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805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6805B1 KR102176805B1 KR1020190021534A KR20190021534A KR102176805B1 KR 102176805 B1 KR102176805 B1 KR 102176805B1 KR 1020190021534 A KR1020190021534 A KR 1020190021534A KR 20190021534 A KR20190021534 A KR 20190021534A KR 102176805 B1 KR102176805 B1 KR 102176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ew direction
- content
- user
- degree image
- image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012—Context preserving transformation,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018—Fisheye, wide-angle trans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Abstract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VR 컨텐츠의 상단에 사용자의 뷰 방향을 표시하는 미니맵이 함께 제공되는,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과 상기 미니맵 상의 뷰 방향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re provided. The VR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the view direction is displayed is performed by a computer,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floor plan-based spatial data; Acquiring a plurality of 360 degree image data related to the spatial data; Mapping 360 degre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spatial data; Receiv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from a user as a starting point; Providing VR content by using 360-degre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providing VR content with a mini-map indicating a user's view direction on the top of the VR content; And synchronizing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and the view direction on the minimap whenever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viewing the VR content chan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the view direction of a user viewing VR content is displayed.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가상의 공간으로, 3차원 시각효과를 통해 현실성을 부여하는 공간이다.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기술은 사용자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현실 세계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술로, 멀티미디어를 뛰어 넘는 차세대 기술이다.Virtual Reality (VR) is a virtual space created through a computer, and a space that gives reality through 3D visual effects. The technology for realizing virtual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feel as if they are in the real world by processing user input in real time, and is a next-generation technology that goes beyond multimedia.
최근 현재의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Web 3D, 시뮬레이션, 게임, 설계, 교육, 의료, 군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 중 360도 영상을 이용한 VR 기술은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를 가지고 이어 붙여 제작한 실사 기반의 VR 기술로서, 이 제작 방법은 풍경 또는 실내를 회전하며(360° 수평 또는 수직) 촬영된 이미지를 가공 과정을 거쳐 연결하여 붙인 뒤 구형, 또는 원통형 모양에 덮어씌우는 과정(mapping)을 거쳐, 촬영 지점(nodal point)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회전(rotate), 확대/축소(zoom in/zoom out), 이동(move)하면서 볼 수 있도록 구현된다.Recently, the current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Web 3D, simulation, game, design, education, medical care, and military. Among these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VR technology using 360-degree images is a camera. It is a real-life VR technology that is produced by taking and attaching images captured using a photorealistic VR technology.This production method rotates the landscape or indoors (360°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connects the captured images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and attaches them to a sphere or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viewed while rotating, zooming in/zooming out, and moving the image around the nodal point through the process of mapping the cylindrical shape.
하지만, 종래의 360도 영상을 이용한 VR 기술은 일반적으로 가상의 구 공간에 실사 영상들을 매핑하고, 이를 다시 CG처럼 렌더링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사 영상을 가상의 공간에 매핑하는 과정에서 많은 연산 처리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R technology using 360-degree images generally maps real-life images to a virtual sphere space and renders them again like CG, there are many calculations in the process of mapping real-life images to the virtual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processing is required.
또한, 사용자가 360도 영상을 이용한 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뷰 방향이 계속해서 바뀌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360도 영상을 이용한 VR 기술은 계속해서 변경되는 뷰 방향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views VR content using a 360-degree image, the view direction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However, the conventional VR technology using a 360-degree imag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inform a user by applying a continuously changing view dire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소프트웨어를 통해 스티칭(stitching)된 360도 영상을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아닌, 자체 소프트웨어를 통해 360도 영상을 스티칭하고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create VR contents using 360-degree images stitched through external software, but to stitch 360-degree images through its own software and to produce VR contents.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splayed VR content.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는 뷰 방향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표시하는 미니맵이 포함된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a view direction capable of producing VR content including a mini-map displayed by applying a view direction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in real time is display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VR 컨텐츠의 상단에 사용자의 뷰 방향을 표시하는 미니맵이 함께 제공되는,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과 상기 미니맵 상의 뷰 방향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performed by a computer includes: obtaining spatial data based on a plan view; Acquiring a plurality of 360 degree image data related to the spatial data; Mapping 360 degre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spatial data; Receiv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from a user as a starting point; Providing VR content using 360-degre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wherein a mini-map indicating a user's view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VR content; And synchronizing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and the view direction on the minimap whenever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viewing the VR content changes.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60도 영상 데이터는 두 개의 어안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두개의 180도 영상이 이어진 로우 데이터이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360-degree image data is raw data obtained by connecting two 180-degree images captured using two fisheye lenses.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우 데이터의 상태인 360도 영상 데이터를 스티칭(stitching)하여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VR content includes the step of stitching the 360-degree image data, which is the state of the raw data, into processed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하나 이상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매핑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360 degree image data is mapped to each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으로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시작 지점에 매핑된 360도 영상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as a starting point from the user include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360-degree image data mapped to the starting point, among a plurality of 360-degree image data from the user.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one.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상기 평면도가 축소된 형태이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mini-map has a reduced plan view.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방위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뷰 방향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ini-map provides the user's view direction using a direction chart.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사용자의 뷰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사용자의 뷰 방향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mini-map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view direction to provide the user's view direc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A VR content providing program displaying a view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executes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the view direction is displayed by being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do.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소프트웨어를 통해 스티칭(stitching)된 360도 영상을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아닌, 자체 소프트웨어를 통해 360도 영상을 스티칭하고 VR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VR 컨텐츠 제작을 위한 연산과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VR contents using 360-degree images stitched through external software, but by stitching 360-degree images and producing VR contents through its own software, thereby calculating VR contents produ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process.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는 뷰 방향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표시하는 미니맵을 VR 컨텐츠 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위치와 시청 방향을 정확히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a mini-map displayed in the VR content by applying a view direction that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know the location and the viewing direction that the user is currently view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의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spatial data based on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360 degree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technicia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VR 컨텐츠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서, 2차원 평면도를 기반으로 한 공간 데이터와 평면도의 각 위치에 대한 360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한다.The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파노라믹(Panoramic) 360 이용하여 카메라를 중심으로 모든 방향(360도)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스티칭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자유시점(Free Viewpoint)을 이용하여 여러대의 카메라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면,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10)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VR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시작 지점(10)에서 360도 영상을 바라보는 뷰 방향과 2차원 평면도 상의 방향을 매칭(동기화)하여 사용자에게 뷰 방향이 표시된 VR 컨텐츠를 제공한다. 뷰 방향이 표시된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When a selection for a specific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VR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HMD(Head Mounted Display)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HMD를 착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VR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The
네트워크(300)는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 데이터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의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plan-based spati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Is an exemplary diagram of 360-degree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The VR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the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computer).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를 획득한다(S10). 공간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이미지인 평면도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공간 데이터는 각 위치가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며, 각 위치에는 각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특정 식별번호를 터치하거나 마우스를 갖다 대면 해당 위치에 대한 설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each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and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the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2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각각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공간 데이터의 어떤 위치와 대응되는지 판단한다.The
일 실시예에 따라, 360도 영상 데이터는 두 개의 어안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두 개의 180도 영상이 이어진 로우 데이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180도 영상이 이어져서 하나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 즉 스티칭(stitching) 하지 않은 상태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360-degree image data is raw data in which two 180-degree images photographed using two fisheye lenses are connected.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wo 180-degree im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obtain one 360-degree image data. The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매핑한다(S30).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20에서 각각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공간 데이터의 어떤 위치와 대응되는지 판단한 후에, 대응되는 위치에 360도 영상 데이터를 매핑하게 된다. Th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하나 이상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매핑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or more 360 degree image data may be mapped to each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10)으로 입력 받는다(S4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공간 데이터 내의 복수의 위치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각 위치에 식별번호가 부여된 공간 데이터에서 사용자는 13번을 시작 지점(10)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선택 입력된 시작 지점(10)에 매핑된 360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The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시작 지점(10)에 매핑된 360도 영상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360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시작 지점(10)에 매핑된 360도 영상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시작 지점(10)에 매핑된 복수개의 360도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로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360-degree image data mapped to the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시작 지점(10)에 해당하는 360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공한다(S50).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시작 지점(10)을 기준으로 360도 영상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시작 지점(10)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지점(10)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360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e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로우 데이터의 상태인 360도 영상 데이터를 스티칭(stitching)하여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360도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은 외부 소프트웨어를 통해 두 개의 180도 영상을 이어 붙여 스티칭하는 과정까지 완료되면, 이후에 VR 컨텐츠 제작 소프트웨어가 가공 완료된 360도 영상을 이용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이었다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서비스 외부에서 로우 데이터 형태의 360도 영상을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 내에서 로우 데이터 형태의 360도 영상을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여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VR 컨텐츠 제작 과정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VR 컨텐츠의 상단에 사용자의 뷰 방향을 표시하는 미니맵(20)을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가 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에 따라 수시로 뷰 방향이 변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뷰 방향과 VR 컨텐츠의 상단에 제공되는 미니맵(20) 상의 뷰 방향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함으로써(S60), 사용자 단말(200)로 뷰 방향이 동기화된 VR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맵(20)은 2차원 평면도가 축소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미니맵(20) 내에 포함된 방위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360도 영상을 바라보는 뷰 방향을 표시하는 VR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360도 영상을 바라보는 뷰 방향에 따라 미니맵(20)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뷰 방향을 표시하는 VR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VR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the view direc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gram includes C, C++, JAVA, Ruby, which can be read by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a code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a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a control code related to an execution procedur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such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a memory reference to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or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ed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to which the computer can access, or o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Further,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00 : 서비스 제공 서버
200 : 사용자 단말
300 : 네트워크100: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user terminal
300: network
Claims (9)
평면도 기반의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로우 데이터의 상태인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로우 데이터의 상태인 360도 영상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시작 지점으로 입력된 상기 특정 위치에 매핑된 로우 데이터의 상태인 360도 영상 데이터를 스티칭(stitching)하여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가공 데이터로 변환된 360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지점의 VR 컨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VR 컨텐츠의 상단에 사용자의 뷰 방향을 표시하는 미니맵이 함께 제공되는,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뷰 방향과 상기 미니맵 상의 뷰 방향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As a method of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ing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Acquiring floor plan-based spatial data;
Acquiring a plurality of 360 degree image data, which is a state of raw data related to the spatial data;
Mapping 360 degree image data, which is a state of raw data,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spatial data;
Receiv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from a user as a starting point;
Stitching 360-degree image data, which is a state of raw data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input as the starting point, into processed data;
VR content that produces VR content at the starting point by using the 360-degree image data converted into the processed data and provides it to the user, but is provided with a mini-map indicating the user's view direction at the top of the VR content. Providing a; And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including the step of synchronizing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with the view direction on the minimap whenever the view direction of the user watching the VR content changes Way.
상기 360도 영상 데이터는 두 개의 어안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두 개의 180도 영상이 이어진 것인,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360-degree image data is a sequence of two 180-degree images captured using two fisheye lenses, and a method for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상기 공간 데이터의 각 위치에 하나 이상의 360도 영상 데이터가 매핑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VR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a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in which at least one 360 degree image data is mapped to each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시작 지점으로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시작 지점에 매핑된 360도 영상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360도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receiv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spatial data from the user as a starting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360-degree image data mapped to the starting point, a method for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360-degree image data.
상기 미니맵은 상기 평면도가 축소된 형태인,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ini-map is a method of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the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in a reduced plan view.
상기 미니맵은 방위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뷰 방향을 제공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ini-map provides a user's view direction using an azimuth chart, a method for providing VR content in which a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상기 미니맵은 사용자의 뷰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사용자의 뷰 방향을 제공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ini-map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view direction to provide the user's view direction, wherein the view direction performed by a computer is display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534A KR102176805B1 (en) | 2019-02-25 | 2019-02-25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534A KR102176805B1 (en) | 2019-02-25 | 2019-02-25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278A KR20200103278A (en) | 2020-09-02 |
KR102176805B1 true KR102176805B1 (en) | 2020-11-10 |
Family
ID=7244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534A KR102176805B1 (en) | 2019-02-25 | 2019-02-25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680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45402B (en) * | 2020-12-14 | 2022-04-08 | 清华大学 | Virtual display system, an AR device |
KR102446739B1 (en) * | 2022-02-28 | 2022-09-26 | 한국가상현실 (주) |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data automatically based on information of floor pla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3598B1 (en) * | 2014-09-02 | 2017-12-01 |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system and mtehod for building indoor map using cloud point |
KR20180106549A (en) | 2017-03-21 | 2018-10-01 |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360 degree panorama multimedia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9
- 2019-02-25 KR KR1020190021534A patent/KR102176805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278A (en) | 2020-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0512B2 (en) | 3D skeletonization using truncated epipolar lines | |
US10587871B2 (en) | 3D User Interface—360-degree visualization of 2D webpage content | |
CN107590771B (en) | 2D video with options for projection viewing in modeled 3D space | |
WO2018188499A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virtual reality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06846497B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map applied to terminal | |
US20160180593A1 (en) | Wearable device-based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 |
KR2019003208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 | |
US11003305B2 (en) | 3D user interface | |
CN109743584B (en) | Panoramic video synthesis method, server,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
WO2019076348A1 (en) | Virtual reality (vr) interfac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217680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dicated view direction | |
US20190295324A1 (en) | Optimized content sharing interaction using a mixed reality environment | |
JP2017120650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 |
Sörös et al. | Augmented visualization with natural feature tracking | |
JP615288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US10623713B2 (en) | 3D user interface—non-native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
CN111459432A (en) | Virtual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20200144702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treaming of augmented reality media content | |
CN109840946B (en) | Virtual object display method and device | |
CN113066189B (en) | Augmented reality equipment and virtual and real object shielding display method | |
CN113965773A (en) | Live broadcast display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AU2017320166A1 (en) | Image stream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 |
KR101773929B1 (en) | System for processing video with wide viewing angle,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vide with wide viewing angle and computer programs for the same | |
KR2022007885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reality content | |
CN112634773B (en) |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 method and device, display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