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296B1 -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296B1
KR102175296B1 KR1020180122901A KR20180122901A KR102175296B1 KR 102175296 B1 KR102175296 B1 KR 102175296B1 KR 1020180122901 A KR1020180122901 A KR 1020180122901A KR 20180122901 A KR20180122901 A KR 20180122901A KR 102175296 B1 KR102175296 B1 KR 10217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contact
signal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2599A (en
Inventor
전성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296B1/en
Publication of KR2020004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2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접점제어기를 이용하여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설정온도를 목표온도로써 설정하고, 접점신호를 바탕으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희망온도값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온,오프의 접점신호만으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여 희망온도를 추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온도 기반의 동작제어가 가능하며, 단순 온오프 제어를 탈피에 따른 최대부하 운전을 방지하고 유닛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온도제어를 통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repeatedly set a set temperature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unit as a target temperature using a contact controller, and reset the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contact signal. Even if the temperature value is not input, the desired temperature is estimated by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only with the ON/OFF contact signal, and temperature-based operation control is possible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It prevents load operation, reduces the load on the unit, and provides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emperature control.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에 연결되어 온도제어를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접점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tact controller connected to a unit and applying a signal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into the room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djust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by an indoor unit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hrough a refrigerant pipe. Accordingly, the indoor unit discharges hot and cold air into the room through heat exchange using a refrigerant.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배관의 연결 등을 이유로 설치 초기에 실외기와 실내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사용 중에 실내기를 추가하거나 복수의 유닛을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It is common to install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t the beginning of installation for such an air conditioner due to the connection of pipes. However, if necessary, an indoor unit may be added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terconnected during use.

추가 설치의 경우 배관을 추가 연결하는 문제뿐 아니라, 유닛 간의 상호 통신이 어려워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dditional install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controlling a plurality of units not only because of the problem of connecting additional pipes, but also because communication between units is difficult.

특히 제조사가 다른 제품을 연결하는 경우 제조사마다 제품에서 사용하는 통신규격, 제어방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단순히 동작을 온/오프 하는 수준의 제어만이 가능할 뿐 온도조절 등에 대한 제어에는 한계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a manufacturer connects other products, the communication standards and control methods used by each manufacturer are different. Therefore, only the level of ON/OFF control is possible, but there is a limit to the control of temperature control.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44306에는 이러한 유닛을 추가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범용제어기가 개시되어 있다. 범용제어기는 복수의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복수의 유닛을 접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44306 discloses a general-purpose controller as a device for additionally connecting these units. The general-purpose controller connects a plurality of units to each other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units using contact signals.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범용제어기를 이용하여 유닛을 추가 설치하거나 상이한 형식의 유닛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구체적인 온도제어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단순히 최대 부하로 동작할 뿐, 부하를 조절하며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는 없으므로 실내온도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한계가 있다.
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use a general-purpose controller to additionally install units or to interconnect units of different types. However,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specific temperature. There is a limit to th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because it simply operates at the maximum load and cannot be controlled to operate while controlling the loa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4430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5-0044306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있어서, 유닛에 연결되는 접점제어기가 희망온도를 추정하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which a contact controller connected to a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it by estimating a desired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유닛; 상기 유닛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상기 유닛으로 인가하는 접점제어기; 구비되는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온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접점제어기로 온 또는 오프의 접점신호를 입력하는 온도설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온도설정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유닛에 대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거나 유지하여 상기 유닛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 contac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unit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unit; In response to a temperature value set by a switch provided, a temperature setter for inputting an on or off contact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wherein the contact controller includ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unit by resetting or maintaining a set temperature for the unit.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접점신호가 온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고, 상기 접점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contact controller reset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n, and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ff.

상기 유닛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설정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by setting a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설정온도가 상기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희망온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stimates the desired temperature so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by repeatedly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본 발명은, 온도설정기로부터 온 또는 오프의 접점신호가 접점제어기로 수신되는 단계; 접점제어기가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신호가 온인 경우, 연결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온도를 변경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점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 on or off contact signal from a temperature setter to a contact controller; Resetting by changing a s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a connected unit when the contact signal is on, by a contac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Maintaining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ff;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it to the unit. Include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접점제어기를 이용하여 제조사 또는 통신방식이 상이한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by interconnecting units of different manufacturers or communication methods using a contact controller.

본 발명은 온도값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목표온도를 설정하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a temperature value, the operation of the unit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 오프에 대한 접점신호만으로 목표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temperature can be set only by contact signals for on and off.

본 발명은 접점제어기를 통해 연결되는 유닛에 대하여 실내온도를 기반으로 목표온도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온도를 바탕으로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unit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by changing the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room temperature for the unit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controller.

본 발명은 최대부하 운전을 방지하여 유닛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oad of the unit by preventing the maximum load operation.

본 발명은 온도제어를 통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emperature control.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하를 감소시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nergy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load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간 연결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연결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를 이용한 온도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connection of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signal flow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referenced to explain temperature control using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제어부 및 그 외 각 부의 구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other parts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processors (Micro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device. Meanwhile,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in consideration of only ease of wr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간 연결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1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 10a, 10b, 11c, 12c), 복수의 실내기(21a,21b, 21c, 22a, 22b, 22c)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t least one outdoor unit (10, 10a, 10b, 11c, 12c)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1a, 21b, 21c, 22a, 22b, 22c).

또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 즉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80c)와, 유닛과 유닛을 연결하는 접점제어기(50a, 50b, 50c)를 포함하고, 실내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s, i.e., a main controller 80c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or an indoor unit to control its operation, and a contact controller 50a, 50b, 50c connecting the unit to the unit,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remote control (not shown).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As for the air conditioner, any of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ventilation device,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d a heater in addition to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메인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 및 복수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o perform operation setting, lock setting,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and the like for the indoor unit.

실외기(21, 22)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s 21 and 22 include a compressor (not shown) that receives and compresses a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heats the refrigerant with outdoor air, and an accumulator that extracts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supplied refrigerant and supplies it to the compressor. It includes (not shown) and a four-way valve (not shown) for selecting a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heating operatio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valves and oil recoverers.

실외기(10, 10a, 10b, 11c, 12c)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는 메인제어기 또는 실내기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실외기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The outdoor units 10, 10a, 10b, 11c, and 12c operate a compresso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provided to compress or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a setting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is driven by the request of the main controller or the indoor unit,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outdoor unit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re varied as the cooling/heating capacity is varied in response to the driven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is described on the basis that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supply refrigerant to each of the connected indoor units. However,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may be interconnected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ccording to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실내기(21a,21b, 21c, 22a, 22b, 22c)는 복수의 실외기(21, 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s 21a, 21b, 21c, 22a, 22b, and 22c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21 and 22 to receive a refrigerant and discharge hot and cold air into the room. The indoor unit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an indoor unit fan (not shown),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upplied refrigerant is expanded,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이때, 메인제어기, 실외기 및 실내기는 통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방식과 중앙제어기와의 통신방식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o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entral controller may use the same or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리모컨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s (not show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nput a user's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receive and display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In some cases, one remote control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setting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be changed through one remote control inp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therein.

접점제어기(50a, 50b, 50c)는 입력되는 접점신호 및 접점제어기 설정에 대응하여 연결된 유닛을 제어한다. 접점제어기는 상호 통신이 불가능한 유닛들을 연결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ontact controllers 50a, 50b, and 50c control connected units in response to input contact signals and contact controller settings. The contact controller connects units that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enable control.

예를 들어 제조사가 상이한 유닛, 동일한 제조사이나 통신프로토콜의 버전이 상이하거나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통신이 불가능한 유닛을 연결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접점제어기는 기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유닛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by connecting units in which a manufacturer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different units, different versions of the same manufacturer or communication protocol, or using different protocols.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ler enables additional units to be installed in the pre-installed air conditioner.

접점제어기는 제 1 유닛의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2 유닛으로 인가하는 것이기는 하나, 제 1 유닛의 신호를 그대로 제 2 유닛으로 전달하는 중계기는 아님을 명시한다.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은 통신체계가 상이하므로, 동일한 신호를 이해할 수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유닛에 인가하는 것으로 신호의 단순변환에 해당하지 않는다.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contact controller appli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unit to the second unit, it is not a repeater that transmits the signal of the first unit to the second unit as it is. Since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have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ame signal cannot be understood. Accordingly,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unit,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simple conversion of the signal.

접점제어기는 도 1의 (a) 와 같이 실외기(10a)에 연결되어, 실외기의 제어에 따라 연결된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10a as shown in FIG. 1A and may control the connected indoor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utdoor unit.

실외기(10a)는 제 1 실내기(21a)와 연결되어 제 1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고 상호 통신을 통해 동작한다. 실외기는 별도의 메인제어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a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oor unit 21a, supplies a refrigerant to the first indoor unit, and operat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main controller (not shown).

접점제어기(50a)는 실외기(10a)에 연결되어 제 2 실내기(22a)를 제 1 실외기(10a)와 연결한다. 제 2 실내기는 접점제어기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실외기(10a)는 접점제어기(50a)를 통해 제 2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외기는 접점제어기로 신호를 인가하고, 접점제어기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실내기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실내기가 동작한다. 또한, 접점제어기는 제 2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외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a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10a to connect the second indoor unit 22a to the first outdoor unit 10a. The second indoor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Accordingly, the outdoor unit 10a may control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contact controller 50a. The outdoor unit may apply a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and the contact controller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indoor unit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ccordingly, the second indoor unit operates. Also, the contact controller may receive data from the second indoor unit and transmit it to the outdoor unit.

또한, 접점제어기는 제 2 실내기에 희망온도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접점신호를 바탕으로 목표하는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esired temperature cannot be set in the second indoor unit, the contact controller can control to reach a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contact signal.

접점제어기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와 다른 실내기를 상호 연결하여 다른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1, the contact controller may connect the indoor unit to another indoor unit to operate the other indoor unit.

접점제어기(50b)는 제 1 실내기(21b)에 연결되어, 제 2 실내기(22b)가 제 1 실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제 2 실내기(22b)는 접점제어기에 연결된다. 제 1 실내기(21b)는 실외기(10b)에 연결되고, 실외기는 별도의 메인제어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b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oor unit 21b so that the second indoor unit 22b is controlled by the first indoor unit. The second indoor unit 22b is connec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The first indoor unit 21b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10b, and the out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main controller (not shown).

접점제어기는, 제 1 실내기(21b)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2 실내기(22b)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제 2 실내기가 동작한다. 또한, 접점제어기는 제 2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외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appli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indoor unit 21b to the second indoor unit 22b, and the second indoor unit operates accordingly. Also, the contact controller may receive data from the second indoor unit and transmit it to the outdoor unit.

또한, 도 1의 (c)와 같이, 접점제어기는 메인제어기(80c)에 연결되어 실외기 및 실내기가 메인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1, the contact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80c so that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접점제어기(50c)는 메인제어기(80c)에 연결된다. 메인제어기는 제 1 실외기(11c)가 연결되고 제 1 실외기에는 제 1 실내기(21c)가 연결될 수 있다. 접점제어기(50c)에는 제 2 실외기(12c)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실외기에는 제 2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c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80c. A first outdoor unit 11c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a first indoor unit 21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door unit. A second outdoor unit 12c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50c. A second in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door unit.

접점제어기(50c)는 메인제어기(80c)에 연결되어, 메인제어기에 의해 제 2 실외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접점제어기(50c)는 메인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2 실외기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제 2 실외기 및 제 2 실내기가 동작한다. 또한, 접점제어기는 제 2 실외기 및 제 2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c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80c, and the second outdoor unit may be operated by the main controller. The contact controller 50c appli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main controller to the second outdoor unit, and accordingly, the second outdoor unit and the second indoor unit are operated.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ler may receive data of the second outdoor unit and the second indoor unit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main controller.

도 1의 접점제어기를 통한 연결은 일 예로,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The connection through the contact controller of FIG. 1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it is specified that the connection may be made in various ways.

접점제어기는 기 설치된 실외기 및 실내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실외기 또는 실내기를 추가 연결할 수 있고, 제조사가 상이한 실외기 및 실내기를 연결하여 제어기를 통해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can additionally connect an outdoor unit or an indoor unit to 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installed, and a manufacturer can connect different outdoor units and indoor units to integrate and control them through the controller.

접점제어기는 연결되는 유닛 외에도 온도설정기(미도시), 키스위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접점제어기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유닛으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o the connected unit, the contact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tter (not shown) and a key switch (not shown).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within a controllable range for the inpu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nected unit.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연결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2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connection of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제어기(50)는 실내기(20), 실외기(10), 메인제어기(80) 중 어느 하나의 제 1 유닛(31)에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고, 제 2 유닛에 연결되어 제 2 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it 31 of any one of the indoor unit 20, the outdoor unit 10, and the main controller 80 to receive a signal, and the second unit It is connected to and can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unit.

접점제어기(50)는 제 1 유닛의 신호 외에도, 접점신호 또는 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may receive a contact signal or an analog signal in addition to the signal of the first unit.

접점제어기(50)는 유닛 외에도, 온도설정기(60), 키스위치(미도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60) 연결 시, 온도설정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유닛(32)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unit, the contact controller 50 may be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tter 60, a key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When the temperature setter 60 is connected, the contact controller 50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unit 32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온도설정기(60)는 구비되는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온도값과, 감지되는 온도값을 비교하여,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접점신호로써 접점제어기로 전송한다. The temperature setter 60 compares the temperature value set through the provided switch with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and transmits, as a contact signal, whether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a set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act controller.

접점제어기(50)는 제 1 유닛(31)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온도설정기(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 2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모드를 설정하여 입력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second unit by selecting one of a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unit 31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temperature setter 60. If necessary, the contact controller can select the input signal by setting the mode.

접점제어기(50)는 조절스위치(51)와 타이머(52)를 포함한다. 또한,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includes a control switch 51 and a timer 52. It also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조절스위치(51)는 접점제어기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52)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접점제어기는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 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소정 주기마다, 제어신호를 재설정할 수 있고, 제 2 유닛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switch 5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controller. The timer 52 counts the time. The contact controller can reset the control signal every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and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unit.

접점제어기는 온, 오프의 접점신호에 따라, 제 2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목표온도로써, 별도의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제 2 유닛이 설정온도를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sets a separate set temperature as a target temperature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second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s of on and off, and causes the second unit to operat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에 따라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제 2 유닛이 변경되는 설정온도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여,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repeatedly reset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so that the second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changed set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indoor temperature to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로부터 희망온도값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접점신호에 따라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에 수렴하도록 하여 희망온도를 추정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estimates the desired temperature by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even if the desired temperature value is not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so that the set temperature converges to the desired temperature.

제 2 유닛은 처음부터 희망온도에 따라 최대부하로 운전하는 것을 아니라,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설정온도를 목표로 동작함에 따라 처음부터 풀부하로 동작하지 않고 설정온도를 기반으로 부하를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second unit does not operate at the maximum load according to the desired temperature from the beginning, but does not operate at full load from the beginning as the target operates at a set temperature that is periodically changed, and can operate by setting the loa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have.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제어기(50)는 송수신부(55), 신호처리부(54), 접점제어부(53), 데이터부(56), 조절스위치(51), 타이머(52)를 포함한다. 또한,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controller 50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a signal processing unit 54, a contact control unit 53, a data unit 56, an adjustment switch 51, and a timer 52. do.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included.

송수신부(55)는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입출력단자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전송한다. 송수신부(55)는 온도설정기(60)와 같이 접점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기기와 연결된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nd receives or transmits signals through input/output terminals.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inputs a contact signal or an analog signal, such as a temperature setter 60.

또한, 송수신부(55)는 제 1 유닛(31) 또는 제 2 유닛(32)과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is connected to the first unit 31 or the second unit 32.

송수신부(55)는 제 1 유닛 또는 제 2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부로 인가하고, 접점제어부(53)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 1 유닛 또는 제 2 유닛(32)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applies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unit or the second uni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unit or the second unit 32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act control unit 53. I can.

신호처리부(54)는 송수신부(55)를 통해 입력되는 접점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접점제어부로 인가한다. 신호처리부(54)는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점제어부로 인가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54 analyzes a contact signal or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5 and applies it to the contact control unit. The signal processing unit 54 analyzes the data applied from the unit and applies it to the contact control unit.

필요에 따라 신호처리부(54)는 조절스위치(51)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에 따라 유닛 또는 온도설정기의 신호 중 어느 하나만을 접점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signal processing unit 54 may apply only one of the signals of the unit or the temperature setter to the contac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the control switch 51.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54)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온도조절모드가 설정되면, 온도설정기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mode is set by the control switch, the signal processor 54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unit based on a signal input by the temperature setter.

신호처리부(54)는 데이터부(56)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입력되는 접점신호를 분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접점제어부로 인가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54 analyzes the input contact signal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56, converts the analog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contact control unit.

접점제어부(53)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접점제어부(53)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접점제어부(53)는 조절스위치(51)의 설정 및 데이터부(56)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 2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접점제어부는 제 2 유닛의 종류, 제품정보, 통신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 unit 53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e contact control unit 53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unit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The contact control unit 53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unit based on the setting of the control switch 51 and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56. The contact control unit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unit, produ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tocol.

접점제어부는 타이머(52)를 이용하여 소정시간 주기로 제 1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접점제어부는 일정 주기로 제 2 유닛으로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제 2 유닛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using the timer 52.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 unit allows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ni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unit.

예를 들어 접점제어부는 조절스위치(51)를 통해, 제 2 유닛에 대하여, 입력신호의 값에 따라 유닛의 용량, 온/오프 제어, 냉방/난방/송풍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 잠금 여부, 저소음운전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주소 설정이 불가능한 제 2 유닛에 대하여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act control unit, through the control switch 51, for the second unit,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the capacity of the unit, on/off control, cooling/heating/blowing, any one operation mode, whether or not it is locked,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or not to operate quietly, and to set an address for the second unit for which the address setting is impossible.

접점제어부(53)는 온도설정기의 접점신호와, 온도센서(57)로부터 입력되는 실내온도를 바탕으로 제 2 유닛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 unit 53 may generate and apply a control signal for the second unit based on the contac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tter and the room temperatur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7.

접점제어부는 접점신호에 따라 제 2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목표온도인, 설정온도의 값을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희망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 unit may estimate the desired temperature so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by repeatedly resetting the value of the set temperature, which is a targ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second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오프인 경우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인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tact signal is off, the contact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or is adjacent to the desired temperature.

그에 따라 접점제어부는 설정온도를 통해,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제 2 유닛이 동작하도록 한다. 제 2 유닛은 설정온도를 목표로, 부하를 설정하여 동작한다. Accordingly, the contact control unit causes the second unit to operate until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through the set temperature. The second unit operates by setting a load, targeting a set temperature.

제 2 유닛은,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한다. The second unit stop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또한, 접점제어부(53)는 타이머(52)에 의해 카운트 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소정 주기로 입력되는 신호와 제 2 유닛의 동작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일정 주기로 제 2 유닛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 unit 53 can check a signal inpu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unit based on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52, and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unit at a predetermined period. I can.

그에 따라 실내기(20)는 접점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접점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door unit 20 may apply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act controller, and als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act controller.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4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signal flow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설정기(60)는 접점제어기(50)와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하고,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의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As shown in Fig. 4, the temperature setter 6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50 to input a signal, and the contact controller 5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in response to the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tter. Apply the signal.

온도설정기(60)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감지한다. 또한, 온도설정기(60)는 구비되는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값을 저 장한다. The temperature setter 6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ed place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tter 60 stores a temperature value set by a user through a switch provided.

온도설정기(60)는 접점제어기의 접점입력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감지된 온도값을 접점제어기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만을 신호로써 접점제어기(50)로 전송한다. 즉 온도설정기(60)는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나, 감지된 온도값을 접점제어기로 입력할 수는 없다. The temperature setter 60 does not input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act controller as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input terminal of the contact controller, but transmits only whether the sensed temperature has reached the set temperature as a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50. do. That is, the temperature setter 60 can detect the temperatur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but cannot input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act controller.

온도설정기(60)는 접점제어기와 연결되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입력한다. The temperature setter 6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and inputs an on or off signal.

그에 따라 온도설정기(60)는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온(ON)신호를,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오프(OF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tter 60 may transmit an ON signal when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a set temperature, and an OFF signal when the set temperature is not reached.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6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60.

실내기가 동작 또는 동작정지를 수행하는 단순 유닛인 경우,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와 자체 감지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실내기가 온도설정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희망온도)에 도달하기 까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indoor unit is a simple unit that operates or stops operation, the contact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door unit to operate until it reaches a temperature (desired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tter based on a contact signal and a temperature sensed by itself.

접점제어기는 희망온도에 대한 수치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목표온도로써,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동작 또는 동작정지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does not transmit a value for the desired temperature, but as a targ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resets the set temperatur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r operation stop by comparing it with the indoor temperature based on this.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의 접점신호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접점신호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통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일정 주기로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ontac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tter has changed, and when the contact signal is not change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at a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the time counted through the timer.

또한,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변경된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when the contact signal is changed.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의 신호가 온인 경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고, 오프인 경우에는 설정온도를 유지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reset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tter is on, and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when it is off.

접점제어기는 냉방운전인 경우 현재온도(실내온도)에서 설정값(dT)을 뺀 값을 설정온도로 설정한다. 접점제어기는 난방운전의 경우 실내온도에 설정값(dT)을 더한값으로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In the case of cooling operation, the contact controller set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t value (dT) from the current temperature (indoor temperature) as the set temperature. In the case of heating operation, the contact controller sets the set temperature by adding the set value (dT) to the room temperature.

설정값(dT)은 접점제어기의 조절스위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The set value dT can be set through the control switch of the contact controller.

접점제어기는 유지되거나 재설정된 설정온도를 포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실내기(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maintained or reset set temperature and transmits it to the indoor unit (second unit).

그에 따라 유닛은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설정하여 운전한다. 주기적으로 설정온도가 변경됨에 따라 유닛은, 변경되는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부하를 재설정하여 동작한다. 유닛은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운전을 유지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운전을 중지한다. Accordingly, the unit operates by set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s the set temperature is periodically changed, the unit operates by resetting the load based on the changed set temperature. The unit maintains operation until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and stop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경우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설정온도에 대한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온도에 대한 재설정 여부와 설정값(dT),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어신호로써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닛은 설정온도를 산출하여 설정하여,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설정하여 운전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contact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reset the set tempera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o reset the set temperature, a set value (dT), and an operation mode as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unit may calculate and set a set temperature, and set and operate a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한편,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온도설정기에의해 설정된 온도(희망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온도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FF signal is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the contact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set temperature (desired temperature) has been reached by the temperature setter and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이때 설정온도를 유지하더라도, 온도설정기는 일정 온도단위로 온오프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오프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설정온도가 실내온도와 일치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설정온도는 유지하되,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even if the set temperature is maintained, the temperature setter applies the ON/OFF signal in a certain temperature unit, so even if the OFF signal is input, the set temperature cannot be said to be consistent with the indoor temperatur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예를 들어 온도설정기에서 설정된 희망온도가 22도 이고 실내온도가 23도 인경우 온도설정기는 온신호를 접점제어기로 입력하고, 실내온도가 22.5도인 경우 오프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sired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setter is 22 degrees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23 degrees, the temperature setter can input the ON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and if the room temperature is 22.5 degrees, the off signal can be input.

이때, 실내기(20)는 별도의 희망온도 설정 또는 입력을 위한 수단이 포함되지 않는다.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외기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접점제어기가 실외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실외기가 실내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indoor unit 20 does not include a separate means for setting or inputting a desired temperature. The indoor unit may transmit data to the outdoor unit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Meanwhile, when the contact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the outdoor unit transmits data to the indoor unit so that the indoor unit operates.

실내기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온도를 유지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한다.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stop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has reached the desired temperature.

그에 따라 실내기는 별도의 온도설정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거나, 온도제어가 불가능하여 단순 온오프되는 기기라 하더라도, 접점제어기를 통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indoor uni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means for setting a temperature or is simply turned on and off because temperature control is impossible, temperature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act controller.

경우에 따라 실내기가 단순 온오프되는 기기인 경우, 접점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은, 설정온도가 변경되면 동작을 유지하고, 설정온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희망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In some cases, if the indoor unit is a device that simply turns on and off, it may operate or stop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act controller. For example, if the set temperature is changed, the unit maintains the operation, and if the set temperature does not change, the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esired temperature has been reached and stop the opera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를 이용한 온도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referenced to explain temperature control using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설정기(60), 접점제어기(50), 유닛(32), 예를 들어 실내기(20)의 신호 입력에 따라, 유닛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unit may perform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60, the contact controller 50, and the unit 32, for example, the indoor unit 20.

도 5의 (a)와 같이, 희망온도(81)는 온도설정기(60)에 설정되는 온도제어에 따른 목표값이고, TH(82)는 온도설정기에서 접점제어기로 입력되는 신호이며, 실내온도(83)는 유닛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이고, 설정온도(84)는 접점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유닛의 온도제어를 위한 목표온도이다. 설정온도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며, 최종적으로는 희망온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5A, the desired temperature 81 is a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et in the temperature setter 60, and the TH 82 is a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to the contact controller. The temperature 83 is the room temperature detected by the unit, and the set temperature 84 is a target temperature for temperature control of the unit se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act controller. The set temperature is changed periodically, and can be finally set equal to the desired temperature.

설정온도는 도 4의 접점제어기에서 유닛으로 인가하는 목표온도이나, 온도설정기의 희망온도와의 구분을 위해 설정온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희망온도는 실내온도의 최종 목표온도이고, 설정온도는 실내기가 온도제어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제어주기별 목표온도이다. The set temperature will be described as a target temperature applied from the contact controller of FIG. 4 to the unit or a set temperature to distinguish it from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tter. That is, the desired temperature is the final target temperatur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is the target temperature for each control period that the indoor unit intends to reach through temperature control.

이때, 설정값(dT)(85)은 1도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이는 접점제어기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설정값(85)은 조절스위치(51)와 같은 접점제어기의 입력수단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t value dT 85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1 degree, whi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act controller. The set value 85 can be changed through an input means of a contact controller such as the control switch 51.

순서는 제어주기에 따른 순서로 접점제어기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결된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접점제어기는 주기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온도설정기의 접점신호가 변경되는 경우,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order is the order according to the control cycle, and the contact controller can control the connected units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contact controller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tac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tter even if the period is not reached.

온도설정기(60)는 사용자에 의해 희망온도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에서, 희망온도는 22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온도설정기에 구비되는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희망온도(81)가 설정된다. The temperature setter 60 inputs a desired temperature by a user. For example, in the cooling mode, the desired temperature may be set to 22 degrees. The desired temperature 81 is se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switch provided in the temperature setter.

온도설정기(60)는 희망온도(81)가 설정되면, 자체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실내온도에 도달하면 오프(OFF), 실내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온(ON)신호를 생성하여 접점제어기로 인가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When the desired temperature 81 is set, the temperature setter 60 compares with the self-sensing indoor temperature and generates an OFF signal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reached, and an ON signal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not reached. Can be applied by controller.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와 연결되어 온 또는 오프의 신호(TH)(82)를 입력받는다. 이때 온도설정기로부터 희망온도(81)를 수치로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온/오프 신호(TH)(82)를 접점신호로써 입력받는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tter to receive an ON or OFF signal (TH) 82. At this time, the desired temperature 81 is not input as a numerical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tter, but an ON/OFF signal (TH) 82 indicating whether the set temperature has been reached is input as a contact signal.

접점제어기(50)는 온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온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유닛으로 인가한다. 접점제어기의 송수신부는 접점신호를 입력받고 접점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연결된 유닛(32)으로 전송한다. When the ON signal is input, the contact controller 50 applies a control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to the unit.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of the contact controller receives a contact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control unit to the connected unit 32.

접점제어부는 신호가 온인지 오프인지 여부에 따라, 설정온도를 유지할지 또는 재설정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값을 바탕으로 설정온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act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or reset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whether the signal is on or off,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set value.

접점제어기는 냉방모드인 경우 실내온도에서 설정값(dT)을 뺀 값으로 설정온도를 설정하여, 설정온도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유닛(실내기(20))으로 인가한다. In the cooling mode, the contact controller sets the set temperature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t value (dT) from the room temperature,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set temperature to the unit (indoor 20).

경우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값 또는 설정온도값을 수치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온도에 대한 재설정 여부와 설정값(dT),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어신호로써 전송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contact controller may not transmit an indoor temperature value or a set temperature value as a numerical value, but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o reset the set temperature, a set value (dT), and an operation mode as a control signal.

유닛, 즉 실내기(20)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설정하여 동작한다. 실내기(20)는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고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토출한다. 실내기는 설정온도에 대한 데이터는 실외기(10)로 전송하고, 실외기는 그에 대응하여 실외기팬 및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unit, that is, the indoor unit 20 operates by setting a load according to a set temperatur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he indoor unit 20 operates the indoor unit fan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discharges cool air through heat exchange. The indoor unit transmits data on the set temperature to the out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drives the outdoor unit fan and compressor in response thereto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희망온도가 22인 상태에서 실내온도가 28도이면, 온도설정기(60)는 온신호를 접점제어기(50)로 인가한다. When the desired temperature is 22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28 degrees, the temperature setter 60 applies an ON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50.

접점제어기는 온신호에 따라 실내온도와 설정값(1도)을 바탕으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실내기로 인가한다. 실내온도(83)인 28도에, 설정값인 1도를 뺀 값으로 설정온도를 27도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resets the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value (1 degree) according to the ON signal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The set temperature may be set to 27 degrees by subtracting the set value of 1 degree from the room temperature 83 of 28 degrees.

이때, 설정값에 따라 설정온도가 변경되므로, 설정값을 조절하여 실내기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기반으로 부하를 설정하는데, 1도 변경하기 위한 부하와 3도 변경하기 위한 부하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희망온도에 빠른 시간 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설정값을 크게, 천천히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정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부하는 전력소비량에 영향을 주므로 전력소비를 감소하는 경우 설정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t temperatu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 load of the indoor un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t value. In other words, the indoor unit sets the loa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Sinc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oad for changing 1 degree and the load for changing 3 degrees, in order to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within a short time, the set value is set large and slowly The setting value can be set small. In addition, since the load of the indoor unit affect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the set value can be set small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실내기(20)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온도 27도를 목표로 동작한다. 일정시간 경과 시 실내온도는 27도에 근접하거나 27도에 도달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0 operates to target a set temperature of 27 degree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door temperature may approach or reach 27 degrees.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접점제어기의 제어주기에 따라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더라도 다음 제어신호가 수신되기까지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다음 제어주기에 설정온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동작을 정지한 후 다시 동작하지 않고 제어신호가 수신되기까지 동작을 유지한 채로 대기하여 다음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동작을 유지할지 정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basically stops it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but it can maintain the operation until the next control signal is received even if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rol cycle of the contact controller. In other words, since the set temperature may change in the next control cycle,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it does not operate again, and waits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on until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decides whether to maintain or stop the operation based on the next set temperature. I can.

그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값 또는 제어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ct controller can adjust the set value or control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until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다음 주기에서, 실내온도가 27도인 경우, 온도설정기(60)는 온신호를 접점제어기로 인가하고,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 27도에서 설정값인 1도를 뺀 값으로 설정온도를 26도로 설정한다. 실내기 및 실외기는 26도를 목표로 운전을 계속한다. In the next cyc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27 degrees, the temperature setter 60 applies the ON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and the contact controller sets the set temperature to 26 degrees by subtracting the set value of 1 degree from the indoor temperature of 27 degrees. do. The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continue to drive with a goal of 26 degrees.

이와 같이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의 신호에 따라 설정온도를 재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실내기로 인가하고, 실내기는 주기마다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조절하여 동작한다. In this way, the contact controller reset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tter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perates by adjus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for each period.

일정횟수 반복한 후, 실내온도가 22도로 희망온도인 22도에 도달하면, 온도설정기(60)는 오프신호를 접점제어기(50)로 인가한다.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을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실내기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유지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한다.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최종 목표온도인 희망온도(81)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fter repeating a certain number of times,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22 degrees, which is the desired temperature, 22 degrees, the temperature setter 60 applies an OFF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50. The contact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indoor temperature has reached the desired temperature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to maintain the setting. Accordingly, the indoor unit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and stop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indoor unit may determine that the indoor temperature has reached the desired temperature 81 which is the final target temperature.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운전의 경우,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87)에 설정값을 가산하도록 설정온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접점제어기는 난방운전의 경우 실내온도(87)에 설정값(90)을 가산하고, 냉방운전의 경우 실내온도(87)에 설정값(90)을 감산하여 설정온도(89)를 산출한다. 이때 설정값(90)은 3도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5B, in the case of heating operation, the contact controller may apply a control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to add the set value to the room temperature 87. The contact controller calculates the set temperature 89 by adding the set value 90 to the room temperature 87 in the case of heating operation, and subtracting the set value 90 from the room temperature 87 in the case of cool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set value 9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3 degrees.

또한, 접점제어기는 제어주기 또는 조절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설정값(dT)(90)을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ler may change the set value (dT) 90 according to the control period or the input of the control switch.

희망온도(86)가 29도로 설정되면, 온도설정기(60)는 실내온도(87)가 29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온신호를 입력하고, 29도에 도달하면 오프신호를 접점제어기(50)로 전송한다.When the desired temperature 86 is set to 29 degrees, the temperature setter 60 inputs an on signal until the indoor temperature 87 reaches 29 degrees, and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29 degrees, the off signal is output to the contact controller 50. Transfer to.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6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설정온도(89)를 재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실내기로 전송한다. 접점제어기는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실내온도(88)가 14도인 경우 설정값(90) 3도를 가산하여 17도를 설정온도(89)로 지정한다. 실내기는 설정온도 17도를 목표로 동작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50 resets the set temperature 89 according to the ON/OFF signal of the temperature setter 6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When the room temperature 88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14 degrees, the contact controller adds 3 degrees to the set value 90 and designates 17 degrees as the set temperature 89. The indoor unit operates aiming at a set temperature of 17 degrees.

다음 제어 시, 접점제어기는 실내온도 17도에 설정온도 3도를 가산하여 20도를 설정온도로써 지정하고 실내기를 그에 따라 동작을 계속 유지한다. 실내기는 접점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며 난방운전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e next control, the contact controller designates 20 degrees as the set temperature by adding 3 degrees to the indoor temperature of 17 degrees and keeps operating the indoor unit accordingly. The indoor unit can maintain the heating operation by reset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that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act controller.

접점제어기에 의해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경우,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29도로 유지한다.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인 29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한다.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희망온도(86)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외기는 실내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동작을 중지한다. When the set temperature is maintained by the contact controller, the indoor unit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at 29 degrees. The indoor unit stops operating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of 29 degrees. The indoor unit may determine that the indoor temperature has reached the desired temperature 86. The outdoor unit stops operating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indoor unit.

이와 같이, 온도값을 직접 전송할 수 없거나 실내기 등에서 온도제어가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접점제어기는 실내기가 설정온도를 목표로 동작하도록 하면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value cannot be directly transmitted or the temperature control in the indoor unit is impossible, the contact controller repeats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while allowing the indoor unit to operate at the set temperature, so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do.

그에 따라 실내기는 변경되는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기 및 실내기는 풀부하로 운전하지 않고,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조절하면서 운전할 수 있다. 접점제어기는 제어주기 및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door unit operates based on the changed set temperature, and can operate until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ly,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not operated at full load, but can be operated while adjus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The contact controller can adjust the load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by changing the control period and the set value.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접점제어기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tact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로부터 온 또는 오프의 신호를 입력받아 연결된 유닛을 제어한다. As shown in FIG. 6, the contact controller receives an ON or OFF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tter and controls the connected unit.

접점제어기(50)는 온도설정기(60)로부터 입력되는 접점신호가 기 입력된 접점신호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The contact controller 50 compares the contact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60 with the previously input contact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S310).

접점제어기는 타이머를 통해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S320) 타이머를 초기화하며(S330) 접점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act controller counts time through a timer, initializes the tim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320) (S3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act signal is changed.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에 변화가 없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접점신호의 값, 즉 온신호인지 오프신호인지 여부에 따라(S340) 유닛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변화하는 경우 주기에 관계없이 접점신호의 값에 따라(S340)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contact signal,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unit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ntact signal, that is, whether it is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S340) when a preset time is reached. In addition, the contact controller may control the unit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ntact signal (S340) regardless of the period when the contact signal changes.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변화하는 경우, 접점신호가 동일하게 유지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유닛으로 인가한다. When the contact signal changes,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unit when a preset time is reached even if the contact signal remains the same.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온신호인 경우 유닛의 목표온도, 즉 설정온도를 재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접점제어기는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경우, 실내온도와 설정값에 따라 설정온도를 다시 산출하여 설정한다(S350).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re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hat is, a set temperature, of the unit when the contact signal is an ON signal. When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the contact controller recalculates and set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set value (S350).

접점제어기는 냉방모드인 경우 실내온도에서 설정값을 빼고, 난방모드인 경우 실내온도에 설정값을 더하여 설정온도를 산출한다. 경우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운전모드, 설정값(dT), 설정온도 재설정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신호로써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calculates the set temperature by subtracting the set value from the room temperature in the cooling mode, and adding the set value to the room temperature in the heating mode. In some cases, the contact controller may transmit data on whether to reset the operation mode, set value (dT), and set temperature as a control signal.

한편,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오프신호인 경우 유닛의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60).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t temperature of the unit is maintained when the contact signal is an OFF signal (S360).

접점제어기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유닛으로 전송한다(S370). The contact controller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unit (S370).

그에 따라 연결된 유닛은 재설정되거나 유지되는 설정온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nected uni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 temperature that is reset or maintained, and stops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접점제어기는 온도설정기의 희망온도가 수치로 입력되지 않고 단순히 온오프의 접점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접점신호에 따라 설정온도가 재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하여, 온도설정기에 의해 설정되는 희망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접점제어기는 접점신호가 오프신호로 입력되면, 현재의 설정온도가 희망온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act controller repeats that the set temperature is reset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even if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tter is not input as a numerical value and simply an ON/OFF contact signal is input, so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The desired temperature set by the setter can be estimated. The contact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set temperature is the desired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input as an off signal.

그에 따라 접점제어기는 온도기반으로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ct controller can control the indoor unit based on temperature.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은 실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410). 실내기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온도 재설정 여부, 운전모드, 설정값을 확인한다. As shown in Fig. 7, the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indoor unit (S410). The indoor unit checks whether the set temperature is reset, the operation mode, and the set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실내기(유닛)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온도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420). The indoor unit (unit)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420).

실내기는, 설정온도가 재설정된 경우,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실내온도를 감지한다(S430). When the set temperature is reset, the indoor unit sense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S430).

실내기는 변경된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부하를 설정한다(S440). 경우에 따라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실외기로 전송하고, 실외기에 의해 부하가 결정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sets the load based on the changed set temperature (S440). In some cases, the indoor unit transmits a set temperature to the outdoor unit, and a load may be determined by the outdoor unit.

실내기는 설정온도에 따라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실외기는 설정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각 밸브의 개도량, 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can chang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unit fan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The outdoor unit can chang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the opening amount of each valv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실내기 및 실외기는 설정온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한다(S450).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perform a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S450).

실내기는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부하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한다. The indoor unit performs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while repeatedly resetting the loa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S460) 운전을 정지한다. 실외기 또한 운전을 정지한다(S470). The indoor unit stops operating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S460). The outdoor unit also stops operating (S470).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nd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0a, 10b, 11c, 12c: 실외기
20, 21a, 21b, 21c, 22a, 22b, 22c: 실내기
50, 50a, 50b, 50c: 접점제어기
60: 온도설정기 80, 80c: 메인제어기
51: 조절스위치 53: 접점제어부
54: 신호처리부 55: 송수신부
10, 10a, 10b, 11c, 12c: outdoor unit
20, 21a, 21b, 21c, 22a, 22b, 22c: indoor unit
50, 50a, 50b, 50c: contact controller
60: temperature setter 80, 80c: main controller
51: control switch 53: contact control unit
54: signal processing unit 55: transmission/reception unit

Claims (15)

실외기 및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유닛;
상기 유닛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상기 유닛으로 인가하는 접점제어기;
구비되는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접점제어기로 온 또는 오프의 접점신호를 입력하는 온도설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온도설정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유닛에 대한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거나 유지하여 상기 유닛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주기로 상기 설정온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y one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 contac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unit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unit;
In response to a desired temperature set by a switch provided, a temperature setter for inputting an on or off contact signal to the contact controller; includes,
The contact controller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unit by resetting or maintaining a set temperature for the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tter,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temperatur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repeating the reset of the set temperature at preset time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접점신호가 온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고, 상기 접점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act controller reset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n, and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설정온도가 상기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희망온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act controller estimates the desired temperature so that the set temperature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by repeatedly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접점신호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접점신호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점신호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ontact signal is changed,
When the contact signal is change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contact signal is not change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transmitted to th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경우, 운전모드에 따라,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설정값을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controller, when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resets the set temperature by adding or subtracting a set value to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희망온도까지의 단시간에 도달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설정값을 크게 설정하고, 천천히 도달하거나 또는 전력소비를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설정값을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ontact controller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set value is set to be large, and when reaching slowly or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he set value is set to be smal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제어기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접점제어기의 운전모드 및 설정값을 입력하는 조절스위치;
상기 온도설정기로부터 인가되는 접점신호를 분석하는 신호처리부;
감지되는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에 대한 설정온도를 산출하여 재설정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접점제어부; 및
상기 온도설정기 및 상기 유닛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controller includes a timer for counting time;
A control switch for inputting an operation mode and a set value of the contact controller;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contact signal applied from the temperature setter;
A contact control unit calculating and resetting a set temperature for the unit in response to the sensed temperature and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nd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tter and the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기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입력되는 희망온도와 실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희망온도와 상이한 경우 온신호를 상기 접점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와 동일하면 오프신호를 상기 접점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setter includes at least one switch,
The desired temperature input by the switch is compared with the indoor temperature, and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different from the desired temperature, an 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the same as the desired temperature, an off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설정온도에 따라 부하를 설정하여 동작하고,
실내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operates by setting a loa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periodical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온도설정기로부터 온 또는 오프의 접점신호가 접점제어기로 수신되는 단계;
접점제어기가 상기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신호가 온(ON)이고 냉방운전 시, 연결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온도를, 실내온도에 기 설정된 설정값을 뺀 값으로 산출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점신호가 온(ON)이고 난방운전 시, 상기 실내온도에 상기 설정값을 더한 값으로 상기 설정온도를 산출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점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Receiving an on or off contact signal from a temperature setter to a contact controller;
Calculating, by the contact controller, a s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a connected unit when the contact signal is ON and a coo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a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set value from the room temperature and resetting it;
Calculating and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set value to the indoor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N and a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Maintaining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contact signal is off;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it to the unit;
Resetting the set temperature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operating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신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contact signal is change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신호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time has elapsed when the contact signal is not changed; Including mor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온도를 바탕으로 부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실내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etting, by the unit, a loa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Stopping the oper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operating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KR1020180122901A 2018-10-16 2018-10-16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Active KR102175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01A KR102175296B1 (en) 2018-10-16 2018-10-16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01A KR102175296B1 (en) 2018-10-16 2018-10-16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99A KR20200042599A (en) 2020-04-24
KR102175296B1 true KR102175296B1 (en) 2020-11-06

Family

ID=7046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01A Active KR102175296B1 (en) 2018-10-16 2018-10-16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2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4910A1 (en) * 2023-01-19 202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controller,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897A (en) * 2006-09-19 2008-05-01 Daikin Ind Ltd Mediation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ontrol,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program
JP2009052769A (en) 2007-08-24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70539B1 (en) 2008-01-15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90B1 (en) * 2010-09-30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102199373B1 (en) 2013-10-16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897A (en) * 2006-09-19 2008-05-01 Daikin Ind Ltd Mediation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ontrol,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program
JP2009052769A (en) 2007-08-24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70539B1 (en) 2008-01-15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4910A1 (en) * 2023-01-19 202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controller,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99A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50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using a target time based control plan
JP2005003357A (en) Central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ng method
CA3041319C (en) Operating an hvac system to reach target temperature efficiently
US2025018023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arget air temperature in a target time in a building
KR100715999B1 (en) Multi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470539B1 (en) air conditioner
KR102175296B1 (en) Air-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KR101573363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KR101698790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120101856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102155558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KR10181251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080079482A (en)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90129196A (en)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100302B1 (en) Multi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803728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070060337A (en) Multi air conditioner system
KR20120090270A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2147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heating and air-conditioning (hvac) system
KR20120098196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100000273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080013034A (en) Power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JP2007139369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WO2017138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using a target time based control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