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87B1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987B1 KR102173987B1 KR1020190039818A KR20190039818A KR102173987B1 KR 102173987 B1 KR102173987 B1 KR 102173987B1 KR 1020190039818 A KR1020190039818 A KR 1020190039818A KR 20190039818 A KR20190039818 A KR 20190039818A KR 102173987 B1 KR102173987 B1 KR 1021739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body
- food waste
- discharge bin
- opening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435 Prunus domestica subsp. insiti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Abstract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크게 케이스체와 개폐커버 및 배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케이스체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그의 개방 부위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케이스체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통은 상기 개폐커버가 개방된 후 해당 케이스체의 전방으로 취출되면서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ase body, an opening/closing cover, and a discharge bin, and in particular, the cas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and disposed in a laid down state so that the open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in front.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case body, and the discharge bin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se body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opened, thereby discharging the food waste from which water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싱크대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배출통과 감량기 케이스 간의 틈새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in a sink 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to easily dispose of residual food waste, and furthermore, a gap between the discharge bin and the reducer case It relates to a reducer for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new form to prevent the input of food waste.
일반적으로 음식물 분쇄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된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장치로써, 통상 분쇄기 및 감량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volume by pulverizing various food wastes generated in homes or restaurants, and is generally configured including a crusher and a reducer.
여기서, 상기 분쇄기는 음식물을 제공받아 잘게 분쇄하는 기기이고, 상기 감량기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로부터 물기를 걸러내어 무게를 감량시키는 기기이다.Here, the grinder is a device that receives food and pulverizes it finely, and the reducer is a device that reduces weight by filtering moisture from the pulverized food.
특히, 최근에는 싱크대에 상기 음식물 분쇄처리장치를 설치하는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분쇄처리장치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re are various types of sink-mounted food waste crushing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food crushing apparatus in the sink.
즉, 싱크대의 싱크볼로부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분쇄기가 잘게 분쇄하고 감량기를 통해 물기를 제거한 다음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sink bowl of the si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is finely pulverized by the grinder and the water is removed through a weight reducer before being discharged.
이와 같은 음식물 분쇄처리기의 분쇄기나 감량기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802694호, 등록특허 제10-1792113호, 등록특허 제10-1771603호, 등록특허 제10-1712653호, 등록특허 제10-1217227호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Regarding the grinder or weight reducer of such a food waste processing machine, Registration Patent No. 10-1802694, Registration Patent No. 10-1792113, Registration Patent No. 10-1771603, Registration Patent No. 10-1712653, and Registration Patent No. 10- It is provided in various ways, including No. 1217227.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의 감량기는 상하로 세워진 상태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싱크대 내에 설치됨에 따라 해당 감량기의 배출통을 배출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as the weight reducer of the sink-mount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formed in a vertically upright cylindrical body and is installed in the sink,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discharging the discharge bin of the corresponding reducer.
또한, 종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는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감량기로 전달되는 도중 상기 감량기의 외관 케이스와 배출통 사이의 틈새로 낙하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특히 상기 감량기 내의 저면은 평면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록 수분의 배출을 위한 호스가 추가로 연결된다 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떨어진 물기가 상기 감량기 내의 저면에 고여 부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써 배출통을 수시로 배출하고 세척한다 하더라도 감량기로부터 많은 냄새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the food waste crushed in the shredder may fall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discharge bin of the weight reducer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weight reducer, and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of the weight reducer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Therefore, even if a hose for discharging moisture was additionally connected, there was inevitably a phenomenon in which water away from food waste accumulates on the bottom of the reducer, and thus, a lot of smell from the reducer even if the discharge bin is frequently discharged and washed.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occur.
더욱이, 전술된 등록특허 제10-1792113호의 경우는 배출통이 상부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배출통 내에서 물기의 제거를 위해 보관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싱크대 내로 제공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Registration No. 10-179211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ell of food waste stored in the discharge bin for removal of water is inevitably provided into the sink as the discharge bin is made of an open structure. have.
또한, 종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의 감량기는 분쇄기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는 연결호스의 연결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싱크대 내부 공간의 배치 구조에 따라 별개로 설계된 제품을 적용하여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ood waste reduction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hose receiving the food waste from the shredder is limited in only one direction, a product separ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sink must be applied. hav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싱크대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배출통과 감량기 케이스 간의 틈새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ink, and the remaining food waste can be easily discharged. It is to provide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new type that prevents food waste from being put into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bin and the weight reducer ca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에 따르면 전방으로 개방 부위가 위치되도록 눕혀진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고, 상단 둘레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공받아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관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물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커버; 상기 케이스체 내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개폐커버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담도록 이루어진 배출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crushing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formed as a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lying down so that an open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front, and an inlet pipe that receives food waste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on the upper circumference surface In addition to the protrusion formed, a case body formed in which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water is protrude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An opening/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ing bin which is seated in the case body and has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nd is configured to contain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of the case body.
여기서, 상기 개폐커버의 전면에는 그의 개폐조작을 위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통의 전면에는 그의 취출 조작을 위한 취출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an opening/closing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reof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pening/closing cover, and an opening/closing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reof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charge bin.
또한, 상기 배출통은 상부로 개방된 다공형의 다각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줄어드는 다단형의 절곡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ulti-stage bent structure in which the space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to the lower side while being formed of a porous polygonal body.
또한, 상기 배출통의 각 표면에는 상하로 긴 형상의 슬릿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각 절곡 부위에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vertically elongated slits are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discharge bin, and the slits are not formed at each bent portion.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체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상기 배출통이 안착되는 부위의 저부측 공간에는 상기 배출통과는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해당 공간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걸름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걸름플레이트는 상하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 혹은, 통공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long with this, in the space on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on the bottom side of the case body where the discharge tube is seated, a filter plate is further provided, which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assage, and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space vertically, and the filt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t least one or more slits or through holes penetrating up and dow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체를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배출통은 해당 케이스체의 전방으로 취출되면서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싱크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be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case body forming the exterior is laid horizontally, and the discharge bin is taken out to the front of the case body to remove moisture from the food waste. As it is made to discharge, it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such as a sink.
특히,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케이스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통은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사이에 충분한 틈새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배출통 내에 담겨지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food wast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se body t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scharge bin is formed in a polygonal body to provide a sufficient gap between each other, so that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ischarge bin It has the effect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케이스체 내에 얹힘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배출통이 얹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출통의 기울어짐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출통의 취출 및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crushing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charge bin is mounted with an additional mounting plate in the case body, thereby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discharge bin and stably taking out and receiving the discharge bin. It has an effect that has becom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걸름플레이트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적으로 걸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reducing food waste by allowing the food wast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to be filtered again through the additional provision of a filter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가 적용된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개폐덮개의 결합 전후의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개폐덮개의 결합 전후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다른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ood crushing apparatus to which a reducer for a f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top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front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before and after coupling of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in order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before and after coupling of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form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가 적용된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rst, the attached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device to which a reducer for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food crushing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seen in plan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eight reducer for the devic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front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이하, “감량기”라 함)(10)는 크게 케이스체(100)와 개폐커버(200) 및 배출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케이스체(100)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그의 개방 부위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통(300)은 상기 개폐커버(200)가 개방된 후 해당 케이스체(100)의 전방으로 취출되면서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eight reduc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ducer”) 10 for a food crus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케이스체(100)는 감량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First, the
이러한 케이스체(100)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전후 방향을 향해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분쇄기(20)의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상기한 배치 구조는 후술될 배출통(300)을 전방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10)가 싱크대 내에 설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설치 작업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역시 손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structure allows the
또한, 상기 케이스체(100)에는 분쇄기(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공받는 유입관(11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유입관(110)은 상기 케이스체(110)의 중앙측 상단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관(110)이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케이스체(100)의 둘레면 양측에 해당 케이스체(100)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The
이러한 두 유입관(110)의 구조는 싱크대에 분쇄기(20)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적용되면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두 유입관(110)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10)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분쇄기(20)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첨부된 도 5와 같이 분쇄기(20)의 왼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체(100)의 두 유입관(110) 중 사용되지 않는 유입관(110)을 폐쇄하는 폐쇄캡(120)이 더 제공되면서 해당 유입관(110)을 통한 냄새의 배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two
물론, 상기 유입관(110)을 두 개로 제공하지 않고 하나로만 제공하면서 해당 유입관(110)과 분쇄기(20) 간을 연결하는 연결호스(또는, 연결관)(도시는 생략됨)를 길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 연결호스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잔존하여 고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유입관(110) 제공을 통해 연결호스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특히, 상기한 유입관(110)은 상가 케이스체(10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후술될 배출통(300)의 중앙측 부위에서부터 쌓이기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통(300)의 어느 한 측에 음식물 쓰레기가 집중되어 배출통(300)으로부터 넘쳐 흐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케이스체(100)의 저면에는 물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130)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30)은 상기 케이스체(100)의 중앙측 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배출관(130)이 연통되는 케이스체(100) 내의 중앙측 저면은 원주 방향뿐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라운드지게 요입 형성됨으로써 물기가 고이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다음으로,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Next, the opening/
이러한 개폐커버(200)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어서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면 둘레를 덮는 테두리가 형성된 캡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커버(200)의 외면에는 조작손잡이(211)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감량기(10)의 전방에서 상기 개폐커버(200)를 케이스체(100)로부터 원활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ning/
특히, 상기 개폐커버(200)와 상기 케이스체(100)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212) 및 결합돌기(10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개폐커버(200)가 상기 케이스체(100)에 결합될 경우 원치않게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01)가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방측 끝단 외주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홈(212)은 상기 개폐커버(200)의 테두리에 형성됨을 그 예로 하며, 이때 상기 결합홈(212)은 케이스체(100)의 양측 끝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요입되도록 형성된 후 원주 방향을 향해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개폐커버(200)를 케이스체(100)와의 대향 방향으로 결합한 후 일부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상기 개폐커버(200)가 상기 케이스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상기 배출통(300)은 분쇄기(20)로부터 제공받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이와 같은 배출통(300)은 상기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방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100)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담도록 이루어진 상부로 개방된 다공형의 통체로 형성된다.Such a
상기 배출통(300)은 둘레면 및 저면이 평면 구조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부로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다공형의 다각 통체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배출통(300)의 외면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체(100)의 내면 사이에 충분한 틈새가 존재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틈새를 통한 배출통(300) 내의 물기가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It is suggested that the
특히, 상기 배출통(30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줄어드는 다단형의 절곡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분의 배출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대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여기서, 상기 배출통(300)의 각 표면에는 상하로 긴 형상의 슬릿(301)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배출통(300)의 각 절곡 부위에는 상기 슬릿(301)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곡 부위가 케이스체 내에 안착되는 부위임을 고려할 때 해당 부위가 최대한의 강도를 갖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로 인한 휨 변형 등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Here, vertically
이와 함께, 상기 배출통(300)의 전면에는 그의 취출 조작을 위한 취출손잡이(311)가 구비되며, 이러한 취출손잡이(311)를 이용하여 해당 배출통(300)을 케이스체(100) 내부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take-ou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양측 벽면에 상기 배출통(300)의 저면 일부가 얹히는 얹힘플레이트(14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3 to 5, a mounting
이러한 얹힘플레이트(140)는 상기 배출통(300)의 각 절곡 부위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벽면에 단순히 얹히는 구조로만 이루어질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의 치우침으로 인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는 등의 문제점(첨부된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배출통이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기우는 문제저) 발생이 야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한 얹힘플레이트(14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배출통(3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mounting
특히, 상기 얹힘플레이트(140)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배출통(300)이 상기 얹힘플레이트(140)에 얹힌 상태에서 서랍식으로 취출하거나 혹은,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배출통(300)의 취출이나 수납시 해당 배출통(30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배출통(300)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쏟아지거나 혹은, 주위로 흐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moun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10)의 케이스체(100) 내면 중 유입관(110)이 연통되는 부위의 직하방에는 배출통(300)의 외벽면과 케이스체(100)의 내벽면 간의 틈새를 가로막기 위한 가이드돌부(41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부(410)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배출통(300)의 내측 일부에 이르기까지 돌출되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첨부된 도 3 참조)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즉, 상기한 가이드돌부(41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통(300)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100)의 양측 벽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상기 유입관(110)으로부터 가로막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되어 배출통(300) 내에 낙하되는 도중 상기 배출통(300)과 케이스체(100) 사이의 틈새로 제공되어 해당 틈새를 막아버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가이드돌부(410)의 경사 구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혹은, 물기가 상기 가이드돌부(410)에 쌓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10)의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상기 배출통(300)의 저부측에는 해당 공간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걸름플레이트(42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걸름플레이트(420)는 상하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 혹은, 통공을 갖는 그릴이나 다공체 혹은, 메쉬로 형성(첨부된 도 6 및 도 7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재차적인 걸러줌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즉, 상기한 걸름플레이트(42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배출통(300)으로부터 넘쳐서 흘러내린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적으로 걸러주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특히, 상기한 걸름플레이트(420)는 상기 배출통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취출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배출통(300)으로부터 누수되는 수분의 배출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시 해당 걸름플레이트(420)를 취출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reduc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최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량기(10)는 어느 한 유입관(110)이 분쇄기(20)와 연결되면서 상기 분쇄기(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공받도록 설치되고, 배출통(300)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안착플레이트에 얹힌 상태로 설치되며, 개폐커버(300)는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First, the
이때, 감량기(10)의 다른 한 유입관(110)은 폐쇄캡(120)으로 폐쇄되며, 이로써 감량기(10) 내에서 발생된 냄새 성분이 상기 다른 한 유입관(110)을 통해 실내(싱크대 내부 공간)로 방출됨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한 최초의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분쇄기(20)의 분쇄 동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유입관(110)을 통해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shredding machine is performed in the first state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grinding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된 분쇄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체(100) 내에 위치된 배출통(300) 내에 담겨진다.In addition, the pulverized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이때, 상기 배출통(300)은 다공 구조의 통체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배출통(300) 내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기만이 상기 배출통(300)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at the
특히, 상기 배출통(300)은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체(10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간의 사이에는 충분한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로 인해 일시적으로 많은 물기가 배출통(300) 내에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물기는 빠르게 배출통(300)을 통과하여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물론, 상기 배출통(300)을 통과하여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흘러내린 물기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일부 포함될 수 있다. 즉, 과도한 음식물 쓰레기의 제공 등에 의한 넘침 현상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출통(300) 저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some food waste may be included in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하지만,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 공간에는 걸름플레이트(42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걸름플레이트(420)에 재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결국 물기만이 상기 걸름플레이트(420)를 통과한 후 케이스체(100) 저면의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된다.However, since the
이때, 상기 배출관(130)이 형성된 부위는 케이스체(100)의 원주방향뿐 아니라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후 방향으로도 라운드진 구면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걸름플레이트(420)를 통과한 물기는 케이스체(100) 저면에 고이지 않고 상기 배출관(130)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at the portion where the
그리고, 전술된 과정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처리가 완료되면 분쇄기(20)의 동작이 중단되며, 더 이상 음식물 쓰레기가 감량기로 유입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crushing process of the food waste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the
이의 상태에서 배출통(300)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이 충분히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커버(200)를 개방한 다음 케이스체(100) 내로부터 상기 배출통(300)을 취출하고, 상기 배출통(300) 내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다.In this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moisture has been sufficiently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accumulated in the
이때, 상기 개폐커버(200)는 전면에 형성된 조작손잡이(211)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을 통해 그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배출통(300)은 그의 전면에 형성된 취출손잡이(311)를 파지한 상태로 케이스체(100) 내로부터 취출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한편, 상기한 배출통(300) 내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배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배출통(300)을 상기 케이스체(100) 내에 다시금 삽입한 후 상기 개폐커버(200)를 덮음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통(300)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얹힘플레이트(140)에 안착된 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그의 수납 도중 기울어짐이 방지되면서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discharging of the food waste in the
결국,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체(100)를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배출통(300)은 해당 케이스체(100)의 전방으로 취출되면서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싱크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의 설치가 용이하다.As a result,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be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특히,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케이스체(1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통(300)은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사이에 충분한 틈새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배출통(300) 내에 담겨지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케이스체(100) 내에 얹힘플레이트(140)를 추가로 구비하여 배출통(300)이 얹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출통(3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출통(300)의 취출 및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는 걸름플레이트(42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배출관(130)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적으로 걸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ducer for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reducing food waste by allowing the food waste discharged to the
10. 감량기 20. 분쇄기
100. 케이스체 101. 결합돌기
110. 유입관 120. 폐쇄캡
130. 배출관 140. 얹힘플레이트
200. 개폐커버 211. 조작손잡이
212. 결합홈 300. 배출통
311. 취출손잡이 410. 가이드돌부
420. 걸름플레이트10.
100.
110.
130.
200. Opening and closing
212.
311. Take-
420. Filter plate
Claims (5)
상기 케이스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커버;
상기 케이스체 내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개폐커버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담도록 이루어진 배출통;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통은 상부로 개방된 다공형의 다각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줄어드는 다단형의 절곡 구조로 형성되고, 각 절곡 부위를 제외한 각 표면에 상하로 긴 형상의 슬릿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체 내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케이스체 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조를 가지는 얹힘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의 저면 양측 일부가 얹히고,
상기 케이스체 내면 중 유입관이 연통되는 부위의 직하방에는, 케이스체의 내면으로부터 배출통의 내측 일부에 이르기까지 돌출되면서 하향 경사지게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It is formed as a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lying down so that the open part is located in the front, and an inlet pipe that receives food waste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is protrud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wat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case body made of;
An opening/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Including; a discharge bin that is seated in the case body and configured to contain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of the case body while having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The discharge bin is formed of a porous polygonal body that is open to the top and has a multi-stage bending structure that gradually decreases space as it goes downward, and a vertically long slit is formed on each surface excluding each bent portion. Meanwhile,
Mounting plates having an elongated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are provid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case body, a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container are mounted,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whil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to a part of the inside of the discharge bin, directly below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through which the inlet pipe is communicated.
상기 개폐커버의 전면에는 그의 개폐조작을 위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통의 전면에는 그의 취출 조작을 위한 취출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The method of claim 1,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reof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take-out handle for a take-out opera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charge bin.
상기 케이스체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상기 배출통이 안착되는 부위의 저부측 공간에는 상기 배출통과는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해당 공간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걸러주는 걸름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The method of claim 1,
A filter plate is further provided in the space on the bottom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discharge bin is seated in the bottom side space of the case body, and is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space vert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assage. A weight reducer for a food waste crus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818A KR102173987B1 (en) | 2019-04-04 | 2019-04-04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818A KR102173987B1 (en) | 2019-04-04 | 2019-04-04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551A KR20200117551A (en) | 2020-10-14 |
KR102173987B1 true KR102173987B1 (en) | 2020-11-04 |
Family
ID=7284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9818A KR102173987B1 (en) | 2019-04-04 | 2019-04-04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3987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5678B1 (en) * | 2007-01-10 | 2008-04-29 | 주식회사 파세코 |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
KR101178606B1 (en) | 2012-06-13 | 2012-08-30 | 서우람 | One body dispoer which is capable of taking out crushed and dried waste material |
KR101317851B1 (en) * | 2012-11-28 | 2013-10-15 | (주)비바 |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
KR101792113B1 (en) * | 2017-01-09 | 2017-10-31 | 박보성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
KR101807839B1 (en) * | 2017-05-27 | 2018-01-19 | (주)예평이앤씨 | Collecting apparatus of recycling resources |
KR102079541B1 (en) | 2019-04-04 | 2020-02-20 | 양영애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227B1 (en) | 2011-11-28 | 2013-01-02 | 김영도 | Food grinding and reducing device |
KR101712653B1 (en) | 2016-07-11 | 2017-03-22 | 주식회사 에스디알 | Disposer |
KR101771603B1 (en) | 2016-12-01 | 2017-08-25 | (주)이젠프리텍 | food waste crusher |
KR101802694B1 (en) | 2017-02-07 | 2017-11-28 | 박보성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
-
2019
- 2019-04-04 KR KR1020190039818A patent/KR1021739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5678B1 (en) * | 2007-01-10 | 2008-04-29 | 주식회사 파세코 |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
KR101178606B1 (en) | 2012-06-13 | 2012-08-30 | 서우람 | One body dispoer which is capable of taking out crushed and dried waste material |
KR101317851B1 (en) * | 2012-11-28 | 2013-10-15 | (주)비바 |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
KR101792113B1 (en) * | 2017-01-09 | 2017-10-31 | 박보성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
KR101807839B1 (en) * | 2017-05-27 | 2018-01-19 | (주)예평이앤씨 | Collecting apparatus of recycling resources |
KR102079541B1 (en) | 2019-04-04 | 2020-02-20 | 양영애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551A (en) | 2020-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0903B1 (en) | foodwaste shredder for sink | |
KR20070099411A (en) | Method for washing disposers | |
RU2632091C2 (en) | Wastewater pumping plant | |
KR101299511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 |
KR102173987B1 (en)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
JP5267163B2 (en) | Gas-solid liquid separator | |
KR101191339B1 (en) | disposer | |
KR101792113B1 (en)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 |
KR102079541B1 (en) |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
KR10189942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
KR20090102337A (en) | Grinding machine of food dregs for sink | |
KR20210044132A (en) | An Appratus for Disposal of Food Garbage | |
CN208329082U (en) | A kind of rubbish from cooking recyclable device | |
KR10184709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KR20160036938A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
US3018972A (en) | Materials reducing apparatus | |
CN210230091U (en) | Food and beverage garbage disposer | |
KR200470873Y1 (en) |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 |
KR101275723B1 (en) | Vortex formation device and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it | |
KR101631865B1 (en) | Food waste disposer and drain unblock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same | |
KR20140004572U (en) | Apparatus for reducing fixing with food waste disposer | |
KR20140004299U (en) | Food waste pulverizing and reducing apparatus | |
CN218028088U (en) | Anti-blocking floor drain | |
KR102244672B1 (en) | protector for rotating cutter of 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 |
KR20090003805A (en) | Process device food garb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