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235B1 -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 Google Patents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235B1
KR102179235B1 KR1020190047251A KR20190047251A KR102179235B1 KR 102179235 B1 KR102179235 B1 KR 102179235B1 KR 1020190047251 A KR1020190047251 A KR 1020190047251A KR 20190047251 A KR20190047251 A KR 20190047251A KR 102179235 B1 KR102179235 B1 KR 10217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pping
gripping unit
adsorption
conve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3985A (en
Inventor
방신한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9004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235B1/en
Publication of KR2020012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이송물 이송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은,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1 파지유닛과,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2 파지유닛과, 제1 파지유닛과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유닛과,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제1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제1 파지유닛을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을 포함한다. A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is disclosed. The convey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grasping unit for grasping a conveyed material, a second grasping uni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asping unit and grasping the conveyed material, a first grasping unit and a second grasping unit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and transferring the gripped material, and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to support the first gripping unit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Includes.

Description

이송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본 발명은, 이송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적재된 이송물을 파지하여 다음 공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송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and a convey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device and a conveying method capable of holding a conveyed material loaded on a tray and transferring it to a next process.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In recent years, as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flat panel displays (FPDs) have begun to appear.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이 있다.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이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액정표시장치(LCD)보다 낮은 소비 전력, 경량성,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Among them, the OLED display has a fast response speed,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ght weight, and can be made ultra-thin sinc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backlight device. It has very good advantages such as high luminance, so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눌 수 있다. 특히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can be divided into passive PMOLED and active AMOLED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In particular, AMOLED is a self-luminous display, which has the advantage of faster response speed than conventional displays, natural color sense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애노드와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유기막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막들은 최소한 발광층을 포함하며, 발광층 이외에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n anode and a cathode, and organic layer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Here, the organic layers include at least an emission layer, and may further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 addition to the emission layer.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유기물의 자체 발광에 의해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초경박형 표시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광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n OLED display is an ultra-thin display device that emits a color image by self-emission of an organic material, and has an advantage of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high light efficiency.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용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는 패턴(Pattern) 형성 공정, 유기박막 증착 공정, 봉지 공정, 유기박막이 증착된 기판과 봉지 공정을 거친 기판을 붙이는 합착 공정, 패널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 등 다양한 공정이 있다.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 pattern formation process, an organic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an encapsulation process, a bonding process in which the substrate on which the organic thin film is deposited and the substrate after the sealing process are attached, and the panel There are various processes such as a functional film attachment process to attach a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이러한 공정과 공정의 이동 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용 기판은 일시적으로 트레이에 적재되어 보관 및 이송된다. 이러한 기판에는 보호용 필름이 부착되어 기판이 보호된다.During the movement of these processes and processes, the substrate for an OLED display is temporarily loaded on a tray, stored and transported.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such a substrate to protect the substrate.

기판 이송의 택타임을 줄이기 위해 복수의 기판을 적층시켜 트레이에 이격되어 마련된 복수의 포켓부에 적재하여 이송하는데, 공정으로 투입 시에는 적층된 기판을 하나씩 분리시켜 파지한 후 개별적으로 공정으로 투입되어야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tact time of substrate transfer, a plurality of substrates are stacked and loaded into a plurality of pockets spaced apart from the tray and transferred. When entering into the process, the stacked substrates must be separated and held one by one and then individually put into the process. do.

그런데, 종래에는 하나의 포켓부 별로 순차적으로 포켓부에 적재된 기판을 파지하여 이송함으로써, 트레이 전체에 적재된 기판을 전부 이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택타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fer all the substrates loaded in the entire tray by holding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s stacked in the pocket portion sequentially for each pocket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tack tim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0636호, (2008.01.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00636, (2008.01.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송물을 지지하는 트레이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이송물을 적재하는 포켓부의 이격간격에 따라 이송물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수개의 포켓부에 적재된 이송물을 파지한 후 파지된 이송물을 동시에 다음 공정으로 전달하여 택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송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laced in a plurality of pockets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holding units for holding the transported object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pocket portion for loading the transported object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a convey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tack time by simultaneously transferring the grasped conveyed material to the next process after grasping the conveyed materi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1 파지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2 파지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상기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ipping unit for gripping a transport material; A second gripp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and gripping the conveyed material;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gripped material; And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support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Can be provided.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트레이에 마련된 포켓부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gap between pocket portions provided on a tray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loaded.

상기 제1 피치조절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이 결합되는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to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is coupled; A first pitch adjustment guid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art; And a first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and moving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일 수 있다.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may be a vacuum suction type holding unit that vacuum suctions the conveyed material.

상기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은,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흡착부용 지지부; 및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adsorption type holding unit includes: a head frame; A support part for an adsorption part connected to the head frame; And an adsorption part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for the adsorption part to vacuum-adsorb the conveyed material.

상기 흡착부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dsorption units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송물에 접촉되는 흡착 패드부; 및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 패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흡착 패드부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관이 내부에 마련되는 흡착용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unit may include an adsorption pad unit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And an adsorption body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part, the adsorption pad part being coupled to the adsorption pad part, and a suction pipe for su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adsorption pad part therein.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은, 상기 헤드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물을 상기 헤드 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시키는 틸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module coupled to the head fram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conveyed material relative to the head frame.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헤드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중심축부; 및 상기 틸팅 중심축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module may include a tilting central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head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for the suction portion; And a tilting driv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ilting central ax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connected to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and rotate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by pressing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헤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본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driving unit may include a pressure cylinder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frame; And a pressure cylinder rod part which is relatively movably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cylinder body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for the adsorption part.

상기 트랜스퍼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세로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세로 방향 이동부; 및 상기 세로 방향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a vertical direction mo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up/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상기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itch control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supporting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moving the second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상기 제2 피치조절유닛은, 상기 제2 파지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to which the second gripping unit is coupled; A second pitch adjusting guid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ing moving block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tch adjusting moving block part; And a second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and moving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상기 이송물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1 분리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2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유닛과 제2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 및 상기 파지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를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material is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another transfer connected to the transfer material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so that one transferred material i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 fir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water; And a second separa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holding unit and separating another transported object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held by the second holding unit so that one transported object is held by the second holding unit. Including,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an air nozzle unit for injecting ai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material; And a nozzle support part coupled to the holding unit and supporting the air nozzle part.

상기 에어 노즐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에어의 분사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지지부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nozzle part may be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part so that the spray angle of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nozzle part may be variable, so that the nozzle support part may be relatively rotatable.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1 매수감지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2 매수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nd a second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objects to be conveyed hel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과 제2 매수감지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을 향해 센싱용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물을 통과한 상기 센싱용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과 제2 매수감지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을 통과하는 상기 센싱용 빔의 투과량을 통해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 detection unit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a sensing beam toward the conveyed object; And a light-receiving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and receives the sensing b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port,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sensing units passes through the transported objec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number of pieces of transported material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through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sensing bea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파지유닛이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피치조절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이 이송물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및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tch adjustment step in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 gripping step of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gripping the conveyed object; And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conveyed material hel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트레이에 마련된 포켓부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gap between pocket portions provided on a tray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loaded.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매수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상기 이송물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 후에 상기 매수감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 transfer material is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e transfer material, and the transfer material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so that one transfer material is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other conveyed material to be contacted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number of sheets detection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separation step.

상기 이송물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수감지단계 후에 상기 분리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 transfer material is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e transfer material, and the transfer material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so that one transfer material is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other conveyed material to be contacted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number of sheets detection step.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이송물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ng step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ir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틸팅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틸딩단계 후에 상기 에어분사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 separa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step of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air spray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tilting step.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이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서 상기 이송물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물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parating step, before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grip the transported object, air is injected from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to vibrate the transported object.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상기 트랜스퍼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상기 틸팅단계에서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복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step may include a return step of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rotated in the tilting step.

상기 트랜스퍼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일체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을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step may include a moving step of integrally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to move the transported object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loading step of loading the conveyed object gripped in the holding unit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파지단계는, 상기 이송물에 접촉된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진공음압이 인가되는 진공흡착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인가된 진공음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진공도 측정단계; 및 상기 진공음압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기준음압의 크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진공도 에러 신호를 전송하는 에러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step may include a vacuum adsorption step of applying a vacuum negative pressure to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A vacuum degre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And an erro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vacuum level error signal when the level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viously input reference sound press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파지유닛을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제1 파지유닛과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을 이송물이 적재되는 트레이에 마련된 포켓부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파지유닛과 제2 파지유닛 각각이 포켓부에 적재된 이송물을 파지한 후 파지된 이송물을 동시에 다음공정으로 전달하여 택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for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there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t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ckets provided in the tray to be loaded,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units each grip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 the pocket, and then simultaneously perform the next process. It can be delivered to reduce the tac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파지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제2 파지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가 이송하는 이송물을 적재하는 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1의 제1 파지유닛과 제1 분리유닛 및 제1 매수감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분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은 도 7의 파지부에 진공흡착된 이송물이 틸팅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yed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FIG. 1.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cond gripping unit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a tray for loading the conveyed material conveyed by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of FIG. 1.
6 is a plan view of FIG. 5.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gripping unit, a first separating unit, and a first sheet counting unit of FIG. 1.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separation unit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tilted state of the conveyed material vacuum-adsorbed in the gripping portion of FIG. 7.
10 to 15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transport device of FIG. 1.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porting a transported object according to the transporting device of FIG. 1.
1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transporting a transported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a function or configuration that i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1 파지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2 파지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5은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가 이송하는 이송물을 적재하는 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는 도 1의 제1 파지유닛과 제1 분리유닛 및 제1 매수감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분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9은 도 7의 파지부에 진공흡착된 이송물이 틸팅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5는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16은 도 1의 이송물 이송장치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Figure 1, Figure 4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gripping unit, FIG. 5 is a view showing a tray for loading the conveyed material transferred by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of FIG. 1,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and FIG. 7 1 is a view showing the first gripping unit, the first separation unit,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FIG. 8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eparation unit of FIG. 7, and FIG. 9 is a vacuum in the gripping part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 tilted state of the adsorbed conveyed material, FIGS. 10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of FIG. Is a flow chart.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파지하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파지유닛(110)과 연결되며 제1 파지유닛(110)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되도록 제1 파지유닛(110)에 파지된 이송물(G)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하는 제1 분리유닛(120)과, 제1 파지유닛(110)에 연결되며 제1 파지유닛(110)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1 매수감지유닛(130)과, 제1 파지유닛(11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층되는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파지하는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파지유닛(110a)과 연결되며 제2 파지유닛(110a)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되도록 제2 파지유닛(110a)에 파지된 이송물(G)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하는 제2 분리유닛(120a)과, 제2 파지유닛(110a)에 연결되며 제2 파지유닛(110a)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2 매수감지유닛(130a)과,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에 결합되어 파지된 이송물(G)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유닛(140)과, 트랜스퍼유닛(140)에 결합되고 제1 파지유닛(110)을 지지하며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150)과,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분리유닛(120)과 제1 매수감지유닛(130)과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분리유닛(120a)과 제2 매수감지유닛(130a)과 트랜스퍼유닛(140) 및 제1 피치조절유닛(15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rasping unit 110 for grasping the conveyed material G from a plurality of conveyed material G stacked, as shown in FIGS. 1 to 15, and 1 Another transport object connected to the holding unit 110 and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transport object G held by the first holding unit 110 so that one transport object G is held by the first holding unit 110 A first separating unit 120 separating G), and a first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detect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110 130), a second gripping unit 110a for gripping the conveyed material G from a plurality of conveyed materials G that are dispo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stacked, and a second gripping unit 110a ) Is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so that one conveyed material G is grippe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separate the other conveyed material 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 second separation unit (120a), a second sheet number detection unit (130a)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nd sens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grippe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transfer unit 140 is coupled to the 1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transfer the gripped conveyed object (G),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140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supporting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first separation unit ( 120),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second separating unit 120a,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the transfer unit 140, and the first pitch control unit 150 )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본 실시예에서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분리유닛(120)과 제1 매수감지유닛(130)은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분리유닛(120a)과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은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ding unit 110, the first separating unit 120,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In addition,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second separating unit 120a,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이와 같이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분리유닛(120) 및 제1 매수감지유닛(130)이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송물(G)의 매수를 감지하고 매수확인된 이송물(G)을 다음공정으로 전달하는 작업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풋프린트와 택타임이 감소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lding unit 110, the first separating unit 120,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tegrally by the transfer unit 140,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conveyed objects (G ) To separate the transported object (G) individually, detect the number of separated transported object (G), and deliver the confirmed number of transported object (G) to the next process, and can be performed in one device. Accordingly, the device's footprint and tack time are reduced.

마찬가지로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분리유닛(120a) 및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이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송물(G)의 매수를 감지하고 매수확인된 이송물(G)을 다음공정으로 전달하는 작업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풋프린트와 택타임이 감소된다. Similarly,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second separating unit 120a,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conveyed objects (G) Separating the conveyed material (G) individually in the process, detecting the number of separated conveyed material (G), and delivering the confirmed number of conveyed material (G) to the nex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one device, accordingly. The device footprint and tack time are reduced.

복수의 이송물(G)은 적층되어 트레이(T)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물(G)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용 유리기판이 사용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한 필름 등 다양한 제품이 본 실시예의 이송물(G)에 해당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G) are stacked and loaded on the tray (T). In this embodiment, a glass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is used as the conveyed material G,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various products such as a flexible film are used as the conveyed material G ).

트레이(T)는 이송물(G)을 적재한다. 이러한 트레이(T)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이송물(G)을 수용하는 6개의 포켓부(P)가 마련되는데, 포켓부(P)의 개수와 포켓부(P) 사이의 간격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tray (T) loads the conveyed material (G). In this tray (T), as shown in FIGS. 5 and 6, six pocket portions (P) for accommodating the stacked transport materials (G) are provided, the number of pocket portions (P) and the pocket portions (P) Intervals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본 실시예에서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 제2 파지유닛(110a)의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are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은 적층된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파지한다. 본 실시예의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은 이송물(G)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으로 이루어진다.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grips the conveyed material G from the stacked plurality of conveyed materials G.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vacuum suction type gripping unit that vacuum sucks the conveyed material G.

이러한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11)과, 헤드 프레임(111)에 연결되는 흡착부용 지지부(112)와,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지지되어 이송물(G)을 진공흡착하는 흡착부(113)와, 헤드 프레임(111)에 결합되며 이송물(G)을 헤드 프레임(111)에 대해 상대회동 시키는 틸팅모듈(117, 118, 119)을 포함한다. This vacuum suction type holding unit, as shown in detail in FIG. 7, 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11 and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d frame 111 and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suction unit and transfers Includes an adsorption unit 113 for vacuum adsorption of water (G), and a tilting module (117, 118, 119) that is coupled to the head frame 111 and rotates the conveyed material (G) relative to the head frame 111 do.

흡착부용 지지부(112)는 헤드 프레임(111)에 연결된다.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용 지지부(112)는 헤드 프레임(11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부용 지지부(112)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support unit 112 for the adsorp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head frame 111. As shown in detail in FIG. 7,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head frame 111.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흡착부(113)는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지지되어 이송물(G)을 진공흡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부(113)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adsorption unit 11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adsorption unit to vacuum-adsorb the conveyed material G.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adsorption units 113 are provided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흡착부(113)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G)에 접촉되는 흡착 패드부(114)와,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연결되며 흡착 패드부(114)가 결합되고 흡착 패드부(114)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관(미도시)이 내부에 마련되는 흡착용 바디부(115)를 포함한다.This adsorption unit 113, as shown in detail in FIG. 7,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ad part 114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and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and the adsorption pad part 114 is coupled And a suction pipe (not shown) for supplying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pad part 114 is provided therein.

흡착 패드부(114)는 이송물(G)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흡착 패드부(114)의 하단부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adsorption pad portion 11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ed material (G).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d part 114 is provided in an inverted cup shape as shown in detail in FIG. 7.

흡착용 바디부(115)는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연결된다. 흡착용 바디부(115)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흡착용 바디부(115)의 하단부에는 흡착 패드부(114)가 결합된다. The body portion for adsorption 11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12 for the adsorption unit. The body portion for adsorption 115 is provided in a long bar shape as shown in detail in FIG. 7. The suction pad part 114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body part 115.

본 실시예에서 흡착용 바디부(115)에는 흡착 패드부(114)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관(미도시)이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흡입관(미도시)은 에어가 유동되는 연결관(미도시)에 연결되며, 연결관(미도시)은 에어 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에어 펌프(미도시)의 정방향 펌핑에 의해 흡착 패드부(114)가 에어를 흡입할 수 있고, 반대로 에어 펌프(미도시)의 역방향 펌핑에 의해 흡착 패드부(114)가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uction pipe (not shown) for supplying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pad part 114 is provided in the suction body part 115. This suction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ipe (not shown) through which air flows, and the connection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an air pump (not shown). The adsorption pad unit 114 can inhale air by forward pumping of an air pump (not shown), and conversely, the adsorption pad unit 114 can inject air by reverse pumping by an air pump (not shown). .

흡착 패드부(114)에서의 에어 흡입은 이송물(G)을 흡착 패드부(114)에 흡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The air suction from the suction pad part 114 serves to adsorb the conveyed material G to the suction pad part 114.

반면에 흡착 패드부(114)에서의 에어 분사는 흡입관(미도시) 내의 진공음압이 파괴하는 작용한다. 또한, 적층된 이송물(G)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 흡착 패드부(114)에서의 에어 분사는 흡착 패드부(114)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적층된 이송물(G)에 진동을 유발하여 적층된 이송물(G)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ir injection from the suction pad part 114 acts to destroy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in the suction pipe (not shown). In addition, air injection from the adsorption pad unit 114 located in the upper area of the stacked transfer material G causes vibration to the stacked transfer material G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adsorption pad unit 114 It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transferred material (G).

또한, 흡착용 바디부(115)에는 흡입관(미도시)의 진공음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압력센서(미도시)는 흡착 패드부(114)가 이송물(G)을 진공흡착할 때 흡입관(미도시)에 인가되는 진공음압의 크기를 측정한다.In addition,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vacuum sound pressure of a suction pip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5 for adsorption. This pressure sensor (not shown)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suction pipe (not shown) when the suction pad unit 114 vacuums the conveyed material G.

틸팅모듈(117, 118, 119)은 헤드 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틸팅모듈(117, 118, 119)은 이송물(G)을 헤드 프레임(111)에 대해 상대회동 시킨다. The tilting modules 117, 118, and 119 are coupled to the head frame 111. These tilting modules 117, 118, and 119 rotate the conveyed material G relative to the head frame 111.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모듈(117, 118, 119)은, 도 7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11)에 지지되며 흡착부용 지지부(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중심축부(117)와, 틸팅 중심축부(117)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헤드 프레임(111)에 지지되고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연결되며 흡착부용 지지부(112)를 가압하여 흡착부용 지지부(112)를 회동시키는 틸팅 구동부(118, 119)를 포함한다. The tilting modules 117, 118, and 11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11 and the tilting center to which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as shown in detail in FIGS. 7 and 9 The shaft part 117 and the tilting central shaft part 11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11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and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by pressing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It includes a tilting driving unit (118, 119) for rotating.

틸팅 중심축부(117)는 헤드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이러한 틸팅 중심축부(117)에는 흡착부용 지지부(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tilting central axis portion 117 is fixed to the head frame 111. A support part 112 for an adsorp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lting central shaft part 117.

틸팅 구동부(118, 119)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중심축부(117)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틸팅 구동부(118, 119)는 헤드 프레임(111)에 지지되고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연결되어 흡착부용 지지부(112)를 가압하여 흡착부용 지지부(112)를 회동시킨다. The tilting driving units 118 and 119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ilting central axis 117 as shown in FIGS. 7 and 9. These tilting driving units 118 and 119 are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11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suction unit to pressurize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suction unit to rotate the support unit 112 for the suction unit.

본 실시예에서 틸팅 구동부(118, 119)는, 도 7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118)와, 가압 실린더 본체부(118)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119)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ilting drive unit 118, 119, as shown in detail in Figs. 7 and 9, a pressure cylinder body portion 118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frame 111, and a pressure cylinder body portion ( It includes a pressurizing cylinder rod part 119 which is connected to 118 so as to be movab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가압 실린더 본체부(118)의 말단 영역은 헤드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distal region of the pressure cylinder body portion 11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frame 111.

가압 실린더 로드부(119)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118)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 실린더 로드부(119)의 말단부 영역은 흡착부용 지지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ressure cylinder rod portion 119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cylinder body portion 118 in a relative movable manner. The end region of the pressure cylinder rod portion 11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2 for the adsorption portion.

본 실시예에서 가압 실린더 로드부(119)의 실린더 본체부에 대한 상대이동에 의해 흡착부용 지지부(112)가 틸팅 중심축부(117)를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그에 따라 흡착부(113)에 흡착된 이송물(G)이 헤드 프레임(111)에 대해 상대회동 된다. In this embodiment,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ressure cylinder rod part 119 to the cylinder body part, the support part 112 for the adsorption part is rotated with the tilting central axis part 117 as a rotational axis, and accordingly, the adsorption part 113 The adsorbed conveyed material G is rotated relative to the head frame 111.

한편, 제1 피치조절유닛(150)은 트랜스퍼유닛(14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피치조절유닛(150)은 제1 파지유닛(110)에 연결되어 제1 파지유닛(110)을 지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It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140. 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110 to support the first gripping unit 110.

본 실시예에서 제1 피치조절유닛(150)은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moves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제1 피치조절유닛(150)은,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유닛(110)이 결합되는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와,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 연결되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피치조절용 가이드부(152)와,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 연결되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를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153)를 포함한다. 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as shown in detail in FIGS. 1 to 3, a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to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coupled, and a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It is connected to the unit 151, the first pitch adjustment guide unit 15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and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is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It includes a first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53 for moving the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는 제1 파지유닛(110)이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제1 피치조절용 가이드부(152)는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 연결되어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의 이동을 안내한다. The first pitch adjustment guide portion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portion 15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portion 151.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153)는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 연결되어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153),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51)에 결합되는 이동너트(미도시)와, 이동너트(미도시)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미도시)와, 볼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한다. The first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53 is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51 to move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5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53, a movable nut (not shown) coupl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51, and a ball screw (not shown) engaged with the movable nut (not shown) , And a servo moto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not show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150)을 구비함으로써, 트레이(T)에 마련된 포켓부(P)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이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포켓부(P)의 다양한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for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r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pocket portions P provided on the tray T.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holding units 110a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various intervals of the pocket portion P.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분리유닛(120)과 제2 분리유닛(120a)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분리유닛(12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 제2 분리유닛(120a)의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are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1 분리유닛(120)과 제2 분리유닛(120a) 각각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분리유닛(120)과 제2 분리유닛(120a) 각각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되도록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한다.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includes a first holding unit (G) to be held in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other conveyed material 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by each of the second gripping units 110a are separated.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이 가장 위쪽에 배치된 이송물(G)을 진공흡착한 후 상승하였을 때, 적층된 이송물(G)에 묻은 액체의 표면장력과 적층된 이송물(G) 사이의 정전기력 등에 의해 파지유닛에 진공흡착된 이송물(G)만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적층된 이송물(G) 전체가 상승한다. When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vacuum-adsorbs the transported object G disposed at the top and then rises,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deposited on the stacked transported object G and Only the transported object G vacuum-adsorbed to the holding unit due to electrostatic force between the stacked transported objects G is not moved upward, and the entire stacked transported object G rises.

상술한 제1 분리유닛(120)과 제2 분리유닛(120a) 각각은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G)의 하부면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한다.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described above separates another conveyed material 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분리유닛(120)은,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G)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121)와, 파지유닛에 결합되며 에어 노즐부(121)를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125)를 포함한다.The first separ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to 13, is coupled to an air nozzle unit 121 that injects ai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G), and the holding unit And it includes a nozzle support unit 125 for supporting the air nozzle unit 121.

에어 노즐부(121)는 이송물(G)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이러한 에어 노즐부(121)는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분사 몸체(122)와, 분사 몸체(12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에어가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23)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air nozzle unit 121 injects ai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G). As shown in FIG. 8, the air nozzle unit 12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body 122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 1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노즐 지지부(125)는 파지유닛에 결합된다. 이러한 노즐 지지부(125)에는 에어 노즐부(121)를 지지된다. The nozzle support 125 is coupled to the gripping unit. The air nozzle unit 121 is supported on the nozzle support unit 125.

본 실시예에서 에어 노즐부(121)는, 에어 노즐부(121)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노즐 지지부(125)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nozzle unit 121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unit 125 so that the injection angle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unit 121 can be variable, so that the nozzle support unit 125 is relatively rotatable.

이와 같이 에어 노즐부(121)가 노즐 지지부(125)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에어 노즐부(121)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각도를 이송물(G)의 틸팅 각도와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In this way, the air nozzle unit 121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unit 125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so that the injection angle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unit 121 can be matched with the tilting angle of the conveyed object (G). .

이송물(G)의 틸팅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에어 노즐부(121)가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적층된 이송물(G) 사이의 틈으로 침투하는 에어의 양을 높여 적층된 이송물(G)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The air nozzle unit 121 injects air at the same angle as the tilting angle of the transported object G,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stacked transported objects G. Facilitates separ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매수감지유닛(130)과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매수감지유닛(13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의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heet number detection unit 130 and the second sheet number detection unit 130a are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sheet detec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heet detection unit 130a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1 매수감지유닛(130) 및 제2 매수감지유닛(130a) 각각은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매수감지유닛(130) 및 제2 매수감지유닛(130a) 각각은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한다. Each of the first sheet number detection unit 130 and the second sheet number detection unit 130a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 detection units 130 and 130a detects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G gripped b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units 110 and 110a.

본 실시예에서 제1 매수감지유닛(130) 및 제2 매수감지유닛(130a) 각각은, 제1 분리유닛(120) 및 제2 분리유닛(120a)이 적층된 이송물(G)을 분리한 후에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할 수도 있고, 제1 분리유닛(120) 및 제2 분리유닛(120a)이이 적층된 이송물(G)을 분리하기 전에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separates the transport material G in which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are stacked. Afterwards,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G gripp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units 110 and 110a may be sensed, and the firs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120a are stacked. Before separating the transferred material G, the number of transferred materials G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may be detected.

또한, 매수감지유닛은, 분리유닛이 적층된 이송물(G)을 분리하기 전후 모두에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unit may detect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gripped by the holding unit both before and after separating the transported objects G in which the separation unit is stacked.

제1 매수감지유닛(130)은, 도 1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G)을 향해 센싱용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131)와, 발광부(13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송물(G)을 통과한 센싱용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133)와, 발광부(131)와 수광부(133)에 연결되며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센싱용 빔의 광량과 수광부(133)에 수신된 센싱용 빔의 광량을 비교하여 센싱용 빔의 투과량을 연산하는 연산부(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4, the first number of sheets detection unit 1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131 and the light-emitting unit 131 to irradiate a sensing beam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G). The light-receiving unit 133 that receives the sensing b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veyed object G, the light-emitting unit 131 and the light-receiving unit 1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nd a calculation unit (not shown)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sensing beam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sensing beam.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센싱용 빔은 틸팅된 이송물(G)을 통과하여 수광부(133)에 도달된다. 이때,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센싱용 빔의 광량과 수광부(133)에 수신된 센싱용 빔의 광량을 비교함으로써, 이송물(G)을 통과한 센싱용 빔의 투과량을 알 수 있고 이를 연산부(미도시)에 미리 입력된 이송물(G) 개수에 따른 투과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파지유닛(110)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가 감지된다.The sensing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1 passes through the tilted transport material G and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At this time,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nsing beam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31 and the amount of light for sensing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it is possible to know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the sensing b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port material 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gripped by the first holding unit 110 is compared with the transmission amount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previously input to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한편, 트랜스퍼유닛(140)은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에 연결되어 파지된 이송물(G)을 이송한다. 이러한 트랜스퍼유닛(140)은 제1 매수감지유닛(130)과 제2 매수감지유닛(130a)에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파지된 이송물(G)을 트랜스퍼한다. 즉, 제1 파지유닛(110) 및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G)만 파지되었을 때 이송물(G)을 트랜스퍼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transfer the gripped material (G). The transfer unit 140 transfers the gripped object G based on the result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sheets detection unit 130 and the second sheet detection unit 130a. That is, when only one transported object G is held in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transported object G is transferred.

본 실시예에서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분리유닛(120)과 제1 매수감지유닛(130)은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분리유닛(120a)과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은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ding unit 110, the first separating unit 120,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In addition,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second separating unit 120a,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이와 같이 제1 파지유닛(110)과 제1 분리유닛(120) 및 제1 매수감지유닛(130)이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송물(G)의 매수를 감지하고 매수확인된 이송물(G)을 다음공정으로 전달하는 작업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풋프린트와 택타임이 감소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lding unit 110, the first separating unit 120,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130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tegrally by the transfer unit 140,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conveyed objects (G ) To separate the transported object (G) individually, detect the number of separated transported object (G), and deliver the confirmed number of transported object (G) to the next process, and can be performed in one device. Accordingly, the device's footprint and tack time are reduced.

마찬가지로 제2 파지유닛(110a)과 제2 분리유닛(120a) 및 제2 매수감지유닛(130a)이 트랜스퍼유닛(140)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이송물(G)에서 이송물(G)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송물(G)의 매수를 감지하고 매수확인된 이송물(G)을 다음공정으로 전달하는 작업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풋프린트와 택타임이 감소된다. Similarly,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second separating unit 120a,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130a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140,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conveyed objects (G) Separating the conveyed material (G) individually in the process, detecting the number of separated conveyed material (G), and delivering the confirmed number of conveyed material (G) to the nex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one device, accordingly. The device footprint and tack time are reduced.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유닛(140)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을 세로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와,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에 연결되며 파지유닛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부(145, 146, 147)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vertical moving parts 141 and 142 that move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up/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143) and a horizontal direction moving part 145, 146, 147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 141, 142, 143 and moving the hold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을 세로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킨다. 이러한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이 연결되는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1)과,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1)에 연결되며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1)의 이동을 안내하는 세로 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42)와,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1)에 연결되며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1)를 이동시키는 세로 방향 이동용 구동부(143)를 포함한다. The vertical direction moving parts 141, 142, and 143 move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up/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se vertical moving parts 141, 142, 143 include a moving block part 141 for vertical movement to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re connected, and a moving block part for vertical movement ( 141, the vertical movement guide portion 14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movement block portion 141, and the vertical movement movement block portion 141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movement block portion 141 It includes a driving unit 143 for vertical movement to move.

가로 방향 이동부(145, 146, 147)는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에 연결된다. 가로 방향 이동부(145, 146, 147)는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에 연결된 파지유닛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horizontal moving parts 145, 146, 147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s 141, 142, 143. The horizontal moving parts 145, 146, 147 move the vertical moving parts 141, 142, 14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holding unit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s 141, 142, 14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이러한 가로 방향 이동부(145, 146, 147)는,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5)과,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5)에 연결되며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로 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46)와,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5)에 연결되며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145)를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용 구동부(147)를 포함한다. These horizontal moving parts 145, 146, 147 ar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part 145 for horizontal movement to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s 141, 142, 143 are coupled, and the moving block part 145 for moving horizontally. It is connected to the guide part 146 for horizontal direction movemen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block part 145 for horizontal direction movement and the movement block part 145 for horizontal direction movement, and moves the movement block part 145 for horizontal direction movement. It includes a driving unit 147 for direction movement.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을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ansporting a transported object according to the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본 실시예에 이송물 이송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피치조절단계(S100)와, 적층되는 복수의 이송물(G)에서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이 이송물(G)을 파지하는 파지단계(S110)와,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되도록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20)와,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를 감지하는 매수감지단계(S130)와,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단계(S14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The pitch adjustment step (S100)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adjusted,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n a plurality of stacked transfer objects G The gripping step (S110) of gripping the water (G),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so that the first gripping unit 110 holds one conveyed material G to each of the second gripping units 110a. 2 Separation step (S120) of separating the other conveyed material (G)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held in each of the gripping units (110a),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a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S130) of sensing the number of the conveyed objects G held in each, and the transfer in which the first grasping unit 110 transfers the conveyed objects G held in each of the second grasping units 110a It includes step S140.

피치조절단계(S100)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In the pitch adjustment step (S100),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regulated.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은 적층된 이송물(G)이 적재되는 트레이(T)에 마련된 포켓부(P)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된다. 즉, 트레이(T)에 마련된 포켓부(P)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제1 파지유닛(110)이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adjusted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pocket portions P provided on the tray T in which the stacked transfer materials G are loaded. That is,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pocket portions P provided on the tray T, so that the first gripping unit 110 )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adjusted.

파지단계(S110)에서는 적층되는 복수의 이송물(G)에서 파지유닛이 이송물(G)을 파지한다. 이러한 파지단계(S110)는, 이송물(G)에 접촉된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진공음압이 인가되는 진공흡착단계(S111)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인가된 진공음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진공도 측정단계(S112)와, 진공 음압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기준 음압의 크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진공도 에러 신호를 전송하는 에러전송단계(S113)를 포함한다.In the gripping step (S110), the gripping unit grips the transferred material G from the plurality of transferred materials G to be stacked. The gripping step (S110) includes a vacuum adsorption step (S111) in which a vacuum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and the first gripping unit. A vacuum level measurement step (S112)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applied to each of the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s 110a, and a vacuum level error signal when the level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viously input reference sound pressure. It includes an error transmission step (S113) of transmitting.

진공흡착단계(S111)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이 하강하여 흡착부(113)가 적층된 이송물(G)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이송물(G)에 접촉된 흡착부(113)에 진공음압이 인가된다. In the vacuum adsorption step (S111),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descen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material G on which the adsorption unit 113 is stacked, and the transfer material G A vacuum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dsorption unit 113 in contact with.

진공도 측정단계(S112)에서 흡착부(113)에 인가된 진공음압의 크기를 측정된다. 흡착부(113)에 인가된 진공음압의 크기는 흡착용 바디부(115)에 마련된 압력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다. In the vacuum degree measurement step (S112), the magnitude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adsorption unit 113 is measured. The magnitude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applied to the adsorption unit 113 is measured by a pressur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adsorption body unit 115.

에러전송단계(S113)에서는 진공음압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음압의 크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진공도 에러 신호가 전송된다. 제어유닛은 압력센서(미도시)에서 측정한 진공음압의 크기의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음압의 크기와 비교하여 진공음압의 크기가 기준음압의 양호범위를 벗어난 경우 에러 신호를 전송한다. 에러 신호에 따라 전체 설비가 정지되고 알람이 울리게 된다.In the error transmission step S113, when the level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is out of the preset range of the standard sound pressure, a vacuum degree error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measured by a pressure sensor (not shown), compares it with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previously input, and transmits an error signal when the magnitude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is out of the good range of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The entire facility is stopped and an alarm sounds according to the error signal.

분리단계(S120)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되도록,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G)을 분리된다. In the separating step (S120),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so that one transported material G is held in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other conveyed material (G)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G) held in each is separated.

이러한 분리단계(S120)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이 이송물(G)을 파지하기 전에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서 이송물(G)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물(G)을 진동시키는 단계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을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틸팅단계와, 이송물(G)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단계를 포함한다. In this separation step (S120),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before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grips the transported material G In the step of vibrating the transported object G by spraying air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G, and the transported object G gripped in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is determined in advance. It includes a tilting step of rotating by an angle and an air spraying step of injecting air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G)을 진동시키는 단계에서는 적층된 이송물(G)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 흡착 패드부(114)에서 적층된 이송물(G)을 향해 에어가 분사된다. 이러한 에어 분사는 흡착 패드부(114)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적층된 이송물(G)에 진동을 유발하여 적층된 이송물(G)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step of vibrating the conveyed material G, air is injected toward the stacked conveyed material G from the adsorption pad part 114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tacked conveyed material G. . This air injection induces vibration in the stacked conveyed material G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adsorption pad part 114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stacked conveyed material G.

도 1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단계에서는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G)이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송물(G)이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틸팅된 이송물(G)의 아래쪽 부분은 포켓부(P)의 내부에 배치되어 포켓부(P)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틸팅된 이송물(G)의 아래쪽 부분이 포켓부(P)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파지유닛에 진공흡착된 이송물(G)의 하부면에 접촉 연결된 이송물(G)이 분리된 후 포켓부(P)를 벗어나지 않고 포켓부(P)의 내부에 위치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3, in the tilting step,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conveyed object G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tilted lower portion of the conveyed object G is disposed inside the pocket portion P 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pocket portion P. The lower part of the conveyed object G tilted in this way is placed inside the pocket part P, so that the conveyed object 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G vacuum-adsorbed by the holding unit is separated. It is located inside the pocket part P without leaving the pocket part P.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단계에서는 이송물(G)의 측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노즐부(121)가 이송물(G)의 틸팅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적층된 이송물(G) 사이의 틈으로 침투하는 에어의 양이 많아져 적층된 이송물(G)의 분리가 용이하다.As shown in FIG. 13, in the air injection step, air is inj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G. In this embodiment, the air nozzle unit 121 injects air at the same angle as the tilting angle of the transported object G,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stacked transported objects G. It is easy to separate water (G).

매수감지단계(S130)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가 감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수감지단계(S130)는,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센싱용 빔의 광량과 수광부(133)에 수신된 센싱용 빔의 광량을 비교함으로써, 이송물(G)을 통과한 센싱용 빔의 투과량이 감지되고, 이를 연산부(미도시)에 미리 입력된 이송물(G)의 개수에 따른 투과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의 개수가 감지된다.In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S130,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G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sensed.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S130)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nsing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1 and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nsing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sensing beam is sensed, and the transmission amount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 input in advance into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is compared to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The number of gripped objects G is detected.

트랜스퍼단계(S140)에서는 매수감지단계(S13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파지된 이송물(G)을 이송한다. 이러한 트랜스퍼단계(S140)는,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G)을 틸팅단계에서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복귀단계와,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을 일체로 이동시켜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에 파지된 이송물(G)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에 파지된 이송물(G)을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한다.In the transfer step (S140), the gripped object (G) is transferr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in the number of sheets detection step (S130). The transfer step (S140) includes a return step of rotating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rotated in the tilting step, and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A moving step of moving the unit 110a integrally to move the transported object G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first gripp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ncludes a loading step of loading the conveyed material (G) gripped in the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복귀단계에서는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 틸팅단계에서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팅단계 전의 수평 자세를 가지게 된다.In the return step, the conveyed object held by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rotated in the tilting step, thereby having a horizontal posture before the tilting step.

이동단계에서는 가로 방향 이동부(145, 146, 147)의 동작에 의해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이 다음 공정을 위해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된다.In the moving step, the transported material G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by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parts 145, 146, and 147 is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the next process. Is moved to.

적재단계에서는 세로 방향 이동부(141, 142, 143)의 동작에 의해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G)이 하강하여 다음 공정으로 전달된다.In the loading step, the transported material G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lowered and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parts 141, 142, and 143.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제1 파지유닛(110)을 제2 파지유닛(110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150)를 구비함으로써,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을 이송물(G)이 적재되는 트레이(T)에 마련된 포켓부(P)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각각이 포켓부에 적재된 이송물(G)을 파지한 후 동시에 다음 공정으로 전달하여 택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0 for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pockets P provided on the tray T in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G is loaded, and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11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grips the transported material G loaded in the pocket and simultaneously transfers it to the next process, thereby reducing tack time.

도 1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1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porting a transported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분리단계(S30)와 매수감지단계(S220)의 순서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ly a difference in the order of the separating step (S30) and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S220), and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매수감지단계(S220)는 분리단계(S230) 전에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방법에서 매수감지단계(S220)가 분리단계(S230) 전에 수행됨으로써, 제1 파지유닛(100) 및 제2 파지유닛(110a)에 하나의 이송물(G)이 파지된 경우에는 분리단계(S120)를 생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택타임이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sheets detection step (S220) is performed before the separation step (S230).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sheets detecting step S220 is performed before the separating step S230, so that one conveyed material G is add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100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 Is gripped, the separation step (S120) may be omitted, and accordingly, the tack time may be reduc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2 피치조절유닛(160)이 추가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is embodiment has only a difference in that the second pitch control unit 160 is added, and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For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트랜스퍼유닛(140)에 결합되고 제2 파지유닛(110a)을 지지하며, 제2 파지유닛(110a)을 제1 파지유닛(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140 and supports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110.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pitch control unit 160 to move in the direction that is.

이러한 제2 피치조절유닛(160)은, 도 1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지유닛(110a)이 결합되는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와,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 연결되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피치조절용 가이드부(162)와,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 연결되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를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163)를 포함한다. This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160, as shown in detail in FIG. 18, a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ortion 161 to which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coupled, and a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ortion ( 161, the second pitch adjustment guide portion 16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portion 161, and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portion 161 It includes a second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63 for moving the unit 161.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는 제2 파지유닛(110a)이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파지유닛(110a)을 제1 파지유닛(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A second gripping unit 110a is coupl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art 161.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161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110.

제2 피치조절용 가이드부(162)는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 연결되어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의 이동을 안내한다. The second pitch adjustment guide unit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6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61.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163)는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 연결되어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163),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161)에 결합되는 이동너트(미도시)와, 이동너트(미도시)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미도시)와, 볼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한다. The second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63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61 to move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ement block unit 161. In this embodiment, a second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163, a moving nut (not shown) coupl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ing block unit 161, and a ball screw (not shown) engaged with the moving nut (not shown) , And a servo moto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not show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제2 파지유닛(110a)을 제1 파지유닛(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유닛(160)을 더 포함함으로써, 제1 파지유닛(110)과 제2 파지유닛(110a) 사이의 간격조절 시간을 더욱 단축시켜 택타임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160 for moving the second gripping unit 110a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11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ack time can be further reduced by further shortening the interval adjustment tim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110a.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1 파지유닛 110a: 제2 파지유닛
111: 헤드 프레임
112: 흡착부용 지지부 113: 흡착부
114: 흡착 패드부 115: 흡착용 바디부
117: 틸팅 중심축부 118: 가압 실린더 본체부
119: 가압 실린더 로드부 120: 제1 분리유닛
120a: 제2 분리유닛
121: 에어 노즐부 122: 분사 몸체
123: 분사노즐 125: 노즐 지지부
130: 제1 매수감지유닛 130a: 제2 매수감지유닛
131: 발광부
133: 수광부 140: 트랜스퍼유닛
141: 세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
142: 세로 방향 이동용 가이드부
143: 세로 방향 이동용 구동부
145: 가로 방향 이동용 이동블록부
146: 가로 방향 이동용 가이드부
147: 가로 방향 이동용 구동부
150: 제1 피치조절유닛 151: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152: 제1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153: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
160: 제2 피치조절유닛 161: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162: 제2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163: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
G: 이송물 T: 트레이
P: 포켓부
110: first gripping unit 110a: second gripping unit
111: head frame
112: adsorption part support part 113: adsorption part
114: adsorption pad part 115: adsorption body part
117: tilting central axis portion 118: pressurized cylinder body portion
119: pressure cylinder rod part 120: first separation unit
120a: second separation unit
121: air nozzle unit 122: spray body
123: spray nozzle 125: nozzle support
130: first sheet detection unit 130a: second sheet detection unit
131: light emitting unit
133: light receiving unit 140: transfer unit
141: moving block part for vertical movement
142: guide portion for vertical movement
143: driving part for vertical movement
145: moving block part for horizontal movement
146: guide portion for transverse movement
147: driving part for horizontal movement
150: first pitch adjustment unit 151: first pitch adjustment moving block unit
152: first pitch adjustment guide unit 153: first pitch adjustment drive unit
160: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161: second pitch adjustment moving block unit
162: second pitch adjustment guide unit 163: second pitch adjustment drive unit
G: Transfer material T: Tray
P: pocket

Claims (28)

다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되는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1 파지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는 제2 파지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유닛;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상기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1 매수감지유닛;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2 매수감지유닛;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1 분리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2 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이며,
상기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은,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흡착부용 지지부; 및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은,
상기 헤드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물을 상기 헤드 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시키는 틸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유닛과 제2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 및
상기 파지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를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1 분리유닛 및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이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과 상기 제2 분리유닛 및 상기 제2 매수감지유닛이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A first gripping unit for gripping a transport material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em;
A second gripp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and gripping the conveyed material;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gripped material;
A first pitch control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support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A first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 second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rippe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A first separa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separating another conveyed material connected to the conveyed material held by the first gripping unit so that one conveyed material i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nd
A second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holding unit and separating another transported object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held by the second holding unit so that one transported object is held by the second holding unit, and ,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re vacuum suction type gripping units that vacuum suck the conveyed material,
The vacuum adsorption type holding unit,
Head frame;
A support part for an adsorption part connected to the head frame; And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part and includes an adsorption part for vacuum adsorp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It is coupled to the head frame,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module for rotating the transport relative to the head frame,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An air nozzle unit for injecting air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And
It is coupled to the holding unit and includes a nozzl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air nozzle portion,
The first holding unit, the first separating unit,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the second separating unit,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트레이에 마련된 포켓부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is adjust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ckets provided on the tray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is loa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조절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이 결합되는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제1 피치조절용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itch adjustment unit,
A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to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is coupled;
A first pitch adjustment guid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part; And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including a first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and moving the first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material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adsorption unit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송물에 접촉되는 흡착 패드부; 및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 패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흡착 패드부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관이 내부에 마련되는 흡착용 바디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ption unit,
An adsorption pad part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And
A transported material conveying device comprising a body for adsorp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the adsorption pad unit coupled to the adsorption pad unit, and a suction pipe for su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adsorption pad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헤드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중심축부; 및
상기 틸팅 중심축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ilting module,
A tilting central shaft part supported by the head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for the adsorption part; And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comprising a tilting driving uni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tilting central ax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and pressurizes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to rotate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헤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본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ting driving unit,
A pressure cylinder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frame; And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including a pressure cylinder rod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cylinder body part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for the adsorp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세로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세로 방향 이동부; 및
상기 세로 방향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A vertical direction moving part for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up/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including a transverse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moving part and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상기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ransfer material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supporting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moving the second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치조절유닛은,
상기 제2 파지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피치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치조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제2 피치조절용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pitch adjustment unit,
A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to which the second gripping unit is coupled;
A second pitch adjusting guid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ing moving block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tch adjusting moving block part; And
Conveyed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pitch adjustmen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and moving the second pitch adjustment movable block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에어의 분사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지지부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nozzle unit,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rotation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so that the injection angle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unit can be var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1 매수감지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감지하는 제2 매수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heet c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transported objects gripp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conveyed material convey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sheet number detec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grasping unit and sensing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grasped by the second grasping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과 제2 매수감지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을 향해 센싱용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물을 통과한 상기 센싱용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과 제2 매수감지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을 통과하는 상기 센싱용 빔의 투과량을 통해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매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first sheet number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sheet number detection unit,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a sensing beam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And
I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ensing beam passing through the transport,
Each of the first sheet number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sheet number detection unit detects the number of sheets of the conveyed object gripped by the holding unit through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the sensing beam passing through the conveyed object.
제1 파지유닛이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피치조절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이 이송물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의 개수를 제1 매수감지유닛과 제2 매수감지유닛 각각이 감지하는 매수감지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및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유닛이 트랜스퍼하는 트랜스퍼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물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고, ;
상기 제2 파지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며,
상기 트랜스퍼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된 이송물을 트랜스퍼하고,
제1 피치조절유닛은,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을 상기 제2 파지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 분리유닛은 상기 제1 파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1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고,
제2 분리유닛은 상기 제2 파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하나의 이송물이 파지되도록 상기 제2 파지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송물에 접촉 연결되는 다른 이송물을 분리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이며,
상기 진공흡착형 파지유닛은,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흡착부용 지지부; 및
상기 흡착부용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물을 진공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은,
상기 헤드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물을 상기 헤드 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시키는 틸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유닛과 제2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이송물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 및
상기 파지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를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1 분리유닛 및 상기 제1 매수감지유닛이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파지유닛과 상기 제2 분리유닛 및 상기 제2 매수감지유닛이 상기 트랜스퍼유닛에 의하여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A pitch adjusting step in which the first gripping unit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s adjusted;
A gripping step of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gripping the conveyed object;
A sheet counting step of detecting the number of pieces to be conveyed by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by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respectively;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another transported object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hel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so that one transported object is hel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 And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by a transfer unit, the transported material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The transport is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The first gripping unit grips the conveyed material;
The second gripping uni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pping unit to grip the conveyed object,
The transfer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nd transfers the gripped conveyed material,
The first pitch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supports the first gripping unit, and moves the first gripping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pping unit,
The first sepa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unit to separate the other transported object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held by the first holding unit so that one transported object is held by the first holding unit,
The second sepa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ing unit to separate the other conveyed material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hel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so that one conveyed material is gripped by the second gripping unit,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re vacuum suction type gripping units that vacuum suck the conveyed material,
The vacuum adsorption type holding unit,
Head frame;
A support part for an adsorption part connected to the head frame; And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or the adsorption part and includes an adsorption part for vacuum adsorp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It is coupled to the head frame,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module for rotating the transport relative to the head frame,
Each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An air nozzle unit for injecting air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And
It is coupled to the holding unit and includes a nozzl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air nozzle portion,
The first holding unit, the first separating unit, and the first sheet counting unit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the second separating unit, and the second sheet counting unit are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트레이에 마련된 포켓부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transported material transfer method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s adjusted based on a gap between pocket portions provided on a tray in which the transferred material is loa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이송물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단계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paration step,
Transport method comprising an air injection step of spraying ai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objec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틸팅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틸딩단계 후에 상기 에어분사단계가 수행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The separ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step of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grippe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A transport method in which the air spray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tilting step.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이 상기 이송물을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에서 상기 이송물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물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The separation step,
Before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grip the transported object, further comprising: vibrating the transported object by injecting air from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Transport method of transported material.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파지된 이송물을 상기 틸팅단계에서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복귀단계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24,
The transfer step,
And a return step of rotating the transported object held by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rotated in the tilting step.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단계는,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을 일체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지유닛에 파지된 이송물을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The transfer step,
A moving step of moving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ntegrally to move the conveyed object gripped by the gripping un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transported material transport method further comprising a loading step of loading the conveyed material gripped in the gripping unit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단계는,
상기 이송물에 접촉된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진공음압이 인가되는 진공흡착단계;
상기 제1 파지유닛과 상기 제2 파지유닛 각각에 인가된 진공음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진공도 측정단계; 및
상기 진공음압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기준음압의 크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진공도 에러 신호를 전송하는 에러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이송물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gripping step,
A vacuum adsorption step of applying a vacuum negative pressure to each of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A vacuum degre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second holding unit; And
And an erro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vacuum level error signal when the level of the vacuum sound pressure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viously input standard sound pressure.
KR1020190047251A 2019-04-23 2019-04-23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Active KR102179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51A KR102179235B1 (en) 2019-04-23 2019-04-23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51A KR102179235B1 (en) 2019-04-23 2019-04-23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85A KR20200123985A (en) 2020-11-02
KR102179235B1 true KR102179235B1 (en) 2020-11-16

Family

ID=7339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251A Active KR102179235B1 (en) 2019-04-23 2019-04-23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2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3630A (en) * 2021-01-21 2021-09-07 宣城睿晖宣晟企业管理中心合伙企业(有限合伙) Feeding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FR3125028A1 (en) * 2021-07-07 2023-01-13 Psa Automobiles Sa DEVICE FOR TRANSFERRING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PART(S) FOR A FACILITY FOR MAKING PAR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197A (en) * 2002-01-08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0412044Y1 (en) * 2005-12-28 2006-03-22 (주)21하이테크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KR100858654B1 (en) * 2007-09-13 2008-09-16 이익재 Product casing system
JP2009046260A (en) * 2007-08-21 2009-03-05 Aida Eng Ltd Sheet material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853B2 (en) 2005-09-22 2010-12-0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Substrate transport system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KR20170036565A (en)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Moving apparatus using vacuum absorp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197A (en) * 2002-01-08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0412044Y1 (en) * 2005-12-28 2006-03-22 (주)21하이테크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JP2009046260A (en) * 2007-08-21 2009-03-05 Aida Eng Ltd Sheet material delivery device
KR100858654B1 (en) * 2007-09-13 2008-09-16 이익재 Product ca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85A (en)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5527B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substrate tilt correction method
KR102179235B1 (en) Feeding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KR101746605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cassette
CN107104071A (en) A kind of air supporting base station and inkjet-printing device
JP2000128372A (en) Separating and carrying device for sheet material
KR102171687B1 (en) Feeding device for checking the number of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KR102153972B1 (en) Feeding device for separating conveying products and feeding methods the same
KR101781550B1 (en) Cassette align port
TWI759410B (en) Panel handling robots and panel handling systems
KR100603408B1 (en) Vertical Mask Transfer Device and Deposi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0639004B1 (en) Tray detection and feeder
CN108372079A (en) Apply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JPH10180670A (en)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out plate-like article
JP2018114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KR20220001533A (en) Inkjet printing device
KR10205956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CN110198902B (en) Panel transfer robot
KR2017011381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JP6860357B2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CN117342257A (en) Vacuum chuck assembly, material taking device, material feeding system and bubble cap packaging equipment
KR20180064120A (en) Cassette align unit
CN103847229B (en) Substrate printing device and substrate printing method
KR20160082177A (en) Apparatus for alinging mask and cassette and cassette supplying system having thereof
JPH05191086A (en)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device
KR101141146B1 (en) Substrate transfer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