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931B1 -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 Google Patents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931B1
KR102169931B1 KR1020200016508A KR20200016508A KR102169931B1 KR 102169931 B1 KR102169931 B1 KR 102169931B1 KR 1020200016508 A KR1020200016508 A KR 1020200016508A KR 20200016508 A KR20200016508 A KR 20200016508A KR 102169931 B1 KR102169931 B1 KR 10216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ir
base
bearing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오
이가을
정석훈
주창규
차현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8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with motoris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파에 의해 이동하는 무게추부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안전레버를 선반의 측면에 부착하여 지진 발생 시 레버부에 연결된 안전바가 서랍을 고정시키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safty lever and safty lever baggage rack for preventing fall in case of earthquake}
본 발명은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 시 수납된 기물들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에 대비하여 다양한 대피 방법 또는 대피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예고되지 않는 갑작스런 지진과 같은 재앙이 발생하는 경우 정해진 대피 장소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가장 가까운 대피 장소가 될 수 있는 책상 또는 테이블의 아래쪽으로 대피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피 장소는 약한 지진의 경우 안전이 확보될 수 있지만 강한 지진에 대하여 대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지진 발생 시 인명 피해는 물론이고 책상, 수납장, 선반 등에 수납되어 있던 물건들이 쏟아져서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진이 잦은 지역에서도 수납된 물건들을 파손없이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지진감지장치와 관련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실용신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1162호(2019.05.15.)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742783호(2017.05.26.)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파에 의해 이동하는 무게추부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안전레버를 선반의 측면에 부착하여 지진 발생 시 레버부에 연결된 안전바가 서랍을 고정시키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밀착하면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는 레버부;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가 연결되는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추부; 일단이 상기 레버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재 및 일단이 상기 핀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무게추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운동량 전달부; 상기 핀부재 및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핀부재 및 상기 무게추부가 상기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지원하는 베어링부; 상기 무게추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핀부재와 상기 접촉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삽입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우호형상으로 함입되도록 레버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홈 및 상기 멈춤부재와 각각 인접하도록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레버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핀부재의 타단과 접하면서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핀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멈춤부재는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재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보다 더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진이 발생 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레버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3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3 베어링은 상기 핀부재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은 상기 핀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4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4 베어링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5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4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5 베어링은 상기 무게추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진이 발생 시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로부터 상기 핀부재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른 안전레버; 및 서랍을 수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멈춤부재와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멈춤부재와 상기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를 연결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레버는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면에 함입 형성되는 케이스홈에 설치되고, 지진파가 상기 가로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상기 안전바는 상기 멈춤부재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가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서랍이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 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진파에 의해 이동하는 무게추부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안전레버를 선반의 측면에 부착하여 지진 발생 시 레버부에 연결된 안전바가 서랍을 고정시킴에 따라 기물의 파손 없이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베이스부, 레버부, 무게추부, 운동량 전달부 및 베어링부의 일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무게추부가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접촉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핀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핀부재, 핀멈춤부재 및 베어링부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핀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베어링부의 일부가 핀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핀멈춤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레버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레버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의 커버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선반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베이스부, 레버부, 무게추부, 운동량 전달부 및 베어링부의 일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무게추부가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접촉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핀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핀부재, 핀멈춤부재 및 베어링부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핀부재가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베어링부의 일부가 핀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핀멈춤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레버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레버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커버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1.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100)는 베이스부(110), 레버부(120), 무게추부(130), 운동량 전달부(140), 베어링부(150), 스프링부(160), 스토퍼부(170) 및 커버부(18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제1 베이스(111) 및 제2 베이스(112)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112)는 제1 베이스(111)와 밀착하면서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재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지지부재는 운동량 전달부(140)와 동일직선상에 위치한다.
레버부(120)는 레버(121), 멈춤부재(122), 고정부재(123), 토션스프링(124) 및 핀멈춤부재(125)를 포함한다.
레버(121)는 제1 베이스(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우호형상으로 함입된 레버홈(121a)이 형성된다. 이때, 레버홈(121a)의 직경은 스토퍼부(170)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스토퍼부(170)가 동작할 경우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멈춤부재(122)는 레버(121)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멈춤부재(122)는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버(121)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면서 후술되는 서랍을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시적으로 멈춤부재(122)는 1회 절곡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123)는 레버홈(121a) 및 멈춤부재(122)와 각각 인접하도록 레버(121)에 고정되고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23)는 레버(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123)는 토션스프링(124)의 양단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토션스프링(124)은 레버(121)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양단이 한 쌍의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핀멈춤부재(125)는 운동량 전달부(140)의 핀부재(141)의 타단과 접하면서 레버(121)에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한 핀멈춤부재(125)는 가로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한다.
도 5의 (a), (b)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게추부(130)는 지진이 발생 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촉부재(142)를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킴에 따라 베어링부(150)로부터 핀부재(141)를 이탈시킨다.
이를 위한 무게추부(130)는 무게추(131) 및 걸림부재(132)를 포함한다.
무게추(1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한 무게추(131)는 제2 베이스(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베이스(111)와 제2 베이스(112)가 연결되는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한다.
걸림부재(132)는 무게추(13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다. 걸림부재(132)의 상부에는 접촉부재(14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진이 발생 시 걸림부재(132)는 접촉부재(142)를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킨다.
운동량 전달부(140)는 핀부재(141) 및 접촉부재(142)를 포함한다.
핀부재(141)는 일단이 레버부(121)와 결합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핀부재(141)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핀부재(141)의 주위에는 베어링부(150)의 일부가 둘러싸면서 핀부재(14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핀부재(141)는 가로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접촉부재(142)는 일단이 핀부재(141)의 타단에 결합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무게추부(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접촉부재(142)의 타단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걸림부재(132)와 접하도록 위치한다.
즉, 접촉부재(142)의 타단은 걸림부재(132)보다 더 가로방향의 일측(도 3, 도 4 참조)에 위치한다.
베어링부(150)는 핀부재(141) 및 무게추부(130)의 상하측부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핀부재(141) 및 무게추부(130)가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를 위한 베어링부(150)는 제1 베어링(151), 제2 베어링(152), 제3 베어링(153), 제4 베어링(154) 및 제5 베어링(155)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151)은 핀부재(141)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도록 레버부(12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특히, 한 쌍의 제1 베어링(151)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141)를 가압하면서 핀부재(141)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원한다.
제2 베어링(152)은 핀부재(141)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한 쌍의 제1 베어링(151)과 인접하도록 제1 베이스(11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3 베어링(153)은 핀부재(141)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한 쌍의 제2 베어링(152)과 인접하도록 제1 베이스(11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한 쌍의 제1 베어링(151), 한 쌍의 제2 베어링(152) 및 한 쌍의 제3 베어링(153)은 회전하면서 핀부재(141)를 가이드한다.
제4 베어링(154)은 무게추부(130)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제2 베이스(112)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5 베어링(155)은 한 쌍의 제4 베어링(154)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무게추부(130)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제2 베이스(112)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한 쌍의 제4 베어링(154) 및 한 쌍의 제5 베어링(155)은 회전하면서 무게추(131)를 가이드한다.
스프링부(160)는 제1 코일스프링(161), 제2 코일스프링(162) 및 판스프링(163)을 포함한다.
한 쌍의 코일스프링(161, 162)은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재와 무게추부(1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한 상의 코일스프링(161, 162)은 제1 코일스프링(161) 및 제2 코일스프링(162)이다.
제1 코일스프링(161)은 운동량 전달부(140)와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재 중 제1 베이스(111)와 인접한 어느 하나의 스프링 지지부재와 무게추(131)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코일스프링(162)은 제1 코일스프링(161)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의 스프링 지지부재와 무게추(131) 사이에 위치한다.
판스프링(163)은 핀부재(141)와 접촉부재(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베이스(11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판스프링(163)은 운동량 전달부(14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163)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지진파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탄성력이 작은 판스프링(163)으로 교체하거나 반대로 본 발명이 지진파에 대하여 둔감하게 반응할 경우, 탄성력이 큰 판스프링(163)으로 교체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부(170)는 적어도 일부가 레버(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 베이스(111)에 삽입된다.
커버부(18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10)와 결합하는 커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100)는 지진에 의해 지진파가 가로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무게추가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접촉부재(142)와 핀부재(141)가 순차적으로 가로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하고, 핀부재(141)가 핀부재(141)의 상하측부에 밀착된 베어링부(15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레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토퍼부(170)가 레버홈(121a)으로 삽입되어 멈춤부재(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된다.
2.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선반(30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 선반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 선반(300)은 전술한 안전레버(100) 및 선반(200)을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레버(100)는 선반(200)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레버(100)는 케이스부(210)의 타측면에 함입 형성되는 케이스홈(212)에 설치된다.
선반(200)은 케이스부(210), 구획부(220) 및 안전바(23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210)는 케이스(211) 및 케이스홈(212)을 포함한다.
케이스(211)는 서랍을 수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부
케이스홈(212)은 케이스(212)의 타측면 중앙부에 함입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전레버(10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부(210)의 일측면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멈춤부재(122)와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122)가 형성된다.
즉,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122)는 케이스홈(212)과 대향하는 케이스(211)의 측면에 형성된다.
구획부(220)는 케이스부(2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본 발명의 도 12에서는 1개의 구획부(220)가 내부공간을 상하로 양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바(230)는 멈춤부재(122)와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122)를 연결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안전레버 선반(300)은 지진파가 가로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안전바(230)가 멈춤부재(122) 및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서랍이 케이스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110: 베이스부
111: 제1 베이스
112: 제2 베이스
120: 레버부
121: 레버
121a: 레버홈
122: 멈춤부재
123: 고정부재
124: 토션스프링
125: 핀멈춤부재
130: 무게추부
131: 무게추
132: 걸림부재
140: 운동량 전달부
141: 핀부재
142: 접촉부재
150: 베어링부
151: 제1 베어링
152: 제2 베어링
153: 제3 베어링
154: 제4 베어링
155: 제5 베어링
160: 스프링부
161: 제1 코일스프링
162: 제2 코일스프링
163: 판스프링
170: 스토퍼부
180: 커버부
200: 선반
210: 케이스부
211: 케이스
212: 케이스홈
220: 구획부
230: 안전바
300: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선반

Claims (10)

  1.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밀착하면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는 레버부;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가 연결되는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추부;
    일단이 상기 레버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재 및 일단이 상기 핀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무게추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운동량 전달부;
    상기 핀부재 및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핀부재 및 상기 무게추부가 상기 가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지원하는 베어링부;
    상기 무게추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핀부재와 상기 접촉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삽입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적어도 일부가 우호형상으로 함입되도록 레버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레버홈 및 상기 멈춤부재와 각각 인접하도록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레버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핀부재의 타단과 접하면서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핀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멈춤부재는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재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보다 더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진이 발생 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레버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핀부재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3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3 베어링은 상기 핀부재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은 상기 핀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4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4 베어링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무게추부의 상하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5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4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제5 베어링은 상기 무게추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진이 발생 시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가로방향의 일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로부터 상기 핀부재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진파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10. 제1 항에 따른 안전레버; 및
    서랍을 수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멈춤부재와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멈춤부재와 상기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를 연결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레버는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면에 함입 형성되는 케이스홈에 설치되고,
    지진파가 상기 가로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상기 안전바는 상기 멈춤부재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멈춤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서랍이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선반.
KR1020200016508A 2020-02-11 2020-02-11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KR10216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08A KR102169931B1 (ko) 2020-02-11 2020-02-11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08A KR102169931B1 (ko) 2020-02-11 2020-02-11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31B1 true KR102169931B1 (ko) 2020-10-26

Family

ID=7300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08A KR102169931B1 (ko) 2020-02-11 2020-02-11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175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봉적 지진 대비 안전 선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845A (ja) * 2000-10-10 2002-04-16 Sanshin Kinzoku Kogyo Kk ラックの収納物落下防止装置
JP2009050981A (ja) * 2007-08-28 2009-03-12 Kataoka Mach Co Ltd 傷痕加工装置
JP2014068998A (ja) * 2012-10-01 2014-04-21 Okamura Corp 感震式物品落下防止装置
JP2017075005A (ja) * 2015-10-13 2017-04-2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190035084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잠금기능을 갖는 슬라이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845A (ja) * 2000-10-10 2002-04-16 Sanshin Kinzoku Kogyo Kk ラックの収納物落下防止装置
JP2009050981A (ja) * 2007-08-28 2009-03-12 Kataoka Mach Co Ltd 傷痕加工装置
JP2014068998A (ja) * 2012-10-01 2014-04-21 Okamura Corp 感震式物品落下防止装置
JP2017075005A (ja) * 2015-10-13 2017-04-2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190035084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잠금기능을 갖는 슬라이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09050981 A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175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봉적 지진 대비 안전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680B2 (ja) サーバ用耐震ラック及びその耐震方法
JP2017040366A (ja) 上下免震装置
KR102169931B1 (ko) 지진 발생시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레버 및 안전레버 선반
KR20070093732A (ko) 진동저감장치
US4917446A (en) System for moving the door of a cabinet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US6364274B1 (en) Seismic isolator for exhibits
US20220260302A1 (en) Refrigerator
JP3680614B2 (ja) 免震台
KR101823359B1 (ko) 지진 진동 반응형 가구용 자동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가구
JP2013083299A (ja) 免震台
JP2015021220A (ja) 耐震ラッチ装置
JP2000240721A (ja) 免震台
WO2017033707A1 (ja) 上下免震装置
JP2000291736A (ja) 免震装置
JP3951382B2 (ja) 免震装置
JP2008050123A (ja) 荷保管用ラックの荷支持装置
JP3941329B2 (ja) 免震装置
JP2020070615A (ja) 上下振動減衰装置、及び、上下振動減衰構造
JP3138538U (ja) 耐震用台座とその誤作動防止用段差付楔体
JP6280276B1 (ja) 地震対応具
JP2000014471A (ja) 収納什器等の免震装置
JP6836752B2 (ja) 減震デッキ、ラックの減震構造および収納物荷崩れ防止構造
JP5845707B2 (ja) 自動倉庫のラック装置
JPH11218187A (ja) 免震装置
JP4064563B2 (ja) 展示品免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