓(39)에 토출시켜야 할 때에는 토출 스크루(46)가 회전되는 방향은 아스콘을 토출 유닛(42) 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스콘의 경화 방지를 위해 순환시켜야 할 때에는 토출 스크루(46)의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되는데, 이것은 양 방향 구동 모터(47)가 설치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스크루(46) 상부에는 아스콘의 유동성을 유지시켜 주는 히터(44)가 설치된다. 왜냐하면, 아스콘은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유동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점도가 커지므로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아스콘의 적정 유지 온도는 120℃ 내지 170℃ 범위이다.
그러나 아스콘을 히터(44)로 지속적으로 가열시킬 경우 아스콘은 히터(44)의 열로 인해 특히 히터(44)와 가까운 쪽의 아스콘은 경화되거나 심지어는 눌러 붙어버릴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히터(44)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4)와 히터(44) 주변을 둘러싸는 아스콘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주는 간격 유지 함체(443)로 둘러싸이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런데 히터(44)는 연소관(441)으로 이루어져 히터(44) 내부 온도는 상당히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간격 유지 함체(443)로 히터(44)와 아스콘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더라도 아스콘을 120℃ 이상으로 유지시키려면 간격 유지 함체(443) 주변의 아스콘은 경화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토출 스크루(46)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는 양 방향 회전 가능한 양 방향 구동 모터(47)이고, 토출 스크루(46)의 타단 부위에는 아스콘을 인출시킨 다음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로 토출시키는 순환 유닛(451,452,453,454,455)이 마련되어, 아스콘이 장시간 히터(44) 주변에 머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열 경화가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순환 유닛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스크루(46) 타단과 연결되며 아스콘 슬립 판(43)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아스콘을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자중 낙하 관(452)과, 자중 낙하 관(452) 하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아스콘을 상승시키는 상승 스크루(454)가 내장되어 자중 낙하 관(452)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아스콘을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 공간으로 상승시키는 상승 관(453) 및, 상승 관(453) 상단에 형성되는 창으로서 상승 관(453) 상단까지 상승한 아스콘을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토출시켜 다시 아스콘을 토출 스크루(46) 방향으로 흘려보내는 순환 토출구(45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자중 낙하 관(452)과 토출 스크루(46) 사이에는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 관(452)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설치되어, 양 방향 구동모터가 아스콘을 토출 유닛(42)의 반대 방향인 자중 낙하 관(452) 방향을 향하여 아스콘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토출 스크루(46)를 회전시키면, 상기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작동되어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 관(452) 사이가 개방되면서 아스콘의 순환이 시작된다.
아스콘의 경화 방지를 위한 순환 방향은 도 4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때 양 방향 모터가 설치됨으로써, 아스콘의 흐름이 조절 가능하므로 아스콘을 토출 유닛(42)에 무리를 주지 않고도 순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역류 방향으로 순환이 되면 순환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진 아스콘이 다시 히터(44) 측면을 통과하면서 작업 가능한 온도로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자중 낙하 관(452)의 설치로 인해 순환 과정에서 과도한 동력 사용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이때 아스콘 슬립 판(43)의 경사로 인해 순환 과정에서도 아스콘의 흐름은 원활한 효과가 있다.
한편 파쇄물 수집부(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기구(23)로 집진된 파쇄물을 이송 받아 포집하는 포집탱크(51)와, 포집탱크(51) 하부에 설치되는 덤프 액추에이터(52)를 포함한다.
이때 파쇄물 수집부(50)에는 파쇄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배출 시키는 사이클론(57)이 내장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창(59)이 형성되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이클론(57) 상부로 분리 배출되는 미세 입자는 사이클론(57)과 공기 배출 창(59)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필터(582)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 창(59)을 따라 배출되고, 사이클론(57) 하단에는 집진 수조(573)가 설치되어, 사이클론(57) 하부로 분리된 입자들은 집진 수조(573) 내부로 낙하되어 집진 수조(573)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 관(574)을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사이클론(57) 하단에 집진 수조(573)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집진 수조(573)가 없을 경우에 사이클론(57) 하단에 모인 입자를 배출시키는 것에 비해, 집진 수조(573)를 통하여 슬러지 형태로 배출시킬 경우 배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또는 먼지는 대략 몇 백 분의 일로 줄어들어 먼지 배출 양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포집 탱크(51)와 사이클론(57) 사이에는 스크린(56)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 기구부(20)에 설치된 흡입 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파쇄물은 포집 탱크(51)로 연결되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며,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는 파쇄물 중 스크린(56)을 통과하는 입자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를 거친 후 스크린(56)을 통과하여 사이클론(57)으로 이송되고, 스크린(56)을 통과 하지 못하는 큰 입자의 파쇄물은 포집 탱크(51) 내부에 포집된다.
그런데 후술하게 될 전방 기구부(20)로부터 전달되는 파쇄물이 포집 탱크(51)로 흡입되게 안내시키는 흡입관(53)은 이동체(10)에 고정 설치되므로,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작동으로 파쇄물 수집부(50) 전체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들렸다가 다시 원위치 될 경우 원위치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될 수 있으며, 파쇄물이 포집 탱크(51)로 이동되는 관로의 밀폐가 보장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53)과 포집 탱크 사이에는 강 탄성 재질의 완충 플렌지가 흡입관(53) 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신장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 전체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면서 포집 탱크(51) 내부의 파쇄물 입자를 쏟아 낸 후에 다시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수축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가 수평하게 원상회복 될 때 흡입관(53) 상단과 파쇄물 수집부(50) 저면과의 충돌 시 완충 플렌지의 완충 작용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파쇄물 수집부(50)의 자중으로 인하여 완충 플렌지와 포집 탱크(51) 간에는 다시 수밀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완충 플렌지가 너무 무른 재질일 경우에는 완충 플렌지 자체가 흡입관(53)을 어느 정도 막아버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흡입관(53)으로 파쇄물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은 큰 입자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당히 강력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방 기구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2) 정면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파쇄 드럼(221)과, 파쇄 드럼(221)을 상기 이동체(10)의 정면에서 종횡으로 수평 가변시키는 수평 가변기구(21)와, 파쇄 드럼(221)으로 파쇄된 아스팔트 파쇄물을 흡입하는 흡입 기구 및, 수평 가변기구(21)를 캐빈(12) 정면과 고정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 가변 기구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2)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며 캐빈(12)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레일(212)과, 수평 레일(212)을 따라 캐빈(12)의 좌우로 가변되는 좌우 횡단 암(211)과, 좌우 횡단 암(211)의 전단에 힌지 축(214)으로 연결되며 구경이 큰 외부 붐대(216) 내부에 구경이 작은 내부 붐대(217)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되는 전방 붐대로 이루어진다.
드럼 함체(229)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붐대(217)의 단부에 결합되며 파쇄 드럼(221)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 함체(229)와, 전방 붐대(216,217)는 모두 좌우 횡단 암(211)에 차례로 연결되므로, 좌우 횡단 암(211)이 좌우로 가변되면 전방 붐대(216,217)와 드럼 함체(229)가 함께 일체로 좌우로 가변된다. 또한 전방 붐대(216,217)에서는 제2붐대(217)가 가변됨으로써, 결국 드럼 함체(229)는 수평 방향의 어느 지점이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전방 붐대(216,217)는 좌우 횡단 암(211)에 힌지 축(214)으로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전방 붐대(216,217)를 좌우 횡단 암(211)으로부터 펼쳐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 바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힌지 액추에이터(215)이다. 이와 같이 힌지 액추에이터(215)가 전방 붐대를 펼쳐주거나 접히게 함으로써, 이동체(10)의 주행 상황에서 전방 기구부(12) 전체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흡입 기구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붐대 측면에 전방 붐대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관(231)과, 고정 관(231)의 일단과 드럼 함체(229)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1벨로우즈 관(미도시)과, 고정 관(231)의 타단과 고정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2벨로우즈 관(23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벨로우즈 관(235)과 고정 관(231)의 타단이 접속되는 지점에는, 플렌지(238)와 제2벨로우즈 관(235)의 자유 회전을 허용시키는 링크 베어링(232)이 설치되고, 링크 베어링(232)의 외주면에는 방사 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의 막대 스토퍼(233)이 부착되며, 막대 스토퍼(233)의 끝단은 플렌지(238) 고정을 위해 플렌지(238)에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트 헤드(234)에 접촉되면서 정지됨으로써, 막대 스토퍼(233)과 함께 회전되는 링크 베어링(232)과 제2벨로우즈 관(235)의 타단도 회전이 정지되어, 제2벨로우즈 관(235)의 일정 범위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시키면서도 제2벨로우즈 관(235)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제2벨로우즈 관(235)의 꼬임이 방지된다.
즉 파쇄물의 흡입 과정에서 제2벨로우즈 관(235)은 급격한 흡입 및 파쇄 덩어리의 격한 이동으로 인해 심하게 요동칠 수 있어 제2벨로우즈 관(235)의 단부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면 제2벨로우즈 관(235) 자체의 내구성 및 단부 연결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일정정도의 회전 가변이 허용되어야 하지만, 제2벨로우즈 관(235)의 단부 회전 가변이 무제한으로 허용되면 제2벨로우즈 관(235) 자체가 꼬일 수 있다. 이때 제2벨로우즈 관(235)의 회전 가변을 일정 각도 이내로 억제시켜 주는 것이 바로 막대 스토퍼(233)의 작용이다. 특히 막대 스토퍼(233)은 별도의 장치의 추가 설치 없이도 플렌지(238) 고정용 볼트 헤드(234)와 동일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플렌지(238) 고정용 볼트 헤드(234)에 막대 스토퍼(233)이 접촉되면서 제2벨로우즈 관(235)의 무한 회전이 억제되므로 비용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2벨로우즈 관(235)의 회전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입 기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붐대를 구성하는 제2붐대(217)가 제1붐대(216)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함께 길이가 가변되어야 하므로, 도 9에 일부분만 도시된 내부 이송 관(239)이 설치되어 제2붐대(217)가 제1붐대(216)로부터 인출될 때 내부 이송 관(239)이 고정 관(23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정 관(231)의 타단과 제1벨로우즈 관의 연결은 고정 관(231) 타단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내부 이송 관(239)의 단부와 제1벨로우즈 관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도 7d의 사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전방 기구부(12)의 하부에는 지지대(241)와 지지대(241) 하단에 연결되는 발판(243)과, 지지대(241)와 발판(243)을 접속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242) 및, 유니버설 조인트(242)가 중심에 설치되는 발판(243)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24)이 복수 개소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대(241)는 수직 하부를 향해 가변되는 지지용 액추에이터(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전방 기구부(12)에는 수평계(미도시)가 설치되며, 수평계(미도시)의 측정치에 따라 복수 개소에 설치된 지지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전방 기구부(12)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됨으로써, 이동체(10)가 경사면에 위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복수개소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24)으로 인해 이동체(10)의 수평이 유지된 상황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드럼 함체(229)의 배면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함체(229)가 아스팔트 바닥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또는 상승될 수 있게 레일이 양 측에 설치된 승강 프레임(222)이 결합되고, 드럼 함체(229)와 상기 내부 붐대 단부의 결합은 내부 붐대 단부가 승강 프레임(222)의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럼 함체(229) 상부에는 아스콘 유화용 유화제가 저장된 유화제 탱크(223)가 결합되어 드럼 함체(229)와 유화제 탱크(223)는 함께 상기 승강 프레임(222)을 타고 하강 또는 상승되며, 유화제 탱크(223)의 상면에는 승강 프레임(222)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228)이 설치되고, 커버 프레임(228)에는 커버 프레임(228)을 관통하며 하단이 유화제 탱크(223)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승강 액추에이터(2281)가 설치되어, 승강 액추에이터(2281)의 동작에 따라 유화제 탱크(223)와 드럼 함체(229)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유화제는 아스콘이 상 분리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분산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물질로서 아스콘이 도포될 때 아스콘에 반드시 첨가되어야 한다. 그런데
유화제가 이동체(10)의 몸체(11), 즉 아스콘 호퍼(41) 근처에 설치되면 유화제 공급관이 상당히 길게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유화제는 대량으로 아스콘에 첨가되는 물질이 아니므로 유화제 공급관은 구경이 작을 수밖에 없고, 유화제가 한번 지나간 관은 관에 잔류하는 유화제가 굳으면서 막힐 우려가 있어 유화제 공급관은 길게 설치되면 유화제 공급관의 세척에 상당한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 탱크(223)가 바로 드럼 함체(229)의 수직 상부에 배치되게 결합 됨으로써 유화제 공급관(미도시)의 길이가 최소화 되게 하고, 유화제 공급관을 세척시키는 경유가 저장되는 경유 탱크(224)가 유화제 공급관의 배면에 결합된 승강 프레임(222)의 배면에 결합되게 배치됨으로써, 아스콘 주입에 반드시 필요한 유화제 및 경유의 저장 및 공급 수단이 작업 현장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면서도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 되어 구성간의 결합이 콤팩트하게 되어 작업과 이동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도로 보수에 필요한 모든 장비가 하나의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유화제 탱크(223)와 경유 탱크(224)의 배치로 인해 필요한 구성의 배치가 최적화 된다.
한편, 드럼 함체(229) 하부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함체(229)와 단면 형상은 동일하면서 드럼 함체(229) 보다 더 크게 제작되어 드럼 함체(229)의 외면을 감싸거나, 또는 드럼 함체(229)와 단면 형상은 동일하면서 드럼 함체(229)보다 더 작게 제작되어 드럼 함체(229)의 내면과 면접되면서 드럼 함체(229) 하부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 쿠션(227)이 결합되는 밀폐 함체(226)가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1벨로우즈 관(미도시)은 내부 이송 관(239)의 단부와 드럼 함체(229)를 연결시킨다. 이때 드럼 함체(229)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바닥에 침전된 아스팔트 파쇄물을 부유시키는 블로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워가 드럼 함체(229) 내부에서 바람을 유동시켜 파쇄물을 부유시킬 때 파쇄물이 원활하게 제1벨로우즈 관(미도시)으로 흡입되려면 드럼 함체(229)와 바닥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는 최대한 밀폐가 되어야 최대한의 효율로 제1벨로우즈 관(미도시)이 파쇄물을 흡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드럼 함체(229)의 하단은 강성 부재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 드럼(221)이 파쇄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시키기 위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 드럼(221)의 하단보다 약간 더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드럼 함체(229) 하단이 아스팔트 바닥 면과 닿지 않아 밀폐가 이루어질 수 없어 파쇄물의 흡수 효율이 현저하게 낮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드럼 함체(229) 하단에 직접 쿠션 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밀폐는 이루어질 수 있으나, 파쇄 드럼(221)의 파쇄 작업에 따라 드럼 함체(229)의 하단과 바닥 면의 거리는 일정한 폭으로 변동될 수 있어서 드럼 함체(229)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밀폐를 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드럼 함체(229) 하단에서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밀폐 함체(226)가 드럼 함체(229)에 설치됨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
밀폐 함체(226)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함체(229)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드럼 함체(229)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c 및 도 9d의 실시예에서는 밀폐 함체(226)가 드럼 함체(229) 하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밀폐 함체(226)는 드럼 함체(229)의 상하 이동이 있더라도 지면에 밀착될 필요가 있으므로 밀폐 함체(226)를 드럼 함체(229)로부터 바닥 방향으로 밀어내는 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것이 바로 도 9d에 설치된 스프링(2261)이다.
스프링(2261)은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함체(229) 외벽에 설치된 수직 실린더(2264)에 내장되며, 스프링(2261)의 탄성력을 받는 피스톤 암(2262)이 밀폐 함체(226) 외벽에 고정 연결되게 설치되고, 피스톤 암(2262)은 드럼 함체(229)에 형성된 수직 장공(2263)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드럼 함체(229)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는 상승하더라도 밀폐 함체(226)를 바닥으로 밀착시키는 힘이 작용되므로 파쇄 드럼(221)이 파쇄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의 밀폐가 유지되어 파쇄물의 흡입 효율이 현저하게 커질 수 있다.
이때 밀폐 함체(226) 하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 쿠션(227)이 설치됨으로써 밀폐 효율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횡단 암(211)이 수평 레일(212)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 레일(212)의 끝단에서 좌우 횡단 암(211)이 이탈되지 않도록 세 개의 스토퍼(218)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 횡단 암(211)의 수평 이동을 구동시키는 작용은 수평 레일(212) 배면에 설치된 구동 박스(213)에 내장된 모터 풀리 등의 구동 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도 7d의 사진에 작게 표현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스토퍼(218) 중 중간 스토퍼(218)가 리미트 스위치(218-2)로 구성되어 좌우 횡단 암(211)과 접촉될 때 구동 박스(213)의 구동 전원을 단절시켜 줌으로써 구동 박스(213)에 내장된 구동 기구를 이루는 모터(미도시)의 과부하를 방지시켜 내구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이동체 11 : 몸체
12 : 캐빈 20 : 전방 기구부
21 : 수평 가변기구 22 : 파쇄 기구
23 : 흡입기구 24 : 지지 프레임
25 : 연결 프레임 30 : 상부 기구부
31 : 직립 회전 암 32 : 제1 수평 붐
33 : 제2 수평 붐 35 : 현수 암
37 : 다짐 롤러 39 : 바스켓
40 : 아스콘 공급부 41 : 호퍼 함체
42 : 토출 유닛 43 : 아스콘 슬립 판
44 : 히터 45 : 순환 유닛
46 : 토출 스크루 47 : 양 방향 구동 모터
50 : 파쇄물 수집부 51 : 포집 탱크
52 : 덤프 액추에이터 53 : 흡입관
54 : 완충 플렌지 55 : 유입관
56 : 스크린 57 : 사이클론
59 : 공기 배출 창 70 : 물탱크
81 : 차단 바 82 : 작업표시판
211 : 좌우 횡단 암 212 : 수평 레일
213 : 구동 박스 214 : 힌지 축
215 : 힌지 액추에이터 216 : 외부 붐대
217 : 내부 붐대 218 : 스토퍼
218-2 : 리미트 스위치 221 : 파쇄 드럼
222 : 승강 프레임 223 : 유화제 탱크
224 : 경유 탱크 225 : 이격 부재
226 : 밀폐 함체 227 : 밀폐 쿠션
228 : 커버 프레임 229 : 드럼 함체
231 : 고정 관 232 : 링크 베어링
233 : 막대 스토퍼 234 : 볼트 헤드
235 : 제2벨로우즈 관 237 : 고정 관 고정판
238 : 플렌지 239 : 내부 이송 관
241 : 지지대 242 : 유니버설 조인트
243 : 발판 371 : 롤러 틸팅 액추에이터
373 : 롤러 진동 유닛 391 : 바스켓 틸팅 액추에이터
441 : 연소관 442 : 배기관
443 : 간격 유지 함체 451 :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
452 : 자중 낙하 관 453 : 상승 관
454 : 상승 스크루 455 : 순환 토출구
571 : 사이클론 유입 관 572 : 사이클론 배출 관
573 : 집진 수조 574 : 슬러지 배출 관
582 : 분진 필터 2231 : 유화제 주입구
2232 : 체크 밸브 연결구 2241 : 경유 주입구
2242 : 삼방밸브 연결구 2261 : 스프링
2262 : 피스톤 암 2263 : 수직 장공
2264 : 수직 실린더 2265 : 실린더 고정 볼트
2281 : 승강 액추에이터

Claims (16)

  1. 상부에는 기기가 탑재되고 하부에는 엔진과 차륜이 설치된 몸체(11)와, 상기 엔진 및 차륜을 제어시키는 운전대가 마련된 캐빈(12)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1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7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직립 회전 암(31)과, 직립 회전 암(31)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신장되는 복수개의 붐과, 복수개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현수 암(35)과,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아스콘 도포기(38)와, 현수 암(35) 하단에 설치되는 다짐 롤러(37) 및, 다짐 롤러(37)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아스콘이 적재되는 바스켓(39)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기구부(30)와;
    상기 캐빈(12) 정면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파쇄 드럼(221)과, 파쇄 드럼(221)을 상기 이동체(10)의 정면에 설치되는 수평 가변기구(21)와, 파쇄 드럼(221)으로 파쇄된 아스팔트 파쇄물을 흡입하는 흡입 기구 및, 수평 가변 기구(21)를 캐빈(12) 정면과 고정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25)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기구부(2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아스콘이 내장된 아스콘 공급부(40)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기구(23)로 집진된 파쇄물을 이송 받아 포집하는 포집탱크(51)와, 포집탱크 하부에 설치되는 덤프 액추에이터(52)를 포함하는 파쇄물 수집부(50); 및,
    상기 몸체(11)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을 위해 정차중임을 도로 주행 차량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로 구성되되,
    상기 아스콘 공급부(40)는 아스콘의 유동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44)가 내장되고,
    상기 아스콘 공급부(40)의 외부에는 아스콘을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42)이 상기 바스켓(39) 수직 상부 위치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스콘 공급부(40) 내부에는 아스콘을 상기 토출 유닛(42)으로 이동시키는 토출 스크루(46)가 내장되되,
    아스콘 공급부(40) 내부 공간은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인해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아스콘 슬립 판(43)은 중심 또는 주변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의 하단에 토출 스크루(46)가 설치됨으로써,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에 저장되는 아스콘은 토출 스크루(46)로 쏠리면서 토출 스크루(4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한 쪽으로 전량 이동 가능하고,
    상기 토출 스크루(46)의 일단은 토출 유닛(42) 내부로 인입되어, 토출 스크루(46)가 회전됨으로써 이동되는 아스콘은 토출 유닛(42) 내부로 진입되며,
    상기 토출 스크루(46) 상부에는 아스콘의 유동성을 유지시켜 주는 히터(44)가 설치되되, 히터(44)는 히터(44)와 히터(44) 주변을 둘러싸는 아스콘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주는 간격 유지 함체(443)로 둘러싸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스크루(46)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는 양 방향 회전 가능한 양 방향 구동 모터(47)이고,
    토출 스크루(46)의 타단 부위에는 아스콘을 인출시킨 다음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로 토출시키는 순환 유닛이 마련되어, 아스콘이 장시간 히터(44) 주변에 머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열 경화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닛은, 토출 스크루(46) 타단과 연결되며 아스콘 슬립 판(43)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아스콘을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자중 낙하관과, 자중 낙하관 하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아스콘을 상승시키는 상승 스크루(454)가 내장되어 자중 낙하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아스콘을 다시 아스콘 슬립 판(43) 상부 공간으로 상승시키는 상승관 및, 상승관 상단에 형성되는 창으로서 상승관 상단까지 상승한 아스콘을 아스콘 슬립 판(43)으로 토출시켜 다시 아스콘을 토출 스크루(46) 방향으로 흘려 보내는 순환 토출구(4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 낙하관과 토출 스크루(46) 사이에는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관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설치되어,
    상기 양 방향 구동모터가 아스콘을 토출 유닛(42)의 반대 방향인 자중 낙하관 방향을 향하여 아스콘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토출 스크루(46)를 회전시키면, 상기 순환 개폐 액추에이터(451)가 작동되어 토출 스크루(46)와 자중 낙하관 사이가 개방되면서 아스콘의 순환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 수집부(50)는 파쇄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배출 시키는 사이클론(57)이 내장되고, 여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창(59)이 형성되어, 사이클론(57) 상부로 분리 배출되는 미세 입자는 사이클론(57)과 공기 배출 창(59)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필터(582)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 창(59)을 따라 배출되고, 사이클론(57) 하단에는 집진 수조(573)가 설치되어, 사이클론(57) 하부로 분리된 입자들은 집진 수조(573) 내부로 낙하되어 집진 수조(573)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 관(574)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탱크(51)와 사이클론(57) 사이에는 스크린(56)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 기구부(20)에 설치된 흡입 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파쇄물은 포집 탱크(51)로 연결되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며,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로 유입되는 파쇄물 중 스크린(56)을 통과하는 입자는 흡입관(53)을 통하여 포집 탱크(51)를 거친 후 스크린(56)을 통과하여 사이클론(57)으로 이송되고, 스크린(56)을 통과 하지 못하는 큰 입자의 파쇄물은 포집 탱크(51) 내부에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53)과 포집 탱크 사이에는 강 탄성 재질의 완충 플렌지가 흡입관(53)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신장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 전체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면서 포집 탱크(51) 내부의 파쇄물 입자를 쏟아 낸 후에 다시 덤프 액추에이터(52)의 수축 동작으로 파쇄물 수집부(50)가 수평하게 원상회복 될 때 흡입관(53) 상단과 파쇄물 수집부(50) 저면과의 충돌 시 완충 플렌지의 완충 작용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파쇄물 수집부(50)의 자중으로 인하여 완충 플렌지와 포집 탱크(51) 간에는 다시 수밀하게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변 기구는 캐빈(12)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며 캐빈(12)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레일(212)과, 수평 레일(212)을 따라 캐빈(12)의 좌우로 가변되는 좌우 횡단 암(211)과, 좌우 횡단 암(211)의 전단에 힌지 축(214)으로 연결되며 구경이 큰 외부 붐대(216) 내부에 구경이 작은 내부 붐대(217)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되는 전방 붐대(216,217)로 이루어지며,
    드럼 함체(229)는 내부 붐대(217)의 단부에 결합되며 파쇄 드럼(221)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 기구는 단부가 드럼 함체(229)의 측면 또는 정면에 삽입되게 연결됨으로써, 파쇄 드럼(22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이동체(10)의 폭 방향으로 유지되면서 드럼 함체(229)가 수평 종 방향 및 수평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붐대(216,217)의 소정 위치와 좌우 횡단 암(211)의 소정 위치는 힌지 액추에이터(215)로 연결됨으로써, 힌지 액추에이터(215)가 신장되면 힌지 축(214)을 중심으로 전방 붐대(216,217)가 펼쳐지면서 이동체(10)의 길이 방향을 향하고, 힌지 액추에이터(215)가 수축되면 힌지 축(214)을 중심으로 전방 붐대(216,217)가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접힘으로써, 이동체(10)의 운전 상황에서 전방 기구부(20)의 점유 공간이 최소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구(23)는 전방 붐대(216,217) 측면에 전방 붐대(216,217)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관(231)과, 고정 관(231)의 일단과 드럼 함체(229)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1벨로우즈 관과, 고정 관(231)의 타단과 고정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2벨로우즈 관(235)으로 이루어지되,
    제2벨로우즈 관(235)과 고정 관(231)의 타단이 접속되는 지점에는, 플렌지(238)와 제2벨로우즈 관(235)의 자유 회전을 허용시키는 링크 베어링(232)이 설치되고, 링크 베어링(232)의 외주면에는 방사 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의 막대 스토퍼(233)이 부착되며, 막대 스토퍼(233)의 끝단은 플렌지(238) 고정을 위해 플렌지(238)에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트 헤드(234)에 접촉되면서 정지됨으로써, 막대 스토퍼(233)과 함께 회전되는 링크 베어링(232)과 제2벨로우즈 관(235)의 타단도 회전이 정지되어, 제2벨로우즈 관(235)의 일정 범위 내에서의 회전을 허용시키면서도 제2벨로우즈 관(235)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제2벨로우즈 관(235)의 꼬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관(231)의 타단과 제1벨로우즈 관의 연결은 고정 관(231) 타단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내부 이송 관(239)의 단부와 제1벨로우즈 관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기구부(20)의 하부에는 지지대(241)와 지지대(241) 하단에 연결되는 발판(243)과, 지지대(241)와 발판(243)을 접속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242) 및, 유니버설 조인트(242)가 중심에 설치되는 발판(243)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24)이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41)는 수직 하부를 향해 가변되는 지지용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전방 기구부(20)에는 수평계가 설치되며, 수평계의 측정치에 따라 복수 개소에 설치된 지지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전방 기구부(2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제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 원 포트 홀 보수 차량.
KR1020180166269A 2018-12-20 2018-12-20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KR10217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69A KR102179727B1 (ko) 2018-12-20 2018-12-20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69A KR102179727B1 (ko) 2018-12-20 2018-12-20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89A KR20200077089A (ko) 2020-06-30
KR102179727B1 true KR102179727B1 (ko) 2020-11-17

Family

ID=7112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69A KR102179727B1 (ko) 2018-12-20 2018-12-20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8899B (zh) * 2021-08-24 2023-10-31 鲁东大学 一种含检测部件的病毒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74A (ja) * 2000-03-02 2001-09-14 Arufa:Kk 梯子の支持装置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KR101254956B1 (ko) * 2013-02-07 2013-04-16 (주)한동알앤씨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77B1 (ko) 2006-04-13 2006-12-22 이순익 아스콘포장도로용 도로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도로보수방법
KR101334516B1 (ko) 2012-11-27 2013-11-28 김영식 도로면 훼손부위 보수장치
KR101651936B1 (ko) * 2015-03-25 2016-08-31 양창학 아스콘 포장도로 보수용 차량
KR101654033B1 (ko) * 2015-04-03 2016-09-05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도로 포트 홀 자동 보수 차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74A (ja) * 2000-03-02 2001-09-14 Arufa:Kk 梯子の支持装置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KR101254956B1 (ko) * 2013-02-07 2013-04-16 (주)한동알앤씨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89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2285A1 (zh) 一种智能化多用途的大宽度大厚度抗离析摊铺机
US4979536A (en) Portable truck tire washing apparatus
KR102081675B1 (ko)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WO2019190032A1 (ko)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ES2886135T3 (es) Vehículo de transferencia de material
KR102179727B1 (ko)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FI127094B (fi) 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WO2012021371A2 (en) Slab raising method
WO2023011664A1 (zh) 排水抢险车的作业装置和排水抢险车
CN211498380U (zh) 一种园林沥青施工用整平装置
KR102180653B1 (ko)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CN208830105U (zh) 一种路面平整装置
CN209429024U (zh) 一种路面清扫车
CN210238226U (zh) 一种道路桥梁路面施工装置
CN206853782U (zh) 一种道路维修用石子粉碎机
CN210151530U (zh) 土路肩成形摊铺机
CN207513616U (zh) 防水施工用可移动臂组及包含此臂组的防水施工用台车
CN215405497U (zh) 一种高速公路养护用路面裂缝修补装置
CN114134773B (zh) 一种环保型的道路施工方法
CN212358103U (zh) 一种折转式可变高度道路限高门架
CN207513620U (zh) 一种防水施工用台车
CN207332907U (zh) 防水施工用旋转折叠臂组及包含此臂组的防水施工用台车
RU127087U1 (ru) Машина подметальная уборочная
CN207211054U (zh) 一种折叠式除冰除雪装置
CN210888776U (zh) 一种铣刨机用折叠爬梯扶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