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99B1 -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99B1
KR102152299B1 KR1020180139931A KR20180139931A KR102152299B1 KR 102152299 B1 KR102152299 B1 KR 102152299B1 KR 1020180139931 A KR1020180139931 A KR 1020180139931A KR 20180139931 A KR20180139931 A KR 20180139931A KR 102152299 B1 KR102152299 B1 KR 10215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olgolbo
steel beam
state
curved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062A (ko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훈 filed Critical 이경훈
Priority to KR102018013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주 대형 공간 확보를 위한 장스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에서 보 부재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도록 철골보가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슬래브 구조체가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의 처짐을 방지하고(1차 저항), 추후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벤딩상태로 시공된 철골보의 중앙에 처짐이 발행하더라도 아래로 처지는 것이 아니라 평평하게 펴질 뿐이므로(2차 저항) 건축물의 내구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장스팬 철골보 밴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으로 상기 철골보를 밀어 올려, 건축 구조물에서 보 부재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여 정중앙이 정점이 되도록 상기 철골보를 상방향으로 만곡시키는 단계; (d) 상기 유압잭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가 상기 철골보를 지지하여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을 회수하는 단계; 및 (e) 상기 철골보의 상부에 슬래브 구조체를 구축한 후 상기 동바리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스팬 철골보 밴딩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Long spa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bending beam}
본 발명은 무지주 대형 공간 확보를 위한 장스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에서 보 부재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도록 철골보가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슬래브 구조체가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의 처짐을 방지하고(1차 저항), 추후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벤딩상태로 시공된 철골보의 중앙에 처짐이 발행하더라도 아래로 처지는 것이 아니라 평평하게 펴질 뿐이므로(2차 저항) 건축물의 내구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스팬 구조물은 주로 교량에 적용, 발전되어 왔으나, 주차장, 공장, 물류창고, 체육관 등 기둥을 최소화하고 실내 공간의 활용성이 요구되는 여러 건축물에도 장스팬 구조가 적용된다.
장스팬 구조의 문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와 양단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양단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경간에 비례하여 커진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중을 여러 부재에 분산시킬 수 있는 트러스구조, 보에 가해지는 하중을 역방향으로 미리 도입함으로써 최종 하중을 경감시키는 프리스트레스(Pre-Stress) 구조, 보를 구성하는 철골의 형태 및 보강부재를 다양하게 변용한 보강구조 등이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1. 등록특허 10-0926667 "장지간 빔을 이용한 자주식 주차설비" 2. 등록특허 10-1628343 "트러스 강성을 보강한 합성보" 3. 등록특허 10-1676707 "기둥-보 접합 구조" 4. 등록특허 10-0352646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공법" 5. 등록특허 10-0733609 "강재의 솟음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증강공법" 5. 등록특허 10-1595736 "지지구조물 설치 구조"
본 발명은 철골보를 만곡시키고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장스팬 구조의 내하력이 확보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보 부재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도록 복곡률로 만곡된 철골보; 상기 철골보의 양 단부에 피복되어 상기 단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단부 콘크리트; 및 상기 철골보의 상부에 축조되어 상기 중앙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슬래브 콘크리트; 를 포함하여 보의 처짐 및 하중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장스팬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철골보는 센터부재와 사이드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사이드부재가 센터부재보다 종단면이 크게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키는 단계; (c)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유압잭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으로 상기 철골보를 밀어 올려, 상기 철골보를 건축 구조물 보 부재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곡률로 만곡시키는 단계; (d) 상기 유압잭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가 상기 철골보를 지지하여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을 회수하는 단계; 및 (e) 상기 철골보의 단부에 보-단부 콘크리트를 피복하고,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축조한 후 상기 동바리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제작되고, 그 형상이 유지된 철골보에 의해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의 처짐에 대해 1차로 저항할 수 있으며, 사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철골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이 아니라 평평하게 펴진 상태가 되므로 건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2. 슬래브 구조물 축조를 위해 소요되는 동바리를 철골보의 만곡 형태 유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태 유지를 위한 별도 공정 또는 별도의 수단 적용을 생략할 수 있다.
3. 철골보 단부에 피복되는 보-단부 콘크리트 하부의 압축력과 및 철골보 상부에 축조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압축력은 상기 철골보의 만곡 상태 유지 수단임은 물론 그 자체로 상기 철골보에 대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로 작용하여 상기 철골보에 가해지는 사하중을 분담하고, 철골보의 처짐에 대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단면적이 작은 센터부재의 양 측에 단면적이 큰 사이드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변단면 철골보가 구성되고, 이에 따라 철골보의 자중을 경감시키고, 철골보 단부의 휨 모멘트 및 전단 저항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건축 구조물에서 보 부재가 받는 휨모멘트와 전단력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철골보의 하부에 유압잭을 배치하고, 상기 유압잭으로 상기 철골보를 밀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유압잭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가 상기 철골보를 지지하여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보-단부 콘크리트 및 슬래브 콘크리트가 시공된 장스팬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기둥부재와 철골보 부재의 상세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 작용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및 양 단부로 구분되며, 상기 양 단부는 각각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고 상기 중앙부는 정중앙에서 상기 양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어,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는 복곡률로 만곡된 철골보; 상기 철골보의 양 단부에 피복되어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단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단부 콘크리트; 및 상기 철골보의 상부에 축조되어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중앙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슬래브 콘크리트; 를 포함하여,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 유지에 의해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보의 처짐에 대해 1차로 저항하고, 사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철골보가 평평하게 펴지게 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의 처짐 및 하중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장스팬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철골보(20)는 건축물의 장스팬 확보를 위한 부재로서, 상·하면 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된 H형강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철골보(20)를 건축물의 보 부재에 작용하는 사하중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제작하여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에 크게 걸리는 휨모멘트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철골보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방향으로 휘어진 것이 평평하게 펴지는 거동만을 하게 되므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저해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철골보(20)가 만곡되어 있다고 해도 곡률반경이 크고 길이가 길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안으로 만곡상태의 식별은 어려울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철골보의 개념 도시를 위해 휘어진 방향을 별도로 표시하였다.
또한, 철강으로 이루어진 철골보는 자체 탄성이 있으므로 탄성 회복력에 대항하여 상기 철골보의 만곡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철골보(20)의 양 단부에 피복되는 보-단부 콘크리트(70) 및 상기 철골보(20)의 상부에 축조되는 슬래브 콘크리트(6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철골보(20) 단부 및 중앙부의 만곡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철골보(20)는 센터부재(21)와 사이드부재(22)가 결합되되, 상기 사이드부재(22)가 센터부재(21)보다 종단면이 크게 형성된 것(이하 '변단면 철골보'라 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부재(22)의 일단은 상기 센터부재(21)의 단부에 체결되고 타단은 기둥부재(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부재(21)와 사이드부재(22)의 각 측단부는 모두 엔드플레이트로 마감하여, 상기 엔드플레이트가 접한 상태로, 상기 센터부재(21)와 사이드부재(22)의 체결, 상기 사이드부재(22)와 기둥부재(10)의 체결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단면 철골보는 전체적으로 단부측의 단면이 크게 구성된 것이므로, 철골보의 자중(自重)을 경감시키고, 전단력, 휨 모멘트 등에 효율적으로 대항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철골보를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 작용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및 양 단부로 구분하여, 상기 철골보의 정중앙 하부 및 상기 중앙부와 양 단부의 경계점 하부에 각각 유압잭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으로 상기 철골보를 밀어 올려, 상기 철골보의 양 단부는 각각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고 상기 철골보의 중앙부는 정중앙에서 상기 양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철골보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서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복곡률로 만곡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유압잭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가 상기 철골보를 지지하여 복곡률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을 회수하는 단계; 및 (e) 상기 철골보의 단부에 보-단부 콘크리트를 피복하고,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축조하여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상기 동바리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 유지에 의해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보의 처짐에 대해 1차로 저항하고, 사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철골보가 평평하게 펴지게 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a)단계
본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철골보로는 전술한 변단면 철골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골보(20)의 단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판(80)을 결합시킴으로써, 본 (a)단계에서는 상기 기둥부재(10)의 측면과 철골보(20)의 단부 측면을 체결하는 공정(이하, 측방결합 공정)과, 상기 받침판(80)과 철골보(20)의 단부 하면을 체결하는 공정(이하, 상하결합 공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방결합 공정과 상하결합 공정의 시행 순서는 특별한 정함이 없다.
종래에 기둥부재(10)와 철골보(20)의 결합은 상기 측방결합 공정으로만 수행되어 왔으나, 상기 상하결합 공정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기둥부재(10)와 철골보(20)의 결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단력 및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판(80)의 지지력 강화를 위해 상기 기둥부재(10)의 측면과 받침판의 하면 사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부재로 보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받침판의 설치 구조는 변단면 철골보의 사이드부재와 센터부재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b)단계
본 단계는 상기 철골보(20)의 하부에 유압잭(3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압잭(30)은 아래 (d)단계에 의해 상기 철골보(20)를 상방향으로 구부리도록 가력하는 도구로서, 철골보(20)의 중앙부와 단부를 각각 만곡시키기 위해 상기 철골보(20)의 정 중앙 및 양측 곡률변곡점(상기 철골보(20)를 건축 구조물 보 부재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곡률로 만곡시킬 때의 곡률변곡점)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잭(30)은 배치 지점에 따라 가력 크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基臺, 40) 위에 설치할 수 있다.
3. (c)단계
본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30)으로 상기 철골보(20)를 밀어 올려, 상기 철골보(20)를 건축 구조물 보 부재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곡률로 만곡시키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에서 상기 철골보(20)는, 작용하는 사하중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크게 걸리는 휨모멘트에 대응하고, 추후에 상기 철골보(20)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방향으로 휘어진 것이 평평하게 펴지는 거동만을 하게 되므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저해되지 않는다.
5. (d)단계
본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30)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20)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50)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20)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50)가 상기 철골보(20)를 지지하여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30)을 회수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상기 유압잭(30)에 의한 철골보(20)의 만곡 상태를 상기 동바리(50)에 의해 유지시키는 상태로 대체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동바리(50)는 상기 유압잭 배치 지점의 사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철골보(20)는 탄성이 있으므로, 후술할 보-단부 콘크리트(70) 및 슬래브 콘크리트(60)와 일체를 이루어 정착되기 전까지는 탄성 회복력에 대항하여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이 필요한데, 상기 철골보(20) 상부에 슬래브 축조를 위해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동바리를 상기 철골보의 만곡 상태 유지수단으로도 활용하는 것이다.
6. (e)단계
본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골보(20)의 단부에 보-단부 콘크리트(70)를 피복하고,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60)를 축조한 후 상기 동바리(50)를 해체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70)와 슬래브 콘크리트(60)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철골보(20)는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70) 및 슬래브 콘크리트(60)와 일체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철골보(20)의 단부는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70) 하부의 압축지지력에 의해 만곡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철골보(20)의 중앙부는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60)의 압축지지력에 의해 만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70)는 상기 철골보(20) 단부의 만곡 상태 유지 효과 및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동바리(5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피복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70) 및 슬래브 콘크리트(60)의 압축지지력은 상기 철골보(20)에 대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로도 작용하여 상기 철골보(20)에 가해지는 사하중을 분담하고, 철골보(20)의 처짐에 대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기둥부재
20 : 철골보 21 : 센터부재 22 : 사이드부재
30 : 유압잭 40 : 기대 50 : 동바리
60 : 슬래브 콘크리트 70 : 보-단부 콘크리트
80 : 받침판 85 : 경사부재

Claims (3)

  1.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 작용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및 양 단부로 구분되며, 상기 양 단부는 각각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고 상기 중앙부는 정중앙에서 상기 양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어,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 및 양 단부가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는 복곡률로 만곡된 철골보;
    상기 철골보의 양 단부에 피복되어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단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단부 콘크리트; 및
    상기 철골보의 상부에 축조되어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중앙부의 만곡 상태를 유지시키는 슬래브 콘크리트; 를 포함하여,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 유지에 의해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보의 처짐에 대해 1차로 저항하고, 사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철골보가 평평하게 펴지게 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의 처짐 및 하중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장스팬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철골보는 센터부재와 사이드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사이드부재가 센터부재보다 종단면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스팬 구조.
  3. (a) 기둥부재 사이에 철골보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철골보를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 작용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및 양 단부로 구분하여, 상기 철골보의 정중앙 하부 및 상기 중앙부와 양 단부의 경계점 하부에 각각 유압잭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으로 상기 철골보를 밀어 올려, 상기 철골보의 양 단부는 각각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고 상기 철골보의 중앙부는 정중앙에서 상기 양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포물선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철골보의 중앙부 및 양 단부가 건축 구조물 보 부재로서 받는 응력형태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복곡률로 만곡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유압잭의 가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철골보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동바리를 설치하고, 상기 철골보의 만곡 형상에 따라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동바리가 상기 철골보를 지지하여 복곡률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을 회수하는 단계; 및
    (e) 상기 철골보의 단부에 보-단부 콘크리트를 피복하고,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축조하여 상기 보-단부 콘크리트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압축지지력에 의해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상기 동바리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철골보의 복곡률 만곡 상태 유지에 의해 무지주 장경간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보의 처짐에 대해 1차로 저항하고, 사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철골보가 평평하게 펴지게 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KR1020180139931A 2018-11-14 2018-11-14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KR10215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31A KR102152299B1 (ko) 2018-11-14 2018-11-14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31A KR102152299B1 (ko) 2018-11-14 2018-11-14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62A KR20200056062A (ko) 2020-05-22
KR102152299B1 true KR102152299B1 (ko) 2020-09-04

Family

ID=7091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931A KR102152299B1 (ko) 2018-11-14 2018-11-14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2703B (zh) * 2021-08-18 2022-05-27 中国矿业大学 一种预应力钢筋混凝土梁改造加固方法
CN113622704B (zh) * 2021-08-18 2022-04-26 中国矿业大学 一种局部削梁的钢筋混凝土预应力框架结构改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04B1 (ko) * 2010-04-02 2010-11-25 우종열 높이가 상이한 철골보의 접합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합된 철골보
KR101049880B1 (ko) * 2011-01-06 2011-07-15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 타설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부재를 구비하는 복합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383057B1 (ko) * 2013-08-27 2014-04-08 주식회사 르네코 교량용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강합성 거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646B1 (ko) 1999-12-03 2002-09-28 주식회사 다인건설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공법
KR100733609B1 (ko) 2006-03-31 2007-06-28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강재의 솟음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증강공법
KR100946739B1 (ko) * 2007-08-28 2010-03-11 이엔이건설주식회사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KR100926667B1 (ko) 2008-01-22 2009-11-1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장지간 빔을 이용한 자주식 주차설비
KR101628343B1 (ko) 2015-02-05 2016-06-09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트러스 강성을 보강한 합성보
KR101595736B1 (ko) 2015-04-16 2016-02-22 유한회사 성광산업 지지구조물 설치 구조
KR101676707B1 (ko) 2015-06-09 2016-11-16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기둥-보 접합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04B1 (ko) * 2010-04-02 2010-11-25 우종열 높이가 상이한 철골보의 접합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합된 철골보
KR101049880B1 (ko) * 2011-01-06 2011-07-15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 타설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부재를 구비하는 복합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383057B1 (ko) * 2013-08-27 2014-04-08 주식회사 르네코 교량용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강합성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62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057B1 (ko)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US20130283728A1 (en) Truss structure using a material having a pi-shaped cross-section as an upper chord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102152299B1 (ko)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CN107989180B (zh) 一种偏心支撑框架
KR101897495B1 (ko) 벤딩빔을 이용한 장스팬 구조
KR101329434B1 (ko)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CN110158768A (zh) 预应力斜拉杆钢筋混凝土框架转换层
KR102186162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102107666B1 (ko) 장스팬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KR101011263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CN216616975U (zh) 一种具有空间钢构架约束既有钢筋混凝土柱的加固结构
KR102085794B1 (ko) 장스팬 철골보 밴딩 시공 방법
KR101732719B1 (ko) 튜브형 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보
KR100921825B1 (ko)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20010088998A (ko)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KR102268469B1 (ko) 절곡형 수평 지지부를 갖는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춤이 깊은 데크의 시공방법
KR102577799B1 (ko) 층고 절감형 거더
KR100723542B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200145183A (ko) 구조 보강 및 내진성 향상을 위한 철골 기둥구조
KR102577800B1 (ko) 층고 절감형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